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지리교육에서의 어린이 공간

        김현주 ( Hyun-ju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4

        인간 존재의 이해, 공간의 특성 인식, 인간과 공간의 관계 파악은 자신이 실제 삶을 살아가는 공간에서 시작해야 한다. 어린이가 삶의 과정 속에서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지리적 사상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초등지리교육의 중요한 역할이다. 본 연구는 초등지리교육에서 어린이 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어린이 공간이 초등지리교육의 내용을 조직하는 기반이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Bollnow는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공간으로서의 “체험공간”에 주목하였다. “체험공간”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공간으로서,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유한 의미가 담겨있다. “체험공간”으로서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의 신체 그 자체이자, 일상생활 속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곳이고, 행위자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곳이며 미디어를 통해 접한 곳, 상상한 공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들의 역동적인 성장과 발달의 기반이며, 어린이들에게 기능보다 재미가 우세한 공간이고, 환상과 상상으로 가득 찬 공간인 동시에 어른의 유도와 어린이의 의도가 결합된 공간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어린이가 직접적으로 만나 상호관계를 맺는 어린이 공간을 초등지리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때 어린이들이 자신의 실존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참된 삶”을 살아가는 힘을 길러줄 수 있다. Understanding human beings,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should begin in their own existential space. It is an important role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to help children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various geographical things and phenomena that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aces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thereby making it the basis for organiz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Bollnow noted the “Experienced Space” as a specific space where humans live their lives. “Experienced Space” is a specific space where basic human life takes place and contains the unique meaning of people. As an “Experienced Space,” a children’s spaces refers to a child’s body itself, spaces that meets the needs and desires of everyday life, spaces where he or she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s an agent, spaces he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spaces where fun prevails over function, spaces full of fantasy and imagination, and spaces where adult’s inductions and children's intentions are combined. Focusing on children’s spaces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children can form their own existence and cultivate the power to live a “True Life”.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평가 문화에 대한 연구: 보육교사 평가 현황과 원장의 보육교사 평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곽윤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ent state and director's recognition on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child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survey was taken from some 213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most of the childcare centers conduct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y began adopting this system around 2017, when the government conducted its third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program. Second, as for the preferred method of evaluation, the one most used was the form provided in the 「Handbook of Childcare Work」including 'observation and guidance of teaching' and 'work attitude'. Third, more than half of the center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for the managing the center than offering the teacher any external reward. Fourth, the purpose of evaluation is to rais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heir educators and to help their childcare center get the accreditation. Fifth, the areas of evaluation the directors thought important were the human quality of their educators and the protection of the children under care. Sixth, the directors preferred evaluation of educators connected with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to national level evaluation of educators.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has been in connection with the accreditation, the research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accreditation should develop new contents and sophisticated method for evaluation.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육교사 평가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평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 원장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이 실시된 2017년 전후로 하여 보육교사 평가를 시작한 어린이집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어린이집 보육교사 평가도구는 「보육사업 안내」에 제시된 ‘교수법 관찰 및 지도’와 ‘근무평가’ 양식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집의 반 수 이상이 보육교사 평가의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교사에게 외재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원장은 보육교사 평가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위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원장이 보육교사 평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영역은 교육과정 운영보다 교사의 인성, 영유아의 보호 등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가수준의 보육교사 평가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살펴보면 국가수준의 보육교사 평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금까지 보육교사 평가는 어린이집 평가인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실시되어 왔기 때문에 평가인증을 주관하는 연구기관에서 보육교사 평가의 평가영역을 보완하고 평가양식을 정교화하면 국가수준의 보육교사 평가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효율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성(李在晟),김재일(金宰壹)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505개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을 파악하고 그와 연관된 각종 변수와 요소들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효율성 분석은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판별하였으며, 영향요인인 정부보조금과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 간의 영향관계는 토빗회귀분석을, 자치구의 재정자립도와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간의 영향관계는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국공립어린이집의 효율성이 보육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선형회귀분석을 선용하였다. 분석결과, CCR모형의 효율성 점수가 100점인 어린이집은 60개소, 가장 비효율적인 어린이집은 66.9점이었다. BCC모형의 효율성 점수가 100점인 어린이집은 84개소, 가장 비효율적인 어린이집은 69.5점이었다. 152개소(30.1%) 국공립어린이집이 규모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나머지 266개소 국공립어린이집이 순수한 기술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비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부보조금의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치구 재정자립도에 따른 효율성 지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국공립어린이집 효율성이 보육서비스 질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치구별로는 강남구 국공립어린이집들이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ssess the operation efficiency,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ose efficiencie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in Seoul. The efficiency analysis using DEA(Data Envelop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ixty centers with efficiency rating of 100, and the least efficient center has rating of 66.9 under the CCR model. Under BCC model, there are eighty-four centers with efficiency rating of 100, and the least efficient center has rating of 66.5. One hundred fifty-two centers are affected by the scale of center, and the inefficiency of the rest of two hundred sixty-six centers are solely affected by technical factors. In analyzing the effect of government subsidies on the centers’ operation efficiencies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s of districts’ fiscal self-sufficiencies 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cente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study found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child-care in centers.

      • KCI등재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공간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 심리적 분석 -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고선영(Koh, Seon Yeong),이나리(Lee, Na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어린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환경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어린이들의 감성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교육적 효과까지 경험할 수 있는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의 성장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소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의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인 전시 공간 내 색채 활용의 지각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을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국공립어린이박물관 중 관람객 빈도가 높고 아직 선행연구에서 제외된 기관인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 방법을 통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분포도 추출을 위해 포토샵 CS6 Pixelat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지각적 분석을 위해 컬러픽커, Munsell Conversion System과 색채 심리적 분석을 위해 미국환경 기준 색에 대한 심리 반응요소와 알슈터와 해트윅의 색채사용 심리분석 기준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색채의 값을 바탕으로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내 사용된 색채의 지각적, 심리적 분석결과 전시 내용과 어린이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전반적으로 전시 공간에 사용된 색은 적절하게 보였다. 하지만 소수의 전시 공간에서는 전시 내용에 더 비중을 둔 색채 활용으로 어린이들이 체험적으로 전시를 경험하기에 다소 무게감이 있는 환경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공간인 어린이박물관 전시 공간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색채의 활용은 어린이들의 지능, 신체, 심리,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Children’s Museum is a place where children"s sensibility and curiosity can be stimulated,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rienced, and growth needs can be satis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use of colors in the exhibition space, which is an element that composes the environment of a children"s museu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which is an institution that has been excluded from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 frequency of visitors is high among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in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ase study method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Photoshop CS6 and Pixelate were us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on color in the Children"s Museum and to analyze the color distribution map of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And for the perceptual analysis of color, a color picker and Munsell Conversion System tool were used. For the color psyc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psychological response factors for colors in the US environmental standard and the psychological analysis criteria for color use by Alshooter and Hattwick. As a result of perceptu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colors used in the War Memorial Children"s Museum based on the extracted color values, the overall colors used in the exhibition space seemed appropriate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owever, in some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colors that put more emphasis o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llowed children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experientially. Through the use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colors in the exhibition and the experience space of the Children"s Museum, a place where children"s creativity and potential can be improved,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various areas such as intelligence, body, psychology, and emotion.

      • KCI등재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어린이 및 청소년 지리 분석

        조철기(Cho, Chul-K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4

        이 논문은 지리교과서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지리의 텍스트 및 비주얼 재현 양상을 탐색한 것이다.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어린이 및 청소년 지리는 범죄와 위험, 인구지리, 세계화와 개발이라는 주제를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지리교과서는 어린이 및 청소년에 대한 어른들의 상상적 담론을 담고 있지만, 일부 지리교과서는 어린이 및 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감정이입과 통찰의 공간을 제공한다. 먼저 ‘범죄와 위험’에서는 청소년(특히 남성)의 경우 가해자로 어른(특히 여성)의 경우 피해자로 재현된다. 이러한 재현은 어른들의 시각에서 아직 성숙하지 못한 학생들을 교화하려는 의도와 결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인구지리’에서 어린이 지리는 어른들에 의해 동반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재현되거나, 개발도상국의 빈곤과 동일시되어 재현된다. 셋째, ‘세계화와 개발’에서 어린이 지리는 어린이의 노동, 어린이 결혼(여자 어린이), 어린이 군인(남자 어린이), 어린이 밀거래(남녀 어린이 모두)의 관점에서 부정적 이미지로 재현된다. 이는 어른들과 선진국의 관점에서 개발도상국의 인권 문제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른들이 만든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어린이 및 청소년 지리 그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어린이 및 청소년들이 긍정적이고 활동적인 주체가 되지 못하고, 어른들과 선진국의 시각에서 극복되어야 할 부정적인 존재로 철저하게 타자화되는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a textual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and young people’s geographies in geography textbooks. The paper uses category like crime and risk, population, globalization and development to analyze upon how children’s geographies are portrayed in geography textbooks. Although geography textbooks are almost inevitably adult imaginative discourses of children and their lives, some skilfullymade textbooks do open up spaces of empathy and insight into children’s experiences. First, in unit ‘crime and risk’ young people(especially, men) tend to be described as offenders, but adult(especially, women) as victims. It can be said that the intend is connected with the discourse of indoctrination of young people. Second, in unit ‘population’ children’s geographies is represented as passive being accompanied by adults, or identified with poverty of developing countries. Third, in unit ‘globalization and development’ children’s geography is represented with negative images like child labor, marriage, soldiers, trafficking.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intend of the representation is to emphasize human rights of developing countries in terms of adults and developed countries. Eventually, children and young people’s geographies in the textbooks don’t become positive and active subjects, but otherness as negative being to be overcome in terms of adult and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공공형어린이집 품질관리 현황 및 요구

        김승옥,김정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8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lity management status and on-site demand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to provide sugges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quality in the future. It included 959 director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nationwide as participants.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four areas: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center and participants (11 items), publicness of childcare center operation (20 items),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22 items), and consulting and educational status and demands (26 items), totaling 79 ite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8.0 software to calculate item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director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perceived the publicness of their operation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childcare services to be very high. Second, the directors expressed a need for quality management consulting, the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of which they found to be high. They also reported successfully applying the content of consulting to the childcare field, although they highlighted the need to expand the consulting area. Third, the director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acknowledged the need for quality management education and perceived it to be effective. They reported successfully applying educational content to the childcare field and receiving assistance; however, they expressed the need to review educational topics and methods while implementing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public childcare centers’ operation and providing high-quality childcare services. 본 연구는 공공형어린이집의 품질관리 현황과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공공형어린이집의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형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운영의 공공성, 보육서비스의 질, 컨설팅 및 교육현황과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최종 9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적 t검증, Cronbach’s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공형어린이집 원장은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과 보육서비스의 실천수준이 모두 매우 높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공공형어린이집 원장은 품질관리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컨설팅 참여와 효과성이 높다고 평가하였고 컨설팅 내용을 보육현장에 잘 적용하고 있으나 컨설팅 영역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셋째, 공공형어린이집 원장들은 품질관리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내용을 보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주제와 운영방법에 대해 부분적인 검토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형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역할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성혜 국립중앙박물관 2017 박물관 교육 Vol.1 No.-

        본 글에서는 국립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현재 운영 상황, 그리고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초창기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1950년대 서울과 경주에서 진행한 어린이박물관학교, 1974년 어린이문화재미술실기대회,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과 소년동아일보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어린이박물관 현장학습’ 3가지였다. 이후 1990년대 후반기부터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국립박물관에서 어린이 대상 교육을 하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적과 취지 중의 하나는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알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린이 교육에서만은 이보다 더 중요한 문화재 본질에 접근하여 문화재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을 교육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앞으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내용적인 면에서는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서는 온라인과 학교 공교육과 연계하여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박물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의무가 있다. 즉, 시대에 걸맞게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개인과 공교육로 연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원하면 누구든지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국립박물관이 해야 할 일일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relocated to Yongsan in 2005,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parate entity. Since its inception on October 28, 2005, the Children's Museum has been a children-centered museum and 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 provid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to families. The Children's Museum has operated not only exhibition gallerie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s for families and children. The Museum has developed its own programs and shared them with its affiliated museums. This article goes over the Museum's representa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their development progress and current oper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find right methodology and direction with proper educational goals for the next generation. First, in terms of content, programs should lead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ith love and understanding. Second, in terms of format, museum'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linked with online platform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more people can gain access to the quality museum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museum education provides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children so that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When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they should be present both on-site and online in connection with individual and public education so that anyone can enjoy museum education. This is the mandate of national museum.

      • KCI등재

        어린이 등반 놀이기구의 호감구조에 관한 연구

        양명월,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Climbers (known as Jungle Gym and Monkey Climbing Bars) have been popular with children worldwide and are used extensively in children’s play spaces. It has evolved from a simple and homogeneous form to various forms that now play an essential role in children’s play and childhood. However, designers often design based on experience or imitation of previous projects, needing an understanding of why children prefer the play equipment. Firstly, by researching many design projects, this study divides climbers into two categories: Climber with Destination and Climber without Destin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y have the features of graspability, prospectiv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Secondly,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aesthetics, the three reasons for children’s preference for climbers are analyzed with the previous features. Finally, the structure of children’s brain preference for the climber is analyzed with neuroaesthetics and brain mechanisms. Based on the previous content, this paper provides a design direction for climber design. Children prefer climbers because this facility fits their evolutionary psychology. Firstly, the primitive surviv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children’s preference for climbing. Secondly, the prospective of the climber is consistent with children’s preference for security. Thirdly, th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of the climber are consistent with children’s preference for explor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climber stimulates children’s curiosity. The playing process activates the brain reward system, generating pleasurable emotions and promoti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children strongly prefer the climber, which has the features of graspability, prospectiv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by exploring theories based on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Furthermore, the play process on climbers is conducive to developing children’s brains and cognitive abilities. Hopefully, this paper will provide designers with a scientific and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climber and play spaces that meet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등반 놀이기구(Climber, 일명 Jungle Gym, monkey climbing bars)는 오랫동안 세계 각 지역의 어린이들에게 사랑받아 왔으며 어린이 놀이 공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 단일한 형태에서 오늘날까지 다양한형태로 발전하여 어린이의 놀이와 어린 시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디자이너는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거나 이전 스타일을 모방해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본질적인 이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많은 등반 놀이기구를 조사하고 놀이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등반 놀이기구는 크게 목적지가 있는 등반 놀이기구와 목적지가 없는 등반놀이기구,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등반 놀이의 분석을 통해 움켜잡기(graspability), 전망성(prospective), 모험성(adventurous) 및 탐색성(exploratory)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진화미학 이론을 기반으로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세 가지 이유를 등반놀이기구의 특성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신경 미학의 선행연구와 어린이의 두뇌 보상회로(Brain Reward System)을 결합하여 어린이 뇌의 등반 놀이기구 선호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 선호하는 이유는 이 시설이 어린이들의 발달감성에 맞기 때문이다. 첫째, 원시적인 생활 환경이유인원의 형질을 가진 어린이들의 등반 선호로 이어졌다. 둘째, 등반 놀이기구가 갖는 전망성은 어린이들의 안정감 선호에 부합한다. 셋째, 등반 놀이기구의모험성과 탐구성은 어린이의 탐구 선호도에 부합한다. 또한, 등반 놀이기구의 모험성과 탐구심이 어린이들의호기심을 자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모두 두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좋은 감정을 생성하며어린이의 인지 능력 향상을 촉진시키는 발달 학습으로서 유희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진화미학과 신경미학의 이론에 기초하여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오르는그립성, 전망성, 모험성 및 탐색성을 선호한다고 주장한다. 또 한 호이징가의 호모 루덴스처럼 등반 놀이기구의 유희적 특성이 아이들의 두뇌와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됨을 검증하였다.

      • 경기도 어린이 등ㆍ하교길 교통안전 증진방안

        빈미영,박기철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경기도에는 13세 이하 어린이가 약 17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경기도 총 인구를 1천 2백만 명으로 볼 때 약 14%를 차지한다.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어린이가 차량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판단력과 신체적 조건이 어른보다 부족하고 완성되지 않은 성장단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를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고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 교통사고는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어린이 인구수가 많고 차량통행이 많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노출될 확률이 높다. 그러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인구수와 도시혼잡도가 비슷한 서울과 비교할 때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경기도는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안전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는 등 시설적인 측면에서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중앙정부 정책을 따라가는 수준이며 좀 더 경기도 실정에 맞는 교통안전 정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경기도 어린이 교통안전 현황을 분석하고 교통안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5장으로 구성된다. 서론에 이어 제2장은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동향은 국내, 경기도, 그리고 해외선진사례를 조사하였다. 국내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정책이 대표적이다. 해외에는 유럽과 미국, 일본을 기존문헌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는데, 보다 적극적이고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 3장에서는 경기도 어린이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어린이 교통사고자료를 수집하여 시ㆍ군별, 연도별, 인적피해별, 어린이보호구역, 등ㆍ하교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도출하고 경기도가 장ㆍ단기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과 정책제안으로 구성된다.

      • KCI등재

        어린이 철학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활용 - 트리갭의 샘물을 중심으로 한 ‘죽음’ 이해

        박연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The idea of teaching philosophy to children became a much more systematic process in the 1970s, largely as a result of American philosopher Matthew Lipman and his program developed at the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IAPC).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consisted of methodically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upon age and differing stages of learning, upon which training programs for the curriculum’s instructors would be developed. Such a process has, over the years, become most successfully disseminated on a worldwide scale, as the program is made available in no less than 40 different languages. On the other hand, some critics such as Gareth Matthews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Lipman’s IAPC-developed curriculum and its standardized manuals, suggesting an alternative of teaching philosophy to children by utilizing ‘dialogue’ as the centerpiece, without regard to the IAPC curriculum. Matthews’ approach was thus termed ‘philosophy with children.’ In response, Lipman belittled ‘philosophy with children’ as a small offshoot of his own ‘philosophy for children.’ He added that the process of conducting dialogue with a child based on his/her own philosophical ideation, without regard to a systematic curriculum, may fulfill the purpose of encouraging children to become philosophers but would not be effective as a means for a philosophy education program. Examination into the actual curriculum developed by Lipman reveals that it takes the form of literary novels, yet there has often been criticism that his philosophical novels lack literary value. Further, because they were devised to improve a specific aspect of a child’s thinking skills, they ended up limited in appeal which, in turn, does not peak the interest of children. Lipman, however, did not see these qualities as a problem, stating that his philosophical novels had a clear educational purpose of stimulating philosophical debate, which is more befitting to the overall goal of philosophical education than known literary works which contain within neither philosophical queries nor any models of inquisitive thinking. As a result, Lipman was against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in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The current paper strongly recommends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in the education of philosophy for children. There are plenty of literary works, especially those considered classics, that deal with metaphysical themes of time, space, or identity, encapsulating ideas, such as logical themes related to searching for meaning or nonformal logic or ethics- related themes that deal with moral choices and judgment of actions. The current paper will lay out a teaching plan for instructors of philosophy for children that utilizes the classic novel Tuck Everlasting, specifically as a tool for teaching the difficult philosophical concept of ‘death’ to young children. The paper will then attempt to show that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and Matthews’ ‘philosophy with children’ can be mutually reinforcing for each other as opposed to being offshoots or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어린이 철학교육은 1970년 미국의 철학자 매튜 리프만(Matthew Lipman)이 주축이 되어 IAPC(Institute for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프로그램을 설립하며 체계화되었다. 리프만의 ‘어린이를 위한 철학(Philosophy for Children)’은 연령별 단계별 철학교재를 개발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이를 실행할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현재 40여개 언어로 번역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하는 성과를 누리고 있다. 한편 리프만의 IAPC 프로그램에서 개발한 교재와 정형화된 메뉴얼에 한계를 느낀 개리스 매슈스(Gareth Matthews) 등은 IAPC 프로그램 교재와 상관없이 어린이와의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철학교육을 제안하며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Philosophy with Children)’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리프만은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은 ‘어린이를 위한 철학’의 ‘작은 파생(small offshoot)’이라며 폄하하고 체계화된 교재 없이 어린이가 제시하는 철학적 발상을 두고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은 어린이를 어린 철학자로 개발시키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철학교육프로그램으로서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보았다. 리프만이 창작한 교재 역시 소설의 형식이지만 그의 철학소설들은 문학성이 떨어지고 특정 사고력 향상을 목적으로 고안된 탓에 이야기가 제한적이고, 아이들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자주 지적되었다. 하지만 리프만은 이를 단점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들은 오히려 철학 토론을 자극하기 위한 명확한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있어, 철학적 질문들을 포함하지도 않고, 탐구적 사고자로서의 모델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학작품보다는 철학교육에 더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이런 이유로 리프만은 어린이 철학교육을 할 때 문학작품을 활용하는 것에 반대한다. 본고에서는 철학교육에 문학작품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고전에 해당하는 문학작품은 대체로 시간이나 공간, 인간의 정체성과 같은 형이상학적 주제를 다루며, 의미 해석과 비형식적 추론과 관련된 논리적 주제,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옳음과 관련된 윤리적 주제 등을 함축하고 있다. 예시로 『트리갭의 샘물』을 중심으로 ‘죽음’이라는 철학적 주제를 철학수업에 활용한 교안을 제시하며,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과 ‘어린이를 위한 철학’이 파생관계나 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 관계임을 입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