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법적 성격 및 지위, 그리고 자리매김을 위한 소고(小考)

        김용주,서정범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0

        In February 2019, the introduc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as confirmed f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nd on December 22, 2020, the 「Police Act」 was amended to the 「Act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Self-governing Police」 and took effect on January 1, 2021. As a result, a series of preparatory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and the formation of members, from April 1 to June 30, supplementing the system and reorganizing the ordinance.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has dualization and Unification models, and the revised 「Police Act」 takes a Unification model. The law divides police affairs into national police affairs and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while taking a Unification model, and among them,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are led and supervised by the newly established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The establishment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This is the biggest feature of the current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hich is the core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Meanwhile, as the law adopted a Unification model, organization system to accomplish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remained the same as the existing police system.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is a local administrative agency belonging to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or, but as a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y, it independently performs its duties belonging to its authority. However, there is still controversy over the legal nature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and confusion arises in the operation process. Under these conditions, the strategic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s is required to minimize side effects and make a soft landing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 following matters shall be noted in the opera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First, the purpose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to aim for the value of democratic, local, and self-governing police administration. Second, the scope of the affair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needs to be established in detail. Third,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fine the authority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to direct and supervise the Chief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Agency by deliberating and voting on self-governing police affairs, and appointment rights shall also be delegated and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Fourth,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how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of the police administrative duties held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from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he fourth elected official. This is because it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the Chief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Agency. In order for a system to be established, many trials and errors are expected, and so are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refore, instead of discussing the failure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by pointing out the above problem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pair and supplement the problems.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elf-governing Police Commission are at the center of a balanced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at maintains unity with the national police administration while connecting with residents-friendly and local administration. 2019. 2. 광역자치단체 단위에 자치경찰제도 도입이 확정되고, 2020. 12. 22. 「경찰법」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어 2021. 1. 1.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2021. 1.부터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설치 및 위원 구성 등 자치경찰제도 시행을 위한 일련의 준비절차가 진행되었고, 4. 1.부터 6. 30.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조직·인사구성 등 제도의 보완, 법령 정비를 거쳐 7. 1. 전국에 전면 시행되었다. 자치경찰제도에는 이원화 모델과 일원화 모델이 있는바, 개정된 「경찰법」은 일원화 모델을 취하고 있다. 동법은 일원화 모델을 취하면서 경찰의 사무를 국가경찰사무와 자치경찰사무로 구분한 후, 이 가운데 자치경찰사무에 대해서는 신설된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지휘·감독을 받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신설은 현행 자치경찰제도의 가장 큰 특징이며, 이는 자치경찰제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동법이 일원화 모델을 택함에 따라 현행 자치경찰제도는 기존의 경찰사무를 수행하는 조직 체계는 그대로 유지되게 되었다. 시·도자치경찰위원회는 시·도지사 소속의 지방행정기관이지만, 합의제 행정기관으로서 그 권한에 속하는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그런데 아직도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운영과정에서도 혼란을 빚고 있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자치경찰제도 도입 초기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연착륙을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전략적 방향 설정이 요구되고 있는바, 자치경찰제도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합의제 행정기관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운영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자치경찰제도의 목적이 민주적·지방적·자치적 경찰행정의 가치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사무 범위가 구체적·세부적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셋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자치경찰사무에 대하여 심의·의결권으로써 행사하는 시·도경찰청장에 대한 지휘·감독권을 좀 더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임용권 또한 자치경찰제도의 입법 취지에 맞도록 위임·행사되어야 한다. 넷째, 선출직 공무원인 지방자치단체장으로부터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가진 경찰행정 직무의 독립성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이는 곧 시·도경찰청장의 독립적 직무수행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어떤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는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이며, 자치경찰제도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며 섣불리 자치경찰제도의 실패를 논할 것이 아니라, 문제점들을 정비·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주민 친화적·지방행정과 연계하면서도 국가경찰행정과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균형적인 자치경찰제도의 중심에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자리잡고 있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초기 운영의 쟁점 분석-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

        박재희,김지영 한국지방행정학회 2022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9 No.1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re expected to provide local-specific public security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and comprehensive public security services through linking local administration and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ssues of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local police committee, which is a key organiza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July 15th, 2021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 personnel rights, budgetary rights, scope and linkage of the affairs targeting 18 local police committe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presented. First, it may be considered to allocate the recommended number of committee members to each recommend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secure diversity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s. Seco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cooperatively share personnel and budget information with the local police committees. Third, the independent personnel rights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loc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prospectively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various financial support measures that allow local governments to independently operate them. Fifth,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uss improvement plans for local police affairs by reflecting the opinions and experiences of national police officers who perform local police affairs in the field. Sixth, for the personnel and budgetary authority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 to be effectively exercised, the facilities・manpower・budget of the national police must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s.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와 함께 경찰사무의 공동책무자로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와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를 통한 종합적 치안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핵심적인 기구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자치경찰제 초기 운영의 쟁점을 분석하고 제도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8개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자치경찰위원회의 조직 구성 및 운영, 인사권, 예산권, 사무 범위 및 연계성에 관하여 2021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자치경찰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다양성을 확보할수 있도록 위원회 위원의 추천 인원을 추천기관별로 할당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경찰청은 시・도자치경찰위원회와 인사 및 예산 정보를 협력적으로 공유해야 한다. 셋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 내 승진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독립적인 인사권 운용시스템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넷째, 지자체 스스로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한 다양한 재정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장에서 자치경찰 사무를 수행하는 국가직 경찰공무원의 의견과 경험을 반영하여 법정 사무의 개선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여야 한다. 여섯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인사 및 예산 권한이 실질적으로 행사되기 위해서는 국가경찰의 시설・인력・예산이 지자체로 완전하게 이양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최선우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4

        In December 2020, the Police Ac t was amended as the National Police and Au t o n o m o u s Polic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c t , and in July 2021,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metropolitan police Agenci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 r e a in 1948, it has been operated as a national police system. For the first tim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metropolitan municipali ti es. The purpose of introducing such a autonomous police system is to secur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police and to protect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by operating democratically. However, it is true tha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this time has a fundamental limitations despit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urpose. This is because political dynamics, especially the interests of the ruling party, were reflec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refore, it was introduced to the level of establishing a metropolitan police committee that transfers part of the national police affairs to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nd deliberates and resolves it whi le maintaining the existing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 structure of the national police. Moreo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political neutrality, professionalism, and regional balance in the composition and appointment of committee members of the metropoli tan autonomous police committee established to take charge of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ittee's exercise of command and supervision over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hief and the personnel rights to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hief. In this regar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this time is not an unemployed autonomous police officer. In order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be settled in practic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urpose and system of introduction from the mid & long-term perspective. The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utonomous police agency and to appoint a autonomous police officer. An 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olitical neutrality and regional balance of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that manages the autonomous police affair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지난 2020년 12월에「경찰법」이「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전부 개정되고, 이에 따라 2021년 7월 전국 시·도경찰청에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처음으로 전국에 자치경찰제도가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한 목적은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다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치경찰제도는 이의 역사적 의의와 목적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한계를 안고 있다. 자치경찰제도의 도입과정에서부터 정치적 역학관계 특히, 집권여당의 이해관계가 적지 않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자치경찰제도는 종전과 같이 국가경찰의 조직·인사·예산구조를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국가경찰사무의 일부를 자치경찰사무로 이관하고, 이를 심의·의결하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설치하는 수준이다. 더욱이 자치경찰사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위원회 구성과 위원 임명 등에 있어서 정치적 중립성과 전문성, 그리고 지역적 균형성 등의 문제가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또자치경찰위원회의 시· 도경찰청장에 대한 지휘감독권의 행사와 시· 도경찰청장에 대한 인사권 역시 그 실효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에 도입된 자치경찰제도는 ‘실질적 자치경찰’이 아닌 ‘형식적 자치경찰’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자치경찰제도가 실질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중· 장기적관점에서 이에 대한 제도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 구체적 내용으로는 독립된 자치경찰관청의 설치, 자치경찰공무원의 임용, 자치경찰예산의 독립적 운용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자치경찰사무를 관리하는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정치적 중립성과 지역적 균형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자치경찰의 법적과제

        김남욱(Kim, Nam-Woo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8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8 No.3

        중앙집권적 경향이 강한 우리나라는 1991년 지방자치제도가 부활되어 지방분권과 자치권의 보장이 강화되어 오고 있다. 2004년 지방분권특별법에서 자치경찰제 도입 하도록 의무화한 이래 2005년 정부의 자치경찰법안을 토대로 2006년 제주특 별법상에 자치경찰제도가 명문화되어 제주자치경찰에 의하여 민생치안이 유지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제주자치경찰제는 교통, 환경, 관광 등의 분야에서 지역주민 맞춤형 지역경찰작용을 하여 오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장으로부터 독립적인 치안조직 체계의 부재, 실질적 자치경찰 사무영역 미흡, 자치경찰재정과 인력 부족, 위해방지 조치와 사법경찰권 부재 등의 한계가 드러나 있다. 특히 헌법 제117조와 제37조 2항에 의해 질서유지를 위해 주민의 복리사무중 하나인 주민치안서비스 제공과 주민의 생명 신체 재산보호를 하도록 입법적 조치가 요구된다. 또한 지방자치권의 본질적 요소의 하나인 자치권중 자치경찰권을 제주특별자치도에만 부여하고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전면적으로 자치경찰권을 시행하지 않은 것은 헌법상 보장된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적 부분을 침해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치경찰법, 자치경 찰공무원법등의 제정이 시급히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는 자치경찰제 도입을 국정과제의 하나로 제시하여 자치경찰법을 올해 안에 제정하고, 점진적으로 자치경찰제를 확대·실시할 방침이다. 대통령 직속 지방분권위원회에 자치경찰제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치경찰법안의 마련하고 있다. 경찰청 개혁위원회에서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자치경찰제를 전국적 확대 실시, 자치경찰본부와 시·도경찰위원회 설치, 자치경찰의 권한 부여, 자치경찰사무 범위 내에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협약을 통한 자치경찰작용, 시·도지사의 자치경찰 인사권 행사, 인력과 장비의 재정부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간의 협력 등을 자치경찰제 도입안을 제안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전국단위 경찰청을 제외하고 그밖의 경찰기관은 자치경찰로 이관, 시 도지방경찰청과 시·도경찰위원회 설치, 보충성원칙에 의한 자치경찰 권한부여, 특별회계 또는 교부금 방식에 의한 재정지원 등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자치경찰제도의 의의와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의 필요성, 제주자치경찰제동의 현황과 한계를 검토한 후, 경찰개혁위원회와 서울특별시의 자치경찰제도 도입안의 주요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한다. 또한 지방자치발전 관점에서 자치경 찰법제 도입에 따른 법적문제, 즉 주민복리사무로서의 경찰의 개념 명확화, 광역 자치경찰제의 도입, 자치경찰권의 범위와 책임성 확보, 수사권 부여, 자치경찰교부세 도입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마련하고자 한다. In 1991,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revived in Korea, which has a strong central tendency, and the decentralization and the guarantee of autonomy have been strengthened. Since the mandatory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e Special Decree Law of Decentralization in 2004, based on the autonomous police law of the government in 2005,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stipulated in the special law of Jeju in 2006 and the public security has been maintained by Jeju autonomous police. However,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functioning as a customized local police in the areas of traffic, environment, and tourism, but it lacks an independent policing system from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 And the limitations of preventive measures and absence of judicial police rights are revealed. In particular, Article 117 and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require legislative measures to provide the inhabitants peace service, which is one of the welfare affairs of the inhabitants, and to protect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the inhabitants in order to maintain order. In addition, the autonomous police,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local autonomy, is granted only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fact that the autonomous police rights are not enforced in all other local autonomous entities is considered to violate the essential par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autonomous police law, and the autonomous police officers laws are urgently required. Moon Jae-in Government is planning to introduce an autonomous police law this year as one of the national tasks and plans to expand and implemen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gradually. The autonomous police legislation is being set up by forming a special committee for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e Presidential Decentralization Committee. The National Police Agency reform committee carried out nationwide expan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established the autonomous police headquarters an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authorized the autonomous police, autonomous police operation through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agreement , The autonomous police authority of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or, the financial burden of manpower and equipmen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ransferring to other autonomous police departments except f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ing a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ssion with city and provincial police stations, granting autonomous police authority under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financing by special accounting or grants Support and so on. Therefore, after reviewing the significance of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he major contents of introducing autonomous police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loc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legislation, namely the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police as the welfare office of the residents, the introduction of the regional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scope and responsibility of autonomous police rights,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법률안 제ㆍ개정에 관한 연구

        이현우,송상훈,이미애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

        1995년 지방자치의 부활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을 이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치안활동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주민의 생명과 안전 및 재산을 보호 하는 것이 당연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경찰체제는 국가경찰체제로 지방자치와는 별개로 관리,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치경찰제 도입에 대한 논의 및 입법화는 정부수립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견 등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자치경찰법 개정안의 비교분석을 통해 광역단위의 자치경찰제 도입 법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치경찰제 도입에 있어 주요 쟁점 사항인 실시단위, 조직체제, 인사권, 사무배분, 재정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단위는 치안여건 및 능률성을 고려하여 광역단위인 「시ㆍ도」 단위로 실시한다. 이는 광역 치안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최소의 조직개편ㆍ비용으로 자치단체의 치안행정의 관여를 담보할 수 있도록 광역자치단체에 자치경찰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둘째, 조직체제는 경찰행정의 중립성을 확보하고 국가치안과 지역치안의 조화를 위해 일원제를 채택하였다. 구체적으로 행정안전부 소속의 국가경찰위원회(6인)와 시ㆍ도지사 소속의 시ㆍ도 경찰위원회(5인)를 설치하는 「합의제 위원회」 제도를 도입한다. 합의제를 통해 경찰에 대한 정치적 압력을 배제하고 경찰이 중립적인 입장에서 민생치안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인사권은 지방경찰청장은 경찰청장이 시ㆍ도 경찰위원회의 동의 및 시ㆍ도지사협의를 거쳐 대통령 임명하며, 경찰서장은 시ㆍ도지방경찰청장의 제청으로 경찰청장이 임명한다. 또한 경찰공무원으로 시ㆍ도 지방경찰청 소속 경정급 이상은 국가 공무원으로 하고, 경찰청장의 제청으로 대통령 임용하며, 시ㆍ도 지방경찰청 소속 경감이하는 지방공무원으로 하고, 시ㆍ도지방경찰청장이 임용한다. 넷째, 국가경찰은 경찰청 소관사무, 정책 입안적ㆍ총괄적 사무, 국가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에 관한 사무, 전국적 통일을 요하는 사무 등을 담당한다. 한편 자치경찰은 시ㆍ도 경찰운영에 관한 사무, 범죄의 예방활동 사무, 지역교통의 안전과 소통사무, 지역경비 사무, 범죄의 진압 수사 사무, 국가경찰의 협력 및 응원에 관한 사항, 기타 법령에 의하여 시ㆍ도 경찰사무로 정한 사항을 시ㆍ도 경찰의 사무로 한다. 다섯째, 경찰재정은 시ㆍ도 경찰비 특별회계를 설치하여 시ㆍ도 경찰에 소요되는 경비는 시ㆍ도 경찰재정교부금 및 보조금,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로부터의 전입금, 기타 시ㆍ도 경찰수입으로 충당하도록 한다. 이는 경찰행정의 안정성을 위한 임시적 조치로 자치경찰제가 정착될 때까지 재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를 통해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 시대에 걸 맞는 지역적 특성의 반영과 경찰재정의 안정성 확보를 통해 지방 실정에 적합한 자치 경찰제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가전체의 치안행정과 지방자치단체의 치안행정 상호간의 효율성을 제고 하고자 하였다. <그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 법률안

      • KCI등재
      • KCI등재

        실효적인 자치경찰제도의 확립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의 모색

        문희태 한국법학회 2023 법학연구 Vol.23 No.3

        자치경찰제도는 치안서비스의 자율적 처리를 통하여 지방자치의 완성도를 높이고, 치안에 대한 지역의 구조와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주민 만족을 극대화하며, 나아가 경찰권 비대화에 대한 우려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그 논의 과정에서 자치경찰제도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는 이원화 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국가재정상의 어려움 및 업무혼선과 치안공백 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자치경찰조직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국가경찰조직에서 국가사무와 자치사무를 분리하고, 자치경찰의 소속은 그대로 둔 채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지휘·감독하는 일원화 모델의 도입을 위한 입법화 과정이 진행되어, 그 결과 2020년 12월 「경찰법」 전면개정을 통하여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자치경찰제도가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일원화된 자치경찰제 모델에서는 지방행정에 의한 치안서비스의 자율적 처리의 확보와 지역특성에 적합한 치안서비스의 제공이라는 당초의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취지에는 부합하지 않고, 지휘·감독 체계가 불명확하여 책임소재의 우려가 있으며, 그 결과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치안활동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 해결방안으로서의 법·제도적 과제 등을 제기함으로써, 자치경찰 및 지방자치의 현실이 열악한 현재의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자치경찰제도의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현재의 오류를 극복하고 한국형 자치경찰제도로서 지방자치의 이념에 부합하는, 즉 지방자치단체의 특유한 치안 수요에 기반한 창의적 노력을 통해 자치경찰제도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쟁점과 과제

        조성규(Cho, Sung-Kyu)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2

        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는 행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자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자치경찰제도는 지방자치의 형식적이고 제도적인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한 이유에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 실시 이후로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빈번하였고, 이에 따른 법제화의 시도 역시 끊임없이 있었으나, 그때마다 여러 가지 사회·정치적인 이유로 번번이 좌절되었다가, 2020. 12. 22. 경찰법의 전부개정을 통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자치경찰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의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는 전형적인 공간적 요소로서 지역과의 관련성을 가지는 사무이며, 특히 지역에서의 치안 및 질서 유지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른 행정작용, 가령 복리사무의 수행을 위한 당연한 전제인 점에서 자치경찰사무는 규범적으로 볼 때 지역적 사무로서 자치사무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자치경찰제도에 대해서는 지방자치와 동일하게 소위 전권한성 및 자기책임성의 보장을 통한 자치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규범적 요청이다. 그럼에도 현행법상 도입된 자치경찰제는 규범적인 이념형 자치경찰제도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여전히 국가경찰조직을 전제로 단지 자치경찰사무만을 수행하는 형태로서 경찰권의 ‘분산’일 뿐 ‘분권’이라고 하기는 어려우며, 한편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권한과 감독도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시·도자치경찰위원회에 있는 등 자치경찰제도를 통한 지방자치의 본질과 이념의 구현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경찰작용은 일반적 행정작용과 다른 특성을 갖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오랜 국가경찰의 역사적 경험 및 현재의 열악한 지방재정의 현실 등을 통해 볼 때,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자치경찰의 도입이 우리 사회에 가져올 혼란과 문제점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그러한 측면에서 현행법제상 도입된 자치경찰제는 이상적 자치경찰제의 도입을 위한 과도기적인 변형적 형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열악한 현실에서 자치경찰제를 도입하기 위한 고육지책의 결과물로서,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의 노력이라고 본다면, 향후 자치경찰제도의 운용에 있어 현행법제 하에서 자치경찰제의 이념적 실현을 위한 한국형 자치경찰로서의 제도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현재의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러한 방향성은 당연히 지방자치의 본질적 이념인 주민의 참여를 최대한 보장하는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주민의 치안수요에 최대한 부응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포괄적 위임의 법리를 통해 조례제정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등 지방자치의 규범적 원리가 최대한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eans the perfunctory and institutional comple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because maintaining order in society is the most basic premise for administration to be efficient. For this reason,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ve been frequent since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attempts to legislate have also existed constantly. Nevertheless, legislation was repeatedly thwarted for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reasons, finally, by passing the National Assembly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on December 22, 2020,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The maintenance of security and order in the district of a local government is a typical spatial element, which is related to the area, and therefore, the local police affairs are local affairs and should therefore be regarded as autonomous affairs in the eyes of local laws. Therefore, it is a natural normative request that autonomy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so-called guarantee of full authority and self-responsibility, just like local autonomy. Nevertheles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under the current law is far from the normative ideologic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because it is only in the form of affairs that local police affairs is carried out through still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it is only a distribution of the police authority, and it is difficult to call it autonomous.“ However, it is true that police ac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administrative action, and also the poor reality of local autonomy in Korea is inappropriate for the introduction of radical and ideal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at respec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should be seen as a transitional variant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 which is a process for the introduction of an ideal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fter all, i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second-best effort due to consideration of the poor reality of local autonomy, the important legal task ahead is to strive for institutional settlement as a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he goal should be to realize the ideology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the current incomplet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normative direction is, of course,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essential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to meet the needs of residents security as much as possible from a democratic point of view.

      • KCI등재

        한국형 자치경찰제도의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

        이영우 ( Youngwoo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시행된 지 4개월이 지난 지금 법과 제도를 운영해오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도입된 자치경찰제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고 자치경찰제 운영의 핵심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방식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자치경찰제는 지역주민들의 지역치안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미비하며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공정성 및 민주성을 보장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점을 보안하기 위해 보다 많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통제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중앙집권적이었던 기존 경찰제의 분권화가 중점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경찰제도의 분권화가 이루어지기 위한 이원화 자치경찰제도 도입, 지구대를 자치경찰소속으로 개편하는 방안, 시·도 경찰위원회이 공정성 및 민주성의 확보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operation of laws and systems four month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and implemented nationwid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troduced in Korea were examined, and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which are the core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pera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Korea’s autonomous police system lacks a legal system for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local security administration,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fairness and democracy in the composi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order to secure this point,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and control of more local residents, and the decentralization of the existing centralized police system should be focused. In order to decentralize the police system as an improvement plan, the introduction of a du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reorganization of the district into autonomous police units, an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ssion proposed measures to secure fairness and democracy.

      • KCI등재

        현행 일원화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동수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4

        Three legislative methods can be considered to introduce the municipal police system: amending the Police Act, amending the municipal police Act, and enacting a single law called the municipal Police Act. However, the municipal police system introduced this time was discussed by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in conjunction with the adjustment of the police and police investigation authority.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l implemented by the Jeju municipal Police, I would like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after deriving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unification model implemented in other regions. 우리나라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그 결실을 보지 못하였다. 이번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우려와 반대론이 제기된 바도 있다. 첫째, 자치경찰제가 현행 국가경찰제도하의 양호한 치안역량을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는 점, 둘째, 소방공무원의 국가직화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경찰공무원의 처우가 열악해질 수 있다는 점, 셋째, 정당에 소속된 시·도지사의 영향으로 치안행정이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는 점, 넷째, 자치경찰과 토호세력간 비리·유착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는데 경찰법을 개정하는 방안, 지방자치법을 개정하는 방안, 자치경찰법이라는 단일법을 제정하는 방안 세가지 입법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도입된 자치경찰제도는 정부와 여당은 검경수사권조정과 맞물려서 논의한 것으로 기존의 경찰법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하여 입법화하였다. 제주자치경찰에서 시행하는 이원화모델의 전개과정과 특성을 살펴본 후 기타지역에서 시행하는 일원화모델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