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리실습 경험이 전공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교 조리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래현,권정숙,신승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king training experience they had before entering college on the current performance of cooking major learning who are currently majoring in cooking,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experience on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studying major. The data was collected by students of four-year university, 304cases were analyzed in total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This research is to grasp whether learning immersion factors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is basic research to be applied to the university cooking majo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unlike other past researches, it has derived the results that learning interest factors, among other immersion factors, vary depending on school yea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cooking training experience has effects on the immersion of learn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where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cooks is connected with cook training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cooking major curriculum which maintains continuously the students’ learning immersion and leads to satisfaction with major is considered necessary. 본 연구는 현재 조리 전공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 조리실습 경험이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습득하는 조리전공 학습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 경험의 유・무에 따라 학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공학습 몰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전문 조리인력 양성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리실습 경험, 전공학습 몰입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조리실습 경험과 학습 몰입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전공학습 몰입 중 집중력 요인, 학습 통제 및 행동력 요인, 지적 호기심 요인, 학습 흥미 4가지 요인에서 모두 조리 실습 경험과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조리실습 경험은 전공학습 몰입 4가지 요인에서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리실습 경험 기간이 2년 이상으로 갈수록 전공학습 몰입 요인들의 평균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학습통제 및 행동력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조리실습 경험 기간이 길수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학습 몰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수업몰입도 향상을 위한 공업계 특성화고 절삭가공 실습과제 개발

        강승훈(Seung Hoon Kang),이경택(Kyung Tae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특성화고 절삭가공실습에 적용하기 위해, 수업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실제적 과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적 과제 평가도구를 활용한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거쳐 절삭가공실습에 대한 12차시 분량의 과제를 개발하였고, 서울 소재 H 특성화고 기계과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과제를 적용하여 수업몰입도의 변화를 수업몰입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제적 과제의 요소를 충족(4.76점/5점 만점)하며 기존 실습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실제적 과제 평가도구를 통해 과제의 실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절삭가공 실습과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개발된 실제적 과제의 수업 적용 및 수업몰입도 검사에 의해 수업몰입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authentic task with academic engagement for metal-cutting practices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a twelve-hour task for metal-cutting practices was developed by the support of experts’ validity verification with an authentic task evaluation tool. And then, this task had been applied to a class including 13 students of H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for 3 weeks and their academic engagement scores before and after the class with this task were compared by using an academic engagement inspection tool.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 task for metal-cutting practice, which it looks authentical enough, also has the same things with the existing practical contents, and can be applied the existing classes immediately, was develop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cademic engagement was improved by applying this authentic task.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형성 관련 요인 경로분석

        김미원(Kim, Mi-Won),박정모(Park, Jeong-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는 학업성취, 전공만족, 전공몰입, 그리고 실습만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2015년 11월에서 11월까지 일 간호학과의 전체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중 1학년 41명, 2학년 54명, 3학년 46명, 4학년 49명 총 190명으로부터 자료가 회수되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과 AMOS 18.0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진로정체감에 차이가 있는 것은 입학목적과 연령으로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업성취, 전공만족, 전공몰입, 그리고 실습 만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은 총 34%이었고 전공몰입을 제외한 실습만족, 전공만족, 학업성취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중 실습만족은 전공몰입, 전공만족, 그리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며,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실습만족도는 진로정체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으로 나타났다. 간호학과 학생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안정적인 진로정체감을 형성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의 간호학 실습을 경험하는 학년부터 특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 in which academic achievement, major satisfaction, major flow, and practice satisfaction have influence on career identity. Metho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190 nursing students of one nursing college(1 st grade 41, 2 nd grade 54, 3 rd grad 46, 4 th grade 49) and were collected from Oct. 2015- Nov.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by SPSS Win 18.0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s. Result: Career identity score was slightly high and no difference by grades. Total effect of all paths on career identity was 34%, and among theses variables, Academic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effected directly on career identity, and practice satisfaction e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and major satisfaction e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Conclusi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was not increased by grades, and mostly effected by practice satisfac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not only effect directly on career identity but also effect indirectly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flow. When considering these results, practice satisfaction was most important factor for Career Identity.

      • KCI등재

        팀기반 실습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과 문제해결 자신감: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현심,홍주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11

        본 연구는 팀기반 실습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과 문제해결자신감 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상호작용의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팀기반 실습수업을 경험한 4학년 간호대학생 148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평균 3.58±0.56점, 인지된 상호작용은 4.06±0.56점, 문제해결 자신감은 3.67± 0.53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인지된 상호작용(r=0.63, p <.001) 및 문제해결 자신감(r=0.74, p <.001)과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습몰입과 문제해결 자신감의 관계에서 인지된 상호작용이 부분 매개효과(z=5.31, p <.001)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인지된 상호작용, 문제해결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problem-solving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eam-based nursing practic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eam-based nursing practice learning clas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was 3.58±0.56 points, perceived interaction was 4.06±0.56 points, and problem-solving confidence was 3.67±0.53 points on average.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interaction(r=0.63, p <.001) and problem-solving confidence(r=0.74, p <.001). Perceived inter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problem-solving confidence(z=5.31, p <.001). It may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perceived interaction, and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to improve their clinical practice ability to solve nursing problems in various nursing settings.

      • KCI등재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학습 자기효능감 및 실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박연경,김태경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학생에게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학습 자기효능감, 실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 D 대학교에 재학 중에 3학년 간호학생 61명을 대상으로 2시간씩 10주 동안 운영 후 사전-사후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SPSS 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 전.후에서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t=.3867, p<.001), 학습자기효능감(t=.7732, p<.001) 및 실습몰입(t=.712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 후 학습 자기효능감과 실습몰입(r=.383, p=.003)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기반 조현병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의 대상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간호학생 정신간호 실습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A one-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pre-post test distribution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61 nursing students in the junior year at D college in Busa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chizophrenia nursing care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t=.3867, p=<.001), learning-efficacy(t=.7732, p=<.001) and flow experience(t=.7125, p=<.001). The correla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r=.383, p=.003) showed to be positivity correlated. There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schizophrenia nursing was effective education method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and flow experience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학생용 시나리오 기반 입원관리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및 적용

        김유정(Yu-Jeong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연구는 간호학생 실습교육을 위해 시나리오 기반 입원관리 가상현실(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이하 SAM VR) 콘텐츠를 개발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SAM VR 콘텐츠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표준실무 절차에 따라 기어 VR과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10분 분량으로 개발되었다. SAM VR 콘텐츠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 30명은 실습교육 후에 학습몰입감, 학습자신감 및 학습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p<.001). 전통적인 방식으로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은 실습교육 후에 학습자신감은 상승하였으나(p<.005) 학습몰입감과 학습만족도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SAM VR 콘텐츠는 간호학생의 학습몰임감, 학습자신감과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인 실습교육 콘텐츠임이 검증되었다. In this paper, I developed a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SAM VR) content for pract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The SAM VR contents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using Gear VR and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tandard practical procedure suggested by the Korea A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Evaluation. In the 30 experimental groups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using SAM VR contents,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p<.001). I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practical training in the traditional way, learning confidence increased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p<.005), but there was no change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p>.005). It was verified that the SAM VR contents are effective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for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이경(Yi Kyung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B시 소재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부정맥환자간호시뮬레이션에 참여한 학생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86명의 학생에게 2020년 12월 1일~12월 31일까지 구글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서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실습몰입(r=52, p<.001)과 불안(r=-.31, p=.004)이 문제해결 적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문제해결 적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습몰입(β=.46, p<.001)이었고 그 다음은 불안(β=-.21, p=.026)이었다. 문제해결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두 요인에 의한 회귀방정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18.84, p<.001), 회귀방정식의 설명력은 29.6%이었다. 결론 교수자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업설계 시 실습몰입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고 추후에는 문제해결 적극성의 증가하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여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am-based simul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86 senior nursing students at one University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low during simulation, anxiety, and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1,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were flow during simulation and anxiety.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was flow during simulation (β=.46, p<.001), followed by anxiety (β=-.21, p=.026).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8.84, p<.001),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was 29.6%. Conclusions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in team-based simulation, the instructor should design to increase flow during the simulation and minimize anxiet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effect of increased proactivity in problem-solving on problem-solving competency.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전공 관련만족도 및 자원봉사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병덕,신원우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aim of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maj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of social welfar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250 senior and junior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racticum of social work in 8 of the affiliated universities with the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council. The object of interest region is Gyeonggi-do and Chungnam-d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Career Decision Level of social welfare students in Korea was 2.65 (SD=.544) of 4.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words, self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relation between volunteering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 about advisory for career decision of social welfare students was recommended.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을 근거로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전공 관련만족도 및 자원봉사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남부와 충청도에 위치한 4년제 8개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이수한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 남녀 250명이다. 첫째,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4점 만점에 평균 2.65(SD =.544)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간 그리고 자원봉사 몰입도와 진로결정수준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장실습 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고, 현장실습 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로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자발적 자원봉사참여를 유도하여 해당만족도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