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星湖 李瀷의 詩論과 星湖學 - 시론 내적 간극의 해명과 성호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윤재환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Ingeniousness and reality are discuss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that Seongho Lee Ik paid attention to for the creation of poetry. However, in the writings of Seongho, the originality that Seongho noticed is not the creative method but the contents of the artist's feelings or poetry created by one poem. Reality is not a way of creating, but a means of truth. Although Seongho emphasized originality and realistic portrayal for the individual feelings and the truth of the object in poetry, he recognized that the realistic description could be denied at any time if it did not match the truth. Seongho's theory on poetry is based on the realistic situation in which he was living, while the consciousness of the soul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poetry is embodied. It is a way of creating your own as a result of deep worries about originality and realistic description. And it is the result of the meeting and self-confidence of the Seongho's about the creative method to achieve the essential purpose of poetry. In that sense, it can be explained in the general category of Seongho-Studies. The theory on poetry of Seongho has an essential limit in that it can not be a concrete creative method. Despite these limitations, however, his theory on poetry led to a full-fledged concern about the creation method of realistic depiction, which had not been fully established until the time of Seongho. And it means that what we want to include in poetry and what we are act of holding something in order to make meaning of how to put it is extended to ideas. The greatest meaning of the theory on poetry of Seongho is that it opened the door for the next generation. 星湖 李瀷이 詩의 창작을 위해 주목했던 대표적인 방법으로 獨創性과 寫實性이 거론된다. 그러나 성호의 글을 보면 성호가 주목했던 독창성은 창작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형상화의 방법이 아니라 한 편의 시가 만들어내는 작가의 意境과 감정 또는 시의 내용이었다고 생각된다. 寫實性 역시 실질적인 형상화의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眞實을 위한 수단으로 가치를 지닌다. 성호는 시 속에 구현된 개성적 意境과 대상의 眞實을 위해 독창성과 사실적인 묘사를 중시했지만 사실적 묘사가 眞實과 부합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부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성호의 詩論은 詩文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성호의 의식이 구체화된 것이면서 동시에 그가 처했던 현실적 처지와 상황에 기반한 것으로, 독창성과 寫實的 묘사에 대한 성호의 깊은 고민의 결과 만들어 낸 자기만의 창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성호의 시론은 자신의 현실적인 상황과 처지를 기반으로 하여, 시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작 방법에 대한 성호의 회의와 자득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星湖學의 일반적인 범주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성호의 시론은 구체적인 창작 방법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론은 성호 당대까지 본격화되지 못했던 사실적 묘사라는 창작 방법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고, 시 속에 무엇을 담고자 하느냐는 것에서 나아가 무엇을 담는 행위가 의미 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담아야 하는가 하는 고민으로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성호 시론의 가장 큰 의미는 다음 세대를 위한 문을 열었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

        성호 이익과 소남 윤동규가 주고받은 書簡의 樣相

        구지현(Koo, Jea-hyo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의 목적은 가장본인 『邵南先生誘集草』를 텍스트로 하여, 성호 이익과 소남 윤동규가 주고받은 서간을 살펴봄으로써, 스승과 제자 사이의 학문적 승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소남선생유집초』 14권 가운데 성호에게 보낸 편지는 6권과 8권에 실려 있는데, 총 78편이다. 장성기로 성장하는 시기인 20대 중반부터 성호가 사망하기까지 편지를 계속 주고받았던 것으로 보이며, 두 사람이 생전에 거의 비슷한 양의 편지를 주고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호와 소남이 주고받은 서간의 양상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서간을 통해 학문적인 의견을 교환하고 확정된 의견을 실천으로 검증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장자의 상을 당한 소남이 장례를 치르며 스승이 확정한 의례를 직접 실천했고 서간을 통해 본인의 의문을 해소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敎學相長’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성호는 제자들의 의견을 받아들이는데 개방적이었고, 소남은 성호의 의견을 제일 먼저 검증하는 제자였다. 셋째, 서간을 통해 관심을 공유하고 확대시켜 나갔다.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안정복의 관심은 스승의 인정을 받았고 다시 소남에게 전달되었다. 안정복과 성호, 안정복과 소남 사이에 개별적인 의견 교환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이와 별개로 소남은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스승의 안을 고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성호와 소남이 주고받은 서간의 내용은 사서삼경에서 시작하여 예학으로 확대되었으며, 우리나라 역사까지 망라한다. 현전하는 성호의 서간까지 공개되어 문집의 서간과 함께 다루어진다면, 성호학파의 학문이 형성된 과정이 정확하고 입체적으로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larly lineage between master and disciple through examining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Yi Ik (aka Seongho) and Yun Dong-gyu (aka Sonam) in the household copy of The Posthumous Collected Manuscripts of Master Sonam (邵南先生誘集草). In the fourteen volumes of Posthumous Manuscripts, their total of 78 letters can be found in the sixth and eighth volumes. Since his mid-twenties until his death, Yi Ik continued to exchange letters with Yun Dong-gyu, and it is presumed that the two sent a similar number of letters to one another during their lives. The exchange of letters between Yi and Yun can be arranged into three points: First, the letters demonstrate their exchange of scholarly views and their application of such established views. A representative case is when Yun directly applied the proprieties established by his master for the funeral of his firstborn son, and the letters show the process of Yi clarifying Yun’s questions. Second, the lett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grow by teaching and learning together.” Yi was openminded in accepting his disciple’s opinions, and Yun was the first of Yi’s disciples to verify his master’s views. Third, the two shared and expanded their interests through their letters. An Jeong-bok’s interest in Korean history was recognized by Yi and was conveyed to Yun. Although An and Yi and An and Yun had their own personal exchanges on this topic with one another, Yun would also accept his master’s teachings and conduct historical research on his master’s ideas. The contents of the letters between Yi and Yun begin with the Confucian classics and expand to the study of the proprieties, and included Korean history. If the letters of Yi are publicized and studied along with the letters in his collected writings, it would allow for more accurate and complex research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Yi Ik school of thought.

      • KCI등재

        『성호사설(星湖僿說)』에 보이는 원류비평 양상(Ⅰ) - 「시문문(詩文門)」의 시작품(詩作品)을 중심으로-

        박종훈 ( Park Chong-hoon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성호 이익의 백과전서류의 작품인 『성호사설』, 그 중에서도 「시문문」에 대해 원류비평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시문문」에서 언급한 시인(詩人)과 서적을 정리했다. 인물로는 공자(孔子)로부터 명대(明代)시인까지 포괄적으로 다루었지만,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필두로 한 당대(唐代)시인이 가장 많았다. 당대(唐代)시인에 대한 성호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적과 관련해서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은 물론 명대(明代)의 서적까지 다양했는데, 자신의 견해를 객관화시키기 위해 고증적 자세를 견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호의 원류비평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시의 형식적인 측면에 대한 언급들을 살펴보았다. 성호는 고시(古詩), 절구(絶句), 단율(短律)등의 원류를 『시경(詩經)』으로 귀결시켰으며, 연구(聯句)나 집구(集句)등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양한 서적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객관화시켰다. 특히 `양관삼첩(陽關三疊)`과 관련해서는 자신만의 독특한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시구나 작품의 원류비평도 이루어졌다. 성호는 두보와 이백을 시가(詩歌)의 중심축으로 삼고 이들이 후대 시인에 미친 영향을 반복적으로 거론했다. 또한 두보와 이백의 원류에 대해서도 반복적인 언급을 통해 굴원(屈原)의 작품과 『시경』으로 귀결시켰다. 성호는 형식적인 측면이나 시구나 작품의 원류를 모두 『시경』에 집중 시킨 셈이다. 이는 성호의 두보와 이백 및 『시경』에 대한 관심, 더 나아가 시의 원류로써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 된다. 「시문문」에 대해서는 다양한 접근의 창이 열려 있는데, 그러한 논의의 중심에 언제나 『시경』과굴원, 두보, 이백, 한유(韓愈), 소식(蘇軾)이 있음을 감안한다면, 본 논문이 성호의 비평의식의 전모를 재구하는데 충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 『Seonghosaseol(星湖僿說)』 made by Seongho Lee-Ik, was encyclopedic. Among them, I considered traditional approach pattern of Chinese criticism about 「Simunmun(詩文門)」. Preferentially, I arranged poets and books in 「Simunmun(詩文門)」. There were inclusively handled from Confucius(孔子) to poets in the Ming(明) Dynasty, but one of them, It was extremely much poets of the Tang(唐) Dynasty, from Du-fu(杜甫) and Lee-bai(李白) down. through this book, I could confirmed that seongho`s concern about the those days. In connection with books, there were various that not only the Seven Chinese Classics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四書三經), but also books of the those days. However, I could confirmed that sticked a historical research to objectification his opinion. I looked into reference about formal thing of poetry that grasped to the actual circumstances of Seongho`s traditional approach pattern of Chinese criticism. Seongho resulted the origin of ancient poems(古詩), line stanza(絶句), character regulated verses(短律) from 『Shisjing(詩經)』. and about the origin a critic consciousness(聯句) and an assembled phrase poem(集句) etc. though diverse books, made by objectification his opinion.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Yangguansamchup(陽關三疊)`, he came up with his peculiar opinion. This book was formed the origin criticism of a verse or work. Seongho made Du-fu(杜甫) and Lee-bai(李白) the middle of a poetical composition, they repeatedly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exerted influence at posterity poet. Also, He was resulted the work of Ch`u-Yuan(屈原) and 『Shijing(詩經)』 though repeated exercises about the origin of Du-fu(杜甫) and Lee-bai(李白). Seongho converged that formal aspect or the origin of verse and work. It was admitted the concern about Du-fu(杜甫), Lee-Bai(李白) and 『Shijing(詩經)』 of Seongho, farther was recognized value of the origin at poem. About 「Simunmun(詩文門)」, I thought variously approach. But, If it took into consideration that at the middle of such discussion, always 『Shijing(詩經)』 and Ch`u-yuan(屈原), Du-Fu(杜甫), Lee-Bai(李白), Han-Yu(韓愈), So-Sik(蘇軾), I thought that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enough the starting point the full picture of Seongho`s critical consciousness.

      • KCI등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의 성과와 과제

        김새미오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5 고전과 해석 Vol.18 No.-

        본고는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학계에 보고하는 글이다.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은 성호 의 모든 저작을 재정리하여 학계와 대중에게 소개하는 작업이다. 본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이며, 이 글은 그 중간보고서의 성격을 갖는다. 그간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판본수집 후 표점ㆍ교감작업을 통해 판본계열을 정리했다는 점이다. 둘째, 모든 과정을 통 한 성호선생문집 정본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 역시 큰 성과이다. 모든 과정이 종료된 후 성호전서정본 이 출간될 것이고, 이를 통해 심도있는 연구 성과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부차적인 성과로 정 본화 사업에 대한 학계의 인식 변화이다. 정본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아쉬운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호전서정본화 사업팀에서 여러 방면으로 판본조사를 했지만, 모든 것을 다 조사했다고 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있다. 아직도 개인 소장의 판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둘째, 확인할 수 있는 판본을 모두 수집했어도 판본계열이 모두 분명 한 것은 아니다. 이는 성호가 직접 쓴 수고본이 모두 발견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셋째, 사업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과정에서의 난점도 많다. 특히 어려운 점은 책 소유자가 판본제공을 거부할 경우는 별 방 법이 없다는 점이다. 공적인 부분에서 이용되는 자료인 경우 사회적 인식변화가 필요한 부분이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본화가 이루어진다면 학계의 또 다른 원동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is paper reports to the academy the achievement and further works of the project that collects and rearranges the entire copies of Seong-Ho (星湖)'s works in order to establish the volume of his original works (hereafter, The Project). The Project is aimed to collect and rearrange the entire copies of Seong-Ho's work; and to open them to the general public. The Project is an ongoing work; and this paper is an interim report to it. The followings summarise what are achieved in the Project through the works that have been undertaken so far. Firstly, the entire types of Seong-Ho's works were collected and rearranged into different categories by comparing them in thei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Secondly, what stands as the best achievement through this work is the birth of the collection of the original copy of master Seong-Ho's works. Once all the procedures are finalized, the complete volume of Seong-Ho's original version of works is to be published.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shed volume contributes to deepening further studies. Thirdly, what additionally is achieved through the works of the Project is the changing perceptions of the relevant academy group to the Project. The Project being carried out, several shortcomings are noticed as follows. Firstly, while the team of the Project has strived in my different measures to collect and survey the possible forms of Seong-Ho's work,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entire forms were completely collected. We consider that there would be other may copies that are owned by individuals. Secondly, all the different versions of copies of Seong-Ho's work being collected, they are not far from being clear in their types of documents. This is because the hand writing version of Seong- Ho's works has not been entirely found; and henceforth unable to judge the collected documents whether or not it is original. Thirdly, it is noticed that setting up a compete form of database is difficult. In particular, when the owners of documents decline to offer them to the Project team, there is no way to collect them. For the copies that can be used for a public purpose, social perceptions of individual owners of such documents should be changed.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complete collection of original copies in many different areas are expected to bring the energy to the relevant academic community.

      • KCI등재

        『성호사설류선(星湖僿說類選)』의 판본 문제와 정보 선별 및 지식 분류

        한만성 ( Han Mahn-s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星湖僿說』의 그늘에 가려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星湖僿說類選』을 정보 선별과 분류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星湖僿說』 성호문고본과 『星湖僿說類選』의 20세기 印本인 朝鮮古書刊行會本, 文光書林本 그리고 朝鮮古書刊行會本의 底本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淨書本 ‘한古朝91-1’本을 함께 校勘하였다. 順菴이 『星湖僿說』이라는 방대한 지식의 보고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건져내어 『星湖僿說類選』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많은 수의 『星湖僿說』 조목이 합성, 細註 附記 등으로 『星湖僿說類選』에 편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順菴의 선택과 편집은 의미 중복 항목의 합성, 제목 변경, 동류 취합 등 근대적인 분류 원리에 따라 繕寫 작업만 최소 5년 이상 걸릴 정도로 신중하고 치밀하고 이루어졌다. 筆記의 성격이 강한 『星湖僿說』에 잠재하던 類書의 특성을 발현한 『星湖僿說類選』은 星湖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식 역사 연구에서 『星湖僿說』 못지않은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text "Seong-Ho-Sa-Seol-Lyu-Seon(星湖僿說類選)" was focused on in terms of knowledge classification as it had mostly been shadowed by its original "Seong-Ho-Sa-Seol(星湖僿說)". The "Seong-Ho-Sa-Seol-Lyu-Seon" transcript of the Korea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printed editions of Japanese colonial era was compared and analyzed. An Jeong-bok’s process of resto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reconstructing it with "Seong-Ho-Sa-Seol-Lyu-Seon" was trac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items from "Seong-Ho-Sa-Seol" were incorporated into "Seong-Ho-Sa-Seol-Lyu-Seon" than previously known. The elaborate selection and editing of Sun-Am(順菴), such as synthesis, title change, and collection of similar items depending on modern classification principles, had lasted for at least five years. It was concluded that "Seong-Ho-Sa-Seol-Lyu-Se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as important as "Seong-Ho-Sa-Seol" in East Asian knowledge history as well as the study of Seong-Ho(星湖).

      • KCI등재

        『星湖先生全集』 간행에 관한 일고찰

        강세구(Kang, Sei-koo)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49 No.-

        1774년 이병휴가 『성호선생문집』을 만든 뒤, 지금까지 『성호선생문집』과 『성호선생전집』 두 본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성호선생문집』은 1917년 노상직 · 이병희 등이 경상도 밀양 퇴로리 서고정사에서 간행하였고, 『성호선생전집』은 1922년 안희원 · 김호승 등이 주관하여 역시 밀양 사포리 모렴당에서 간행하였다.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은 1890년 이남규가 축소 재편하였는데, 이것을 대본으로 하여 퇴로리에서 『성호선생문집』을 간행하였던 것이다. 축소 간행한 가장 큰 이유는 간행 경비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퇴로리에서 간행된 『성호선생문집』은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의 내용이 크게 삭제되어 간행되었다. 그런데 안희원은 이전부터 원칙적으로 이병휴가 편찬한 문집을 원본 그대로 간행할 것을 주장해 왔다. 그러다가 1917년 『성호선생문집』이 간행되자 불만을 품고, 이병휴가 만든 성호문집을 모본으로 하여 『성호선생전집』 간행에 착수하였다. 약간의 삭제와 보완을 가하여 5년 뒤 1922년 완성하였다. 따라서 퇴로리에서 간행한 『성호선생문집』과 비교하여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 내용에 훨씬 충실하다. 이와 같이 『성호선생문집』과 『성호선생전집』은 간행 원고본이 다르기 때문에 분량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사료적 가치와 이용에 있어, 『성호선생전집』이 나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성호선생전집』도 완전하게 이병휴의 『성호선생문집』을 간행한 것이 아니고 역시 약간의 삭제와 보완이 가해졌기 때문에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간행 문집은 1774년 이병휴가 편찬한 원본 『성호선생문집』을 능가할 수 없다는 아쉬움을 면할 수 없다. 앞으로 간행에서 빠진 성호의 글을 모두 수집하여 새로운 성호 문집의 정본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In 1774, since Lee, Byŏng-hyu(李秉休) has made Sŏngho-sŏnsaeng-munjip[湖先生文集, the collection of Sŏngho, Leeik(李瀷)], Both Sŏngho-sŏnsaeng-munjip and Sŏngho-sŏnsaeng-jŏnjip(星湖先生全集) were published as woodcuts. Sŏngho-sŏnsaeng-munjip was published by Noh, Sang-jik(盧相稷) and Lee, Beong-hee(李炳憙), and so on at Sŏgojŏngsa(西皐精舍) which was located in T’oerori(退老里), Milyang(密陽) in 1917, and Sŏngho-sŏnsaeng-jŏnjip by Ahn, Hŭi-wŏn(安禧遠) and Kim, Ho-sŭng(金鎬承), and so on at Moryŏmdang(慕濂堂) which was located in Sap’ori(沙浦里), Milyang in 1922. Sŏngho-sŏnsaeng-munjip which was compiled by Lee, Beong-hyu was shortened again by Lee, Nam-kyu(李南珪) in 1890, based on this, he published Sŏngho-sŏnsaeng-munjip in Sŏgojŏngsa, Tero-ri. The fundamental reason for making brief was t o reduce e xpenses. T heref ore, many parts of S 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were deleted in Sŏnghosŏnsaeng-munjip that was published at Tero-ri. However, An, Hŭi-wŏn and Kim, Ho-sŭng had insisted on publishing with the original collection of S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yŏng-hyu. As soon as Sŏngho-sŏnsaeng-munjip was published in Tero-ri, they had dissatisfaction of it. they immediately started to publish Sŏngho-sŏnsaeng-jŏnjip based on the original collection. S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was used as a manuscript of publication. Five years later, they finally finished publishing Sŏngho-sŏnsaeng-jŏnjip in 1922 with some deletion and modifications. Thus, comparing with Sŏnghosŏnsaeng-munjip published in Tero-ri, it is much more substantial in contents of S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Likewi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ŏngho-sŏnsaeng-munjip and Sŏngho-sŏnsaeng-jŏnjip in quantity because of shortening. Sŏngho-sŏnsaengjŏnjip is more valuable in term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uses. But It is cannot be recognized as a complete publication of Sŏngho-sŏnsaeng-munjip because it was applied to some deletions and modifications. Therefore, we can not avoid feeling sorry about that two-published-collections could not surpass the original collection, compiled by Lee, Beong-hyu in 1774. I hope to collect all of the missing texts from the publishing, and then to make a new version of the original texts.

      • KCI등재

        성호학과 성호우파학의 이동문제

        이수환(Lee Soo-hwan),정병석(Jung Byung-seok),백도근(Paeg Do-geo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실학일반(實學一般)에 있어서도 그렇지만, 대표적 실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학문이 어떤 성격의 것인가를 규정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나 아직 매듭이 지어진 것은 아니다. 완전히 매듭이 지어지려면 몇 세대나 더 지나야 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성호학을 규정하는 문제와 함께 꼭 수반되어야 할 문제가 성호우파학(星湖右派學)을 규정하는 문제이다. 성호우파라는 이름 속에는 이미 성호학에서 희박해졌던 성리학적인 색채가 도리어 농후해졌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동안 성호우파학의 보수적 색채는, 성호학이 ‘천하에 굶주리는 백성이 없게 한다.(使天下無窮民)’는, 봉건주의로부터 근대로의 진일보로서의 계량적인 정치목표를 지향하는 경험성을 드러내는 데 상당히 걸림돌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여기서 의문이 이는 것은 성호와 순암(順菴)을 과연 진정한 사승관계(師承關係)로 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적 사승관계는 스승의 학문을 액면 그대로 물려받거나 아니면 정신이라도 물려받은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비록 순암이 그 삶의 역정가운데서 일정기간동안 성문(星門)에 출입하였고, 성호의 사후에도 성호를 존경했다고는 하나 성호학은 수사(洙泗)의 실무주의(實務主義)를 이념으로 한 반면, 순암은 자양(紫陽)의 의리주의(義理主義)를 이념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순암은 성호가 크게 여긴 것을 작게 받아들이고 성호가 작게여긴 것을 크게 받아들였으므로, 양자의 학문은 대이소동(大異小同)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순암(順菴)과 그 학맥이 스승인 성호까지도 퇴계학맥의 성리학자로 분식부회(粉飾附會)했던 것은 당시 정황으로서는 이해될 수 있으나 학문적으로는 배반일 수 있다. 왜냐하면 백호 윤휴로부터 성호좌파 인사들에 이르기까지 차라리 죽을지언정 신념을 바꾸지 않은 전통이서 있었던 것으로 보아서, 성호가 동의해 줄 수 없었던 문제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호학이 실무실용을 이념으로 하는 소위 실학임과는 달리, 주자학(朱子學), 퇴계학(退溪學), 순암학(順菴學), 하려학(下廬學)은 ‘군신부자의 의리’를 이념으로 하는 성리학임을, 성호학과 여타의 학을 차례로 비교해 봄으로써 확인해 보았다. 특히 본 연구의 귀결점인 성호학과 우파학의 이동문제에 관해, 성호가 주자와 퇴계를 지극히 존경하면서도 경학이나 사칠설 전반에 제기한 이설(異說)에 대해 순암과 하려가 주자나 퇴계의 성리설을 묵수하면서 오히려 성호의 주장 -예를 들면 자득지식설(自得知識說), 공칠정이발설(公七情理發說), 대기소기설(大氣小氣說) 등 - 에 대해서는 전혀 수용의지가 없었다는 점에서, 성호와 그 우파제자들의 학문관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순암과 그 후속 학맥이 ‘사천하무궁민(使天下無窮民)’을 위한 실무학을 기치로 내건 성문(星門)을 경유하기는 하지만 그 이념에 있어서 여전히 성리학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While Chu-Hsi’ Hak(朱子學) was ethics for rule of the feudal system in Nam-Song Dynasty, but Seong-Ho Hak(星湖學) was a thought for providing aid for the class which faced in collapse of economical base under feudalism, This is the difference of both. Seong-Ho’s thought that Chu-Hsi’s thought for adherence to social-position’s of feudal rule order was misinterpretation about the Nine Chinese Classics (四書五經). According to him, the Nine Classics are not moral principle texts, but the full of necessary real knowledges and lessons in life. In Seong-Ho’s school, Seong-Ho’s left-wings intended to succeed compellingly Seong-Ho’s standpoint of practical use. But They were criticized for having the inclination of anti-Chu-hsi’s thought by Seong-Ho’s right-wings. Seong-Ho’s right-wings criticized their Master’s skeptical attitude to Chu-tz’s thought and Attitude which accepted Seo-hak’s theory. After Seong-Ho died, his right-wings hoped left-wings to stop behaving which opposed to Chu-Hsi’s thought, but left-wings ignored this. When period of illiberality started, many peoples of left-wings arrested and received serious penalty, but his right-wings gived up Seong-Ho’s thought rapidly, and returned to Toe-Gye Hak(退溪學) for safety of school’s life.

      • KCI등재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저술성향 비교검토

        김채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6

        본고는 조선후기 실학의 학문적 특징을 성호(星湖) 이익(李瀷)과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을 통해 비교분석한 것이다. 두 사람은 각각 『성호사설(星湖僿說)』과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라는 거질의 저작을 남겼는데, 각각 18세기와 19세기의 학술을 집대성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특히 성호의 학술이 오주의 학술로 어떻게 이어졌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성호의 학문경향이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실학자로서 실천적 자세를 보여주고, 오주는 박학(博學)을 추구하여 그 호기심이 방대한 저술을 남긴 원동력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저자들이 살았던 시대상에 따라 저술의 내용도 각기 달라졌음을 규명해 보았다. 다음으로 도표를 통하여 각 저술이 모두 인사문(人事門), 경사문(經史門) 등 현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에 중점을 두었음을 주목하여, 두 저술 모두 조선후기 실학의 면면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저술의 구성에서 시문(詩文) 부분이 매우 소략하여 문인학사(文人學士)의 우아한 생활을 읊은 저술과는 성격이 다름을 보여주려 노력하였다, 다음으로 『성호사설』이 구축한 학술내용이 『오주연문장전산고』로 대거 영향을 미쳤음을 도표를 통해 계량화하였다. 그 결과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성호사설』의 내용이 105회 인용되어 다른 저술들에 비해 매우 광범하게 인용되고 있음을 도출해 내었다. 그리고 두 사람은 당파가 서로 달랐던 탓으로 오주는 성호의 학술을 인용하면서 특별한 존칭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의 학술만큼은 매우 권위를 인정하여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성호의 학술이 오주의 학술에 이르기까지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상(地桑)이란 한 가지 사례를 뽑아 분석하였다. 성호의 <지상(地桑)>이란 글이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와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정착되는 과정을 포착하여, 조선후기 필기(筆記)・유서(類書) 사이에선 활발히 전개된 학술의 교류와 변용의 한 가지 실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필기・유서의 유행은 명청(明淸) 서적의 대량 수입이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살폈고, 후대로 갈수록 청대학술을 대폭 수용했으며 『오주연문장전산고』가 그 대표적 사례임을 밝혔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attributes of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comparing the writing of Seongho Yi Ik(星湖 李瀷, 1681-1763) and those of Oju Yi Kyukeyong(五洲 李圭景, 1788~1856). Both scholars wrote masterworks called Seongho-saseol(星湖僿說) and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each, and these are not too much to be named as comprehensive compilations of the 18th and 19th scholarships. This thesis focuses on how Seongho’s scholarship had been passed on to Oju’s studies. The study begins with presenting Seongho’s practical pursuit seeing him as a Silhak-scholar with Gyeongse-chiyong(經世致用), and indicates that Oju had sought Bakhak(博學) and his academic curiosity had been a driving force to leave numerous writings. Accordingly, it demonstrates the reflection of authors’ times on the contents of their writings. A chart that comes next, points out that both writings put emphasis on real life related items such as Insamun(人事門) and Gyeongsamun(經史門), which provides a clue to the continuous flow of Sil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showing quite a small portion of poetry in both writings’ composition, these two compilations are defined as the writings that have different qualities from the ones appreciating elegant lives of literati-scholars. A great influence of Seongho-saseol’s academic contents on Oju-Yeon munjangjeon-Sango is quantified as shown in next chart. Oju-Yeon munjangjeon-Sango contains 105 quotations from Seongho-saseol, which indicates a vast use of Seongho-saseol in Oju-Yeonmunjangjeon-Sango in comparison to the use of other books and writings. Oju did not mention particular names referring to Seongho in case of quoting due to the difference in their parties. However, these quotations assure that Oju had accepted Seongho’s scholarship acknowledging his academic authority. To trace how Seongho’s scholarship had influence on Oju’s studies, a case study on “Jisang(地桑)”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process of how “Jisang” had became implanted in Imwon-kyungje-jee(林園經濟志) and Oju-Yeonmunjangjeon-Sango, active academic exchange and transformation between Pilgi(筆記) and Yuseo(類書) can be inferred. Finally,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following issues; a spread of Pilgi and Yuseo was based on bulk import of the books written in Ming and Ching dynasties, more of the Ching’s academy had been accepted as time goes by, and Oju-Yeonmunjangjeon-Sango is the most representing example for this phenomenon.

      • KCI등재

        성호학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윤재환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a aspect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Seongho School. This knowledge group has not only knowledge but also various collective common denominators, but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chool in that it is based on knowledge. The “Seongho School” shows that most of its members are homogeneous in their political propensity, family, and real circumstances, living environment, status and social status, and that they are univers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school are thought to be due to the educational method of Seongho, which emphasized 'doubt and self-awareness'. This academic method is meaningful not only as a surname but also as a basic academic method of the school. Therefore, the Seongho school is a group of knowledge made by the consent of the Seongho education method along with the respect for the teacher Seongho. As such, the Seongho school was forced to be divided after the death of Seongho. The members of the Seongho school pursue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tself by clashing at various points after the fate of Seongho, but the school could not maintain its full appearance. The change of the Seongho School has a basic meaning in that it shows bot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rnal system through reproduction by academic self-dispersion and the conflicting tendency to survive through academic solidification. In addition to this basic meaning, however, it has another meaning in that it clearly shows that the existence of the knowledge group, the school, depends on the power of the great social vested rights. 이 글은 성호학파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지식 집단’이란 동일 지식을 소유한 지식인들의 집단이다. 이 지식 집단은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 내적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지만, 지식을 근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학파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성호학파’는 구성원 대부분이 정치적 성향과 가문 그리고 현실적인 처지와 생활환경, 신분과 사회적 위상에서 동질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학파의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이와 함께 학파 구성원들의 학문적 속성에서 동질성과 함께 상당한 정도의 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의 일반적인 학파와는 다른 모습 역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성호학파의 특성은 ‘懷疑와 自得’을 강조했던 성호의 교육 방법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 학문 방법은 성호뿐만 아니라 성호학파의 기본적인 학문 방법으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성호학파는 스승인 성호에 대한 敬畏心과 함께 성호의 교육 방법에 대한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 지식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성호학파는 성호 사후에 분열될 수밖에 없었다. 성호학파의 구성원들은 성호의 운명 이후 다양한 지점에서 충돌하면서 지식 자체의 발전을 추구했지만 학파는 끝내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 수 없었다. 성호학파의 변화 양상은 하나의 학파가 학문적 자기 분열에 의한 증식을 통해 내적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학문적 공고화를 통해 존속해 나가는 상반된 두 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본적인 의미 이외에도 학파라는 지식 집단의 존속이 거대한 사회 기득권의 힘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2)

        심경호(Sim, Kyung-ho)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이 논문은 지난 호의 「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1)에 이어, 『성호사설』을 일부 내용을 분석하여 성호 이익의 학문적 지식 구축의 방식을 검토했다. 제5장 ‘사실분석과 추리논증의 방법’, 제6장 ‘고염무 『일지록』의 참조와 차별화’, 제7장 ‘『성호사설』의 掌故와 提案’을 중심으로 한다. 5장에서는 성호의 ① 소학(필롤로지), ②언어에 대한 관심과 훈민정음학, ③ 문헌학 ④ 정보의 상호대조 방식을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는 성호가 ① 顧炎武의 『日知錄』을 참조한 사실을 확인하고, ② 성호가 논리 전개에서 『일지록』과는 상이하게 독특한 자기 방법을 구축하려 한 사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는 『성호사설』을 단순한 類書가 아니라 사실의 논증을 겸비한 雜考로서 규정하고, 성호가 故實掌故를 다룬 방식과 현실의 제반 문제와 관련하여 어떠한 제안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내용은 ① 己見의 단순진술, 自說의 비판 수정, ② 외교와 邊備에 관한 정보 집적과 정책 제안, ③청조 정치와 문화에 대한 초보 인식의 피력, ④『여지승람』의 보완과 역사지리의 논증, ⑤ 童謠의 정치적 기능 중시, ⑥ 민생과 銀 소비에 관한 遠慮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약용이 지적했듯이 『성호사설』은 일관된 체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소학(필롤로지)의 방식과 문헌학의 방법을 도입하여 경전, 역사, 민간지식, 자연학을 연구하되, 현실의 여러 구체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지식을 정리하고 논리를 충분히 발전시킨 점에서, 『성호사설』은 조선후기 새로운 지식 구축 방식의 단초를 연 중요한 저작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Sŏngho(星湖) Yi Ik(李瀷, 1681~1763)’s way of study and its accumulation focused on his Sasŏl(僿說) which is a collection of his memorandums. This article is the second part of the whole plan of work and it deals with 1) its method of analysis of truth and argument from reasoning(chapter 5), 2) its referring to Rizhilu(日知錄, Records of daily gains in knowledge) by Gu Yanwu(顧炎武) and its differentiation from it(chapter 6), 3) customs and his suggestions(chapter 7). Dasan Jeong Yakyong pointed out that Sasŏl lacks a system as a book. However, it can be estimated as a significant work that provided a head start for the new way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emerged in late Chosŏn in that it adopted the methodology of philology and bibliology to study Chinese classics, history, folklores, natural science etc as well as arranged knowledge and developed its logic so that it can be used when solving the practic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