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栗谷의 善惡觀에 관한 연구

        金起賢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4 No.-

        14세기 이후로 동아시아 정신문화를 主導해 왔던 성리학은 北宋의 理學家들에 의해 定礎되고 南宋의 朱子에 이르러 하나의 新儒學으로서의 규모를 갖춘 체계로 정립된다. 그러나 주자의 성리학은 세부의 철학 문제들에 있어 ‘未備’․‘未完’, 또는 해석이 分岐할 수 있는 ‘曖昧한 부분’을 內包하고 있었고, 이것들은 조선조의 16세기 주요 성리학자들에 의해 깊이 論究되어 代案이 제시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두 성리학 체계가 退溪 性理學과 栗谷 性理學이다. 이 논문은 善惡觀에 있어 율곡 성리학이 주자 성리학과도 다르고 퇴계 성리학과도 다른, 율곡 성리학만이 갖는 독자적인 입장을 규명한 시도이다. 율곡은 사단과 칠정에 대하여 氣發理乘‘一途說’을 主唱하였고, 인심과 도심에 대하여 人心道心‘終始說’을 공표하였다. 또한 情과 意를 특히 善惡과 관련하여 별개의 두 부류로 논급하는 情意二歧說을 비판하여 이것들이 별개의 두 부류가 아님을 力說하였다. 이 세 가지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율곡이 나름의 일관된 선악관을 유지했음을 확인해 보고, 그 관점이 根源的으로는 理氣 개념을 嚴格하게 적용하는 율곡 特有의 理氣論에 기초하고 있음을 究明한다. 선악관의 특색으로 말할 때 율곡 성리학의 선악관이 갖는 특색으로 이 논문은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율곡 성리학에서는 도덕(善)의 범위를 인간의 도덕 행위에만 한정하지 않고, 희로애락 등을 포함한 인간의 모든 행위, 더 나아가 우주의 모든 운행에까지 확대시킨다. 우주의 모든 운행이 善惡과 直結되는 것이다. 둘째, 모든 선을 예외 없이 모두 同等하게 性理가 발현된 것으로 간주한다. 율곡 성리학에서는 이 세계에 純善의 특수 집합이 따로 존재한다거나 또는 다같이 仁義禮智의 性理와 관련된 善일지라도 質的으로 또는 價値上으로 差異가 인정되는 일 등이 허용될 수 없다. 사단-칠정이 되었든, 인심-도심이 되었든, 율곡 성리학에서는 氣의 發․運行에 理가 타기만 한다면(氣發而理乘之) 예외 없이 모두 同等하게 善이다. 필자는 율곡 성리학의 이러한 선악관을 汎道德主義 선악관으로 규정한다.

      • KCI등재

        불교서사의 선악대립과 문학사적 의미

        김진영 ( Jin Young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이 논문은 불교서사의 선악대립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핀 것이다. 먼저 불교서사의 선악대립 동인과 서사적 기능을 검토한 다음, 그 의미를 연역적으로 도출하여 보았다. 그 결과 고전소설에서 일반적인 선악대립의 연원을 불교서사에서 찾을 수 있었다. 먼저 불교서사의 선악대립 동인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불교서사에서 선악대립이 나타난 것은 불교의 선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악을 강력하게 징계할 목적 때문이었다. 불교서사의 선악대립 실태는 불교적인 충과 효의 실천 문제를 선악으로 대립·병치시켜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대체로 先惡後善의 방법으로 대립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불교서사의 선악대립이 구현한 서사미학을 살펴보았다. 선악의 극명한 대비는 작자가 의도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부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게다가 작품에 시대상을 효과적으로 담아 리얼리티를 제고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불교서사의 선악대립은 통시적인 관점에서 주목된다. 여말선초의 불교서사에 와서 선악대립 구도가 분명해지는데, 이들 작품의 유통이 고전소설의 선악대립 구도에 좋은 본보기가 되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 유교적인 이념을 선으로, 새로운 변화와 일탈을 악으로 상정한 고전소설에서 불교서사의 선악대립 구도를 차용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불교서사의 작화방식이 고전소설의 그것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아도 좋겠다. This thesis is studied on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After checking the cause of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it is examined about narrative function of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With this foundation, it is checked out a cause of the general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The gist of what it said is as follows. First, it is examined the causing the rivalry and actual condition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made a ethics discipline in Buddhism, and it is needed to know that to everybody. Doing so can realize didactic morality effectively.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is centered in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then it is made to fight a good and evil. Then the evil is punished completely, and the good is won. Finally peaceful world is made. Second,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is effective in terms of narrative esthetics. First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can recognize the instructive contents effectively. This means that Middle Age ideology is reformed. Second it can be improved the interesting.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can induce fun with adding a public entertainingness. Third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s useful to put into a Middle Age ideology. In Middle Age it is important to obey a fixed model. So a Middle Age ideology is emphasized through the good, legitimacy of standard is emphasized through the evil. Third,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is paid atten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narration with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s made with mixing various different story. And with a classical novel in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this is a generalized good model in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Actually surface appearance of the rivalry of good and evil in Buddhist narration is made a Buddhism, but the truth goes through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So that story is made a good novel. And it is like a classical novel. Seen in this light, the making method of the Buddhist narration is caused influence of the classical novel.

      • KCI등재

        이황(李滉)과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의 선악관

        박규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퇴계가 한국인의 이상적인 스승의 모델이자 조선 성리학자의 전형이 라면,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에도시대 국학의 집대성자로 근대 이래 지금 까지도 지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일본인론’의 원형을 제공한 국학자의 전형이다. 양자는 시기적으로 2세기 이상이나 차이가 나지만, 사상적, 문 화적으로 각각 한국인과 일본인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비교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목적은 ‘선악의 문제’를 매개로 퇴계 와 노리나가의 사상을 비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주자 학과 일본 신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선악담론에 주목하면서, 선악관의 유형을 크게 절대적 선악이원론과 절대적 선악일원론 및 상대적 선악이 원론과 상대적 선악일원론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퇴계와 노리나가 는 이 중 절대적 선악이원론과 상대적 선악이원론의 관점을 일정 부분 공유하면서도 결정적인 차이를 노정한다. 요컨대 주자학적 이성(理)에 의 거하여 인간의 성선을 철두철미하게 믿은 퇴계는 절대적 선악이원론의 입장에 더 근접해 있다. 이에 비해 노리나가의 입장은 신도 가미(神)에 대한 주정주의적 신앙에 입각하여 선악의 피안에서 미학적 인간의 모델 을 제시하고자 하는 상대적 선악이원론에 더 가깝다. 끝으로 본고는 이 와 같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학적 자리에서 양자의 접점을 모색해야 할 과제가 우리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선악론(善惡論)

        李永慶 ( Lee Young-kyung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7 No.-

        茶山 丁若鏞은 인간의 性·心·身·道 등의 문제를 해명함에 있어서 선악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윤리 문제를 핵심적인 초점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산의 선악론과 가치 실천 문제를 분석하여 그의 윤리사상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다산은 선악을 相補的 가치가 아니라, 상호 對立的·葛藤的 가치로 규정한다. 그리고 선악이 선천적으로 결정된 방식으로 인간의 심성에 부여된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적 삶에서의 실천적 가치라고 간주하면서, 선은 인간이 삶에서 구현해야 할 마땅한 도리와 덕이라고 정의한다. 다산은 주자학의 萬有一理的 性論과 불교의 本然 無始自在의 사상을 비판하면서 선악의 가치는 오직 인간만이 인식·각성·실천할 수 있다고 한다. 다산은 또 주자학이나 불교가 形氣[몸]를 악의 근원으로 단정하는 것은 오류라고 비판하고, 性善의 인간이 악을 할 수도 있는 것은 마음에 악을 가능케 하는 素因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다산은 마음의 可善可惡의 권능은 악으로 흐를 수 있는 불안하고 위태로운 성향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마음에서의 선악 대립적 갈등을 전투적인 양상으로 표현하면서 인심과 도심의 ‘交戰’을 강조하고, 이를 통하여 악을 경계하고 선을 실천하려는 치열한 가치 실천 과정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의 交戰에서 선악에 대한 思慮와 省察이라는 반성적인 사유를 중시하고, 道心의 보존을 강조한다. 다산의 선악론은 선과 악에 대한 관념적 사변이 아니라, 윤리적 실천의 삶을 추동하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다산은 선악 문제를 논함에 있어서 上帝가 인간에게 악을 할 수 있는 素因과 능력을 부여한 이유를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다산은 모든 존재의 도덕적 본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주자학적 범도덕주의를 비판하면서 인간의 도덕적 우월론을 제기하고 있다. This Thesis is to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丁若鏞)'s theory of good and evil. Jeong yag-yong dealt with the ethical problem in the foundation of good-evil concept, and elucidate the ethical meaning of the human nature' good. So we discuss the point that his theory construct between good-evil value and moral practice problem. In the seek of his viewpoint, we research that the nature of the good-evil concept, the ethical meaning of the nature, the clues of evil in the mind, and the problem of practiceing good. Moreover,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ng-jae(上帝) and evil, in exploring this point, we stud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yag-yong's ethical theory. In the study of Jeong yag-yong's good and evil problem, we found out the conclusions those are as follows ; First, good-evil is not convergent value but confrontational value, so Jeong yag-yong support the dualism in two values. Second, good-evil is righteousness and virtue which must be practice in daily life, therefore these two value imply relational and practical meaning. Third, the clues of evil in the human is not temper but mind, so the Chuzi(朱子)'s theory and buddhist theory in this matter is not correct. Fourth, Jeong yag-yong's theory of good-evil enhance the ethical practice on human righteousness and virtue.

      • KCI등재

        「天主實義」 나타난 天主學과 性理學의 善惡觀 比較硏究

        정현수(Jung Hyun Soo)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선악기원에 대한 일원론과 이원론의 논란과 선악개념에 대한 존재론과 가치론의 구분적 해석은 성선과 악의 발현 사이의 모순적 관계를 해결하려는 논리적 시도로 볼 수 있다. 性理學과 天主學은 선악에 대해 우주론과 인성론의 입장에서 각기 다른 관점을 취하여, 우주론적인 관점에서는 일원론으로, 인성론적 관점에서는 이원론으로 해석되고 있다. 『천주실의』에 나타난 동서 선악관에 대한 핵심적 문제는 선악이 一元論인가, 二元論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다른 관점으로 표현하면 악이란 존재하는 것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의 문제와 동일하다. 이를 중심으로 선악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마지막으로 성선과 악의 발현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가 파생되고 있다. 『천주실의』에서는 16세기를 기점으로 동서의 선악에 대한 이러한 인식의 한 단면을 통해 주자학과 토미즘의 선악의 기원 및 개념에 대한 同異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성리학과 천주학은 인성의 기원을 선으로 전제하는 것과 악의 발현을 심의 문제로 규정한다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성선과 악의 발현에서의 모순적 현상에 대해서 성리학에서는 性의 문제에서 천주학에서는 心의 문제에서 해결점을 찾고 있다. 성리학에서는 復性論을 제시하고 있으며 천주학에서는 自由意志를 제시하고 있다. 리치가 주장하는 자유의지는 理에 기준한 順理와 犯理에 근거하여 심의 자율적 훈련을 통해 본성회복을 지향하고 있다. 선과 악은 자유의지의 행사가 무엇에 緣由하느냐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성리학과 천주학은 심을 人心ㆍ道心, 獸心ㆍ人心의 두 가지 작용으로 파악하고 그 근원을 육체ㆍ본성, 정신ㆍ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리치는 물질적 욕구와 정신적 욕구를 전제하여 선악의 발생을 心의 발현동기 문제로 파악하고 있다. 리치는 선과 악의 발현이 心의 양면성 사이에서 행위자의 선택적 의지에 근거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주희 역시 선악의 발현을 人心과 道心사이에서 心의 조절성에 두면서 심의 발현동기에 感覺的 지각과 義理的 지각의 대상을 전제하여 심의 의지적 문제를 개입시키고 있다. The argument of the monism and dualism for the origin of good and evil, and the elucidation by classification of ontology and axiology for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could be regarded as a logical attempt to solve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good-nature and the display of evil. Neo-confucianism and Catholicism took their different viewpoints for the good and evil in the cosmology and ethology in that good and evil are explained as monism from the viewpoint of cosmology, but as dualism from the viewpoint of ethology. The core issue for the Eastern-Western view on the good and evil shown in 『De Deo Verax Disputatio』 is that good and evil are monism or dualism. In other words from another viewpoint, it is the same with the problem 'whether the evil exists or not'. And the following problems derive from this issue as the center: what is good and evil? Is inborn-nature of man good or evil? Finally, how could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od-nature and the display of evil? In this way, 『De Deo Verax Disputatio』 has shown the same and different relationships for the origin and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Thomism through a piece of consciousness as this of the Eastern-Western good and evil in the era of 16th century. Neo-confucianism and Catholicism are in agreement in that they premise the origin of nature of man as good and that they determine the display of evil as the problem of mind. However, for the contradictory phenomenon between the inborn-nature and the display of evil, Neo-confucianism finds the solution in the problem of nature while Catholicism finds it in the problem of mind. Neo-confucianism has presented the theory of nature-recovery, but Catholicism has presented the free will. The free will which Ricci has asserted is inclined to the recovery of inborn-nature by the autonomous training of mind on the basis of reasonableness and unreasonableness in accordance with reason. Good and evil is to be regarded as what the display of free will is caused from. Neo-confucianism and Catholicism has caught mind as two kinds of operations of man-mindㆍtao-mind, animal-mindㆍman-mind, and has determined its origin as bodyㆍinborn-nature, spiritㆍmaterial. Ricci has premised the material desire and spiritual desire so that he has caught the occurrence of good and evil as the problem of the motive of the display of mind. Ricci has asserted that the display of good and evil is based on the selective will of the doer between both sides of mind. Chu Hsi also has put the display of good and evil under the control of mind between man-mind and tao-mind, and he has inserted the volitional problem of mind by premising the objects for sensible perception and perception for justice.

      • KCI등재

        조선시대 善惡籍 연구

        박현준(Park, hyun jun)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학교에서 기록된 善惡籍이 무엇이고, 어떤 이유로 사용되었으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학교에서 선악적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면, 1437년『학관개정안』에서 전국 각 학교에 善罰簿를 두고 활용하였다. 1582년『학교모범』 에서 학교의 善籍에 기록되기 위해서는 도덕적 모범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문성취가 뛰어나야 했었다. 惡籍을 기록하는 것은 惡籍者를 고발하기 보다는 죄를 뉘우치고 개과천선시키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제적당한 경우에도 재입학의 기회를 주었다. 과거응시생을 선발할 때 선악적을 참고하여 행동에 오점이 없는 자를 천거하였다. 1731년 『치양적법』에서 선악적 기록을 참고로 하여 營學에 입학할 학생을 천거하였으며, 선악적에 기록된 학생을 각 단위 학교에서 관에 보고하였다. 18세기『덕곡서재월삭강회약』에서 ‘月朝約會儀’를 통해 학교의 공식행사에서 선악적을 활용하였다. 1881년『의학재규약』 에서 악적이 2권으로 세분화되어 관리되었다. 1899년 자암서당에서 학생들의 선행과 악행을 매우 상세하게 기록하였고 선악적의 기록이 학생대표선발에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 학교에서 선악적을 기록·활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필요한 도덕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has made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these three items below: 1. What was Seonakjeok? 2. How was Seonakjeok used by school? 3. How was Seonakjeok enacted by school rules? Seonakjeok was used by school in Choseon Dynasty, it was spread in school across the country following by Hakgwan(學館) Amendments in 1437. Not only a kind manner but also a excellent grade was written as Seonakjeok following by school rules(學校模範) in 1582. Seonakjeok system recorded student"s‘attendance, grade, moral behavior" following by Chiyangjeokbeop(置兩籍法) in 1731. Seonakjeok was used by school events and was reported to education office. Seonakjeok was divided by three following by Uihakjae"s(義學齋) rules in 1881. Seonakjeok was used by a student representative selection at Jaam school in 1889. Choseon Dynasty"s school recorded and utilized Seonakjeok for student"s moral development. Seonakjeok was used by Administrative Selection System. In 1582, the man was written as a bad behavior on Seonakjeok was prohibit by law from enrolling Administrative Selection(科擧). Principal, head teacher, class president consulted Seonakjeok"s data and took counsel together. Then, the man was written as a moral hazard on Seonakjeok couldn"t enroll Administrative Test by law. During the last 500 years in Choseon Dynasty, community and school recorded Seonakjeok, utilized Seonakjeok for Administrative Selection System. A voluntary agreement of Choseon people is why Seonakjeok system keep going during 500 years in Choseon Dynasty. Seonakjeok recoding procedures and moral law of Seonakjeok and utilizing Seonakjeok for several events and verifying Seonakjeok for Administrative Selection and all about Seonakjeok were made by Choseon people. Those facts tell us how Seonakjeok is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 KCI등재

        양웅의 선악론

        김철호(Kim, Cheol 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1

        한대 유학의 선악론은 선진 유학과는 차별성을 지님에도 적극적으로 탐구되지 못한 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웅을 중심으로 한대 선악론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양웅은 동중서를 이어 한대 유학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선악론에 있어서 그는 성선악혼설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는 외형상으로는 동아시아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이원론의 형태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주장이다. 사마광을 비롯하여 양웅을 숭상하는 후대의 학자들은 이 구절을 일종의 이원론으로 해석하였다. 그렇지만 『법언』에 단 한번 나오는 성선악혼이란 표현을 가지고 본성의 구조에 대한 양웅의 생각을 파악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악혼의 의미를 기존의 주석에만 의존하지 않고 『법언』 안에서 여러 단서들을 연관 지으면서 풀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양웅의 성선악혼설은 본성에 선함과 더불어 악함이 함께 있다는 주장이 아니라, 인간은 본래 선한데 그 선함을 닦지 않으면 악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Confucianism in Han Dynasty differs from that of Pre-Qin Confucianism. However, it was not actively explored. In this paper, I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and evil theory centering on Yang Xiong. Yang Xiong succeeded Dongzhungshu and developed the Confucianism of Han Dynasty. He is widely known for His claim that human nature is a mixture of good and evil. The claim takes the form of dualism, which is hard to find in East Asia. Most of the later scholars who admired Yang Xiong interpreted this passage as a kind of dualism. This expression, however, comes only once in the ‘Exemplary Sayings’. So it is very difficult to grasp exactly what he was thinking about the structure of human na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by reviewing the remaining parts of Exemplary Sayings. This concludes the following. Yang’s argument does not claim that humans have evil. It should be seen as a claim that humans can be originally good but evil if they do not try to be good. Perhaps in order to find a dualistic thought for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we should move on to examine the human nature theory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불교의 폭력론으로 본 영화 〈사바하〉(2019) 속 선악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임대희(Lim, Dae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복합 연구는 영화 스토리텔링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폭력론으로 본 장재현 감독의 영화 <사바하>(2019) 속 선악 스토리텔링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서 동서양 철학의 차이와 불교의 폭력론을 고찰하였다. 이후 본론에서는 <사바하> 속 선악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였다. 첫째, 업(業)을 차단하기 위한 살생. 둘째, 절대적 선악과 상대적 선악으로 구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한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업(業)을 차단하기 위한 살생은, 비폭력 · 불살생의 종교인 불교에서 업(원인)과 업보(결과)의 윤회의 고리를 끊기 위함이다. 이러한 폭력(살생)은 1) 높은 수행의 경지의 사람이 자비심으로 사용하는 경우, 2) 불법과 바른 가르침을 설파하는 비구를 보호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둘째, 절대적 선악과 상대적 선악은, 선악은 절대적 이분법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선악이란 존재에 대한 인간의 믿음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뿐이다. 악이란 ‘존재’는 번뇌의 표출 이전, 마음의 폭력 상태까지 포함한 것으로서 수신과 성찰로써 다스려야 할 ‘믿음’의 문제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교의 폭력론으로 영화 속 선악 스토리텔링을 분석하는 본 복합 연구가 영화콘텐츠의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 양산과 다양한 학문영역과 결합된 복합 연구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is complex study began from the analysis in film storyte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of Good and Evil in Film 〈Svaha : The Sixth Finger〉(2019) of Jang Jae Hyun through the Buddhist theory of violence from a hermeneutic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sidered differences in philosophy between East and West & Buddhist theory of violence. After, In the main theory, First, Killing to block Karma. Second, an analysis was attempted by dividing into absolute good and evil and relative good and evil.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illing to block Karma is to cut off the loop of reincarnation of karma(cause) and karma(result) in Buddhism, a religion of nonviolence and immortality. This violence(murder) is only applicable to 1) the use of high-performance human beings for mercy, 2) the protection of bhiksu that preach Buddhis and correct teachings. Second, absolute good and evil and relative good and evil is to good and evil do not exist in absolute dichotomy, it"s just that good and evil are determined relative to human belief in existence. The ‘existence’ of evil is a matter of "belief" that must be calm down by self-discipline and introspection, including a state of violence in the mind before the expression of anguish. I expect that this complex study that analyse that the storytelling of Good and Evil in film based on Buddhist theory of violence will contribute to creating new storytelling techniques of film content and complex study combined with various academic area.

      • KCI등재

        아시아 선악형제담 비교연구-‘놀부와 흥부’․‘황금수박’ 유형을 대상으로-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2 No.-

        This thesis compared and examined the narrative features, good and evil notions and cultural symbols of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in six Asian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study are six works; "The Golden Watermelon" in Indonesia, "Waja and Wira" in Malaysia, "Nolbu and Heungbu" in Korea, "Star Tree Story" in Vietnam, and "Sparrow with Broken Back" in Japan, and "The Shining Golden Watermelon" in Uzbekistan. The six works are fairy tales based on the property conflict between evil and good brothers. The above Asian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have the following contents; The good brother accidentally heals the injured bird. In order to repay her grace, the bird gives her younger brother a mysterious seed as a gift. The fruit grows from the seed, and the treasure comes out, and the younger brother becomes rich. The greedy older brother follows his younger brother and fails. The notions of good and evil grasped in the Asian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are identified as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respect for life vs. heartlessness', 'Diligence and simple life ethics vs. greed and stingy life ethics', 'brotherhood vs. property monopoly' etc. Cultural symbols such as Philanthropist Mr. Dermawan, Nolbu, Heungbu characters, etc., Sparrow, Swallow, Stork with broken back, Golden Island, Golden Watermelon, Pumpkin in each story show the cultural symbols of Islamic culture, Confucian culture, and ecological culture. 이 논문은 문화소통의 관점에서 아시아 6개국의 선악형제담의 서사적 특징과 문화요소, 선악관념 및 문화상징을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황금수박>(인도네시아), <와자와 위라>(말레이시아), <놀부와 흥부>(한국), <별나무 이야기>(베트남), <허리 부러진 참새>(일본), <빛나는 황금수박>(우즈벡)이다. 이상의 선악형제담은 형제 간 재산갈등이 핵심 제재이며, 착한 동생이 다친 새를 치료해주며 새의 보은으로 얻은 열매에서 금은 등의 보화가 생겨 부자가 되며, 욕심 많은 형은 동생을 따라 했다가 실패한다는 내용의 서사이다. 일본, 우즈벡 이야기는 주인공이 ‘이웃’인 변이형태로서, 구성이나 내용은 공통적이지만 형제간 재산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아시아 선악형제담에서 파악된 선악관념은 ‘생명존중 대 무정함’, ‘근면ㆍ소박의 생활윤리 대 욕심ㆍ인색의 생활윤리’, ‘형제우애 대 재산독점’ 등의 대립구조를 보인다. 자선가 드르마완ㆍ놀부ㆍ흥부ㆍ인자한 할머니 캐릭터 등, 허리 부러진 참새ㆍ강남제비ㆍ황새, 황금섬ㆍ황금수박ㆍ박 등의 문화상징은 이슬람문화권, 유교문화권의 문화적 기호, 생태문화적 세계관 등을 보여준다. 선악형제담에서 파악된 서사, 선악관념 및 문화상징을 활용해 아시아인들의 문화소통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베트남 선악형제담의 양상과 문화소통방안 고찰

        권혁래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Vietnam’s old literature could contribute to Koreans’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 Vietnamese culture, emotions, and values. About 150,000 Vietnamese immigrants live in Korea currentl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aterials, values, and cultural codes of the representative sibling conflict stories of Korea and Vietnam,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nature of Vietnamese culture in Korean society. It also proposes a method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In sibling conflict stories, the older brother characters are the ones who have failed to control their greed. Brothers and sisters in Korean and Vietnamese literature represent poor and powerless people. Their poverty is due to the older sibling’s greed.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climate of Vietnam can be made easier if this context is explained before reading or practicing old Vietnamese stories in Korea. Many Korean and Vietnamese folk tales share similar themes, characters, and compositions. If we can understand bot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countries in the long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representative culture, and als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erm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Koreans can live with the 150,000 Vietnamese immigrants living in our society. It will help Korean understand Vietnamese culture.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대표적 선악형제담(善惡兄弟譚)의 제재, 가치관과 문화 코드 등을 비교⋅고찰하여 한국-베트남 간 문화소통방안을 모색 하였다. <별나무 이야기>, <금 구덩이, 은 구덩이> 등의 베트남 선악형제담에서 형들은 장자라는 권위를 이용하여 부모의 유산을 독점하고 동생을 빈털터리로 쫓아낸다. ‘형’들은 품성 면에서 ‘욕심 다스리기’에 실패한 사람들이며, 사회계급 면에서는 탐욕스러운 기득권층을 상징한다. <흥부와 놀부>, <금방망이 은방망이> 등 한국 선악형제담에서도 형들의 성격과 탐욕으로 인한 갈등은 베트남 이야기 와 거의 동일하다. 베트남과 한국의 선악형제담에서 동생들은 가난하고 힘없는 백성을 대표한다. 동생들의 가난은 형들의 탐욕에 기인한다. 베트남 선악형제담 에서 형들은 탐욕의 대가로 ‘죽음’이라는 결말을 맞는다. 한국의 선악형제담에서 형의 죽음으로 끝나는 결말은 소수이고, 형제간 ‘화해 및 용서’의 결말방식이 주 요하게 나타난다. 베트남 선악형제담에 등장하는 까마귀⋅봉황새⋅원숭이⋅물고기 등의 동물 캐 릭터, 부처 등의 신격 캐릭터, 별나무⋅황금감나무⋅빈랑 등의 식물, 산과 바다, 섬 등의 지리적 표상, ‘황금’ 선호사상은 베트남의 문화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독서⋅토론, 강연⋅강의⋅학습의 방식을 통해 베트남 옛이야기를 이해하고, 한 국-베트남 양국의 문화와 사고방식에 대해 토의, 비교분석할 수 있다면 흥미로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