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단전」‘時大矣哉’의 함의와 해석 특징

        이난숙 ( Nan Sook Lee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4 No.-

        본고는 『주역』·「단전」에서 ‘시대의재(時大矣哉)’라고 시(時)의 중대성을 특정한 4괘가 지닌 함의와 해석 특징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4괘는 이괘(頤卦), 대과괘(大過卦), 해괘(解卦), 혁괘(革卦)이며, ‘시대의재’는 시(時)를 강조한 단사(彖辭) 3종류 가운데 하나이다. 4괘에 포함된 괘·효사와 주석 등 역사(易辭)를 비교하는 역례비석(易例比釋)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이괘는 천도를 3가지의 ‘양도(養道)’로 표현하였는데, 우주가 만물을 기름[養], 성인이 현인을 기름, 자신 스스로를 기름을 말하였다. 양도의 실천에서 중요한 것은 중도(中道)와 정도(正道)임을 강조하였다. 해괘에서 ‘해도(解道)’는 자연의 사계절 변화로 상징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해결의 실마리로 비유되었다. 두 괘에서의 ‘시(時)’는 천도 변화를 구체화한 표현이고, 시변(時變)·시세(時勢)에 따른 천인합덕(天人合德)의 이치는 양도와 해도로서 설명되었다. 천도 변화의 항구성을 합덕(合德)으로 해석하고, 그 당위성이 중도(中道)와 정도(正道)의 근거로서 제시되었다. 둘째, 대과괘는 크게 지나친 상황과 위기 대처의 극복이라는 중의적 뜻을 지니고 있다. 혁괘는 왕조(王朝)의 바뀜을 상징하는데, 새로운 역법(曆法)의 제정이 자연의 순환 변화와 같은 위대성과 당위성으로 설명되었다. 두 괘에서는 시의(時宜)와 신뢰(信賴)가 중요한 덕목으로 표현되었고, 위기극복의 방법이 중정지도(中正之道)임을 매우 강조하였다. 셋째, 도가와 유가의 역학에서 ‘시대의재’를 주석한 관점은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도가역학자인 위(魏)의 왕필보다 송(宋)의 정이와 주희를 비롯한 유가역학자의 주석에서 ‘시대의재’를 ‘시(時)의 위대성을 찬미’한 것으로 주석되었다. 당(唐)의 공영달은 도가와 유가의 복합적 견해를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시대의재(時大矣哉)’의 시(時)는 시용(時用)과 시의(時義)를 표현한 괘들의 시(時)보다 거시적인 천도를 상징하며, 인간사에서 우주 변화와 천도의 이치는 중도(中道)와 정도(正道)로서 실현될 가치임을 구체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이로써 ‘시대의재’는 고대에 천인합덕(天人合德) 사상을 표현한 연원으로써 의미가 있는 해석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reflected in the interpretation of Yigua(頤卦), Daguogua(大過卦), Jiegua(解卦), and Gegua(革卦), explained in Tuanzhuan(彖傳) of Zhouyi(周易). Tuanzhuan refers the importance of space-time to ‘The time is great(時大矣哉)’, ‘The time and use is great(時用大矣哉)’ and ‘The time and Meaning is great(時義大矣哉)’. The interpret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four gua that stipulate ‘The time is great’ among these have been clarifi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n Yigua and Jiegua, 'The time(時)' symbolizes the morality of the heaven, Yigua defines the Dao of cultivating(養道) and Jiegua describes about the Dao of solution(解道). Yigua lay emphasis on the basis of things with three kinds: the universe creates all things, the saints make the wise men and the self, make the self, which are essence of Zhongdao(中道) and the right(正道). Furthermore, Jiegua has been compared to the Dao of solution(解道), which is the evidence of resolving the reasoning and persistence of natural changes in four seasons. Similarly, by explaining the rationalization of Hapdeok in the union of heaven and man. The emphasis was placed on Zhongdao and the right of the value for this natural unity. Secondly, Daguogua explained extreme circumstances, ability to cope with disaster and how to overcome it underlining the Zhongdao's homeostasis. In Gegua, the revolution of dynasties, change of the calendar, the certainty of revolution, transformation and reform were associated with greatness of natural change and the reasonable change. Thirdly, the commentary of continuous Chinese Confucian scholar on Tuanzhuan and WangBi(王弼) of Wei(魏) Dynasty, a Taoist epidemiologist, emphases the transition and change in time and not interpret it. The commentary of Kong-Yingda(孔穎達) of Tang(唐) Dynasty, who inherited this development are contrary to mention, which is the praise of gua in two gua. Chengyi(程頤) and Zhuxi(朱熹) of Song(宋) Dynasty's Neo-Confucian equally stated that glorified admired the circulation and operation of the way of heaven-time. As a result, ‘The time is great’ in Tuanzhuan contains Yuanshi rujia’s and idea of the time(時)’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e is great’ as a human duty. Neo-Confucianism has a feature of praising greatness and importance of time compared to the mechanics of Taoism. Moreover, it was interpreted as a macroscopic meaning of time beyond use(用) and meaning(義). This confirms that ‘The time is great’ embodied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yuanshi rujia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the ancients admiring the Greatness of Nature.

      • KCI등재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 :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지엽(Yi Jee-yeub)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1

        이 논문은 시의 하위 장르이면서도 상당히 다른 영역처럼 인식되어온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을 현대시조가 가지고 있는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시라는 장르가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순간성과 압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므로 얼마든지 두 장르가 접점을 공유할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대부분의 논의는 이 둘의 관계가 서로 다른 별개의 장르처럼 인식되어 서로간의 영향관계나 소통의 부분을 다룬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통의 문제에 중심을 두고 살필 때 우리는 대개 두 가지의 소통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첫째는 독자와의 소통이고 둘째는 장르 간의 소통이다. 먼저 독자와의 소통은 이렇게 볼 수 있다. 컴퓨터와 첨단 디지털 기술로 웹 생활양식이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 詩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난삽해져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시학적 리듬을 활용해 탈메커니즘적 병렬과 반복을 활용한 시 쓰기를 해보고 생활 가운데서 느낄 수 있는 짧은 시 운동이나 생활 시조 운동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시나 시조를 은연중 어렵게 생각하는 일반인의 생각을 바꾸어 시의 곁으로 오게 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점은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대시조가 갖고 있는 평시조의 리듬은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생체리듬이기 때문이다. 현대시를 짧게 쓰고 최대한 축약했을 경우 어김없이 우리는 그것이 평시조의 형식과 무관하게 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한 현대 사설시조의 형식이 갖는 공간구조의 특성은 현대시조가 현대시와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다. 어떤 면에서 현대시가 리듬을 잘 살리지 못하고 구성적인 면에서도 취약하기 쉬운 일면을 사설시조가 갖는 구성상의 장점을 살려 사실성을 적절히 배합하고 사투리 등을 가미하여 재미성까지 얹어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은 소통의 문을 확실하게 넓혀줄 것이다. 현대시와 현대시조를 원활하게 소통시키는 방법은 그리 멀리 있는 것이 절대 아니다. 두 장르가 가지는 특징적 면모가 보다 분명해지고 이를 잘 활용하는 창작 원리나 기법들이 개발되어 서로간의 소통을 확대시키고 외연과 동시에 내면의 교통이 원활해진다면 양자의 발전에 상당한 의미로 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thesis observed the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in the aspect of rhythm and formal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modern sijo. Modern poetry and sijo are sub-genres of poetry that have been generally perceived as separate domains. As poetry is a genre that simultaneously possess instantaneity and compression it appears that modern poetry and sijo would easily share areas with contact points. However modern poetry and sijo have been generally perceived as completely different genres and there have hardly been any studies that have studi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poetry. When observing the issue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we can generally consider two types of communication. The first type is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ile the second is communication between genres. First communication with readers can be viewed as the following. Poetry tends to become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in the present day a time when web lifestyle is generalized through computers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method of using poetic rhythms to write poems based on de-mechanism juxtaposition and repetition or taking interest in short or daily poetry that can be enjoyed in everyday life can eventually attract people to poetry by changing the attitude of people that secretly consider poetry a difficult type of literature. Furthermore this aspect also influences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The parallel sijo rhythm possessed by modern sijo is related with the biological rhythm of Koreans. Writing and abbreviating a short modern poetry help us to learn that it is difficult to be completely unrelated with the format of parallel sijo.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possessed by modern editorial sijo presents a point of contact in which modern sijo can easily encounter modern poetry. The weakness of modern poetry in its structural or rhythmic aspect can be complemented by the strengths of editorial sijo to appropriately combine realism and add dialect to provide enjoyment. This will approach readers more effectively to widely open doors to communication. Methods for achieving smooth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are clearly not that far away. The two genres can achieve significant development if the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the two genres become more distinct and cre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for using such characteristics can be developed to expand inter-communication and achieve efficient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 KCI등재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 연구 -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감상을 중심으로 -

        유진현 한국문학교육학회 2024 문학교육학 Vol.- No.82

        이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인식과 감상을 바탕으로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표가 있다. 시 그림책은 시를 글감으로 하여 그림과 함께 상호작용한 결과로 제시되는 작품으로 정의되며, 본 연구에서는 작가가 시 그림책에 대한 장르 인식을 지닌 상태에서 ‘글’로서 시와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 구성을 마련해 나가는 작품으로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시 그림책에 관한 이론적 전제로서 그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예비 국어 교사의 시 그림책에 관한 인식과 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A 대학의 예비 국어 교사 32명의 시 그림책에 관한 감상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해당 감상 텍스트는 예비 국어 교사가 스스로를 현대시의 독자, 현대시 교육의 학습자 및 교수자로 인식함에 따라 시 그림책이라는 장르 및 작품에 대하여 감상하는 양상을 구분하여 분석되었으며 그로부터 시 그림책의 문학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poetry picture books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appreciations of poetry picture books b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 poetry picture book is defined as a work that is presented as a result of interacting with a picture with a poem as a text, and in this study, the artist has a genre awareness of the poetry picture book and discusses it as a work that prepare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etry and 'picture' as 'tex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picture books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premise about poetry picture books, and the appreciation texts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ollected. The appreciation text was analyzed by separating the genre of poetry picture books and their appreciation of works as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readers of poetry, learners and instructors of poetry education, and derived and discussed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and utilization of poetry picture books from them.

      • 시치료 프로그램이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한국독서교육학연구회 2010 독서교육연구 Vol.- No.5

        본 연구에서는 시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이해하고 이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원만히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서 시치료 프로그 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S교회의 주부 16명을 시치료 참여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 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에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주부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치료 프로그램 실시집단의 변화량과 통제집단의 변화량에 대한 차이의 유의성 검 증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치료 프로그램은 주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둘째, 시치료 프로그램은 주부들의 전체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킨다. 셋째, 시치료 프로그램은 주부들의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킨다. 시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심층적인 치료적 전략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의 다 양한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적인 시치료 전문가들을 수련 하는 시치료 전문가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치료는 문학과 임상학의 중간 지점에 위치 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이 가지는 치료적 요소를 학제간 협동으로 한 단계 승화시킨 체계적 인 학문으로의 발돋움이 필요하다.

      • KCI등재

        현대시의 형태와 리듬에 관한 연구

        최석화(Choi, Seok-hwa)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49

        형태에 관한 본격적인 관심은 자유시와 산문시의 발생과 관계한다. 정형적인 시 형태를 벗어난 . 자유시나 산문시의 출현은 시를 구성하는 요소에 관한 다양한 질문들을 상기하게 하였다. 김춘수의 『한국 현대시 형태론』은 자유시와 산문시의 형태와 구성요소를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가 강조한 행과 연에 의한 리듬의 발생은 산문화 되고 있는 자유시의 중요한 기능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행과 연이 없는 산문시는 ‘이미지’나 ‘내용’만이 남는다는 결론에 이르러 그 한계를 보였다. 이후 시의 리듬은 단어나 구, 절 등의 반복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규명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앙리 메쇼닉의 의미를 포함하는 리듬의 개념은 시의 리듬 연구가 음성과 의미의 이분법적 차원을 넘어서게 하였다. 그러나 앙리메쇼닉의 이론은 디스크루 전반에 걸친 이론이라는 점에서 시의 형태보다는 어법적 차원에 집중하게 한다. 시의 리듬은 일반적인 리듬론이나 어법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시의 형태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시의 리듬은 형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또 받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리듬은 단순히 음성적, 음운적 차원이 아니라 의미, 이미지와 관계하여 시의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리듬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시의 형태나 리듬에 관한 연구는 이 둘이 중층적으로 융합해가는 미학적 측면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A full-scale interest in the form of modern poetry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free verse and prose poem. The emergence of free verse or prose poem that departs from the standard pattern of poetry has played the role of calling to mind diverse questions on the components of poetry. Kim Chun-su’s 『Morphology of Modern Korean Poetr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form and component of free verse and prose poem in full-scale. He laid stress on the generation of rhythms by lines and stanzas, thus explaining an important function of free verse that gradually becomes a prose. On the other hand, his conclusion that a prose poem with no line and stanza only leaves ‘images’ or ‘contents’ is the limitation of his research. Since then,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generation of poetic rhythms via repeating words, phrases and passages. The conception of rhythms,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Henri Meschonnic, has made studies on poetic rhythms overcome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f voice and meaning. However, the focus of Henri Meschonnic’s theory is not on the form of poetry but o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poetry, since his theory deals with discours on the whole. The generation of poetic rhythms cannot be decided only by general theories of rhythms or expressive techniques. Rath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 of poetry. In other words, the rhythm of poetry exchanges a very crucial effect with the form of poetry. The rhythm here is not a simple aspect of voice or phoneme. It is related to the meaning and image of poetry and generates different rhythms according to the form of poetry. In this vein, research on the form or rhythm of poetry is an analytic process of aesthetics of multi-layered integration of poetic forms and rhythms.

      • KCI등재

        『시경』 시학의 맥락을 통해 본 시와 노래의 특성

        임주탁(Yim, Ju-Tak)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6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lication of discussions on poetry and song in the Shijing poetics for understanding Korean classic poems and songs. The Shijing psalms were things that were used to creat the message of the King (World head) with abstract symbols used for cognitive communication and that were transformed into the speech of song adapted to the rule of the King’s music, media of emo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 people. The mind of King who was the only person who correctly interpreted Heaven’s message, implied informs of the interpreted message, poem, was made to be accepted by the people of the world through the sense and perception of objects and matters, an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leasure implied in the rule of music. The Shijing was a legacy created to communicate and create the way to harmonize with everything in the world. For the monarchs who dreamed of a world order centered on one country, the Shijing was admired as Bible, because it seemed to imply what neutralizable physical properties embodyed by King Wenwang 文王 who had been evaluated a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opening of the Zhou dynasty,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time when the dream came true, were, and how they were expressed as reflections on the ruler while changing the people’s habitual personalities from region to region. Of course, the reality that the monarchs who had dreamed of such a dream faced wa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times, and the music rule that was the basis of the psalm was not fully transmitted later. However, with such a dream, the monarch made an effort to restore the music rules of the King, and pass on his intellect as new one of the King’s to the people of the world to keep them. As a result, it seems that poetry and song were actually separated, but it was not different in that they used poetry and song as a means to change people’s minds and capture their repercussions. In successive Korean dynasties, the King’s music was determin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in Chinese ones and used as means of up-and-down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Korean classic songs with speech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particular, seem legacy of the Kings’ rule of music by which they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in the dynasties where they dreamed of becoming one of the King, change the people to have a heart that conformed to the will of the King, and capture repercussions of the people about their ruling. 이 글은 『시경』 시학의 시와 노래에 관한 논의가 시각적 텍스트로 전하는 근대 이전 한국의 시가를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를 탐색해 본 것이다. 우리는 시와 노래를 구분하지 않고 있지만 시가 곧 노래가 아니고 노래가 곧 시는 아님도 분명하다. 『시경』 시편은 인지적 소통에 쓰던 그림을 추상화한 기호로 메시지를 만들어내던 시를 ‘왕자(王者)의 악(樂)’의 절도에 맞춘 노래의 말소리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인지적 소통과 감정적 소통 기능을 극대화한 ‘가시(歌詩)’였다. ‘왕자’는 하늘의 메시지를 바르게 해석하는 ‘유일’한 사람인데, 그 해석된 메시지에 함축된 ‘왕자’의 마음 곧 지(志)를 천하 인민이 물상(物象)과 물사(物事)의 감각과 지각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고 악의 절도(節度)에 함축된 쾌락 원리에 따라 상하 소통하며 천하 만물과 서로 어울리는 길을 만들기 위해 만든 유산이었다. 그런 까닭에 일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꿈꾸던 군주들에게 『시경』 시편은 그 꿈이 실현된 시대로 평가하는 주나라 시대를 여는 기초를 다졌다고 평가되는 주문왕(周文王)이 체화했던 ‘중화(中和)의 물성(物性)’(덕(德))이 무엇인지, 그것이 지역에 따라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민의 습성을 변화하면서 통치자에 대한 반향으로 표현되었는지를 탐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경전이었다. 물론 그런 꿈을 꾸었던 군주들이 맞닥뜨린 현실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사뭇 달랐고, 『시경』 시편의 바탕이 되는 악률은 온전하게 전승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꿈을 군주는 그 악률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새로운 ‘왕자’로서 자신의 지(志)를 천하 인민에게 전하여 간직하게 하는 노력을 경주했다. 그 결과 시와 노래가 실제로는 분리된 듯하지만, 시와 노래를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그 반향을 담아내는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았다. 한국의 역대 왕조에서도 중원에서와 흡사한 방식으로 ‘왕자의 악’을 정하여 상하 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런 점에서 고시가 특히 중원의 시와 다른 말소리 특성을 가지는 노래 또한 ‘왕자’의 꿈을 꾸던 왕조에서 인민과 소통하며 인민을 ‘왕자’의 지(志)에 부합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변화하고 그 반향을 담아냈던 가악(歌樂)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고시가를 이해하는 데에는 특히 새로운 가악이 만들어지는 맥락을 세밀하게 살피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의 원리』의 이중 기획과 고안된 논리 ― 조지훈의 베르그손 철학 전유 양상을 중심으로

        송현지 ( Song Hyun-j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이 글은 조지훈의 『시의 원리』가 해방기 시단에서 보편 시론의 역할뿐만 아니라 대항 담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기획되었음에 주목하고,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기 위해 조지훈이 사용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등단 초기부터 시와 시인을 생명이 있는 유기체로 바라보았던 조지훈은 『시의 원리』에 이르러 새로운 논리 전개 방식과 개념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존 사유체계를 보강한다. 먼저, 그는 시와 시인을 생명으로 설정하되 자연과학을 근거로 삼아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시론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 이는 해방기 이후 집중적으로 발간되던 문학 개론서의 글쓰기 방식을 따른 것이자 과학에 기반을 두지 않은 형이상학 시론을 신비한 것으로 치부한 비판들에 대응하기 위한 그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시 창조의 제반 조건들을 실증적으로 이론화하면서도 그는 정신이 작용하는 시의 창조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념적인 서술로 일관하며 과학의 일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시의 고유한 영역이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물질과 정신, 지성과 직관, 과학과 시를 구분한 후 생명의 표현이자 생명 그 자체인 시는 물질의 질서에 속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성이 아닌 ‘직관’이라는 의식 작용을 통해 창조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구분하지 않는 유물론적 예술사관과 모더니즘 시관을 시의 독자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판한다. 조지훈이 『시의 원리』에서 보여준 이러한 서술 방식과 대항의 논리는 실증적 형이상학을 통해 새로운 생명 창조론을 주장함으로써 유물론과 기계론을 비판한 베르그손의 철학과 공명하는 부분이 많다. 이는 조지훈이 1941년, 베르그손의 저서를 읽고 베르그손의 사상에서 주요 논리와 개념들을 가져와 시론의 보편성을 확보함은 물론, 해방기 시단에 대항할 수 있는 논리를 강화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이를 논증함으로써 동·서양의 유기체 시론의 영향 관계에서 『시의 원리』를 살펴보는 통상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그의 유기체 시론의 고유성이 그가 베르그손의 논리와 사상을 전유하여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rinciples of Poetry by Cho Ji-hoon was written to perform not only the role of universality discourse in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ut also the role of opposition discourse and looked into his corresponding methodology. Cho Ji-hoon, who looked at poetry and poet as living organism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ry career, strengthened his own existing poetic thinking system by using new logic development method and concept from The Principles of Poetry. First and foremost, he expressed his opinions based on biology in the process of putting life into poetry and poet. It was his strategy of responding to criticisms in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of regarding metaphysical poetics not based on science in materialistic poetics and modernism poetics as something mysterious. In addition, he divided order of materials and order of life based on the facts derived from scientific phenomena and emphasized the point that poetry is situated within order of life once its spirit becomes foundation of life. This is how he stood up against materialistic poetics which asserted that poetry is reflection of materialistic life. Lastly, he planned and argued poetics confronting modernism poetics which put emphasis on intelligence by insisting that order of life in which poetry belongs form a connection with not intelligence but intuition. Such narration method and logic in The Principles of Poetry established metaphysics based on science and share a number of resonating aspects with the philosophy by Henri Bergson who criticized materialism and mechanism by arguing new life creation theory.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Cho Ji-hoon strengthened the logic of confronting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y adopting major logic and concepts after reading the works by Bergson in the early 1940s. This study aimed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discussion arguing that the inherent features of Cho Ji-hoon’s organism poetics resulted from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organism poetics of East and West and identify that his poetics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exclusively possessing Bergson’s logic and thoughts.

      • KCI등재

        『만선일보』에 실린 「시현실 동인집」과 동인 활동의 문학사적 의의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5

        본 논문은 1940년 8월 23일부터 8월 29일까지 6회에 걸쳐 발표된 「시현실 동인집」에 관한 연구이다. ‘시현실 동인’은 그 동안 1930년대 초반 김기림, 이상, 그리고 『삼사문학』을 계승한 유파로, 초현실주의 시의 관점에서 연구,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자는 선행 연구들의 문학사적 성과를 수용하면서, 조금 더 진전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현실 동인집」이 출현하게 된, 문단적, 문화적, 작가적 상황에 대한 고찰로 함경북도 초현실주의와 만주 아방가르드에 관해 논의했다. 우선 ‘시현실 동인’의 활동과 그 궤적을 살폈는데, 시현실 동인의 거주지는 함경북도의 청진, 성진 등과 길림의 도문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맥』이라는 잡지를 기반으로 초현실주의 시를 창작했던 시인들이었음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제적 운동의 관점에서 초현실주와 아방가르드를 연구했다. 당대 조선의 초현실주의 및 아방가르드 예술은 일본의 잡지 『시와 시론』 등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했다. 그런데 193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이나 유럽 등에서 초현실주의는 정치적 아방가르드로 선회하고 있었고, 만주는 일본 본토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지정학적 위치를 갖고 있어서 아방가르드의 정치성이 보다 강조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만주의 매체에 시를 발표한 ‘시현실 동인’은 당대 국제적인 흐름을 이해, 수용하면서 일본 제국에 저항하는 시쓰기를 선택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시현실 동인집」에 드러난 이질적인 오브제의 상징성과 정치적 무의식을 달리(Dali)의 그림과 시네 포엠(Cine-Poem) 형식을 통해 읽었다. 특히 상징적인 비유어들을 당대 식민지의 구체적인 현실이나 일본 제국의 침략 상황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현실 동인’의 현실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시현실 동인’의 주 창작 무대였던 함경북도의 청진, 성진 그리고 중국의 도문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근거지로 수탈과 차별이 심각하게 일어나던 지역이었다. 이런 현실은 문인들에게 자연스럽게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문제의식을 심어주었다. 시현실 동인들이 해방 이후 북한 문단에서 활동을 이어가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시현실 동인’은 1930년대 시문학사에서 지속되던 초현실주의 시의 흐름을 지역적, 정치적으로 확장 계승한 문학인이었다.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works of The Reality of Poetry Coterie published 6 times from August 23rd to August 29th in 1940. The Reality of Poetry Coterie was a school who succeeded Kirim Kim, Sang Lee and 34 Literature of the 1930s and has been studied upon and evaluated from a surrealist perspective. While accepting the literary historical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 have furthered the discussions. First, I have discussed about the Hamkyung North Province surrealism and ‘the Manju advant-garde’ as a study upon the circumstances of literary circles, culture and writers after the works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 appeared. Above all, examining the activities and traces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 I have discovered that they resided in the Domun areas of Jilim such as Chungjin and Sungjin of Hamkyung North Province and were poets who wrote surrealist poetry based around the magazine Maek. Second, surrealism and advant-garde has been studied from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surrealist and advant-garde arts of Chosun at that time develop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Japanese magazine, Poetry and Poetics. However, after the mid-30s, surrealism turned politically advant-garde in Japan and Europe, and as Manchuria was comparatively a more liberal location than mainland Japan, the political nature of advantgarde could be emphasized more. In this respect, ‘The Poetry Reality Coterie’ who published their poetry through Manchurian media understood and accepted the international trends and chose to write poetry resisting the Japanese empire. Third, the present study read the symbolism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disparate objet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s works through the paintings of Dali and the Cine-Poem form. Especially, the symbolic figurative word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reality of the colony and the condition of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oetry Reality Coterie’s awareness of reality could be achieved. Chungjin and Domun which were the main creative stage for ‘The Poetry Reality Coterie’ were the base of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and areas where severe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occurred. Such reality naturally instilled into the poets an acute critical awarenes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coterie’s continuous activitie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fter the liberation from imperialism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Poetry Reality Coterie’ consisted of literary men who extended and succeeded the surrealist poetical trend which continued throughout the 1930s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일제 후반기 국민시의 성격과 형식

        고봉준(Ko, Bong?jun)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7

        일제 후반기 시사에서 ‘국민시’의 비중은 생각보다 크다. 최근까지 ‘국민시’는 잡지『국민문학』의 ‘국민문학’ 담론과 연동되어 연구되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민시’와 ‘국민문학’ 담론이 마치 40년대의 독창적인 산물처럼 오인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역사적 사실과는 매우 다르다. 이에 본 논문은 1937년 중일전쟁을 기점으로 식민지 시대의 문학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양분하고, ‘국민시/국민문학’을 후반기 문학의 이념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국민시가』(1941)에서『국민문학』(1941)을 거쳐『국민시인』(1945)으로 이어지는 문학에서의 ‘국민’ 담론에 주목했다. 특히 이 논문은 ‘국민시’를 국민문학 이념의 시적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살폈다. 흔히 일제 후반기의 국민시/국민문학은 천황제 파시즘을 미화하고 전쟁의 정당성을 찬양한 친일문학 정도로 알려져 있다. 조선인들을 신민으로 완전히 동화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문학이 사용되었음을 감안하면 이러한 주장의 진위를 의심할 수는 없지만, 실제 이 시기 ‘국민시’ 논의는 파시즘과 전쟁을 옹호하는 내용적?이념적인 것에 국한되지 않았다. 즉 ‘국민시’는 단순히 일본의 지배를 찬양하는 친일시가 아니었다. 오히려 이 시기 일본에서 시작된 ‘국민시’ 논의는 내용만큼이나 형식,즉 일본적?동양적 형식을 강조했고, 이러한 전통 미학을 통해서 일본과 조선에 유입된 서구 근대시의 전통을 극복하려는 탈서구·근대초극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국민시의 형식적 특징이 중요한 까닭은 서구 근대시의 전통과는 다른 전통 미학의 복권이 집단적으로 시도된 것이 1930년대 후반의 문학적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비록 이 논문에서 살피지는 못했지만 일제 후반기의 ‘국민시’ 논의는 이처럼 30년대 말-40년대 초 조선에서 유행했던 향토적 경향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of poems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the concept of ‘national poems’. Discussion about ‘national poem’ in this era is generally studied centering on 『National Literature』. However, to consider the nature and forms of ‘national poems’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National Poetry』(1941) and the 『National Poets』(1945).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national poems’ centering on the natures of these two media. The former was led by Japanese residing in Chosun and the latter was led by those who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K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cluding Sato Kiyosi. In general, ‘national poems’ that appeared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are known to be a literary ideology that justified the Japanese invasion and supported fascism. However, as identified in those magazines, discussion about ‘national poems’ at that time had much stronger ideological natures than such instrumental natures.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one?sided assessment that ‘national poems’ served the war, the fact that ‘national poems’ were a literary attempt to surmount Western modern literature through Japanese traditional literary forms should be noted.

      • KCI등재

        시와 음악 간의 새로운 관계 - 말라르메에게 있어 시 창작원리로서의 음악

        도윤정 ( Do Yoon-j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근현대 시대에 들어 새롭게 정립된 시와 음악 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이 시기는 구술문화가 물러가고 문자문화, 인쇄문화가 지배적이 되고 이에 따라 낭독보다는 묵독이 보편적인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특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만의 음악 개념과 그것으로부터 새로운 시 창작 원리를 만들어 간 말라르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의 『디바가시옹』과 서간문을 분석하면서 이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시의위기」, 「음악과 문학」, 「문자에 담겨 있는 신비」, 「책에 관하여」 등의 글이 주요 분석대상이다. 첫째, 말라르메에게 있어서 음악은 신비로움과 성스러움과 연결된다. 음악을 감싸고 있는 것이 신비로움이며 음악이 지향하는 것이 성스러움이다. 그 성스러움은 인류의 시원에서부터 존재한 인간 내면의 것이다. 이런 음악의 특성, 즉, 음악적인 것을 시의 세계로 전환하고자 하는 원리가 말라르메의 첫째 창작 원리이다. 그런데 말라르메는 음악을 단지 소리의 차원이나 악기의 차원으로 환원하지 않고 사물들 사이의 관계들의 총체라고, 추상적으로 정의한다. 이런 음악은 총체적 리듬, 분위기, 기운과 같은 것이다. 둘째, 이런 ‘음악’을 어떻게 문학 작품 속에서 구현하느냐의 문제가 남는다. 음악은 신비로움에 싸여 있으므로 음악을 구현하는 문학 작품은 신비로운 방식으로 이 음악, 즉 성스러운 세계를 전달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를 하나의 구조로 만드는 창작원리를 낳는다. 즉, ‘음악적으로’, 실체적 사물과 시인의(시인의 주도권) 사라짐이라는 방식으로, 단어들만으로 울림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말라르메의 둘째 창작 원리이다. 울림의 구조는 청각적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인쇄문화의 확산 속에서 말라르메는 시각적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써 말소리의 불완전성을 극복한다. 이리하여 그는 소리 못지않게 침묵을, 청각 못지않게 시각을 시 세계의 주요 모티프와 창작의 핵심으로 도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시와 음악 간의 관계와 그로부터 도출되는 시 창작 원리는 여전히 문자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시 탐구에 있어 주목할 관점으로 보인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oetry esta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This was a period when reading silently was the dominant culture rather than reading aloud and orality was limited due to the emergence of literacy and print culture. A poet sensitiv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Mallarme created his own concept of music and new creative principles of poetry from it. We analyze his 『Divigation』 and letters, in particular, the "Crisis of vers", "Music and Literature", "Mystery in the letters", and "About the book." Firstly, Mallarme connects music with the mystery and the sacred: the mystery surrounds the music and the music is oriented with the sacred. The sanctity is that of the human race and has existed within humans since the beginning. Transp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 to the poetry is his first creative principle of poetry. However, Mallarme called music a totality of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objects without reducing the dimension to only the instruments or the sound. His definition is abstract, regarding music as a complete rhythm, the atmosphere and the air. Secondly, we have the question of how to realize music in a poem. As the music is surrounded by the mystery, Mallarme can transpose the sacred to a poem in mysterious ways. This leads to his second principle of poetry: make a poem as a structure. In other words, ``musically``, based on the disappearance of real objects and the initiative of the poet, he created a structure with only the words. We can create an acoustic structure but Mallarme created a visible structure to overcome the incompleteness of the sound of a word in the diffusion of print culture. In this manner, the use of silence as much as sound and the use of visual as much as aural components were introduced in poetry as important motifs and the essentials of creation. This new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the creative principles drawn from it appear to be the areas to which attention should be focused in the research of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