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토리텔러 교육모델(SEM)과 프로그램 개발

        배철우,이경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효율적인 설득과 소통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 스토리텔링이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더욱 커질것이 예측됨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스토리텔러의 양성이 요구되므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모델의 개발과 이에기반한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첫째, 스토리텔러 교육모델(SEM)은 타당하게 개발되었는가? 둘째, 스토리텔러 교육모델(SEM)에 기반한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STP-CC)은 타당하게 개발되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을 기반으로 스토리텔러 교육모델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러 교육모델은 창작영역, 인지영역, 체험영역과 이를 아우르는 융합창의영역을 바탕으로 각 영역에 적합한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있고,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은 교육모델을 기반으로 스토리창작, 수용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통해 성인의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도록 구성하였으며,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특성을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SEM과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앞으로 스토리텔러 양성프로그램은평생교육 현장에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장되어 적용될 것이다. The storytelling is expected to be used more widely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as it has strength of effective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Thus, it will be more required to train expert storytell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storyteller education model and a storyteller training program based on it.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confirmed. First, has the Storyteller Education Model(SEM) been developed properly? Second, has the Storyteller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bility(STP-CC) been developed properly? This study developed storyteller education model and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 The SEM consists of education contents suitable for each area based on creation, recognition, experience and integrated creativity areas covering it. The STP-CC is intended to enhance the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adult through story creation, audience, media, and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 SEM. Also, It is characterized by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program for training storyteller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M and the STP-CC were developed properly. It is expected that the STP-CC will be extended to appropriate and effective programs targeting adul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마태복음 24장의 스토리텔링 기법의 종말론(설교) 이해 -마 24:1-36절 중심으로

        이기흔 ( Gee Heun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5 생명과 말씀 Vol.13 No.-

        성경에는 많은 스토리가 있다. 특히 마태복음 24장은 대표적인 예수님의 종말 스토리(설교)다. 예수님은 스토리텔러로서 마태복음 24장의 스토리를 전개하신다. 마태복음 24장은 예수님의 중요한 설교이며, 동시에 신약성경의 중요한 종말을 다룬다. 마태복음 24장을 이해할 때,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활용한다면 보다쉽게 본문을 이해할 수 있다. 많은 성경해석자와 설교자들이 마태복음 24장을 해석하고, 설교하면서 종종 오류를 범한다. 이들은 지나치게 시 한부 종말론에 치우치기도 하며, 본문의 종말이 역사와 상관이 없는미래적 부산물로 치부하기도 한다. 종말론을 강론하는 수많은 설교자와 신학자들이 마태복음 24장을 해석하고 설교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은 마태복음에 나타난 구약과 신약의 스토리적 배경을 제대로 이해 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성경을 바르게 주석하고 설교하기 위해서 본문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본문의 주석과 분석 그리고 정확한 해석만이 성경 본문을 청중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최고의 도구는 아니다. 청중에게 본문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려면, 본문의 역사적 스토리에 대한 충 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본문의 배경이 무엇이며, 본문의 출발점이 어디이며, 그 시대의 상황에서 본문의 스토리가 구성된 이유를 정확하게 이해할 때, 현재에 납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바른 주석과 설교가 선 포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을 강조한다. 성경은 기록된 당시에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은 지금도 여전히 살아있는 말씀이며, 최상의 의미이다. 비록 시대는 지나갔지만 그 의미는 당 대의 의미보다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 시대는 성경으로 돌아가 자는 끊임없는 개혁의 외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기록될 당시의 성경 본문을 청중들에게 보다 정확하게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본문의 구약 배경의 스토리와 당대의 스토리, 그리고 지금의 스토리와 미래의 스토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The Bible has many parables. In particular, Matthew chapter 24 foretells the day of judgement and represents of the Apocalypse Story (sermon)of Jesus Christ. At the same time, it is his important sermon and eschatology. When you try to understand the context, you have a better understanding by utilizing the technique of storytelling. In fact, As many preachers and theologians interpret Matthew 24, they have often misinterpreted. At times, they are too biased on eschatology of the time concern, and the end of the text sometimes regard as a futuristic-products which do not have to do with history. To expound the eschatological sermons, many preachers and theologians expressed difficulties to interpret and preach the text.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the story appeared in the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in relation to Matthew 24 properly. It is important to comment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the Bible in order to preach the Bible correctly. However, the best tool is not the annotation,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o convey to the audience the biblical texts. To convey the text to the audience properly, there must b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text about the historical stories. Reformed theology emphasizes on transformation. The Bible does not mean only recorded time.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It is even now still living Word today. It has the best value. As generations pass, the meaning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ose times. Because our time requires incessant cries of the Reformation, this generation must return to the Bible. As result,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its meaning, one must consider the backgrounds of the stories of its past and future

      • KCI등재

        고전 스토리텔러의 세계와 미래

        정창권(Jeong Chang-Gue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요즘 국문학 박사학위자의 적체 현상이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게다가 국문학과가 없어지고 학생 수마저 줄어들어, 그들의 교수 자리는 물론 강의 시간마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다들 교수 임용에만 목표를 두고 공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국문학 박사학위자들이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길로서 대학과 사회의 소통 역할을 하는 대중적 인문학자, 특히 고전 스토리텔러의 세계와 미래를 필자의 경험담을 토대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우선 필자도 여느 대중적 인문학자들처럼 문학에만 빠져있지 않고 역사와 사회, 과학, 예술 등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학문을 해왔다. 그래서 특히 여성사와 장애인사, 기타 하층민사 등 역사 속 소외계층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여러 편의 인문서와 어린이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또한 필자는 그것들에 이야기, 즉 스토리텔링을 가미하여 대중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했다. 그와 함께 필자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국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 소스로서도 작용한다는 사실을 간파하고서, 그러한 고전의 현대적 수용만이 아니라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융·복합 등 최근의 응용학문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다양한 연구성과 및 콘텐츠 개발, 정부사업 등을 진행하기도 했다. 한편, 필자는 고전 스토리텔링의 과정과 방법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봤는데, 대체로 ①테마선정→②자료수집→③시놉시스 짜기→④집필하기→⑤제작하기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고 했다. 이처럼 본고는 필자의 경험담을 중심으로 고전 스토리텔러의 세계와 미래를 생생하게 살펴봄으로써, 향후 이러한 길을 걷고자 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했다. These days congestion situation of the doctors of Korean literature is becoming serious. Besides, as the Korean literature course is disappear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going down, their academic position as well as lecture time go down too. Nevertheless, most majors is studying with aiming employment of professor target. For this reason, I examined closely a popular literary scholar who play a communication role in university and society, especially the lancashire and the future of a classic storyteller as the foundation of my experiences in order that the doctors of Korean literature are a new way forward. First, unlike a popular literary scholar who is mired only in literature, I have reserched into the integrated study including history, society, science, arts and so on. Especially, the history of women, the disabled, the lower class etc.. I have intensively studied a neglected class of people in history, and I gave several publications of liberal arts and children"s books to the world. Second, I have taken the manner of storytelling for the public to read easy and interesting. Along with that, I see through fact that Korean literature in the digital era of the 21st century come into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s, and I have taken an active interest in the latest applied science, for example,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convergence/integration etc.. So I made a variety of research results, and I have worked on developing contents, a government enterprise. Meanwhile, I check shortly about a process and method of old classics storytelling. Generally speaking,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①selection of theme→②data collection→③written synopsis→④writing→⑤production. In this way, I examined closely the lancashire and the future of a classic storyteller with writer"s experience at the center in this manuscript. By doing this, I wish to be helpful to writers in the same field.

      • KCI등재

        특집논문 :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이창식 ( Chang Sik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이 글은 아리랑 원형에 대해 정신소를 고려하여, 저항-상생-대동의 삼재론을 내세웠다. 저항성은 한민족의 천명적 신화론(天)과 관련이 있다. 상생성은 한민족의 숙명적 지역론(地)과 관련이 있다. 대동성은 한민족의 인본론(人)인데, 세계적 열린 마인드다. 이 셋은 아리랑의 잠재가치로 문화콘텐츠의 원형으로 값진 측면이 있다. 한류의 저항적 상상력, 지역기반 감성의 진행형, 치유의 융합원리는 아리랑 유산의 창조적 유전인자라고 정리해 보았다. 이는 현장경험론과 앞선 아리랑 인문론을 통해 얻어낸 결과이다. 스토리텔링의 사례와 창작 방향은 기존 글을 비판하여 아리랑 초장르론을 제기해 보았다. 팩션지향 상상력 스토리텔링, 놀이지향 재미 스토리텔링, 컨버전스지향 치유 스토리텔링이 그것이다. 세부 창작 사례는 아리랑피칭워크샵-생산, 유통, 소비 동시다발의 아리랑포럼-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방안을 위한 국책급 아리랑 문화 프로젝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창조성 연구는 아리랑의 융합학문의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아리랑 유산에 대한 인문융합의 학제적 연구가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 기반의 보편적 가치를 심화시켜 가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후속 인재로서 이 방면 아리랑 전문가-아리랑학당의 아리랑 유산 스토리텔러-를 집중 육성해야 한다. 체계적인 정책을 통해 아리랑의 활성화를 지속시켜 가야 한다. 아리랑 유산의 원형성을 짚으면서 세계화의 당위성과 현재성, 소통성 등을 강조하였다. 항목별 연구는 아리랑 원형과 아리랑 콘텐츠의 가치창조를 통한 인류문화의 걸작으로 학제간의 융합프로젝트가 시도되어야 한다. 아리랑 문화콘텐츠산업의 확산은 K-팝과 같은 한류의 K-아리랑의 경제력과 감성공유의 코드에 맞춰야 한다. 아리랑 원형은 한류 킬러콘텐츠의 문화상품으로 드러날 것이다. 아리랑 유산의 다양한 국면에 대한 검증과 해석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소비 등 동시다발의 스토리텔링-스토리텔링마케팅을 구축해야 한다. 북한의 집체아리랑 공연 기획과 연출을 참고하되, K-아리랑과 아리랑굿 한류의 감성 스토리텔링 접합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자생적인 향토소스(지역의 아리랑자원 활용)와 디아스포라의 한인 향수소스(역사적 아리랑자원 활용)를 통해 이야기 가공과 세계인의 감성 자극 문제를 지속적으로 진단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아리랑의 세계화 센터 설립을 거듭 제안한다. 한류에 부합하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전문적으로 한류의 성과를 비판하고 아리랑의 감성적 확산을 정립하면서 통섭의 세계화를 되짚어야 할 것이다. 중국에서 아리랑 유산을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고 해서 반대 급부로 감정적 대응으로 추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아리랑 유산의 매력에 적절한 이야기의 감성DNA 찾기가 시의적절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아리랑 유산의 진정성은 OSMU(One source multi use)에서도 유지되어야 한다. 김구의 민족적 문화주의 실현론이 가능하다. 아리랑 스토리텔링의 창조적 진행형은 한류의 또다른 국면이다. 한류 K-아리랑의 가치창조론은 21세기 대세이다. 다만 보편적 가치 소통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다. 또 역기능의 우려에 대한 반론도 기대된다. 이 글을 통해 향후 아리랑의 문화적 다양한 국면을 쟁점화하여 명실상부한 문화강국으로의 진입을 기대한다. 필자의 관심은 과거의 아리랑 예찬에 있지 않고 오래된 미래 아리랑 활용, 곧 소통의 세계화 프로젝트에 있다. 앞서 제시한 스토리텔링 사례는 인문학자로서 창조 스토리텔러로서 제안에 머물러 있어 분명 한계가 있다. The cultural content of Arirang has been accumulated for many years which provides the base for creating Arirang values in the 21st century. Transformation of Arirang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 is unlimited. The area of Arirang as cultural products has infinite potentials.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 and creativity of Arirang using the cluster-method as well as Arirang`s symbolic image and its perspective as fusion-learning. Attempts to create storytelling of Arirang will continue. This requires innovative ideas 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justifiability, the necessity and the futurity of Arirang`s cultural content were examined. Many cases about the actual procedure of creating st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Arirang`s images, events and factions are presented in depth. Arirang is a fountainhead for various genres such as poetry, fiction, drama, movies, music, dance and art. If this change can be viewed as creation of new genre, this can constitute not only an economic power but also symbolic power of the Korean Wave stemming from the energy of traditional culture. Arirang`s original story as a storytelling source may attract new changes. Arirang`s history has been studied and investigated carefully and the resource has been recycled continuously. However, in spite of Arirang`s wide acceptance, the value of Arirang as a creative genetic resource has not been examined seriously. A blended intellectual research for Arirang and developing new domain of intellectual cre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o create values. It is more than finding and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actually finding an alternative that suits a trend in this era, where higher value-added business is so much important. The power of Arirang is that, Arirang has targeted responding demanders, and expressions and responses for it has continuously accomplished in every era. Arirang is more than a symbol of Korean culture. It should secure a prestige as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The hunger for creating knowledges of Arirang is sincerely required. Arirang`s values such as multi-communications, principles of creation and laws of transmissions, both origin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will be shown in the world. Arirang harmonizes well with 21st century global trend. To raise experts in this area, a well-organized system and supports are required. This includes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which cover universality. To Arirang there is heal cultural heritage. The mode of life strategy and commercialization plan with leadership from the Korean wave create harmonizing Arirang heritage. he Arirang research is necessary to achieve all of these potentials.

      • KCI등재

        『두 개의 달을 걷다』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전략

        홍은택 ( Hong Euntaek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8 No.-

        샤론 크리치의 『두 개의 달을 걷다』는 이야기 속 이야기이고 이야기들에 관한 이야기이며 여행의 기록이자 이 모든 것을 하나로 합쳐놓은 청소년소설이다. 크리치는 뉴베리상을 수상한 이 작품으로 장기간에 걸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 작품이 지속적으로 독자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이유는 작가가 스토리텔러로서 스토리텔링에 담겨야 할 필수요소 네 가지 즉, 메시지, 등장인물, 갈등, 플롯 등을 효과적으로 상호침투 시키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작품에서 스토리텔링의 네 가지 필수요소들이 각각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내면서도 치밀한 전략에 의해 유기적으로 혼합될 때 그 작품은 흥미롭고 가치 있는 이야기로 거듭나게 된다. 작품에서 주인공 샐은 엄마를 찾아가는 여행에서 친구 피비의 이야기를 조부모에게 들려준다. 그 과정에서 피비의 이야기 뒤에 자신과 엄마의 이야기가 숨어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샐은 이야기 속에서 이야기를 하는 스토리텔러인 셈이다. 작품의 화자이기도 한 샐은 결국 작가 샤론 크리치의 페르소나이다. 따라서 샐이 해나가는 스토리텔링은 곧 크리치의 것이라 할 수 있다. 크리치가 스토리텔링의 필수요소 네가지를 통해 정교하고 치밀하게 구사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은 『두 개의 달을 걷다』를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작품으로 만들어 독자들을 매혹시킨다. Sharon Creech's Walk Two Moons is a story within a story. a story about stories, a travelogue, and a young adult novel all rolled into one. Creech became a long-term best-selling author who won the Newbery Award with the work. The reason why the work has continuously received readers' attention and love is because the writer as storytellers used the storytelling strategy to effectively interpenetrate four essential elements, such as messages, characters, conflicts and plot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storytelling. When the four essential elements of storytelling in a work are organically blended by meticulous strategies, while clearly revealing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work becomes an interesting and valuable story. In Walk Two Moons, the main character Sal tells the story of her friend Phoebe to his grandparents on a trip to his mother. In the process of storytelling, she realizes that the story of herself and her mother is hidden behind Phoebe's. Sal is a storyteller who talks in a story. Sal, who is also the narrator of the work, is ultimately its author Sharon Creech’s persona. So the storytelling that Sal does is what Creech does. Her sophisticated and meticulous storytelling strategy, through four essential elements of storytelling, enthralls readers by making Walk Two Moons a curious and interesting work.

      • KCI등재

        문화원형을 활용한 게임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이재홍(Lee, Jae-H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7 No.-

        게임 콘텐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큰 주역이다. 게임의 산업적인 비중이 커지면서 질적으로든, 양적으로든, 콘텐츠를 생산해 내는 기술력은 급속하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를 구성하는 이야기가 점차 고갈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산업을 뒤바침할 수 있는 스토리를 발굴해내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지금은 지구상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있는 판타지 〈해리포터〉, 3D애니메이션 〈Avatar〉, 온라인게임 〈World of Warcraf〉 등과 같은 킬러 콘텐츠를 탄생시킬 수 있는 스토리텔러의 양성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기이다. 이 논문을 통해 숭실대학교 문예창작학과의 학생들의 게임스토리텔링을 통해, 고전 문학을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그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그 결과 게임스토리텔링은 문예창작학과를 비롯한 인문학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분야라는 사실을 엿볼 수 있었다. Game contents are the driving force of the digital media era. As the gaming industry grows bigger, contents technologies are also rapidly developing in both their quality and quantity, while the story sources of the contents are depleting. Accordingly, digging out new stories that can support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emerging as an urgent issue. Now is the time to double the effort to create, so called, “killer contents,” such as globally-hit fantasy “Harry Potter,” 3D animation “Avatar,” and online game “World of Warcraf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methodology and possibilities that make full use of classic literature as a sourc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game storytelling works conducted by students of Creative Writing Department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found that the game storytelling field should be the cultivated not only by creative writers, but also the humanities field.

      • KCI등재
      •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희곡무대화와 관광과의 연계 : 극단 벅수골 중심으로

        제상아,박치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극단 벅수골은 1981년에 창단되어 운영적 측면이나 재정적인 측면 등 열악한 환경이었지만 지역작가 지역이야기기 시리즈로 통영문화자원을 활용하여 통영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육성, 활용하려고 하는 의지를 실현시키려는 노력을 꾸준히 펼쳐오고 있다. 지역소재 이야기를 희곡화하고 무대화하는 과정과 결과론적으로 관객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대중성 확보의 어려움이 적잖이 발견되어, 1994년부터 2001년 그리고 2008년부터 2012년에는 일반창작품으로 회귀하였다. 그러나 2013년도부터 지역문화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연의 전문적인 기획으로 상품성, 대중성, 작품성을 관객에게 접근 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에 집중한다. 그리고 2015년부터는 ‘통영 로드 스토리 텔러’라는 기획섹션을 선보여 통영문화자원을 활용한 연극콘텐츠와 관광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였지만 관광과의 연계는 미비한 점이 드러나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 다루려고 하는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희곡무대화와 관광과의 연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통영문화콘텐츠의 다양성을 희곡 무대화하여 통영문화예술을 향유하며 희곡 무대화된 공연을 관객이 관람하고 스토리 배경이 된 문화자원 공간을 찾아 배우가 이야기꾼이 되어 관객과의 여행을 하는 ‘통영 로드 스토리 텔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5·18과 서사: 고통, 신체, 재현 -임철우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박숙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In this thesis, Lim, Cheol-woo's early novels were analyzed as 'Wounded Storyteller' and 'Body in Solidarity'. Lim, Cheol-woo recreates ‘5·18’ as a person in pain before 1987, when media coverage of ‘5·18’ was banned, and questions the ethics of literature. In previous studies, such narrative representations were judged to be overly lyrical and under-represented or evaluated as 'the unrepresentation' language.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 new perspective on the 'language of pain' was necessary. Wounded Storyteller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tive ability to say continuously through metaphor, the 'something' of pain, but because the 'what' cannot be specified. Even though Wounded Storyteller continues to speak of suffering, it is not an appropriate ethical and literary evaluation to say that it cannot be a ‘testimony’ or to dismiss it as a language of ‘lyricism’. Lim, Cheol-woo's early novels suggest the fact that '5·18' is continuing through Wounded Storyteller. The characters in the novel either sense that there is a system for managing life through 'inclusive exclusion' within the country after '5·18', or they live their lives while being overwhelmed by that order. However, after ‘5·18’, as the characters who lived each meet, the latent anxiety and fear materializes. As a result, all the characters face each other's faces, who are afraid of the sound of a siren with a 'white face'. Whether it is a Wounded Storyteller or a person living independently of him, the fact that ‘5·18’ continues and ‘commons of pain’ is revealed. The 'face of pain' becomes collective. Through this, it shows that the ethics of literature can start right from ‘words of pain’. 이 글에서는 5·18을 재현하고 있는 임철우 초기 소설을 고통의 말과 연대하는 신체로 분석했다. 임철우는 ‘5·18’ 관련 언론 보도가 금지되었던 1987년 이전에, ‘5·18’로 고통스러워 하는 인물을 재현하지만 고통의 ‘재현불가능성’ 그 이상을 구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통의 말’을 기존의 언어적 재현 체제로 진단하는 대신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의 말과 정동의 문제로 살펴보고자 했다. 고통의 당사자는 고통의 ‘무엇’을 말하려고 하지만 기존 언어 질서를 통해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그 ‘무엇’을 대신 지칭하는 은유의 용법을 사용한다. 또 고통의 원인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말을 하는 환유의 특징도 보인다. 즉 ‘재현가능성’이나 ‘증언가능성’의 척도와 무관하게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는 지속적으로 고통에 대해 말한다. 그러므로 고통의 말을 감정 과잉의 미달된 서사의 근거로 진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또다른 언어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들의 말하기와 정동의 신체성에 주목했다. 고통 속에 놓여있는 인물들은 우발적으로 조우하거나 마주치는 순간 고통의 증상이 신체적으로 전이된다. ‘5·18’ 이후 각자 살아가던 인물들이 우연한 계기로 만나게 되면서 잠복된 불안과 공포가 신체화 되는데, 그로 인해 일상적인 사이렌 소리에도 특정 사건을 상상하며 ‘하얀 낯빛’을 드러내게 된다. 그 결과 ‘고통의 얼굴’을 서로 확인하게 되면서 고통의 원인이 가시화되고 복수화된다. 즉 고통의 공통성이 발견되면서 이들의 정동이 능동적인 힘을 얻게 된다. 이 변화는 고통의 말을 어떻게 들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모색해야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시사한다.

      • KCI등재

        생명/서사의 탄생과 돌봄을 주관하는 삼신 신격의 특성: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를 중심으로

        이은우 ( Lee Eunwoo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科學硏究 Vol.49 No.-

        출산은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생명의 가치를 창조하는 행위이지만, 이는 아이와 산모 모두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동반한다. 삼신은 잉태에서부터 순산까지를 관장하여 산모와 아이의 생명을 수호한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린 생명이 성인으로 온전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출산 이후에도 삼신이 주관하는 돌봄의 가치가 여전히 유효하다. 때문에 삼신은 전통적으로 출산과 양육을 관장하는 여성 가신으로 중요하게 모셔졌다. 드라마 <도깨비>에서는 삼신을 작중 인물로 등장시켜 삼신 신격이 구현하는 생명의 산육신이라는 면모를 전통적으로 그리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먼저 삼신 신격이 가진 전통적 면모로는 ‘어머니’라는 존재와 모성이라는 속성을 통해 생명을 돌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작중 삼신은 무속 신앙의 전통에 따라 ‘할머니’와 ‘아기씨’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미혼모 은탁모가 아이를 낳고, 고아 은탁이 자립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삼신의 신성은 붉은 의상과 푸성귀라는 의·식·주의 문화코드로 생명력을 가시화한다. 그리고 ‘조실부모 사고무탁’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돌봄의 소외자들에게 비혈연으로 이어진 유사 가족을 구성하여 공존하고, 이를 통해 자본주의적 위계 질서를 공정한 관계로 재구축한다. 한편 드라마 <도깨비>에는 기억과 상상으로 서사를 창조하고 이를 전승하는 스토리텔러로서의 모습으로 삼신 신격의 개성적인 면모를 구현한다. 이는 삼신이 갖는 생명의 창조와 양육이라는 가치를 서사의 차원으로 확장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드라마는 인간은 ‘기억’을 통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몸이 음식을 먹음으로 생존하듯, 영혼은 경험을 하고 그것을 기억하는 행위를 통해 유지된다. 드라마 <도깨비>에서 삼신을 인간이 망각하고 싶지 않은 경험과 대상을 기억하게끔 매개물을 전달하고, 그들의 서사를 이야기로 직조해 계승 전파한다. 또한 생명과 서사의 창조와 양육/전승이라는 가치는 신에게서 인간으로라는 일방적인 수혜에 그치지 않고 작중 여성 인물을 통해 계승 확장된다. 생명의 돌봄이라는 가치는 작중 여성 인물들을 통해 순환하며 지속된다. 그리고 기억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스토리텔러로의 가치 역시 라디오라는 매체를 통해 전파 계승된다. 생명의 탄생과 돌봄을 주관하는 여신으로서의 삼신 신격의 특성은 서사를 창조(탄생)하고 전승(돌봄)하는 스토리텔러의 모습으로 변주된다. 또한 이러한 가치 실현 양상은 삼신―인간으로의 일방적 관계를 넘어서, 인간―인간, 인간―귀신 등의 관계로 수혜와 시혜, 인간과 비인간, 구술과 매체라는 경계를 허물고 확장된다.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인구 절벽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책은 본질적으로 금전적 보상이라는 차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드라마 <도깨비>에 재현된 삼신은 우리에게 생명의 본질이 사랑과 행복임을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돌봄의 연대가 필요함을 상기시켜준다. The Samshin is a Korean god based on tradition, and a female house spirit in charge of childbirth and parenting. Childbirth is an act that creates the value of life that is irreplaceable to anything else, but it carries a risk that can lead to the death of both the child and the mother. The Samshin helps give birth to a child and protects the lives of the mother and the child. In addition, in order for a single young life to fully grow into an adult, the samshin has traditionally been enshrined as important because the values of parenting and care organized by the Samshin are still valid. In the drama Guardian: The Lonely and Great God, the Samshin appear as characters in the work, traditionally and creatively inheriting the aspect of the mountain god of life embodied by the Samshin. First of all, the traditional aspect of the god of the Samshin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taking care of life through the existence of a mother and the nature of motherhood.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shamanism, the Samshin appears in the form of grandmother and maiden, wearing a red costume symbolizing vitality, to help a single mother, Euntak, give birth to a child and the orphan, Euntak, become self-reliant. On the other hand, in the drama Guardian: The Lonely and Great God, the individual aspects of the gods are realized as a storyteller who creates narratives with memory and imagination and transmits them. This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value of the creation and nurture of life of the Samshin to the level of narrative. In addition, the value of creation and nurture/transfer of life and narrative does not stop at the unilateral benefit of God to man, but is inherited and extended through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 The countermeasure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population cliff facing our society today are essentially beyond the dimension of monetary compensation. The Samshin reproduced in the drama Guardian: The Lonely and Great God reminds us that the essence of life is love and happiness, and that countless solidarity of care is necessary to realiz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