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초기 여성의 발달적 과제와 교육목회의 책임

        백은미(Paik,Eun Mi)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4 기독교교육논총 Vol.10 No.-

        성인초기는 청소년기와 성인초기가 연결되는 성인초기 과도기(17-22세)로 시작하여 성인중기 과도기가 시작되는 40-45세 이전까지에 해당한다. 약 20년 동안의 성인초기에 성인들은 성인이라는 새로운 삶의 계절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를 거쳐 성인초기의 새로운 삶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또 다시 30세를 전후하여 삶의 구조를 검증하고 수정하는 30세의 과도기를 거치게 된다. 30세의 과도기를 성공적으로 지나게 되면 성인기의 안정된 정착기(33-40세)를 맞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성인초기의 안정은 또 다시 성인중기 과도기를 맞아 새로운 변화와 발달의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성인초기 20년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 역동적이며 끝없는 변화와 성장의 시기인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초기 여성의 발달적 과제를 미리 예측하고 격려하는 교육목회적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여성들의 발달의 과정을 예측하고 격려하며, 삶의 위기들을 극복하고 그 위기들을 통해 새로운 삶의 의미들을 깨닫도록 양육하는 교육목회적인 노력이 있다면 여성들은 보다 지혜롭고 성숙하게 성인초기의 발달적 과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보다 주체적이고 성찰적인 신앙을 형성하기 위해 전통적인 가치체계와 제도들에 대해 질문하고 새로운 대안들을 모색하도록 격려하고, 여성들의 삶을 공유할 수 있는 예전적인 노력과 산파적이고 후원적인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성인초기 여성들은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보다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Becoming an adult woman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complex process that includes changes in biological, cognitive, emotional, social, moral and spiritual dimensions. These developmental crises and tasks present opportunities for personal maturity and spiritual growth. During the long period of the early adulthood, women may develop mature self-identity as an adult and construct a new life structure. Women also may develop more subjective, procedural, and constructive ways of thinking. In the moral thinking, women may develop more mature abilities of moral judgement by considering both the ethics of justice and care. Women also can have mature understandings of woman s body and sexuality. Based on these developments, women may form more individuative and reflective faith defined by James Fowler. For the mature spirituality of women in the early adulthood, educational ministry has many important responsibilities. First of all, educational ministry can help women to confront the transitions and life crises and to search for the religious meanings of their own lives. Second, educational ministry also needs to encourage women to ask dangerous questions that can challenge false stereotypes and traditions and to find out alternative ways and visions. Third, educational ministry may help women to share, heal, and celebrate their life experiences through diverse religious rituals. Finally, educational ministry may help women to create meaningful relationships such as midwife and mentor and a mentoring community that is a meaningful network of belonging.

      • KCI등재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성인애착 연구 경험에 관한 초점집단면접

        이지민 ( Lee Ji Min ),한혜림 ( Han Hye Ri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성인애착을 연구해 온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에 대한 정의와 개념,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성인애착 척도의 한계점,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고려할 점에 대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점집단면접에 참여자 7명과 개별 참여자 4명이다. 초점집단면접 참여자는 성인애착으로 학위를 받았거나 준비하고 있는 석사 졸업생, 박사 수료생, 박사 졸업생 등 연구자 7명이었다. 연구결과: 초점집단면접 분석결과 2영역에서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성인애착의 정의 및 개념에서는 기존 성인애착 정의 유지, 성인애착 정의에 대한 명확성, 문화적 고려에 대한 필요성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성인애착 척도의 문제점에서는 측정대상에 대한 문제, 문항에 대한 문제(문항의 모호함, 매끄럽지 않는 번역, 역문항), 범주와 차원에 대한 문제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형 성인애착 척도 개발을 위해서 실제로 성인애착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성인애착 척도에 대해 실제적 평가를 했다는 점과 성인애착 척도에 있어 문화적 특성에 대한 고려를 했다는 점에서 성인애착척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dult attachment and identify difficulties in using of adult attachment measur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of adult attachment researchers. Method: Seven adult attachment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four professors who conducted adult attachment studies were interviewed. Results: The interview analysis identified 8 categories and 2 domains. Regarding the domain of definition and concept of adult attachment, keeping the existing definition of adult attachment,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adult attachment, and consideration of cultural context were suggested. Second, in regard to the domain of difficulties in measurement, the issues of objects, research questions (ambiguity of questions, mistranslation, inversed questions), and level of category vs. dimension were identified.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a Korean adult attachment measurement w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adult psychosocial environment.

      • KCI등재

        정이(程頤) 성인론(聖人論)의 특징에 관한 고찰

        김상래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6

        유가사상가들이 도덕과 지식의 측면에서 최고의 이상적 인간형으로 설정한 성인(聖人)은 “선천적으로 신비한 능력을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후천적으로 노력을 통해 그런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해 논리적 정합성을 제시하는 것이야 말로 맹자 이후 유학자들의 주요 이슈였으며, 많은 사상가들은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답변을 시도해 왔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입장과 배움(學)과 지식(知)들 통해서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입장의 두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유학은 어떤 학문 체계 보다 인간의 배움과 지식을 중요시한다. 사실 『논어』의 주요 내용에서 우리는 윤리 도덕적 가치의 집합인 인(仁)에 관한 대화보다 공자가 꾸준히 강조하고 제자들을 칭찬하는 용어인 배움(學)에 대한 표현이 더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한다. 유학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배움과 지식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는 공자 이후 맹자와 순자에 이르기 까지 절대적 지지를 받는 학설로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당시대에 이르러 인간의 내면에 대한 세분화된 견해를 정립하는 것을 시도하게 되는데, 한유와 왕충 등의 사상가들은 ‘성인은 이미 선천적으로 결정된 것이지, 인간의 노력으로 도달할 수 없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리고 다시 송대 성리학 시기 정이천은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제시하고, 치밀하고 자세한 설명구조를 확립하는데, 즉 선진시대 사상가들의 견해를 계승하여 ‘배움과 지식을 통해 그리고 인간의 노력으로 성인이 될 수 있다’는 사유를 제시한다. 성인에 대한 이런 이해 방식은 송대 성리학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주자 이후 유학사상의 핵심이론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 글은 유학의 기본 테제라 할 수 있는 성인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정이(程頤, 1033-1107)의 사유를 정리한 것이다. 그는 기본적으로 ‘성인가학이지(聖人可學而至)’ 즉, 배움을 통해 聖人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태어나면서 성인인 경지에 대한 표현법인 생지(生知)와 배움과 지식을 통해 성인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입장의 학지(學知), 최상의 지혜(上智)와 최악의 어리석음(下愚) 등의 용어들에 대해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논자는 이글에서 논제와 관련된 문제(안연, 자질과 성품의 문제, 지혜와 어리석음의 관계) 등에 대해 주로 정이천의 『유서(遺書)』의 「안자소호하학론(顔子所好何學論)」과 기타 논저 그리고 유학사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성인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정이천이 인간은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논리와 방법론을 정립하면서 제시한 그의 학설은 송대 성리학의 주요 과제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주자학의 주요체계로 포함되어 오늘날 정통의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 KCI등재

        聖人之書와 卜筮之書의 사이 : 새로운 出土資料를 통해 본 『周易』의 形成 問題

        정병석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周易』의 形成과 관련되어 論難을 일으키는 陰陽의 爻, 8괘와 64괘의 起源과 製作者, 重卦說 및 8괘와 64괘의 발생순서, 三易과 『주역』의관계, 『주역』의 發生的 기원, 『易傳』과 孔子와의 관계 등에 관한 문제들은 일반적으로 『역전』이나 『漢書』등에서 말하는 '聖人史觀'에 근거하여 해석되어 왔다. 8괘, 64괘, 卦爻辭와 『易傳』은 모두 三聖(伏犧氏,文王, 孔子) 혹은 四聖(伏犧氏, 文王, 周公, 孔子)으로 지칭되는 聖人들에 의해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바로 '聖人作易'의 관점이다. '聖人作易'이라는 尊古的 관점은 宋代의 歐陽修와 淸代의 崔述, 20세기 초의 古史辨 學派의 疑古的 경향에 의해 동요되기 시작한다. 특히 20세기 후반의 甲骨文, 數字卦, 湖北省江陵天星觀 竹簡周易, 阜陽 雙古堆 1호 漢墓 竹簡周易, 馬王堆帛書周易, 王家台素簡歸藏 등의 자료의 발견에 의해 '聖人之書'로서의 『주역』은 단지 한 권의 卜筮之書로 전락하고 만다. 그러나 出土資料들에 의해 『주역』의 발생적 기원이 점복에 있다는 사실은 결코 『주역』의 본질이 占書로 제한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출토자료 속에서 『주역』이 깊이 있는 철학체계를 가진 책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근거 또한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특히 馬王堆帛書周易,에서 발견된다. 『易傳』은 聖人들의 권위에 의탁하여 『주역』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본다면 『역전』에 등장하는 聖人은 『주역』을 지은 作易者라기 보다는 오히려 『주역』을 해석한 著者 자신들을 투영하고 있는 釋易者 혹은 解易者라고 말하는 것이 더욱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引起周易形成的論難的陰陽爻,?八卦和64卦的起源及作者, 重卦說及八卦, 64卦産生和先後順序, 三易與《周易》的關系, 《周易》形成的起源, 《易傳》與孔子的關系等問題一般是依据《易經》或く《漢書》等著作中的"골人史觀"加以解釋的. 因八卦, 六四卦. 卦爻辭和《易傳》都成書于三골 (伏義氏, 文王, 孔子) 或四골 (伏義氏, 文王, 周公, 孔子) 之手, 卽 "골人作易"的觀點. "골人作易"這一尊古的觀點因宋代歐陽修與淸代崔述及20世紀初的古史辨學派的疑古傾向的議解開始被動搖. 特別是20世紀後半협甲骨文, 數學卦, 湖北省江陵天星觀竹簡周易. 阜陽雙古堆1號漢墓竹簡周易, 馬王堆帛書周易, 王家台秦簡歸藏等資料的出土, 使有"골人之書"之稱的《周易》僅僅成爲一部卜筮之書. 但從文獻資料中可以看出, 《周易》起源于占筮的事實許不意味着《周易》的本質只局限于卜筮書, 因爲文獻資料提供了可증明《周易》含有深遂哲學內涵的可고증据, 特別是馬王堆帛書周易. 我們可以看出《易傳》試圖依托골人的權威以哲學的視角對《周易》進行解釋. 以此看來, 與其說《易經》中所提到的골人是《周易》的作者, 不如把這些將自身體現于《周易》的作者說成是釋易者或解易者更爲학切.

      • 재결단요법을 적용한 성인아이 치유사역 TA집단프로그램 시안

        이영호,문영주 한국교류분석학회 2006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가정사역의 일환으로 “재결단 요법을 적용한 성인아이 치유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 제시하는 것으로써 역기능가정의 성인아이를 교육하고 치료하고 증진하고 예방하는 것을 돕는 기초자료 제공에 주목적을 두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본 프로그램 시안 내용 중 먼저 가정과 역기능 가정의 성인아이, 그리고 성서적 관점의 성인아이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성인아이의 실존적 문제를 검토하였고 성인아이 치유를 위한 접근 방법은 재결단 요법을 선택하여 그 적용성과 이론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성인아이 치유를 위한 재결단요법의 유용성은 성인아이를 재양육하고 미해결과제를 해결하여 인격적인 힘을 강화시키고 ‘자아-타자-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성취하며 자아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재결단요법의 제한성은 영적 성장을 이루는데 모델이 없으며, 지속적인 자가 치료가 어렵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성경(그리스도)을 모델로 제시하였으며 그리스도요법의 ‘마음-비우기와 영혼-즐기기’의 명상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재결단요법의 이론과 원리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재결단요법의 유용성을 활용하고 제한성을 보완하여 성인아이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시안을 모색, 개발하였다. 성인아이 치유단계를 시작단계(1 회기), 교육 및 분석 단계(2∼5 회기), 치료단계(6∼9 회기), 연합단계(10 회기), 증진단계(11 회기), 선언 및 파송단계(12 회기)의 총 6단계, 12회기로 설정하고, 각 회기의 시간은 주 1회 180분으로 정하고, 참가자는 8∼10명으로 구성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안은 심리분석학적 치료와 기독교에 바탕을 둔 영적 치료가 결합되었으며, 이것은 성인아이의 교육, 치료, 증진, 예방 등의 각 차원들을 통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아이의 진단 범위를 확실시 하고 연구 검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성인아이 진단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예방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성인아이 치료 프로그램을 결혼 예비부부나 신혼부부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하고 적용한다면 다음세대의 성인아이의 정서적 어려움을 더욱 예방할 수 있으며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재

      • KCI등재

        역전(易傳)의 성인사관(聖人史觀)과 문명발전(文明發展)

        정병석 ( Byung Seok Ju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성인은 천도의 법칙을 파악하고 그것을 인간사에 적용할 줄 아는 사람을 말한다. 『역전』에서 `성인`은 구체적으로 『주역』을 지은 사람이고, 인류의 삶에 필요한 기물을 만들어 문명 발전을 주도하는 지혜로운 존재이고, 백성을 교화하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는 위대한 지도자인 성왕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한 마디로 인간의 역사와 문명 발전을 이끌어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역전』의 역사관을 `성인사관`이라고 하는 이유는 성인을 중심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역사를 움직이는 실체가 바로 성인이기 때문이다. 『역전』에 보이는 성인은 자연계와 인간사에 공통적인 법칙인 도를 파악하고 그것을 인간 사회에 적용하고 있는데 이른바 `인문화성`이다. 자연세계의 변역하는 `천도`를 파악하고 그것을 통하여 `인도`를 말하고, 또한 `천도`에 근거해서 인간 자신의 주동적인 작용을 발휘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성인관은 도덕적 수양에만 치우쳐 있는 송대 이후의 유가적 성인관을 재조정하여 원시유학 본래의 내성외왕의 균형이라는 이념을 다시 새롭게 전개할 수 있는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 聖人是傳統中國人對於天道、 人道的最完善和最圓滿的體現者的稱謂. 自《易傳》起, 中國思想家就認爲自然社會的所有方面都貫穿著總體法則-道, 聖人的智慧就表現在對這種總體法則的認識上. 《易傳》將這種總體法則提昇到形而上的高度討論了, 那便是《易傳》所言的"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人應該知道、效法、實踐天道與地道, 此就是屬於`人文化成`的範圍. `人文化成`或是`人成`分爲`知天地`、法天地、用天地的三層階段. 《易傳》宣揚的想人格强調聖人在社會歷史發展與文明進步過程中的超乎尋常的作用, 形成了先秦儒家中自成一體的聖人史觀. 《易傳》的聖人能掌握和運用天地變化的規律以敎化天下. 聖人察知事物變化中的必然性. 如此, 《易傳》的聖人具有理性主義的特點. 同時他亦具有功利主義的色彩. 《易傳》歌頌古代傳說中聖人, 認爲他們是依據易理創造器物以.天下的典範. 在《易傳》看來, 人類由蒙昧進入文明狀態, 聖人的功勞, 此本書充滿著偉大人物創造歷史的聖人史觀. 本文主要分析了《易傳》所謂的聖人作易的、易理的體現、作爲歷史和文明創造者的聖人、變易的、樂觀的歷史觀以及人文化成的問題.

      • KCI등재후보

        장애성인 평생교육 현황과 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정인숙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1

        장애인도 성인이 되면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취업, 결혼, 독립적인 생활, 여가생활 등에 대한 기대를 가지게 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의 자급자족과 스스로의 독립생활을 위한 질적인 주거공간, 지역사회의 적응과 참여 · 통합을 위한 성인교육 및 여가생활에서의 지원과 서비스가 요구된다. 장애성인의 현황은 후천적 장애인 약89%, 장애성인 약93%, 무직율 약50%를 나타내고 있고, 복지시설은 극히 일부의 장애성인만이 이용 하고 있다. 또한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관련 기구 및 정책에 있어서 일반적인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장애성인 평생교육에 관한 내용이 거의 나타나 있지 않으며, 장애성인 평생교육관련 기구에서도 종합적인 장애성인 관련 교육정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방향은 법이 정한 권리를 보장하는 장애인 평생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중심의 교육과 통합교육 확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대책으로는 첫째, 법이 정한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장애성인의 평생학습을 위한 지원체제를 확립 하여야 하고, 둘째,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장애성인도 일반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의 평생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Sinc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ecome adults, it is expected that they participate in work, marriage, independent living, leisure activities, and so on like adults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m to be self-sufficient in the economical aspect, to have quality residential space and to get support and services in the adult education and leisure life to be involved in and adapted to community. The statu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hows that individuals with acquired disabilities account for 89 percent of all population with disabilities, adults with disabilities 93 percent, unemployment rat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s about 50 percent of all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welfare institutions are available to only a few adul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regula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little content about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even speci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few comprehensive policies in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adults with disabilities must be provided with lifelong education, which is stipulated by laws, as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extension of inclusive educati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lifelong education which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for rights which are stipulated by laws to be guaranteed. Second, community-based educational circumstances should be provided. Third educational condition, in which adults with disabilities can be educated with adults without disabilities in regular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which results in inclusion, should be formed.

      • KCI등재

        성인발레학습자의 경험실태 연구

        유은혜,윤혜선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adult ballet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issues of improving i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adult ballet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adult ballet learners in their 20s~50s who participated in adult ballet lessons for 3 months or longer. They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29 item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 of adult ballet learners, it was noteworthy that there was male participation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them was not greater than female. The age of participants in their 30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the 50s than before. Als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of office employees and housewives wer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tion path of the ballet class and the preferred class participation method of the adult ballet learner, it was found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path was most preferred to the dance academy which can easily be accessed through an Internet search. For participation method, 2 times a week, 1 hour~1 hour 30 minute class hour was most preferred. It was found that the at least KRW 130,000 a month were spent for the majority of ballet less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adult ballet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 selection conditions of the learning institutes were most likely to be close to the learner’s residence.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was mostly posture correction and body management and the expectation effect through the ballet lesson was emotional relaxation and flexibility improvement through classical music. The most satisfying aspect about adult ballet learning was found to be the exercise effect, body figure management and vit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adult ballet lessons perceived by adult ballet learners, the most difficult aspect in the ballet learning process was to follow rhythm in music and the order of movement. The most common opinion for improvement is that adult ballet learners need to be taught at various ages and le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ctivate and popularize adult ballet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as recre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성인발레학습자의 경험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성인발레교육의 현황과 개선 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방법은 성인발레수업을 3개월 이상 수강한 20대∼50대의 성인발레학습자 132명을 대상으로 2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인발레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에 비해 적은 비중이지만 남성의 참여도가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결과로 나타났고, 연령은 30대의 참여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전에 비해 50대의 참여도가높아지고 있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적 특성에서는 회사원 및 주부의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성인발레학습자의 발레수업 참여경로와 선호하는 수업 참여방법을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경로는 인터넷 검색을통해 발레학습기관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무용학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 참여방법은주 2회로, 1회 참여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의 구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발레학습을 위해 한 달에 최소 13만원이상 비용투자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발레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만족정도를 분석한결과, 학습동기의 요소들 중에 학습기관의 선택조건은 거주지와 지리적 거리가 가까운지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자세교정과 몸매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발레수업을 통한 기대효과는 클래식 음악을함께 접하면서 정서적 완화와 유연성 향상으로 나타났다. 성인발레학습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사항은 운동효과가매우 크고, 몸매관리, 생활의 활력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발레학습자가 인식한 성인발레학습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분석한 결과, 발레학습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음악에 리듬을 맞추는 것과동작의 순서를 따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선사항은 성인발레학습자의 다양한 연령 및 수준별 수업 운영이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여가활동으로서 성인발레교육의 활성화 및 무용교육의대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상황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안중회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7 No.-

        This study pursues the development of a proper education program for adult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There ar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but it is not easy to find the proper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practi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itable program model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ground for Adult Learning and Practical Learning.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relevant materials and documents about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program model for Education for Unification. First, to contemplate the need for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the field of Adult Christian learning, and to analyze the existing studies and materials in order to set the proper direction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Second, to seek for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as a base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and to prove that Situated Learning Theory can be the theoretical base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Third, to select and examine the existing programs which can be seen as an application of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to ascertain their effects as to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Lastly, to propose a proper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as in terms of Adult Education study. By extention of the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 Based on the findings, I propose a program development model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whereby the learners actually join the 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 Therefore, as per the program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adult christians join the community to experience supposedly the unified Korea in advance, which approaches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본 연구는 기독교통일교육(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의 영역에서 성인에게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은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있으나 실천적 차원에서 두드러지는 교육 프로그램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교육(Adult learning)과 실천중심(Learning Centered)의 학습에 이론적 기반이 되는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을 적용한 성인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을 모형을 구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성인기독교통일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헌 연구가 기반이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의 틀을 제공함으로서 성인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법론적 근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우선, 성인기독교교육(Adult Christian learning)의 영역으로서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한다. 그 동안의 연구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성인기독교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정립한다. 두 번째로, 성인기독교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상황학습이론의 타당성과 적용을 모색한다. 그래서 성인학습이론으로서 상황학습이론이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세 번째로, 기존에 있는 상황학습이론의 배경 혹은 적용으로 볼 수 있는 성인 통일교육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의 프로그램의 실천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성인 기독교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적합한 모형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인교육학적 접근방법으로서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성인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이다. 따라서 그 방법으로 통일사회를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새터민 공동체를 주목하고 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상황학습이론의 적용으로 새터민 공동체(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에 참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성인기독교통일 교육 프로그램은 성인 기독교인이 새터민 신앙공동체(North Korean refugee Church Community)에 참여함으로 통일사회(unified Korea)를 가정한 선행적 통일사회를 경험하는 학습방법으로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접근하고 있다.

      • KCI등재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에 관한 고찰: 들뢰즈⋅가타리의 리좀 이론을 중심으로

        이관춘,최수연,김향균,정지영,성원숙 한국성인교육학회 202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6 No.4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이론을 중심으로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인식론적 전환은 문제설정의 방식과 직결된다는 점을 포착하고 알튀세르와 그람시의 이론을 통해 인식론적 단절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어, 성인교육에 대한 인식론을 접근하는 두 가지 준거로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수목형 사유방식과 그 대척점에 있는 리좀형 사유방식을 개괄적으로 비교⋅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성인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성인교육의 철학, 그리고 성인교육의 학습원리 등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안드라고지로서의 성인교육을 세 단계, 즉 동일성의 성인교육, 차이존중의 성인교육, 차이생성의 성인교육으로 규정하고,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해서는 접속과 생성 및 변이를 거듭하는 역동적인 생성철학으로의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entral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pistemological change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based on rhizome of Deleuze and Guattari. For th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pistemological transition should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blematique’, the study firstly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break’ through the theories of Althusser and Gramsci. Rhizome model were further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Tree Model, as the two criteria for approachjng the way of thinking about adult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the epistemological change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were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such as the identity of adult education, philosophy of adult education, and the four pillars of adult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ree steps of adult education as an adragogy: adult education of ‘sameness’ or identity, adult education of ‘difference respect’, and adult education of ‘difference devenir’, and emphasized that epistemological change, as the creation philosophy repeating connection, creation, and integradation, should be needed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