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 개념적 은유 활용을 중심으로

        김현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0

        Recently, interest i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writing education is increasing.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writing education method using conceptual metaphor as a way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explanatory writing. Metaphor can be understood as being creative because of the nature of its attempt to escape the conventional linguistic usage conventions. Also conceptual metapho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easier to explain unknown objects. Considering all the characteristic,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method of explanatory writing using conceptual metaphor. As a result of the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using the conceptual metaphor, the students tried to understand the object in various ways and tried to write an article introducing the object in various and creative way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raining which was limited to the literary writing in the past to academic writing such as explanatory writing. In addition, the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students try to understand creatively in various aspects through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using metaphor.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글쓰기 교육은 대부분 문예적 글쓰기로 한정되어 이루어진 경향이 높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문예적 글쓰기가 아닌 설명적 글쓰기에서의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을 살펴보고자 했다. 은유는 기존의 언어적 사용 관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특성으로 인해 창의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은유는 잘 알려지지 않은 대상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은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결과, 학생들은 대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대상을 소개하는 글을 쓰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의 문예적 글쓰기로 한정되어 있었던 창의적 사고력 증진 교육을 설명적 글쓰기와 같은 학술적 글쓰기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은유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창의적으로 이해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맛집의 음식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사례 연구

        정덕현(Jeong, Duk-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1

        This study introduces an example of writing classes that use the food of famous restaurants, which have recently attracted keen social attention. For college students or learners who experience difficulty in writing, we used food from famous restaurants as an instrument to arouse their interest and draw their attention to writing. There are two reasons that the subject of food at famous restaurants was employed in writing classes. First was to encourage students to find something interesting to write about. Although there has recently been more research and education concerning writing compared to the past, college students still feel that writing is either difficult or uninteresting work. Hence, further research on how to increase interest in writing is needed. In this sense, using the food of famous restaurants for writing could nurture learners’ interest. Second, the food of famous restaurants could serve as “conversational resource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at foods at famous restaurants can be utilized for writing classes and, under this premise, actual writing classes were conducted. We introduce examples of writing classes featuring the food of famous restaurants and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such cases. In addition, by analyzing personality tests conducted before writing class and used to tailor writing instruction to students’ personal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result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learners. Eight writing class sessions were conducted. First, orientation and personality tests were performed. Then, theories of writing were introduced and descriptive writing, explanatory writing, narrative writing, and argumentative writing assignments were given. Overall, learners found argumentative writing the most challenging, and students of the “feeling” type felt that writing was much more difficult, as they are more interested in human relationships and their judgment depends more on circumstances. Still, they showed considerably positive responses to the idea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food of ‘famous restaurants’, and classes were facilitated by such elements of exotic experience. During the course of instruction, students exhibited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hose of the “thinking” type demonstrated relative strength in argumentative and narrative writing, which was attributed to their habit of making logical and objective judgments based on truths and fac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of the “feeling” type were more inclined toward descriptive and explanatory writings. This maybe due to their personalities that value actual experience, dependence on senses, focusing on reality, and dealing with matters with accuracy and attention to detail. 본 연구는 최근에 사회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맛집의 음식을 활용하여 글쓰기 수업을 진행한 수업사례를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대학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주고,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맛집의 음식을 활용한 것이다. 맛집의 음식을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게 된 것은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올려주기 위함이다. 글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나 교육이 예전에 비하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대학생들은 여전히 글쓰기를 어렵거나 재미없어 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흥미를 키워주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런 차원에서 맛집 음식을 글쓰기에 활용한다면 보다 더 학습자의 흥미를 높여줄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맛집의 음식은 대화의 화제가 되는 대화적 자원 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맛집의 음식이 글쓰기 수업에 활용 가능하다고 전제하였고, 실제로 이를 이용하여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맛집의 음식을 활용한 실제 수업사례를 소개하면서,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학습자의 정의적인 부분을 감안한 글쓰기 지도를 목적으로 수업 전에 실시하였던 성격검사를 분석하여 성격별로 나타난 글쓰기 특징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글쓰기 수업은 8차시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먼저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성격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글쓰기에 대한 이론수업을 실시하고 묘사적 글쓰기, 설명적 글쓰기, 서사적 글쓰기, 논증적 글쓰기 작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논증적 글쓰기를 가장 어려워했으며, 특히 감정형의 경우 사람과의 관계에 주로 관심을 갖고 주변 상황을 고려해서 판단하는 성격 특성상 더욱더 글쓰기를 어려워했다. 그러나 ‘맛집’의 음식을 이용하여 글쓰기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색적인 경험으로 인해 수업의 분위기는 좋았다. 지도하는 과정에서 성격유형별로 글쓰기의 특징이 나타났다. 사고형은 논증적 글쓰기와 서사적 글쓰기에 강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는 진실과 사실에 주로 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판단하는 성격의 영향이 크다. 반면 감각형은 묘사적 글쓰기, 설명적 글쓰기에 강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는 오감에 의존하며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고 지금,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정확하고 철저하게 일 처리하는 성격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실제와 발전 방안 <상명대학교 글쓰기 강의를 중심으로>

        김현주(Kim Hy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최근 대학교의 교육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변화의 주 요인은 창의적 인재의 필요성에 대한 시대적 공감대에 기인한다. 대학의 글쓰 기는 이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인식과 글쓰기의 현실은 양극단에 놓여있다. 글을 잘 쓰고자 하는 욕망과 함께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실제 글쓰기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대학 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사전 평가와 글쓰기 강의를 수강한 다음의 사후평가를 통해 그들에게 필요한 글쓰기 강의안을 만들고자 한다. 사전 평가와 실제 글쓰기를 통해 판단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은 이공계열과 문과계열 간의 차이가 상당했다. 이는 고등학교 시기 대학입학을 위한 논술쓰기가 문과계열에만 실시된 것에 연유한다. 따라서 이공계열과 문과계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강의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글쓰기 과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강의가 필요하다. 즉 이공계열 학생들에게는 설명적 글쓰기가 필요한 반면에 문과계열 학생들에게는 논증적 글쓰기가 요구되었다. 또한 문과계열과 이공계열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글쓰기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였다. 이를 통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동시에 스스로의 미래를 개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대학생 활은 물론 사회생활에까지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cently, university education has shifted from the supplier to the consumer. The main reason for this change is the shared consensus about the necessity of creative talent. University writing is at the center of this change. However, the reality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writing lies at the extremes. The desire to write well, the vague fear of writing, and the problem of actual writing. This article starts from this awareness. I would like to make a writing lecture for them through pre-research of writing by university students and post-research after taking a writing lecture. The ability of students to write through pre-research and actual wri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essay writing for college admissions in high school was conducted only in the curriculum. Also trained how to improve a variety of skills in order to enrich the content of the writings. The writings’ content of students becomes rich. Therefore, the professors who actively mend their posts several times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this lecture. In addition, university should be active support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 설명적 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인 글쓰기 방안

        오현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통해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논문으로, 설명적인 텍스트를 구조적으로 읽고 파악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통해 얻어진 글의 구조적인 파악 능력을 논리적인 글쓰기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쓰기 지도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는 문자언어를 매개로 하는 활동으로, 음성언어와 구별되는 공통점을 지니며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하나의 사고 과정이기 때문에 유사한 의미 구성 과정을 가진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 능력을 공통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전략을 알고 논리적인 글쓰기 지도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설명적인 텍스트 읽기를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이해의 단계와 본격적으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논리적인 글쓰기의 2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때 1단계인 읽기는 수집 구조,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문제/해결 구조, 기술구조의 다섯 가지 수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각 구조마다 2차시의 시간을 설정하고,2단계인 논리적인 글쓰기에서는 3차시에 걸쳐서 설명적인 텍스트의 구조를 다양하게 보안하거나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전자교과서 등이 도입될 예정인 학교의 경우,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텍스트를 넘어서 다양한 소셜 매체와 뉴스 등의 정보들이 언어적인 소통을 활발하게 벌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설명적인 텍스트가 학생들에게 과거보다 더 자주 노출이 되고 국어과 수업에서도 그러한 텍스트들을 구조적으로 잘 이해하고 다시 논리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기회가 보다 빈번해질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글쓰기 교육 방안 - '스피치 노트'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정배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3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asic wring educ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using speech note applications on smart phones. The current apps on smart phones increasingly concentrate attention on AI writing, beyond just an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The writing education methodology using applications of the post-human era, however, has not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actual writing cour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extendibility of writing in the post-human era and evaluate the usability and usefulness of smart phones in the writing cour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arners' writing course using ‘speech note’ apps, who attend <Writing Theory and Practice>, a liberal arts for writing in Wonkwang University. ‘Speech note’ apps were found to be learning tools helping learners secure their spontaneity and activeness for writing and encouraging learners who have been ambiguously afraid of writing to more intimately approach it. In addition, this study reached a significant conclusion that learners can connect ‘explanatory writing’ with ‘correction processes’, for themselves, in which they have not been usually interest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learners' voices are converted into verbal texts. 이 논문은 스마트폰의 스피치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대학 교양 기초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스마트폰의 앱은 단순한 정보전달의 기능을 넘어 인공지능(AI) 글쓰기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시키고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포스트휴먼 시대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글쓰기교육 방법론은 실제 대학 교양 글쓰기의 과정에서 그리 활발하게 논의되고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글쓰기 의미와 그 확장 가능성을진단해보고, 실제 대학 교양 글쓰기 과정에서의 스마트폰 활용 가능성과그 효용성에 대해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글쓰기 교양과목인 <글쓰기이론과 실제>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스피치 노트’ 앱을 이용한 글쓰기 과정에 대해 진단하였다. ‘스피치 노트’ 앱의활용은 학습자의 글쓰기에 대한 자발성과 능동성을 확보하고, 글쓰기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는 학습자에게 글쓰기를 보다 친근하게 접근할 수있도록 도와주는 학습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음성을 문자텍스트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평소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설명적 글쓰기’의 방식과 그 첨삭 과정을 자기 스스로 연계할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손혜숙(Son, Hye Suk)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글쓰기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글의 구조 및 표현의 필요성을 요구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으로 ‘뉴스레터’를 활용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면서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구체적인 교육 방안으로 자원기반학습 모형 중 Fox가 제안한 자기질문 모델(QUS4PER)을 토대로 ‘기획-제작–공유’의 단계로 재조직하여 진행하였다. 기획 단계에서는 대상 및 테마 선정-목적 및 주제 설정-정보 수집-정보 선정-정보 구성-동료 피드백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제작 단계에서는 정보를 표현한 후 점검하고, 공유 단계에서는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댓글을 통해 소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글과 설문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 방안은 첫째,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접하면서 정보를 확장할 수 있다는 점, 둘째, 타인의 글과 댓글을 통해 자신의 글을 점검해 보면서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 셋째, 타자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감을 형성하고 글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requires the need for structure and representation of writings suitable for the digital environment. To this end, I explored explanatory writing education methods using “newsletters” as a direction for writing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by applying them to actual classes. As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self-question model (QUS4PER) proposed by Fox among the resource-based learning models, it was reorganized into the stage of ‘planning-production-sharing’. In the planning stage, the target and theme selection-purpose and topic setting-information collection-information selection-information composition-colleague feedback was conducted, and in the production stage, information was expressed and checked, and in the sharing stage, the results were shared through comments. After analyzing learners" writings and survey results, the educational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it was first possible to expand information while encountering new and diverse information, secondly to check one"s writings and comments, and thirdly to build confidence and understand the genre features of writing.

      • KCI등재

        설명적 글쓰기와 설득적 글쓰기에서 대학생 필자의 자료 선택에 대한 연구

        최건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college student writers use sources in expository writing and persuasive writing which are typical writing to learn. This study found out that college students used more research thesises, articles or new materials when they write persuasive texts than write expository texts. This result came from participants’ awareness that authority can be included in persuasive texts’ contents. And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reliability of sources, type of match, forms of information in sources, publication date of sources, accessibility of sources, individual writers’ comprehension of sources when they select information from sources to compose. Especially, participants used sources from internet frequently because of the acces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y could not trust the quality of sources from internet.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need conditions to help them to use sources for their writing purpose and that educators should teach stuents to use sources proficiently to compose. 본 연구는 학습을 위한 쓰기의 대표적 유형인 설명적 글쓰기와 설득적 글쓰기에서 대학생 필자들이 어떻게 자료를 활용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연구 결과, 대학생 필자들은 설명적 글쓰기를 할 때보다 설득적 글쓰기를 할 때 학술 논문이나 기사, 뉴스 자료를 더욱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설득적인 글의 내용에는 주관성이 더 많이 반영되어도 된다는 참여자들의 판단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글을 쓰기 위한 자료를 선택할 때, 자료의 신뢰성, 자료 내 정보와 쓰기 과제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일치도, 자료 내 정보의 형식, 자료의 생성 시기, 자료에 대한 접근성, 자료에 대한 개인 필자의 이해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인터넷 자료의 경우 접근성이 좋은 관계로 빈번하게 사용되었지만, 참여자들이 신뢰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꼽히기도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목적에 맞는 자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조성하고 능숙하게 자료를 활용해 글을 쓸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

        이기홍(Lee Ki-ho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6

        사회학의 논문들은 전형적으로 가설연역적 방법의 연구절차를 문자적으로 재현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것은 가설연역적 방법이 오랫동안 표준적인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학 연구를 지배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가설연역적 방법은 과학적 탐구과정의 극히 일부분에서만 사용되는 형식논리적 절차로서, 특히 전제에 대한 가공과 변형만을 허용함으로써 사회현실을 해명하는 새로운 견해의 창출을 제약하기 때문에 충실하고 적절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협약주의 과학철학자들은 이미 1960년대부터 이론의 경험의존성 명제 및 이론의 경험적 미결정성 명제를 제출하면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성립불가능성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지위에 근거를 두고 실행되는 사회학의 전형적인 글쓰기 형식은, 사실상 그 기초가 취약한 것이다. 과학활동의 핵심은 경험에 대한 설명이며, 과학적 방법이란 경험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실재, 즉 실체들과 과정들을 찾아내려는 시도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유능력의 훈련되고 합리적으로 통제된 활용을 묶어서 부르는 이름인 것이다. 그리고 사회학의 글쓰기도, 저명한 저작들에 대한 분석에서 확인되듯, 경험에서 출발하여 실재로 나아가거나 실재에서 출발하여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경험과 실재를 연결짓는 것이 적절한 형식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ypical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which reproduces the research process of hypothetico-deductive method literally. This positivisminspired method has dominated research practices in sociology for several decades as standard scientific method. But it is used in a small part of the whole scientific inquiry. Especially, this formal logical procedure allows only to process and transform the promises so that restrict researcher not to proceed to create the new idea which explains social reality. And conventionalists' theory-ladenness thesis and Duhem-Quine’s underdetermination thesis have pointed that H-D method does not work and scientific practices do not follow it. So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for the typical form, influences of which are grounded on H-D method as the scientific method. Scientific practices can be characterized as pursuit of a plausible explanation for experiences. Scientific method designates all the disciplined and rationally controlled uses of various creative thoughts that operate in seeking to postulate the realities, i.e. entities and processes generating phenomena. And as distinguished sociological works show, adequate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is, by proceeding from experiences to realities or reverse, connecting them.

      • KCI등재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 결과 분석 - 글의 수준에 따른 평가 준거별 특성 비교 -

        장성민,이성준,오예림,민병곤 한국작문학회 2022 작문연구 Vol.- No.55

        This study analyzed the 2022 writing assessment for first-year students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university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essays using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written text. The argumentative essays of 1,257 students were evaluated with analytic scoring, and the text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using the modified Angoff method based on the total score.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was used to confirm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bility of each evaluation criterion, and a mixed method of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was appli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idence validity,” “evidence sufficiency,” “appropriateness and clarity of claim,” and “organization of the whole text” have generally high explanatory power. Second, “novelty of approaches and ideas” and “consideration of counterargum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category, have relatively high discriminability at the upper level. Third, “spelling and co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expressions category, has relatively high discriminability at the lower level.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에서 시행한 2022학년도 신입생 글쓰기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의 글쓰기 능력을 절대 수준으로 분류하고, 글의 수준에 따른 평가 준거별 특성을 탐색하였다. 분석적 채점을 통해 1,257명이 작성한 논증 에세이를 평정하고, 총점 구간을 기준으로 수정된 앙고프(Angoff) 방법을 통해 전체 응시자가 작성한 글을 세 개의 수준으로 나누었다. 다분형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여 평가 준거별 난이도와 변별도를 확인하였으며, 설명적 순차 설계(explanatory sequential design)의 혼합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① ‘근거의 적절성’, ‘근거의 충분성’, ‘주장의 적절성과 명료성’, ‘글 전체 구성’의 설명력이 일반적으로 높다는 점, ② 내용 범주에 해당하는 ‘접근 방법과 아이디어의 참신성’, ‘예상 반론 고려’가 상위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별력을 지닌 반면 중·하위 수준에서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 ③ 표현 범주에 해당하는 ‘맞춤법과 관습’이 하위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별력을 지닌 반면 중·하위 수준에서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설명적 텍스트 쓰기 양상 분석을 통한 쓰기 윤리 교육 내용 탐색

        강민경 ( Min Gyeong Kang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쓰기 윤리 교육의 목표는 ``윤리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다. 그러나 쓰기 윤리에 대한 규범의 강조, 쓰기 규범의 내면화, 규제의 강화만으로 이러한 목표가 달성되기는 어렵다. 쓰기 윤리는 일종의 규범이지만, 윤리적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쓰기 능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쓰기 윤리에 대한 내용을 독립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쓰기의 실제와 통합하여 쓰기 과정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과 기능을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설명적 텍스트 쓰기에서 쓰기 윤리 문제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 내용이 필요한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쓰기 과제는 ``참고 자료를 활용하여 소개하는 글 쓰기``이다. 참고 자료는 두 가지 유형―출력본과 하이퍼텍스트-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쓰기 과정을 녹화한 동영상, 학생이 작성한 글을 분석하였으며, 두 가지 표절 검색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표절 정도에 따라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적 텍스트 윤리적으로 쓰기``에 대한 교육 내용을 ``지식``, ``기능``으로 구성하였다. The typical solutions to ethics of writing` problem are strengthening ethics of writing and tightening regulations on plagiarism. But in the middle or high school, the objective of teaching ``ethics of writing`` is that students can write ethically. So the effective solution to the problem of ethical writing is to integrate ``ethics of writing`` as a kind of ``standards`` with writing process as a kind of ``practice``. This paper aims to concretize ``writing expository text ethically``. I analysed student`s writing process and products. And I used two plagiarism detection progra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process according to degree of plagiarism. As the students wrote expository text from sources, their compositions were similar in text structure, contents, and expressions. But some students tried to avoid plagiarism by using some strategies-classification, summarizing, defining, adding content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is, I organized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strategies to help students to write expository text eth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