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양에서 돌봄으로 : 경북지역 대학생의 부모부양인식 차이에 대한 세대모형과 성차모형 분석

        박길환,장성익,서정욱 대한지방자치학회 201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부양세대인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부모부양에 대한 인식의 남녀 간 차이에 대한 핵심적인 2가지 모형(부모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모부양 – 세대모형, 배우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모부양 – 성차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다. 제시된 두 모형 내에서, 개인(인식)요인, 사회적 요인, 가족요인이 대학생들의 부모부양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고찰을 시도한다. 연구대상은 경산 및 경주지역 대학생(233명)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서열형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세대모형에서는 개인(인식)요인으로서 도덕적·윤리적 측면으로서의 부모부양 의무가 대학생들의 부모부양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경제적·금전적 요인(부양관련 유산상속)은 오히려 부양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모형에서는 세대모형과는 달리 남녀 간의 인식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거와는 달리 여성이 부모부양에 상당히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부모부양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는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층의 부모부양 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가 되는 동시에, 대학생들의 부모부양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부모(노인)부양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근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s the young generation for caregiving for the aging parents. This study present generation model and gender model to explore caregving percept for the aging parents in the young generation. The main research target is college students(N = 235) in Gyeongsan city and Gyeongju city. We conduct the ordered logit analysis by using SPSS and Stata. In generation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nse of duty of college student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giving perception for the aging parents. In gender model, this study finds out the considerable difference in caregiving perception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study provides us with basic data to grasp caregiving perception for the old aging parents of college students. The empirical analysis of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caregiving can use the important policy grounds for establishing caregiving support policy for the aging.

      • KCI등재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주령,박지선 한국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0 No.1

        Although the severity of dating violence increases, research on dating violence remains scarce and most studies on dating violence focus on reporting demographics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crime influences offender punishment and sentencing, as well as law making, therefore investigating perception of crim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cluding its severity and frequencies, and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We gave a total of 203 participants scenarios regarding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control behavior,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valuated perception of severity and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We conducted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as considerably severe, and the difference by gender was found only in the severity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Male respondents evaluated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less severe than female respondents.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differed by gender of respondents: Male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less frequent than female respondents did. Males displayed higher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ttitudes than females. Furthermore,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hostile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control behavior,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emotion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Finally, we discuss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데이트폭력은 최근 그 심각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여전히 관련 연구가 희소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실태조사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범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범죄자 처벌 및 양형 기준, 관련 법제정 등 형사사법 제도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일은 해당 범죄가 실제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실태조사와는 별개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 즉 데이트폭력의 발생 빈도에 대한 인식 및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총 203명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의 네 가지 하위유형(통제행동, 심리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각각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데이트폭력의 심각성 및 발생빈도에 대한인식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데이트폭력이라는 사회문제를 매우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남성 피해자의 성적 폭력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제외하고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데이트폭력 발생빈도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데이트폭력 상황이 현실에서 덜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심한 적대적 성차별주의 태도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나타냈다. 더불어,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하위요인인 경쟁적 성분화가 통제행동과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관련이 있으며, 성별 또한 심리적 폭력과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곽유미(Yumi Kwak),김신(Shin Kim),박진수(Jinsu Park),장윤석(Yunseok Jang),윤혜영(Hyeyoung Yoon),홍성희(Seonghee Ho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39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척도, 다문화 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요인 중 개방과 수용, 실천 의지에서, 다문화 인식의 하위 요인 중 다문화 수용성에서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인식의 다문화 태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다문화 태도 총 변화량의 74%가 다문화 인식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해 학생들이 갖는 인식이 다문화에 대한 태도를 결정한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 확장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폭넓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n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o one-hundred thirty-nin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and 11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on above average.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measured variable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Third, analyse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showed that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in ‘openness and acceptance’, ‘commitmen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74% of the total varia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explain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This resul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attitude depends upon multicultural awareness.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웹 기반 정서인식능력 검사에서 성별에 따른 발달적 특성

        김미정,김지연,배대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tial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emotional recognition abilities of elderly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t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using a web based Emotional Recognition Test-Revised (ERT-R). These periods were selected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the peak of brain development and the period approaching emotional stability. For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activity after these periods, emotional recognition abilities were also considered. ERT-R was developed for administering, scoring, recording and analyzing results for web tests, and the number and ratio of correct responses as well as the response speed for correct responses were measured by 1/100 seconds. In the global correct response ratio of ERT-R, female participants showed better emotional recognition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al ageing effect was significant. Simple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in emotional discrimination, students at the elderly childhood st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tial changes than others. For the subtotal of contextual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but differential developmental change was not. Among the subscales of contextual understanding, ma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tial developmental changes in happy and sad emotions. In conclusion, basic emotional recognition abilities had developed by elderly childhood, but some emotional discrimination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abilities were lower or showed more delayed developmental tendency in males than in female.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에서 정서인식능력의 성별에 따른 발달적 변화를 웹 기반 정서인식능력 검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시기는 뇌 발달의 정점을 지나고 있으면서 정서적 안정기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로서 이후의 대인관계나 사회적 활동에 중요한 정서인식능력의 발달 또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시기로 생각되었다. ERT-R은 검사의 실시, 채점, 그리고 검사결과의 보관과 분석이 웹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개발되어 있으며, 피검사자의 정반응수 및 정반응률 뿐만 아니라 정반응 결정속도를 1/100초 단위로 측정 가능하다. 연구 결과에서, 전반적인 정서인식능력의 정반응률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반응 결정속도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 더 빨라지는 것으로만 나타났다. 기본적인 정서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 혹은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정서변별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남자들이 중학생이 되면서 정반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맥락이해 전체에서는 남녀차와 연령차가 나타나고 있었으나, 그 발달적 변화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단지 행복과 슬픔의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남자의 처리속도가 향상되는 면들이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본적인 정서인식능력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대부분 발달하지만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정서인식능력이 낮다는 점, 정서변별능력이나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일부 요소들이 여자들에 비해 다소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김효진 ( Kim Hyojin ),신현우 ( Shin Hyunwoo ),홍세희 ( Hong Se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커플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각 변수들의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를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APIMe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 13차 자료의 3,294쌍의 부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자신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졌지만 아내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아내의 경우, 성역할 인식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행위자, 상대자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아내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남편과 자신의 가정생활 만족도는 모두 높아졌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부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남편의 자아존중감은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부부의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에 모두 순기능적으로 매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아내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아내의 자아존중감은 남편의 성역할 인식을 매개하여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role percep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both husband and wife, considering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each variable from dyadic data.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APIMeM model for analysi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s 13th wave dataset of 3,294 cou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usband’s self-esteem tended to increase as his perception of gender roles became more flexible, but his gender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When it comes to wife, the effects of both actors and partn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wareness and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more flexible the wife's perception of gender role, the higher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level of both the husband’s and wif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mediated effect of wife’s self-esteem between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for both because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 KCI등재

        성평등과 노인 세대 위협 인식의 예측 요인 검증

        김동심 ( Dongsim Kim ),주경희 ( Kyonghee Ju ),김주현 ( Juh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성평등 인식과 노인세대 위협 인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가구원수, 연령, 학력, 소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예측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특성(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 삶의 만족도)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온라인 조사를 통합 수합된 1,00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t-검정, ANOVA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평등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세대 위협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성별, 연령은 성평등 인식을 예측하였다. 셋째, 성별, 연령별, 삶의 만족도는 노인세대 위협 인식을 예측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gender equality and threat from elder. It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online survey data of 1,000 men and wome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equa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education, and income. Threat from elde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Second, Gender and age predicted gender equality. Third, gender, age, and life satisfaction predicted the threat from el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for future social integr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변화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의 우리 국민의 통일인식 분석: 현대적 성차, 국가 자부심, 통일효용 인식

        구본상(Bon Sang, Koo),최준영(Jun Young, Choi)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이후 급변하는 한반도 환경하에서 우리 국민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2018년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통일의 필요성을 적게 인식하나, 젊은 연령대 여성에서는 동 연령대 남성과 비교할 때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서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현대적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국민으로서 자부심이 강할수록 국가 통합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통일과 관련한 비용 문제도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통일이 개인과 국가에 가져다줄 수 있는 효용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어 보았을 때, 통일이 국가에는 이익이 되겠지만 개인에게는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보는 ‘소외’ 유형과 통일이 개인과 국가 모두에 이익이 아니라고 여기는 ‘비관’ 유형은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취했으나, 평화공존에는 더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통일이 자신에게도 효용을 가져다주리라 생각하는 국민이 늘어날 때 정부의 적극적 통일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examines public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a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surprising participation of North Korea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cusing on a modern gender gap, national pride, and subjectively perceived utility of unification. Employing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s 2018 survey data, We foun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perceive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positively increases with their ages, but it is differentiated by gender, which shows the modern gender gap. In other words, the younger age group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by gender. Second, Koreans who are proud of South Korea tend to positively view national integration and strongly feel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lso, people who have strong national pride tend to actively bear the cost of unification. Third, when we classify the Korean people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benefits that the unification can bring to them and the nation, the ‘alienation type’ of people who perceive that the unification will benefit the nation but not them and the ‘pessimistic type’ of people who perceive that the unification will not be profitable to both themselves and the nation prefer peaceful coexistence to unif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continuously earn the public support for the current government"s top-down policy toward unification,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ve national pride or think that unification will bring benefits to them should increase.

      • KCI등재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인식 비교

        박선희(Sunhee Park),신동은(Dong Eun Shin),최금진(Keumjin Choi)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공학도의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학생 인식비교이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 인식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 고, 이성식(2007) 박사학위논문에서 사용한 내용을 교육학박사 2인이 수정 · 보완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대상은 수도권 소재 4학년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691명이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여성의 진로장벽인식(상호작용적, 태도, 사회적· 대인적 진로장벽)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은 태도장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상호작 용적 장벽을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여학생들이 인식한 태도장벽과 상호작용적 장벽의 구체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초점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여성공학도들은 학점을 근거로 자신들을 준비된 공학도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고, 여성의 진로개발과 유지에서의 애로사항은 잘 이해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한 인식은 미흡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n and women s different perceptions on Women engineers career barri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initially analyzed various references on perception of career barrier, and organized survey questions. We used the context from Sung sik Lee s doctoral dissertation(2007) and modified it for making survey questions. We conducted a survey with 691 senior students of engineering department around the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male students seemed to be more positive about women s career barriers (social/interpersonal, attitudinal, and interactional barriers). It represents that male students evaluate highly on women s ability and also feel less sensitive about social discrimination toward women s position. In consequence of group interview, it is also revealed that women engineers understand well about difficulties of being female at any workplace.

      • KCI등재

        성차 인식에 기초한 결혼만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김의규,오오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a marital satisfaction program in recognition of gender differences and analyzing of it’s effects. The program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attitude between men and women. To analyze it’s effects, 25 adults were sampled: 12 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To the experimental group 8 program sessions were held. Martial Satisfaction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all member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tion. It was composed of 7 sub–scales which were spouse satisfaction, emo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xual life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spouse’s family satisfaction, child–rearing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NCOVA and ANOVA with the use of SPSSWIN 18.0.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rital satisfaction program appea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pouse satisfaction, emo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xual life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But the program appeared to be not effective in improving spouse’s family satisfac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sexual life satisfaction, the program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marital perio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lasting effect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성차 인식에 기초한 결혼만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성차 인식에 기초한 결혼만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는, 이러한 결혼만족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들의 결혼만족을 향상시키는 데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가? 연구를 위한 실험 집단은 G광역시 소재 J교회 12명을 실험집단으로, G광역시 소재한 S교회 13명을 통제집단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8회기에 걸친 결혼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집단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결혼만족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혼만족도 검사는 미국의 임상심리학자인 Snyder 박사가 개발한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MSI)의 개정판(MSI–R)을 기초로 한국 부부들의 결혼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권정혜, 채규만(1998)의 결혼만족도검사(Korea–Mari 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도구를 수정 보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결혼만족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후 검사 점수를 가지고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종속변인들 전체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어 결혼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중학생의 ICT에 대한 인식 분석: ICILS 2018을 중심으로

        김선경,김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In this study, affectiv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perception, and career expectation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hich were surveyed in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8’, were analyzed.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effects of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level, gender, and computer/software learning experience. Furthermore, these data were used to identify the ICT-related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participating countrie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Methods A total of 2,875 students (1,497 male (52.1%) and 1,378 female (47.9%)) enrolled in the second year of 150 middle schoo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self-report data. The information of educational use of ICT and student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student attitudes and percep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perform well on ICT-based learning tasks was lower than the ICILS 2018 average. In particular, ‘database creation’ showed the lowest rate. Also, students' self-efficacy for general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was lower than the ICILS 2018 average. The perception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ICT on society were higher than other participating countries. In terms of expectations for ICT-related career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expectations than female students, indicating a gender difference.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effective approaches for nurturing future digital talent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education and reducing the gap between learners were propo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18’에서 조사한 정보 통신 기술(ICT)에 대한 자아효능감, 인식, 진로에대한 기대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결과를 컴퓨터⋅정보 소양 수준과 성별, 컴퓨터⋅소프트웨어 교육 경험과 같은 학습자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국제 비교를 통해 다른 참가국들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중학생의 ICT 관련 특성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50개 중학교의 2학년에 재학 중인 2,875명의 학생들(남학생 1,497명(52.1%), 여학생 1,378명(47.9%))을 대상으로컴퓨터 기반 평가를 통해 컴퓨터⋅정보 소양을 평가하고, IC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정보 및 학생의 특성(성별, 나이)과 같은 맥락적인 정보와 학생의 태도와 인식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결과 ICT 기반 학습 과제를 위한 작업에 대해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ICILS 2018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데이터베이스 생성’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일반 응용 프로그램 및 전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자아효능감도ICILS 2018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ICT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참가국과 비교하여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ICT 관련 진로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기대치를 보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컴퓨터⋅정보 교육에서 학습자 간의 격차를 줄이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컴퓨터⋅정보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미래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