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소비자니즈 분석 - Generative Tools를 적용하여 -
유현정,김동준,송유진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sumer need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using generative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 necessity of convenien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health promotion. Second,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the necessity of packaging and aesthetic impression. Third, the necessity of hygiene and safety was drawn from the "sincerely prepared home-cooked foo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develop non-timber forest products: The first is the semi-processed food items. And the second is the pre-washed food materials 본 연구는 임가의 소득 향상을 위하여 식용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소비자니즈를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소비자 25명을 대상으로 Generative Tools 조사기법을 적용하여 소비자니즈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해 간편성, 친환경성, 건강 증진을 니즈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해 상품의 포장과 심미성에 대한니즈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소득임산물과 같은 슬로우푸드를 재료로 하는 ‘정성스런 가정식’을 위한 위생과 안전이라는 니즈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소비자니즈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단기소득임산물 제품 개발방안은 첫째, 단기소득임산물을 재료로 한 반조리 가공 식품을 개발하고, 둘째, 세척식재료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김운걸,이정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In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is also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pace design is an expansion of marketing concep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consumer's needs in marketing area, in other words, to review 'consumer's spatial needs'. Research methods were to extract the roles and scope of space design from the design marking cases from enterprises, to make an evaluation chart based on the results and then to perfor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corporate brands, that expands and is reorganized into the area including space concept, is not limited to a simple tool of marketing. Second,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for marketing space, the importance of space is even more emphasized. Third, the consumer's needs not only includes products and service but also the concept of needs for space. Also, case analysis shows that a spatial experience and desire for level up could be a main point and the types of spatial experience have been developed in the various forms of experience. In addition, the space design marketing includes the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making the space provided by the enterprises into a place to satisfy customer’s needs or improving the image of enterprises or brands by providing product experience through space. In conclusion, it requir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ace and review the awareness of spac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consumer's spatial needs' needs to be understood and this will serve as a momentum to shed new light on spac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서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 인식이 확대되면서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이 마케팅 개념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마케팅 영역에서 공간과 소비자 니즈의 관계,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에 대한 연구진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기업이 제공하는 마케팅 영역에서의 공간 디자인 역할과 그 범위에서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표를 작성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개편되는 기업의 브랜드 영역은 단순히 마케팅 도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둘째, 마케팅 공간에 있어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 된다. 셋째, 소비자의 니즈는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그치지 않고 공간에 대한 니즈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사례분석 결과 공간적 체험과 레벨 업 욕구 등이 주요 관점이 될 수 있었으며, 그 공간적 체험의 유형은 다양한 체험의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공간디자인 마케팅은 기업이 제공하는 공간을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직접 만들거나 공간을 매개로 한 소비자 체험을 제공해 기업 및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마케팅 활동까지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는 공간에 대한 중요성과 그 인식의 재조명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의 개념적 인식이 필요한데 이는 공간에 대한 재조명과 그 중요성 인식의 계기가 될 것이다.
김운걸,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3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과 함께,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기업의 브랜드 전략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 및 공간 디자인 마케팅 개념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즉, 제3공간에서 공간에 대한 소비자 니즈의 중요성 적용 및 재조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 3공간에서의 공간 디자인 마케팅 사례를 그 범위로 하여 종합평가 매트릭스 표를 작성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브랜드 영역은 마케팅 도구에 한정되지 않고, 공간 개념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둘째,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셋째,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뿐만 아니라, 그 상품과 서비스를 담고 있는 공간에 대한 니즈가 필요하다.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including the concept of space have been increasing with awareness that space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Accordingly this study begins at the point of view on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and the extension of space design marketing concept.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apply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spatial needs in the third space and reconsidering it. Based on space design marketing cases in the third space that enterprises provide, comprehensive matrixes for evaluation were made and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rea of corporate brands is not limited to a marketing tool but expanded to the area including the concept of space. Secondly, the importance of space is growing as awareness that space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have been increasing. Lastly, not only needs for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those for space that contains them are necessary.
니즈속성의 중요성과 시급성에 의한 R&D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탐색 연구
한성수(Sung-soo Han),최새솔(Saesol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3
제품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킴으로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이끌어내게 되며, 결국 제품은 니즈속성의 조합으로 인식된다. R&D란 이러한 니즈속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일련의 기술개발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시장 지향적 R&D 시대에는 니즈속성에 기반을 둔 R&D를 전개함으로서 그 정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소비자의 니즈속성을 통해 R&D 영역의 우선순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특정 제품의 속성(기능)에 대한 중요성 정도와 그 속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속성의 시급성에 따라 바람직한 단계별 R&D 진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제품으로서의 SMART TV를 대상으로 SMART TV분야의 R&D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SMART TV 제품컨셉은 4단계로 진화(대형화면/고화질 TV, 개방형/참여형 TV, 실감형 TV, 개인화 TV)될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결과는 복수의 니즈속성을 가진 제품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시장에서 요구되는 니즈속성을 우선적으로 충족시키는 R&D를 추구함으로써 제품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R&D전략의 측면에서 R&D로드맵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분석 틀을 제공한다. Products elicit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by satisfying their needs and are cognized as the combination of various needs attributes. Also R&D is referred as a series of technical development activities to meet the consumer’s needs attributes. In particular, in the marketoriented R&D era, it could obtain the legitimacy by developing the R&D based on the needs attribut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iority setting in R&D field, considering consumer’s needs attributes. To be concrete, we tried to present the evolutional direction of desirable phased R&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degree for consumers on the attributes (functions) of the certain products’ and ‘the urgency degree of technical quality to fulfill its needs’. To achieve this, we targeted SMART TV, the convergence product, which contains the uncertainty in terms of marketability and technological aspect, and analyzed the priority of the R&D in SMART TV fiel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4-steps product concept (ultra high definition TV, interactive TV, 3D/immersive TV, personalized TV) is derived by analyzing the evolutional direction of R&D in SMART TV field.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success possibilities of product could be enhanced during the process of the evolution of products that have multiple needs attributes, by pursuing the R&D which fulfills the needs attribute first required in the market. In addition, it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o design the R&D roadmap in an aspect of R&D strategy.
김경신(Kyung Shin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원료 채취, 운송,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복잡한 과정의 환경영향 측정을 통한 전과정평가를 이해하기 어렵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단계에서의 필요를 알고자 구체적인 제품으로 친환경기저귀를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상시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긍정적 수용도가 높았고 직접적인 제품 구매와 연관이 있었으며 제품 구매 시 직접적 혜택을 주는지 여부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제품력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친환경성’은 기업에서 전과정 평가를 통해 도출되는 정량적인 환경성이 아니고 기능적 차원에서 제품의 주 속성과 연관되어야 하고 제품 사용을 통한 실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친환경제품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친환경제품 개발 시 제품의 환경성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친환경제품이 주는 가치와 혜택을 소비자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life cycle assessments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attributes pertain to the "most important" stage, the usage stage. In order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their needs during product usage stages, a consumer survey is conducted with mothers who use diapers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that those who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ha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at providing direct benefits or excellent product qual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urchases. Consumers’ cogni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y life cycle assessment but impact assessments due to the specific attributes relating to the main function and the actual valu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consumer needs analysis has to be integrated with the company’s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ue/benefit from the product should be provid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언어와 비언어적 연구방법의 융합을 통한 소비자니즈 분석: 소비자니즈의 차원과 도구의 차이
김기옥 ( Kee Ok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iscover underlying dimensions of consumer needs with generative tools that converges verbal and non-verbal methods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a tool in eliciting consumer needs by comparing results obtained by different tools. Three previous projects of searching consumer needs are utilized as the data for this study. The projects were about university students’ needs on devices supporting study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health care service design for teenagers, and health care service design for local hospitals. Three dimensions are found and the combinations of the three produce eight types of consumer needs. The three dimensional eight type framework of consumer needs is applied for comparing differences among different tools. Workbooks and 3-D modeling proved to be good tools in eliciting functional and improvable needs, while collages turned out to be good tools for revealing emotional needs. The younger generation reveals their willingness to extend their capabilities and be empowered, while adults’ scopes are much narrower within the boundary of improvements in their current situations.
중국 박물관 문화상품의 소비자 니즈 및 마케팅 융합 전략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장유림,한정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본 연구는 박물관 문화상품의 시장 현황, 소비 니즈, 마케팅 융합 전략, 디자인 융합 전략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박물관 문화상품의 발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 통계학 관련 도구를 이용하여 현재 온라인 중국 박물관 문화상품의 시장 현황과 소비 수요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효과적인 마케팅 및 디자인 전략을 맞춤형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현황분석은 온라인 쇼핑몰의 박물관 문화상품 판매 정보를 수집한 후, 데이터를 코딩하고, 중국 각 지역의 시장현황별, 종류별 분포 현황, 판매 가격 현황, 발전된 10 개 박물관 및 히트 상품 현황 별로 분류하였다. 다음 파이썬 크롤러를 통해 박물관 히트 상품의 리뷰 내용을 수집하고, NLP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코딩 후, FGI 를 통해 소비자가 문화상품을 구매할 때 기능적, 미학적 속성에 대한 니즈를 도출하였다. 다음, 설문조사 및 Spss를 통해 소비 니즈 요인의 선호도 및 그룹별 소비차이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히트 상품 및 최신 3월 히트 상품을 비교하여 소비의 변화 추세가 가정용품과 식품류 문화상품 등을 더 많이 구매하게 하는 것 등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시장 배치, 상품 품목 배치, 상품 가격 책정, 박물관 브랜드 전략 그리고 소비자 니즈 및 선호도를 충족하고, 소비층을 정확히 포지셔닝 하며, 소비 트렌드에 순응하는 제품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소비자 트렌드를 읽어 디자인 수준을 향상시키며, 문화상품산업의 전반적인 발전에 기여하며 문화와 박물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년과 얼리 어답터의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활동을 위한 뮤직 재킷 디자인 연구
권상희,도윤정,하지수,정기수,이성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08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를 타깃 소비자층으로 선정하고, 소비자 조사를 통해 그들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기술적 기대치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뮤직재킷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대 소비자의 성향과 니즈의 변화에 부합하는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를 개발하고자, 바디스(bodice)에 부착된 여러 개의 재생 센서를 누를 때마다 선택된 MP3의 곡을 재생하는 뮤직 재킷을 디자인하였다. 문헌연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했으며, 아이팟 나노, 메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보드, 디지털 밴드, 압력감지 센서를 사용한 재생 센서, 볼륨 센서, 정지 센서를 제작 ∙ 활용하여 기술을 구현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Jacket which can satisfy both technical and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by setting teenagers and early adopters as target consumers, and analyzing their features through consumer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 in accordance with preferences and needs of consumers of today, we designed the Music Jacket that plays a different song each time one of the many sensors on the bodice are pressed. Consumer needs were understood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and the device was made up of ipod nano, main controller, interface board, digital band, and play sensor/volume sensor/stop sensor which include pressure sensors.
국내 먹는 샘물의 브랜드이미지 강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김명산,이주현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5 No.1
The consumers in modern society hav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products and memorized the images of given products and enterprises through their package design and the package has been a communication tool for products or enterprises that consumers would first encounter at the shops; therefore, it has amounted to a large part of product images. Furthermore, brand image has been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excellence of products in modern society and the role of package design has become crucial. The form in package design not onl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but also transmitted the descriptions or information on their functions and performed the functions of delivering the images of products in a visual and tactile manner. As the importance of domestic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people have tended to purchase bottled mineral water at the shop. At this point in time, the competition of bottled mineral water has been accelerated in domestic market and a huge distribution mechanism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import of bottled mineral water has been formed. In order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it would be necessary to verify the excellence and safety of bottled mineral water produced in domestic market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lifestyles and to consider consumer needs in package design of bottled mineral water. There were only a few brands of bottled mineral water several years ago; however, there were tens of domestic brands of bottled mineral water by region. In this regard, it would be crucial to do marketing for better brand image to the consumers. In this a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establish the package design strategy for domestic bottled mineral water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ackage design of bottled mineral water produced by domestic top-ranked companies and overseas companies with regards to the package strategy that would reinforce the brand image of bottled mineral water. 현대사회의 소비자들은 패키지디자인을 통해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고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기억 하며,패키지는 소비자가 매장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제품 또는 기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제품 이미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제품의 우수성 이상으로 브랜드이미지를 중요시 여기는 현대사회에서는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패키지디자인에서의 형태는 제품의 특성을 설명해줄 뿐만 아니라 기능에 대한 설명이나 정보를 전달하며, 제품이 갖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적, 촉각적으로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경제 성장과 환경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제는 먹는 샘물을 가게에서 사서먹는 시대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 먹는 샘물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먹는 샘물의 수입이 급증하는 거대한 유통 매커니즘이 형성되어 지고 있다.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하는 먹는 샘물의 우수성과 안전성의 부각과 동시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니즈를 고려한 먹는 샘물의 패키지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먹는 샘물의 브랜드는 몇 가지 안 되었지만 지금은 국내제품만 하다라도 수십 종의 먹는 샘물브랜드가 지역별로 있는 현실 속에서 소비자에게 보다 좋은 브랜드 이미지를 마케팅 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먹는 샘물의 브랜드이미지 강화를 위한 패키지전략에 대하여 국내 상위 업체의 샘물패키지디자인 분석과 해외 샘물패키지디자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샘물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무라벨(Label-Free) 생수병의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니즈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오사가,김희현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4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11 No.3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가속화되고 패키지에 플라스틱 재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오염 문제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각 국가에서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수립했으며 무라벨은 그런 친환경 흐름 중 하나이다. 일본, 한국과 같은 선진국들은 적극적으로 홍보 및 적용을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에는 무라벨 제품이 손에 꼽을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수상한 무라벨 생수병과 중국 유일의 무라벨 생수병의 용기 형태, 컬러, 레이아웃, 브랜드 로고 4가지 브랜드의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목표는 중국의 무라벨 생수병 친환경 패키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무라벨 디자인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인식과 니즈를 결합하여 중국의 무라벨 생수병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무라벨 생수병에는 환경적 표현 요소의 제시가 부족하여 소비자의 친환경 인식이 약했다. 소비자들은 무라벨 생수병의 시각적 요소 중 정보 레이아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중국의 무라벨 생수병은 정보 배치 시 환경적 요소의 분포를 강조해야 한다. 환경적 표현 요소의 디자인에 있어 환경적 인증마크, 회수마크와 환경 친화적 문구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보완하기 위해 무라벨 생수병을 디자인할 때 이 세 가지 환경적 표현 요소를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다. Due to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around the world and water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use of plastic materials in packages, each country has also established policies to reduce the use of plastic in recent years, and Label-Free is one of such eco-friendly trends. Developed countries such as Japan and Korea are actively promoting and applying them, but China has a handful of Label-Free products.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o compare and analyze the visual elements of four brands of Label-Free bottled water and China's only Label-Free bottled water bottle, which were awarded overseas, and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hina's Label-Free bottled water packag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ing China's Label-Free bottled water design by combining Chinese consumers' eco-friendl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Label-Free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Chinese Label-Free bottled water lacked the presentation of environmental expression elements, so consumers' eco-friendly perception was weak. Since consumers think that information layout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visual elements of Label-Free bottled water, China's Label-Free bottled water should emphasize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when deploying information. Due to the high consumer needs for environmental certification marks, recovery mark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hrases in the design of environmental expression elements, these three environmental expression factors can be considered first when designing Chinese Label-Free bottled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