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학생활동중심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 및 교육적 효과 질적 탐색

        이성하(Lee, S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평생교육방법론 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전략 및 교육적 효과를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K대학교의 평생교육방법론 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K 대학교의 평생교육방법론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학생활동중심수업의 개념 및 특징, 교수 방법의 주요 특징과 활용 유의점, 수업 운영의 핵심 전략, 교육적 효과를 탐색했다. 둘째, 평생교 육방법론교수자료와 학생활동 결과물 및 평가 자료의 질적 탐색을 통해 이 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과 평가 전략을 추출했다. 셋째, 자기성창일지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변화된 지식, 기술, 태도를 탐색하여 교육적 효과를 도출했다. 자료는 2016년 8월부터 12월까지의 16주 수업 시간을 통해 수시로 수집했고 수업 설계서, 학습 활동 워크시트, 과제 및 수업시연 평가지, 자기성찰일지의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이 수업에 적용한 학생 참여 전략은 ‘워크시트를 수업도구로 이용’, ‘개별, 2인(파트너), 그룹, 전체 활동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확장’, ‘교수자는 촉진자, 조언자의 역할’, ‘학습목표설정, 학습내용조직, 실행, 평가에 이르는 활동에 학생이 스스로 참여하도록 유도’ 하는 것이었다. 평가 전략은 ‘과제 및 수업시 연에 대한 학생 상호 피드백 평가’이었다. 교육적 효과는 학생의 자기성찰활동일지를 통해 이 수업이 예비 평생교육사로서 갖추어야 할 티칭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 수업사례연구는 학생활동중심수업의 학 생 참여 전략과 공정한 평가 전략을 고민하는 교수자에게 관련된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생활동중심수업모델 발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qualitatively the educational effects, explore learning-activity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strategies in the student activities-centered class,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the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course of K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strategies in this class?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in this class?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Literature were reviewed regarding of the concept, the characteristics, the notes on application teaching method type, the instructional case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 activities-centered clas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alysis was carried out by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ies regarding of the teaching materials used in the class, student activity data, evaluation data and reflec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ent learning-activity participation strategies, the professor utilized worksheets for activities of one, two, group and all students in class. The professor played a role as facilitator and assistant. Students conducted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performed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based on what they learned in clas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ent’ activities evaluation strategies, the professor encouraged students to perform feedback evaluations on thei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strategy,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self-reflection report of the students that these strategies can have a potentially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eaching skills as a preliminary teacher.

      • 학습 과제 유형별 플립러닝 수업 설계 전략

        권구경,전연홍,권택환,정현미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플립러닝은 교실 수업 전에 학습자들이 수업에서 다룰 내용을 사전 영상을 통해 익히고, 교실수업에서는 그 내용을 바탕으로 팀이나 개인적으로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적용 및 종합하는 수업방법이다. 현재 플립러닝은 많은 교육기관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플립러닝에서 교실 안 활동과 교실 밖 활동이 밀접하게 연계되도록 하는 전략이 명확하게 도출된 것이 거의 없고, 현장의 교수자들이 플립러닝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잘 모른다. 교수자들이 폴립러닝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능력이 수업설계능력이라고 보고하였으나 공통적인 플립러닝 수업전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대학 수업에서 기본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용어에 대한 정보(언어정보)이며 그것을 습득하는 과정이 변별과 개념이다. 그리고 배운 기본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원리와 문제해결이 발생한다. 그리고 일부 교양 수업에서는 운동기능과 태도를 가르치기도 한다. 이러한 학습 과제 유형별로 플립러닝 수업 전략을 도출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들이 적용할 수 있는 플립러닝 수업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며, 둘째, 학습과제 유형별 폴립러닝 수업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 및 종합을 공통적인 플립러닝 수업 설계 전략과 학습 과제 유형별 수업 설계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들이 플립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공통적인 플립러닝 수업 전략을 12가지 원리와 이에 따른 상세전략을 도출하였으며, 학습 과제 유형별 플립러닝 수업 전략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전략들은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할 때 교수자들이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며, 그 결과 개별 학습자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출된 전략은 추후 효과성 검증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신재한(Sin Jae-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cognitive monitoring strategy)과 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 이론을 접목하여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Gagn?의 수업사상과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의 관계를 살펴보고,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의 Gagn? 수업사상별 분류를 하였으며,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 개발 및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BR>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은 모든 교과나 교육 내용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교과의 특성 및 교육 내용 등을 고려하여 모형 적용의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둘째,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을 통해 교사가 의도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 환경 및 여건, 사회적ㆍ시대적 변화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BR>  이상과 같이, 살펴 본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을 활용한 인지적 도제 수업 모형은 하나의 예시안이므로,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해야 함은 물론, 대표적인 모델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는 학교 환경 및 여건, 지역의 특성, 학생의 특성, 교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of cognitive apprenticeship using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and to suggest the 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at purpose,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were first integrated with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which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Gagn?"s instructional events and instructional model of cognitive apprenticeship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of cognitive apprenticeship using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Then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Gagn?"s instructional ideas. There are certain things to consider first in order to provide classe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more effectively using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First, it"s not a principle that an instructional model of cognitive apprenticeship using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all subjects or educational contents. The applicability needs to be first check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and educational contents. Second, the teacher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giv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and the changes to the society and time so that he or she can attain the intended educational goals through classe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using the cognitive monitoring strategies.<BR>  Since the suggested instructional model is only an example, they should make efforts to identify and correct problems with its application to actual classes. Keeping it in mind that it"s not one universal model,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dition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tudents, and subject in reorganizing their own version.

      • KCI등재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 분석

        최상호,하정미,김동중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멘토링을 이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이 어떻게 학생의 수업 참여와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료 멘토링 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수업과정 중에서 대표적인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한 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참여전략과 수학적 개념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1학기말 수학 성취도와 2학기말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료 멘토링에서의 편안한 분위기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에서의 다양한 수업 참여전략과 멘토링의 효과성에 따른 교사의 적절한 발문은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한편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적 개념 형성과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수법과 교사의 역할과 기여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을 동시에 고려하는 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 engagement by analyzing how a teacher’s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questioning strategies affect class participation and problem solving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As for the purpose, after recording 7th grader’s classroom using a peer mentoring and transcribing classroom discourse, we analyzed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for class participation and questioning strategies for help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and compared mathematics achievements in mid-term and final exams. As results, in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comfortable atmosphere, diverse stud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appropriate questioning strategies with effectiveness of peer mentoring encourag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by motivating them, helped them to develop mathematical concepts and deepen understanding of problem solving through effective social interactions, and improved student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results can practically help to develop class design considering both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by specifically presenting a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and teacher’s contributions to it.

      • KCI등재

        K-MOOC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전략 개발

        강정찬(Kang J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K-MOOC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전략을 수업설계 차원에서 탐색해 보고 수업모형 및 세부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고찰 후 K-MOOC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수정·보완과정을 거쳐 세부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 과, 첫째, K-MOOC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전략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교과목 교육과정 설계나 단원 수준에서 수업을 설계할 때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 및 거시적 설계전 략과 차시 수준에서 수업설계 및 실행에 필요한 세부전략인 미시적 수업전략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본 수업모형은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통합한 플립드 러닝 전략에 기반을 두고, 온라인 학습에서 면대면 학습, 다시 온라인 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9가지 거시적 설계전략을 진행 과정 및 절차에 따라 제시하였다. 셋째, 세부전략인 미시적 수업전략은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이 효과 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및 확장 전략, 온라인 및 면대면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행전략 등으로 7가지 전략을 전반부(도입)-중반부(전개)-후반부(정 리)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모형 및 세부전략은 교수자에게 K-MOOC의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서 한 학기 교과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강의계획서를 작성하거나 한 차시 수업을 설계, 실행하고자 할 때 온라인 학습 내용을 어떻게 면대면 학습 내용과 연계시켜 진행할 것인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교수· 학습전략을 사용할 것인지 등에 대한 실행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rategies of using flip-learning using K-MOOC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o propose concret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we developed a flipped learning teaching model using K-MOOC by applying practical research method, and presented a detailed strategy for utilizing it.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using K-MOOC develop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and detailed strategy using K-MOOC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One part was developed as the micro teaching strategy which is a detailed strategy required for teaching design and execution. The other part was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as the macro instructional strategy. Second, this instruction model is based on a flipped learning strategy that effectively integrates the merits of online 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In order to be able to link face-to-face learning to online learning again, 9 macro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proposed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cess. Third, the micro teaching strategy, which is a detailed strategy of the instructional model, is composed of 7 strategies as the implementation strateg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first(introduction) -middle(development) - later (summary) stages. These instructional model and detailed strategies are designed to use online contents of K-MOOC to design curriculum of one semester course, to prepare lecture plan. And to provide a concret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 탐색

        정민수,장 성 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원리가 문화다양성 수업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화다양성 특질에 맞는 수업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화다양성 수업을 개선하여 새로운 문화다양성에 관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과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절차와 구성 요소 등을 형성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스토리텔링의 수업설계 원리와 전략을 문화다양성의 CRP(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교수법에 반영하여 개발하였으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성기법을 매개로 CRP의 3단계 교수전략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12가지 핵심개념 및 가치들을 연결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수업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CRP 1단계 교수전략은 개념분석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핵심개념 및 가치 분석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제기-개념정의-사례발견-개념분석-개념적용으로 구성하였다. 다음 CRP 2단계 교수전략은 가치명료화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정서 및 심리 공감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파악-선택하기-긍지다지기-행동하기-명료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CRP 3단계 교수전략은 가상체험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표현 및 실행 경험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과제파악-상황제시-활동선택-체험실시-내면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수업전략의 특징에 맞춰 이야기 들어가기-이야기 생각하기-이야기 연결하기-이야기 만들기-이야기 공유하기 단계를 스토리텔링 전략에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문헌고찰과 형성연구를 통하여 고안되었으므로 본 수업모형의 현장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후속 연구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story telling principle can be linked with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t developing instruction strategy and strategy, appropriate to cultural diversity traits, at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nd at offering development strategy and ideas of teacher guide books on new cultural diversity. 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literatures, related with story telling and cultural diversity, and developed the procedure and component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applying instruction design principle and strategy of story telling to CPR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teaching method of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organiz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carrying CPR 3-step teaching method strategy, and 12 core concepts and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story composition method of story telling. Concrete teaching strategy and instruction procedure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are as followings. First, the 1st step teaching strategy of CRP is core concept and value analysis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concept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presentation - concept definition - case discovery - concept analysis - concept application. Next, the 2n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mpathy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alue clarity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grasping - selection - pride confirmation - activity - clarification. At last, the 3r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expression and action experience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ertical experience activity,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subject grasping - situation presentation - activity selection - experience implementation - internalization. The culture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was invented through literature model. So, related with sit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experiential study and investigation research are indispensible.

      • KCI등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 탐색

        강정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through the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hat include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Method: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was developed through action research that utilize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 and field application.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effective and various teaching management information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Second,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were developed to implement 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analysis to improve teaching management. The teaching management analysis methods and tools use the processes of analysis that w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ree steps (diagnostic analysis, analysis of classroom activities, handling of the results). Conclusion: These improvement methods of teaching managemen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design and practice systematic teaching management strategies .to instructional analysts and teachers. Also, it will provide methods and tools of reflective managem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class management. 연구목적: 수업경영과 관련된 하위요소와 구체적인 세부전략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경영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 적용하여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실천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개발하고, 교사 2명을 선정하여 현장 사례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의 수집,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을 수정·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으로 첫째, 효과적이고 다양한 수업경영 정보에 기반을 둔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으로 구성 제시하였다. 체계적 수업경영 전략은 크게 4개 영역 구성요소로 수업시간 관리, 수업자원 관리, 언어적 표현 전략, 비언어적 표현전략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하위 전략 및 세부 하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교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해당 설명을 개요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수업경영 개선을 위한 체계적 수업분석을 실천하기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수업경영 분석 절차는 진단분석 - 수업분석 - 결과 처치의 3단계 과정을 거치되 각 단계별로 필요한 수업경영 분석도구로 진단분석도구인 체크리스트와 성찰일지, 수업분석도구로 수업관찰 및 분석도구인 수업시간 관리 분석도구, 수업자원 관리 분석도구, 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비언어적 표현전략 분석도구, 결과 처치도구로 방사형 그래프와 종합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논의 및 결론: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경영 향상 방안은 현장 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수업경영 전략에 대한 설계 및 실천에 실제적인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경영 분석방법 및 도구를 제시하여 수업경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성적 성찰방법 및 도구, 자기 성찰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원격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 탐색: 사례 분석을 통한 학습 지원, 심리․정서 지원, 사회성 지원 전략 탐색

        도재우,최선혜,박규리,김수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코로나19 상황에서 원격수업의 장기적 활용과 등교일수 감소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격차 심화, 심리․정서 불안 심화, 사회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교육부는 교육회복이라는 접근으로 학생들의 학습, 심리‧정서, 사회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회복의 필요성과 함께 원격수업 상황에서 교사가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온라인 교사 14명의 실시간 화상수업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을 학습 지원, 심리․정서 지원, 사회성 지원 전략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총 8개의 수업전략을 도출하였고, 각 전략은 실제 활용예시와 함께 소개하였다. 원격수업 활용의 장기화와 더불어 미래교육방법으로 원격수업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안하는 원격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회복을 위한 수업전략은 원격수업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실천적 교수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학습문제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증진 방안에 대한 고찰 : 통합학급의 국어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 KCI등재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in the Havruta instructional model and to implement it actively in the field. For the research method, the Havruta class model and its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follow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question-, argument-, comparison-, friend-, and problem-centered Havruta class models. The core of all five Havruta teaching models is a question. Havruta is a typical educational method that emphasizes questioning, talking, and discussing, but it is not used to teach students how to ask questions, which depends on an individual's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question-gener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the hope point enumeration, defect enumeration methods, and the check method. By using these strategies, the Havruta class model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teach questioning techniques in advance when having a Havruta class in the school field through a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so that the Havruta class is activated. In addition, the manner of asking questions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a class. It is important to faithfully teach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technique. It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o have enough class time in order for the Havruta class to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f there is limited time for discussion, it is better not to use the Havruta method because the it requires sufficient discussion time. It is recommended to set aside sufficient time for discussion and conduct a question-creation strategy class in advance, followed by the Havruta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과 질문생성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하브루타 수업모형은 질문 중심, 논쟁 중심, 비교 중심, 친구 가르치기 중심, 문제 만들기 중심 수업모형을 살펴보았다. 5가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두 핵심은 질문이다. 질문을 강조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교육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하브루타이다. 그러나 질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 않는다. 질문하는 방법은 개인의 역량으로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문생성 전략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희망점 열거법, 결점열거법, 점검법이다. 이 세 가지 질문생성 전략을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활용함으로써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질문생성전략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하브루타 수업할 때 질문기법들을 사전에 가르쳐서 하브루타 수업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가 수업의 질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문생성전략 기법을 충실히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하브루타 수업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을 충분히 가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토론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하부루타 수업방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하브루타 수업은 충분한 토론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충분한 토론시간을 마련하고 질문생성전략 수업을 사전에 한 후 하브루타 수업을 할 것을 권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