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 연구 - 지역사회·대학교 협력모델 제안 -

        이태승(Lee, Tae Seung),이지홍(Lee, Ji Hong),윤선희(Yoon, Sun H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노년과 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안정적·지속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의 협력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무엇이며, 세대교류를 통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의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전략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로, 예술교육 관련 문화예술단체 2인, 대학협력 관련 문화예술단체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2020년 현재 지역사회와 대학교의 협력을 중심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을 기획하고 있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지역 활동가, 주민, 인근 대학 예술학과 학생 등 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20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대교류의 가치’, ‘연극교육 전략’,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방향’이라는 3개의 주제와 이에 따른 8개의 하위주제와 2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사례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서로의 세대가 공존하고 있고 세대 간 차이의 존중을 통하여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 둘째, 연극교육의 경험을 통한 세대 간 만남은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배움과 경험적 삶의 지혜를 통해 서로에게 필요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가능하다. 셋째, 대학 문화예술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청년 예술가로서 자긍심을 고취하는 한편 현장 체험을 통한 직업 탐색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안정적 협력은 시민 예술의 자생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28개의 개념을 Communities of Practice의 원칙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의 기관과 대학, 예술가의 협업을 통하여 청년과 노년의 세대교류를 위한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협력모델은 지역사회·대학교 간의 협력을 통한 노년·청년 간의 세대교류에 보다 효율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ways to promote drama-theatre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Moreover, it established a cooperative model of the university-community of 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as a strategy to realize it stably and continuously. Three study questions were set up to realize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ly, what is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what are the expected effects of generational exchange? Secondly, what is the strategy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drama-theatre education? Thirdly, what i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strateg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ies(Stake, 200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and three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coope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candidates as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local activists, residents, and students of art departments at nearby universities. As a result, three themes, Value of Generation Exchange , Active Education Strategy and Direction of Community and University Cooperation , and eight sub-topics and 28 concept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is that each other s generations coexist and can communicate and correspond through respect fo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Secondly, intergenerational encount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drama-theater education can form the social networks necessary for each other through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and the wisdom of empirical life. Thirdly, it is possible to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through job search through field experience while promoting self-esteem as a young artist, expecting to be able to share university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ly,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community with stable cooperation can supply of power for strengthening the self-sustaining power of civil art. The 28 concepts derived from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practice in the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ve model of drama-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was proposed. Accordingly, the cooperation of loc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artists resulted in the rol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is cooperative model will enable more efficient progress in the generation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 KCI등재

        HRD 분야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 분석

        김자현,장환영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of generation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ereafter referred to by its acronym “HRD”. For this aim, researchers selected 88 papers that included research them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or within a generation in the period between 2000 to 2019. The paper adopted four analytic frameworks, which were research year, method, field, and theme. Firstly, the distinct feature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year was that generation related studies were published more from 2016 till 2019 than in any other periods. As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s, the result showed that quantitative methods using surveys were most utilized in both studies about relations between generations and studies within a generation. The analysis by research field indicated that a variety of generation related issues were addressed in a total of 20 fields of study. Lastly, through the analysis by research themes, researchers could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by categorizing common themes such as work-life balance, the current status of the labor market,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standards and mobility,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retirement preparation and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and learning, and leadership.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paper discussed issues and implications that appeared to be in synthesis and provided a review about related studies, while including the limits that this research had in the field of HR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를 분석하여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연구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을 설정하고 전체 세대 간, 개별 세대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총 89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연도, 연구방법, 연구분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분석을 살펴보면 세대 간 연구의 경우 2016∼2019년 동안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 세대 내 연구 역시 모든 세대가 2016∼2019년 동안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는 세대 간, 세대 내 연구 모두 대체로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분야별 분석에서는 총 20개의 분야에서 세대 별 연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 노동시장의 현황, 조직몰입, 직업기준과 직업이동, 세대 간 갈등, 퇴직준비와 퇴직경험, 경력개발, 교육과 학습, 리더십의 공통주제로 범주화하여 전체 세대 간, 각 세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난 관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RD 분야의 세대별 연구의 특징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시사점과 한계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학 분야에서의 세대의 개념, 범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권정윤 ( Kwon Jeong-yun ),김난도 ( Kim Rando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소비자학의 주요 개념으로서 ‘세대’를 학술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대한 검토를 목표로 하였다. 첫째, 소비자학 분야에서 세대는 어떻게 규정되어왔는가? 둘째, 대한민국 소비자는 몇 개의 세대로 나눌 수 있으며 어떠한 명칭이 적절한가? 마지막으로, 각 세대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년 간 소비자학 분야에서 게재된 세대 연구 24편을 고찰하였으며, 이 때 Kertzer의 세대개념 및 세대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호트효과·생애주기효과·시기효과의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소비자학 분야에서 세대 개념은 주로 ‘코호트적 세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생애 주기적 세대’에 속하는 중장년층과 같은 명칭 또한 개념적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다. 둘째, 가장 많이 나타난 세대 범주는 베이비붐 세대, X세대, 청년층(청년세대)이며, 베이비붐 세대를 제외한 다른 세대에 대해서는 세대범주와 명칭에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세대별로 재무적 특성,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 특성, 그 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재무적 특성에 있어서는 생애주기 효과가 강한 영향력을 보이는 반면,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는 여러 시점에 걸쳐 특성이 유지되는 코호트 효과가 강조되었으며, 그 외 특성은 세대간·시점간 비교가 불가능 하였으나 각 세대별로 강조되는 연구주제 자체가 세대의 특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시기효과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소비자학 분야에서 필요한 세대 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gene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of all ages. Although many studies in consumer research have been dealt with generations, there has been no agreement on the concept, ranges, or characteristics of consumer generations. To discuss generation as a principal research subject in consum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ng out the following points. First, what is the concept of generation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Second, how many generation groups are there and what names do they have? Finally, what are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each generation ha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generational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over the past 20 years. The 24 generational studies were selected from four major journals. The main findings show that, first, in the consumer studies field, the concept of generation is mainly used as ‘generation as a cohort’, but ‘generation as a life-cycle’ are also used. The conceptual confusion leads to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 that the cohort effect and the age effect are not distinguished. Second, frequently used generational names are the Babyboom generation, the X generation, and the young generation. In case of Generation X and the young generation, the boundary of generation group can be subdivided through more research. Third, the analysis of generational consumer values, lifestyle, and financial states reveal that life-cycle effects have strong influence o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cohort effects are emphasized in values and lifestyle aspect. Research in various topics seems to be affected by period effects indirectl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generational studies for the further research, as well a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generational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 KCI등재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

        전상진(Sangchin Chun)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5

        세대에 대한 일반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 역시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구의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세대연구 방법의 ‘빈곤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세대연구의 중요사안에 대한 합의의 부족을 들 수 있다. 특히 세대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논의는 상호대립적인 관점들, 즉 세대(집단)를 조건이 조성되면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는 관점(객관적인 조건)과, 반대로 세대(의식)의 발명 후에 세대성원들이 집결하게 된다는 입장(주관적인 계기)의 소모적인 논쟁으로 점철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세대형성 과정을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인 계기의 통일체로 간주하면서, 상호대립적인 관점의 통합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부르디외(Bourdieu)의 계급이론과 아비투스 개념, 그리고 만하임(Mannheim)의 “세대결속적 경험”의 개념에 주목한다. 이를 세대이론에 접목하여 세대형성의 조건과 계기를 통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 바로 이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Issues regarding generation are facing a renaissance during recent years. However, it is often criticized that the academical examination of this topic is rather in a poor stage resulting from the underdevelopment of the generation research methodology. The underdevelopment of the generation research methodology results first of all from the fact that generation researchers do not reach consensus on the key issues of generation study. Above all the explanation for the processes of generation formation are divided by two opposing approaches: one side objective generation position insists a generation is appeared automatically if objective conditions are met; the other side subjective generation approach claims in a generation formation generation consciousness plays a key role. This one-sidedness of two positions, so this study asserts, is not conductive to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generation formation. This study claims this methodological problems are solved by introducing of Bourdieus’s theoretical conceptions (especially the concept habitus) into the generation discussion.

      • KCI등재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김민규(Min Kyu Kim),허주(Ju Hur)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는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2차년도(2022년) 자료 분석을 통해 최근에 입직한 MZ세대 교사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세대 간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사들의 가치관(교육관, 학생관, 교직관), 수업활동(교육과정 재구성, 수업방법, 학생평가), 직무만족(직무만족도, 소진)과 관련한 상당수의 문항에서 MZ세대 교사와 기성세대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정한 패턴을 갖고 나타난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의 가치관 중 학생관과 관련하여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후천적 교육적 변화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래 학교교육에서 교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수업방법 측면에서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평가의 영역에서는 MZ세대 교사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들에게 더 적극적인 평가 피드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직무만족도를 갖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만족요인에 관한 분석에서도 수업활동,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 학생들의 성장에 기여, 사회의 발전에 기여, 보수 수준에 대해서 기성세대에 비해 낮은 응답평균을 나타냈으며, 유일하게 ‘시간적인 여유’만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평균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MZ세대 교사의 만족도 제고 및 소진 완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and deriv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thinking and behavioral styles of MZ generation teachers who recently joined the company through data analysis in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2022).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MZ generation teachers and older gener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large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values (educational, student, and teaching), class activities (curriculum reorganization, teaching method, student evaluation),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he differences with a certain pattern we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student relations among teachers' values, MZ generation teachers were more positive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cquired educational change than the older generation, and it was expected that teachers would play a central role in future schoo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teaching methods.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MZ generation teachers gave relatively more active evaluation feedback to students than the older generation. Third, MZ generation teachers had relatively low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and were experiencing a high level of burnout. I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factors, the response aver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lass activities,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students' growth, social development, and remuneration levels, and only 'time margin' showed a relatively high response average. Based on these findings, a series of follow-up studies targeting the new generation of teachers were needed, and policy responses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and burnout mitigation of MZ generation teachers were proposed.

      • KCI등재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선기(Seon-Gi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문화와 사회 Vol.17 No.-

        이 글은 일상적으로 별다른 성찰 없이 사용되고 있는 세대의 용법과 거리를 두고, 세대의 개념을 사회과학적으로 다시 사유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세대주의적 세대담론은 연령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강화하면서 세대 고정관념을 재생산한다. 세대 차이나 세대 갈등의 문제를 실제에 비해 과장하고 심지어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학자들이 만들어내는 세대주의적 세대담론들은 그것이 기존의 고정관념을 학문적으로 승인하면서 세대 개념의 무정부적인 재생산을 오히려 부추길 수 있다는 면에서 더욱 의문시되어야 한다. 이 글은 세대연구의 몇 가지 경향들 - 단일한 세대의 가정, 세대의 실재성에 대한 검증 부재, 세대연구 스스로의 성찰성 부족 ? 을 현재의 세대연구가 지닌 내적인 문제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독일의 사회학자 카를 만하임(Karl Mannheim)의 세대 개념을 면밀하게 재검토하고, 세대담론 개념을 구성주의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세대연구 자체가 갖는 담론효과에 대해 세대연구자들이 성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Many generational discourses have made constant use of the concept of generation that lacks systematic classification. This article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generation scientifically. Generationalistic discourses, reinforcing ageism and youthism reproduce generational stereotypes and exaggerate generational difference and conflict. Generationalistic researches produc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cademy should be in doubt in particular because they may result in encouraging anarchistic reproduction of the nonscientific concept of generation. Eventu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generationalism of the generational research, this paper suggests to reexamine generational concepts of Karl Mannheim and to introspect generational discourses in the constructivist sense.

      • KCI등재

        포스트 Z세대를 위한 미래 교육평가의 방향

        이승연(Seungyeon Lee),정영현(Younghyun Jung),이정연(Jeong Yo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하는 알파세대(2010년 이후 출생)로의 세대 전환의 경계에 있는 Z세대의 세대 특성과 교육 평가에 관한 학생 및 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고, 미래 세대의 교육평가 변화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설명적 순차 설계를 통한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알파세대 및 Z세대에 대한 문헌검토, 사전설문, 전문가 의견 검토 등을 통해 개발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 81명과 학생 197명의 응답을 분석한 후, 도출된 연구결과의 해석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 4명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진은 양적 및 질적 자료에 기반한 토의 및 통합적 해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포스트 Z세대는 크게 다섯 가지의 세대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한편, 교사와 학생 간에 해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하는 평가의 과정도 교사와 학생 간에 대체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한 미래세대의 교육평가 방안은 다섯 가지로 정리되었다. 특히 미래세대의 교육평가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시도와 방안이 현장에서 어떠한 요인 때문에 실천에 어려움이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features of Post-generation Z - which is the generation cohort that belongs in the borders of change to the new Generation Alpha (generation cohort born after 2010) - and compared the perception that students and teachers have regarding their experience with the Generation. This research aims to bring out implications to how school assessment could change for the following generation.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research model. First, a survey on school assessment for Post-generation Z was design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pre-surveys, and expert group reviews. Response of 81 teachers and 197 students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of four teachers and nine students were analyzed to supplement the comprehension of results from the survey. The researchers reached the conclusion through discussion on the thorough interpretation of the overall responses. Results There were five main characteristics to Post-generation Z, but the interpret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ad some differences. Also, their perception of the factors of assessment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 provides five main implications to where school assessment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head.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 on why current attempts at school assessment reform have encountered difficulties on-site and how they could be solved.

      • KCI등재

        학문후속세대의 연구윤리 준수 현황과 과제: 정치학 분야 연구자를 중심으로

        차재권 ( Jae Kwon Cha ),서영조 ( Young Jo Suh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3 공공정책연구 Vol.30 No.1

        본 논문은 정치학을 포함한 인문사회계열의 학문후속세대들이 처해 있는 열악한 연구 환경이 어떤 것이며, 그러한 연구 환경의 열악함이 그들의 연구 행태와 성과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나름의 대안을 모색해 보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학문후속세대들은 학연을 중심으로‘학문후속세대의 하층부(석석·박사과정 재학생)-학문후속세대 상층부(박사학위를 취득한 비전임 강사·연구원)-학문기성세대(전임 대학교원·연구원)’로 이루어진 위계구조에서 심한 경우 이중의 억압구조에 묶여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연구윤리 위반을 강요당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문후속세대에게 강요되는 이와 같은 불합리한 위계구조는 단 기간에 양적 팽창을 이룩한 학문공동체 내의 무한 경쟁에 의해 확대 재생산되고 있으며, 국가 주도의 연구 지원 사업에 의해 연구의 규격화와 지나친 상품화가 전개되면서 더욱 고착화되어 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학문후속세대의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성과주의와 계량화에 기초한 학문정책을 탈피하여 창의적인 연구 성과를 생산해 낼 수 있는 개방형 연구문화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펼쳐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find relevant answers for such research questions as what kinds of poor research conditions with which research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cluding political science have been coping and how such poor quality of research conditions has systematically and negatively affected their research behaviors and outcomes, and to suggest some alternative solution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ose problems. Research outcome shows that, strongly bounded with their own hierarchical academic linkage normally formed between or among ‘the lower layer of the post-graduate generation(researcher in master or doctoral level programs), the upper layer of the post-graduate generation(part-time lecturers or researchers), and the existing generation of academics(full-time professors or researchers), post-graduate research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urged to violate research ethics with no relation with their own academic will. In addition, it also shows that this kind of unreasonable academic hierarchy has been expansively reproduced by unlimited competitions within an academic community which expanded its research volume with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and has been further fixed along with the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by the government-led research support system. Therefore it, first of all,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levant research support system for the formation of stable research environment and then to make an effort to create open culture of research permitting creative research outputs by being derailed from the performance and quantification based system.

      • KCI등재

        의류학분야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실버세대 연구 동향

        이웅섭(Lee, Woongsub),김선아(Kim, Sunah)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의료산업 분야의 발전은 생활환경을 변화시키고 인간의 평균수명을 연장시켰으며, 자녀수의 감소와는 다르게 노인인구가 늘어나 인구의 고령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의류학분야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진행 여부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의류학분야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실버세대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패션 분야의 연구활동에 직접적인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0년도부터 2015년도까지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01편의 연구논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연도별, 학술지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 성별, 연구방법 등에 따라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통계 분석은 SPSS V.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의류학분야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실버세대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전문 학술지에서 16년간 발표된 논문은 총 101편으로 조사되었으며, 2015년도에 12편으로 가장 많은 실버세대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술지별 분석결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에서 29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학술지의 학문 분야를 분류한 결과 자연과학분야가 8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의 성별 분석 결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74.3%로 나타났고, 남성은 5.9%로 나타났다. 아이템별 분석 결과 상·하의가 26.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연구가 77.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실버세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 노화로 인해 활동이 부자연스러워지고 안전사고 또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이들의 활동과 안전에 필요한 신발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실버 세대의 활동과 안전에 도움이 되는 신발 및 각종 보호장구 등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실버의류 산업분야의 활성화를 위해 실버세대의 심리, 욕구, 체형변화 등을 고려하여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industry field has changed the living environment and extended the human’s life expectancy, and as the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different from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the population ageing phenomenon appears. Thus, grasping whether the research, aiming at the silver generation, published in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of clothing area may be in progress or not would have a very important meaning. Method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materials from 2000 to 2015 were collected targeting the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and a total of 101 research papers were utiliz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so on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 statistical program. Resul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silver generation centered the domestic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the theses published for 16 years in 10 kinds of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investigated as a total of 101 volumes. As a result the gender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the papers aiming at women appeared as 74.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each item, tops and bottom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s 26.7%, and in the research method, it appeared that the empirical study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s 77.2%. Conclusion: For the silver generation, as due to the body aging as they age, their activities may become awkward and the safety accidents are also happening frequently, it seems that the researches would be necessary related to the shoes needed for their activities and safety, and for the activation of silver clothing industry area, it is thought that the various researches and efforts would be necessary for the elderly considering the psychology, desire, change of body shape, etc. of silver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