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Use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as a Clinical Marker in Bilingual Children

        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비언어정보 통계적 학습(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이 언어경험이 다양한 이중언어 사용아동의 언어장애를 판별해 내는데 정확한 검사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통계적 학습은 언어수행능력에 있어서 매우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기재이다. 그러므로 이론적으로 언어장애의 유무를 언어경험이 다르다는 이유로 정확히 구분해 내지 못하는 현재 표준화검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번째,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의 시각적 및 청각적 통계적 학습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 중, 표준화된 언어검사(영어, 스페인어 각각의 영역)에서 평균 이하의 낮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과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아동들의 통계적 학습을 비교하였다. 방법: 정상 학령기 이중언어 사용 아동 37명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모든 아동은 정상 인지능력을 지녔고, 부모의 사례 설문지 검사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학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언어능력도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아동들이었다. 결과: 1)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단일언어 사용 아동은 시각적 및 청각적 통계적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영어 표준화 검사에서 언어 수행력이 낮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과 높은 아동들간에 통계적 학습능력(시각적 및 청각적)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페인어 표준화 검사결과로 그룹을 나누었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총괄적으로 정리해 보면, 표준화 검사에서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은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보다 낮은, 언어장애 수준의 점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아동들의 보다 근본적인 학습 체계를 측정해 보면, 아동의 언어장애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아동들은 단일언어 사용 아동과도 비슷한 수행능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 비언어정보의 통계적 학습은 이중언어 사용 아동들을 위한 현존하는 진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비언어정보의 통계적 학습은 근본적인 언어기재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며, 현실적으로는 이중언어 사용아동을 위한 진단도구로써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공헌을 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ue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tasks that can be used to more accurately identify Language Impairment (LI) in children with diverse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investigating statistical learning is that it has been found to be a basic cognitive learning mechanism that is critical for language learning. First, performances in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were compared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Second, based on Spanish and English standardized tests, bilingua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hildren who scored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ose who did not achieve the normal range. The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on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s were compared. Methods: Participants were 37 Spanish-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33 native English speaking monolingual children. They all met the criteria for normal development based on nonverbal IQ and a parental questionnaire. All children completed visual and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asks in addition to standard language tests. Results: The bilingual children performanc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monolingual children on visual and auditory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task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if there is no internal error in processing, performance involving statistical learning should be normal even when the subjects were systematically exposed to two different languages. When the bilingual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standard English language scores (below average vs. above ave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visual or auditory statistical learning. These findings held constant when the group was divided based on the ability to speak Spanish. These results supported the current diagnostic issues of bilinguals in which certain normally developing bilingual children perform poorly on standardized language tests. In addi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tatistical learning is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underlying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reduces the bias toward bilingual children. These research findings foster our ability to answer practical questions and identified a new way to accurately identify LI in bilingual children. This study performed the initial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fundamental learning aspects of nonlinguistic cognitive areas in children and explored a stronger theoretical basis for accurate assessment practices in bilingual childre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

        박은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로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으나 대개가 유학생 대상이며 실제 언어 사용을 분석하기보다 학습자 변인별로, 혹은 언어적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본 것들이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들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한국어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고 본고는 주요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목적을 위해 주요 한국어 학습자라 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 여성이민자의 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언어학적 혹은 언어사용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언어학적 측면에서는 어휘적, 문법적, 담화적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서, 언어사용적 측면은 사회언어학적, 전략적, 화행적 세 가지 측면에서 각각 사례를 들면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를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용 어휘적 측면에서 가장 상이함을 알 수 있었고 결혼 여성이민자들은 구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각 측면에서 사례별로 다소 유사점과 차이점이 드러났는데 두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학습 목적, 한국어 교재, 대화 상황, 성별, 언어 노출 정도 등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학습자의 학습 변인인 내적, 외적 요인보다는 학습자들의 언어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에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볼 수 있는 기회였으며 학습 목적이 다른 두 집단의 한국어 사용을 동시에 살펴보면서 어느 정도 비교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Even though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have increased steadily, it is hard to find observation studies or experiment studies on their actual language use. This research examines spoken and writte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with their interview and writing.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s after dividing it into linguistic aspect and language use aspect. Linguistic aspec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lexical, syntactic, conversational) kinds. Language use aspect is classified centering on the use of sociolinguistic, strategic, speech act kinds. As a result,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Research shows some difference between marriage-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purpose(KFL, KSL), textbook, conversational setting etc. These comparison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use and suggest the efficient method of Korean education to prevent misus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감적 언어사용의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王朶朶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과 학생을 위한 교감적 언어사용의 교수 학습 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교감적 언어사용은 메시지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지 않지만 대화를 더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학습자들에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과 학습자들에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습에 매우 중요한 도구인 교재를 대상으로 교감적 언어사용의 제시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재 분석의 결과로 교재에서 제 시되는 교감적 언어사용의 수와 양상이 적었고, 교감적 언어사용이 교재의 급수별로 균형적으 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제시된 교감적 언어사용이 내용적인 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감적 언어사용의 내용을 재정리해서 제시하였 다. 또한 교육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몇 가지 전제 조건을 제시하였다. 예컨대 교감적 언어사 용의 교수 학습은 중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는 것, 학습자들이 점진적으로 교감적 언어사용을 습득하는 데에 나선형의 교수 학습 방법과 명시적인 방법이 도움이 된다는 것 등 이다. 마지막으로 교감적 언어사용의 교수 학습 방안에 관해서는 도입 단계, 제시 단계, 교수 단계, 연습 단계, 활용 단계, 피드백 및 정리 단계로 나누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Phatic Communion teaching program for Korean-majored students in China. Phatic Communion doesn’t take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s its main purpose, but it has the function of making the conversation more smoothly,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Korean students how to use Phatic Communion. In order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suitable for domestic students, this study firstly analyzes Korean textbooks. As a learning tool, Korean textbook is an important means for domestic students to learn Korean,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is helpful to grasp the teaching situation of Phatic Communion in China.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show that the Phatic Communion expressions in textbooks are relatively simple with a very limited number, their distribution in different levels of textbooks is uneven, and there are also some problems in the content. In order to ensure the teaching effect, this thesis puts forward some teaching requirements, such as teaching Phatic Communion to students with intermediate level, and adopting spiral and explicit teaching methods in the teaching process. In the end, this thesis discusses the class procedures in detail from five stages: leading-in, presentation, teaching, practice, application and feedback.

      • KCI등재

        이중 언어 사용의 특성과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추광재(Chu, GuangJae),최민지(Choi, Mi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Given the fact that there is a lot of influx of returned oversea students and immigrant families, the number of bilingual dramatically goes up.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debating educational policy for them. Although many linguists have been having negative perspectives of bilinguals, this study not only refers to advantages of social and cognitive aspects to of bilingual but emphasizes the proper understanding of phenomenon for them. As code-switch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phenomena in bilingual, the code switching also is accepted without any prejudice. Code-switching even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bilinguals. Plus, it could be educational by far the most important tool.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ed on Huaqiao in Korea. In addition, they are experiencing a lot of changes currently because of Korean Huaqiao’s diversifying(i.e. old Korean Huaqiao who still hold Taiwan passports; new Chinese from China mainland;, Korean returned students from China, and other various nationalities) There would be more increasing in international immigration in Korean society. For that, it should make the educational system for bilingual. For that is based on the interest in bilingual and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최근 이민가정과 국제 결혼 등으로 인한 국내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한 이중 언어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언어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언어 교육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2016년 3월부터 12월까 지 9개월의 기간동안 한국 화교 학생들을 심층면담한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중 언어 사용자의 언어 사용에 있어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 또한, 이중 언어 사용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코드스위칭의 심층 탐색을 통해 다 문화시대 학습 효과성과 효과적인 언어습득 방법으로서의 코드스위칭의 가능성을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이중 언어 사용이 이중 언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단일 언어 사용자에게도 사회적, 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언급 하면서 이중 언어 사용자의 언어 현상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코드 스위칭이 언어 학습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교육적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이중 언어 사용에서의 학습 과정이 실제 언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이은경(Lee, Eun-Kyoung),오성숙(Oh, Seo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민 여성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양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과 그들의 자녀, 연구대상 유아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유아에게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경험하는 언어환경을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부)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유아의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복합문장이나 완성된 문장보다는 단문과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수용어휘의 부족과 상황에 맞는 어휘사용에서 오류를 범하거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나 침묵하기, 웃거나 고개끄덕이기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고 아버지가 지속적인 언어교육에 참여한 경우에 유아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서 혼란을 보이거나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민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환경이 그들 자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육아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증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are Philippines, Vietnam, China and Japan, and each child’s teacher. The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ields: the case that their mothers primarily speak in multi-lingual, the case that they communicate in mother tongue, and the case that they harmoniously use their native language and spouse’s mother tong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primarily speaks in multi-lingual, children used more simple sentences or words than complex sentences or complete sentences, and experienced insufficient vocabulary ability, errors and linguistic confusion in proper word usage. Second,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communicates in their native languages, children often used non-verbal expressions in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such as negative attitude, silence, just smiling and nodding. Third, in the case that a mother harmoniously uses her native language and her spouse’s mother tongue and her husband constantly participates in language training, children had no confusion or difficulty in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on, and had a good command of bilingual languages and show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

      • KCI등재

        학령기 이중언어 아동의 두 언어 능숙도와 부모의 L1/L2 사용률 간의 관계

        임동선,김신영,한지윤,강다은,이수경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9 No.-

        The first language or mother tongue (L1) paves the way for acquiring a second language (L2) as well as developing self-identity i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CLD).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ed issues of language environment and CLD children’s L1 and L2 abil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al use of L1 and L2 and how it affects to CLD’s L1 and L2 in a various situation. Fifteen parents of CLD children using a variety of L1 backgrounds and English as L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all went to international schools in Korea. Using the parent’s language environment report (PLEQ; Hong, 2018), L1 and L2 usage were measured by daily activity and communication type. Parents also evaluated their children’s L1 and L2 skills in four are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reports of the children’s L1 and L2 skills in the parent’s PLEQ,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he native-like-L1 group, the nonnative-like-L1 group, the native-like-L2 group, and the nonnative-like-L2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of the native-like-L1 group used more L1 than parents of a nonnative-like-L1 group in affectionate communication. Parents in the native-like-L2 group also used more L1 than parents of the nonnative-like-L2 group in academic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implicated that the use of L1 in affectionate communication and academic communication may positively affect their perception of children’s L1 and L2 skills. 문화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아동에게, 모국어는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로서 정체성 형성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발달 과정에서 제1언어(L1)와 제2언어(L2)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특히 L1의 발달은 L2의 발달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부모의 L1 및 L2 사용이 CLD 아동의 L1 및 L2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모보고 형식의 언어환경 설문지(Parental Language Environmental Questionnaire, PLEQ)를 통해 자녀와의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언어사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학교에 재학중이면서 학교에서 영어를 L2로 사용하고 있고 서로 다른 모국어 배경을 갖고 있는 CLD 아동 1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PLEQ를 통해 일상생활 활동 및 의사소통 유형별 L1과 L2 사용률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L1 및 L2 능숙도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영역에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평가를 기반으로, 아동들의 L1과 L2 능숙도를 네 가지 영역이 모두 능숙한 집단(L1/L2-유창)과 그렇지 않은 집단(L1/L2-비유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착형 의사소통 유형에서 L1-유창 집단 부모의 L1 사용률이 L1-비유창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학습 상황에서 L2-유창 집단 부모의 L1 사용률이 L2-비유창 집단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애착형 의사소통 및 학습 상황에서의 부모의 L1 사용이 각각 아동의 L1 능력 및 L2 능력과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언어유희와 규범의 변화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3

        언어 규범은 규범/체계/사용의 관계 속에서 정의할 수 있다. 실재 언어사용에서는 언어 체계가 허용하지만 규범이 허용하지 않는 소위 “비규범적인 표현”, 심지어는 언어 체계의 경계 밖에 있는 것들도 나타난다. 즉 언어의 실재 사용에는 규범의 의도적, 우발적 위반이 자주 일어나며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와 ‘실제로 어떻게 말하는가’ 사이의 괴리는 규범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원동력이 되어왔다. 특히 언어유희는 규범의 경계를 넘어서며 언어 체계가 갖는 잠재적 가능성을 사용하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언어사용이다. 오늘날 러시아어의 모든 사용 영역에서는 전반적인 규범의 이탈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사이버 소통에서 규범의 이탈은 많은 부분 의도적인 언어유희의 결과이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언어 규범의 의식적인 위반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기존의 사회 체계에 대한 저항을 표시하며 인터넷 서브컬처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는 자연히 인터넷 소통 참여자들의 메타 언어적 의식을 강화시켰다. 그리하여 언어 규범의 의도적 위반, 대화체/ 독백체, 구어체/ 문어체, 언어적/비언어적 코드 간의 경계 허묾은 오늘날 러시아 인터넷 담화의 전형적인 특성이 되었다. 특히 규범의 의도적 위반은 정자법 규범을 비롯해 어휘, 조어, 형태적 규범 등 폭넓은 언어 층위에서 발견되며 점차 인터넷 공간을 넘어 일상의 언어 사용 영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렇듯 사이버 소통에서 언어유희는 사용자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고 기존 언어에 대체물이 되는 일종의 반언어를 형성하며 궁극적으로 규범어에 변화를 초래한다.

      • KCI등재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상징화 주기 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김은정,신재한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learning activities regarding the cycle of symbolization,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and verbal expression, to design stages of cycle of symbolization proper for Gagné’s instructional events, and to suggest activity themes suing verbal expression and representation methods, ultimately applying the cycle of symbolization study more effectively to improve the students’ verbal exp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mproved their verbal expression to use knowledge and experience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cycle of symbolization. Second, the students improved their verbal expression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cycle of symbolization. And third, the students improved their verbal expression to present causal relations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cycle of symbolization. Needed to deepen and develop the findings are research efforts to expand the subject students to include more diverse age groups, to conduct in-depth investigations into the factors of cycle of symbolization study on the students’ verbal expression over more various areas, and to introduce research methods that will allow for longer-term 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과 언어습득 및 언어발달, 언어 사용 능력의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고, Gagné의 9가지 수업사상에 적합한 상징화 주기 단계를 설계하며, 다양한 표상방식을 활용한 활동주제 및 내용을 제시하여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상징화 주기 학습을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다니는 2학년 1개 학반 학생 38명(남 22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상징화 주기 학습을 설계・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술적 분출’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지식을 활용하는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둘째, ‘확장 및 심화’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경험을 활용하는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셋째, ‘시뮬레이션’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정보 수집을 통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넷째, ‘표상하기’와 ‘대체물 이용하기’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의사소통을 통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다섯째, ‘심화하기’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내용적 구성을 통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여섯째, ‘경험하기’와 ‘확장하기’ 상징화 주기 학습 활동을 함으로써 인과관계를 활용한 언어 사용 능력이 신장되었다.

      • KCI등재

        언어 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 척도 조사

        유민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nguage proficiency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language environment offered by their mothers.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surveys, interviews, and standardized language development tests among 2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ir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70%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normal category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30% of them experienced some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The following scenarios of mothers’ language use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dentified: 1) the mother mainly speaks her native language, 2) the mother speaks Korean, and 3) the mother speaks a balance of her native language and Korean. In the second scenario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tended to be slightly retarded due to the mother's poor Korean proficiency. In the third scenario as well, there was a slight lag in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 linguistic confusion caused by a bilingual environment. These results show that mothers'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greatly influence their children, and that mothers’ continuous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support and help from family members are necessary for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 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능력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인터뷰, 표준화된 언어 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가정 내에서의 언어 사용 환경을 분석하였고, 그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언어 발달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 발달은 70%가 정상 범주에 속하였고, 30%는 약간의 발달 지체 현상을 보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에 따라, 1)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2) 어머니가 한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3)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경우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2)의 경우 어머니의 서툰 한국어로 인해 아동의 언어 발달이 약간 지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의 경우 이중언어 발달 과정에서 겪는 언어적 혼란으로 약간 지체 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내에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언어 사용 환경이 그들의 자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며, 그들 자녀의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과 가족 구성원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국내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 양상에 따른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

        최소현(Choi, SoHyu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1 동서정신과학 Vol.24 No.2

        본 연구는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현직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배우고 있는 예비 언어재활사가 치료 시에 어떤 음성사용 양상, 음성사용량을 가지는지, 음성장애지수(K-VHI-10)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에는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언어재활사 137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주관적 음성사용 양상, 음성사용량, K-VHI-10, K-VRQOL를 수집한 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K-VHI-10 및 K-VRQOL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직 및 예비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 양상 중 K-VHI-10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현직 언어재활사의 음량으로 나타났다. K-VRQOL에는 현직 언어재활사의 말속도가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사용량이 K-VHI-10에 미치는 변수는 없었으나, 예비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량이 K-VRQOL의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 총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음성 문제는 음성 오남용, 높은 음성사용량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음량을 크게 말할수록 주관적 음성장애의 위험성은 증가하였으며, 음성사용량이 많을수록 음성장애로 인한 삶의 질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재활사는 본인의 음성장애를 예방 및 줄이기 위해 음성위생법을 실시하고, 음성사용량을 줄이는 등의 적극적인 자가음성관리가 필요하다.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ore often feel subjective voice disorders rather than other professions despite learning voc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ing education with patients that have voice disorders. Voice disorders are known to be highly related to vocal overuse, misuse and voice u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spects of vocal use through intensity, speech rate and pitch, speech usage and K-VHI-10, K-VRQOL. After collecting data by conducting subjective aspects of vocal use, voice usage, K-VHI-10, and K-VRQOL online to 137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rela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VHI-10 was the voice intensity of current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he variable that exert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functioning of K-VRQOL was the speech rate of current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voice usage of the curren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do not affect K-VHI-10 and K-VRQOL, while the voice usage of prospect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ws to significant influence. Consequently, from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speech problem of speech rehabilitation is caused by the vocal overuse, vocal misuse and the high intensity of speech usage.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intensity, the greater the risk of subjective vocal disorder, and the higher the intensity of vocal use,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would become as a direct result of the voice disorder. Therefo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active self-voice management, such as vocal hygiene practice and reducing voice usage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impact of their voic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