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의 생태학적 재평가

        소기석(Ki-Seok S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오늘날 칸트철학을 생태학적으로 재평가하려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실상 칸트철학은 생태중심론자들에게 환경파괴를 조장하는 철학으로 비난 받아왔다. 이들은 칸트의 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이 자연을 파괴하고 착취하는 태도를 용인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칸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용하여 인간을 정점으로 하는 위계질서적인 체계를 주장하였다. 자연은 인간의 필요와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칸트는 인간의 무분별하고 무자비한 자연에 대한 착취와 파괴를 용인하는 것은 아니었다. 칸트는 도덕적 주체자로서의 인간만이자연의 최종목적이자 궁극목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도덕적 주체자로서의 인간은 책임을 질 줄 아는 인간이다. 칸트는 인간의 도덕성의 진보를 신약성서의 산상수훈을 인용하여 완전에까지 이를 것을 요구한다. 칸트는 인간이 최고선의 실현을 위해서는 신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신의 존재는 인간의 도덕적 진보를 위한 후원자이자 감시자가 된다. 이와 같이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은 생태학적 논의에 있어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문제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지위와 역할의 문제는 상당히 부정적인 측면이 팽배해 있었다. 인간은 환경파괴의 주범이고 지구생태계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서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 대세였다. 그러나 북친을 중심으로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지위와역할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인간은 지구생태계 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우리는 생태중심론자들처럼 이러한 인간을 비난하고 증오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으로인하여 심각한 파손을 당한 지구생태계의 회복을 인간이 아닌 그 누구에게 맡길 수 있겠는가! 결국은 인간이 책임지고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지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기적인 욕망으로 가득 차 있는 그러한인간에게는 더 이상 이 문제를 맡길 수는 없을 것이다. 이 문제를 책임지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인간은 칸트가 제시하고 있는 도덕적 인간이어야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을 통해 생태학적 논의에 있어서인간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를 모색하고자,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도덕적 인간학을 살펴본 후에 이를 생태학적으로 재평가하였다. 칸트는 인간중심적인 입장에서 자연의 수단 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도덕적 인간학을 통해 단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수단적이고 도구적인 것만으로파악하지 않고 진정으로 자연의 미감적 가치를 발견해 내고 자신의 행동에책임을 질 줄 아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인간학이야말로 오늘날 요청되고 있는 생태학적 논의에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In recent time, Kant's philosophy is revaluated ecologically. In fact, Kant's philosophy have been blamed by Eco-centrictist in account of the philosophy foster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Ecocentrictist insistanced that Kant's Anthropo-centric view of nature had been approved the attitude destructing and extracting nature. Of course, Kant insistanced hierarchial worldview summiting human by recepting Aristoteles's teleological worldview. Kant acknowleged that nature existed for human's need and object. But Kant not accepted human's indiscreetical and reckless exploitation against into nature. Kant asserted that Only human as moral subject became last and ultimate object of nature. Human as moral subject is human of responsibility. Kant called that the moral advance of human grow into the perfection by inciting the Newtestmant's the sermon on the mountain. Kant persisted that human needed God's help for realization of summun bonum. God is pathronage and supervisor for human's moral advance. In such case, Kant's moral anthropology has been raised afresh ecologically in point of giving significantial suggestion about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Meanwhile,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has been perceived considerably negative. Human became aware of the chief crimminal and the obstacle for the stability and the prosperity of Earth's ecosystem. But Centering around Bookchi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is revaluated. In such context, Kant's moral anthropology is observated. Therefore, This essay explored revaluation o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throughout Kant's moral anthropology. Kant emphasized humanity as moral subject sensible of responsibility for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even if He perceived that nature became instrumental value for human's need. This essay pointed up that Kant's moral anthropology become an alternative idea in the role and status of human in ecological argument calling today.

      • KCI등재

        교육행정에서의 생태학적 접근 - 교육조직과 교육정책연구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신현석,선애경,박수아,박유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nalyzing ecological phenomena that appear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policies and to logically explore the applicabilit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First, the comprehensiv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the ecological approach are examined, and research trends on ‘population ecology’ and ‘community ecology’ are analyzed in detail. Based on these effor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the field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policy is discussed. We find that there are some limits to interpreting the ecological phenomena with the traditional approach and the ecological approach as a new approach is crucial to overcome these limits. When we see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policies as an ecosystem, approaching and analyzing them ecologically are an essential task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seek a new paradigm. For apply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three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from the rigid form of traditional perspective to a flexible one. Second, we should find an educational policy ecosystem suitable for Korean context.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an ec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effectively analyze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phenomena. 본 연구는 교육조직과 교육정책 장면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가능성을 논리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접근의 포괄적인 배경과 구성에 대해 살피고, 생태학적 접근의 핵심 이론인 조직군생태학과 공동체생태학을 적용한 연구동향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조직과 교육정책연구 분야에서 생태학적 접근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교육행정 현상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생태학적 현상을 기존의 접근방식으로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의 생태학적 접근이 지니는 유용성이 상당함을 밝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정책과 현장 간의 괴리 및 정책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미래교육을 대비하는 정책 집행의 가속화에도 교육조직은 과거의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교육조직 및 정책을 하나의 생태계로 보고 생태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는 일은 교육행정학의 현실 적합성을 높이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불가결한 작업이다. 나아가 이러한 교육행정 연구에의 생태학적 접근을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통적인 교육조직의 경직된 형태에서 벗어나 교육조직을 바라보는 유연한 관점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하고, 둘째, 미래교육정책의 본격적인 도입과 집행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우리 현실에 맞는 교육정책 생태계를 발견하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생태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교육행정 현상을 적실성 있게 분석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성공적인 교육환경 및 중재 설립을 위한 국내·외 생태학적평가도구 문헌 분석

        김정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 wide variety of eco-behavioral assessment that is utilized to establish a successfu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s well as for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eco-behavioral assessment.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selection criteria and analysis method wa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procedures of the analysis, a total of 25 eco-behavioral assessments have been selected and 64 related literature was also sele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1) the most of the evaluation tools are used to find environmental ecological factor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settings. 2) Regarding the 64 related literature, the aim of using the eco-behavioral assessment was similar to develop the eco-behavioral assessment such as what factors were effect to the students’ learning and what factors would be effect to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etc. Each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various ecological factors. 3) There were two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coding and describing. Coding style included three main categories; environmental variables, teacher behavior, and students behavior. 11 eco-behavioral assessments were coding style and the rest of 14 eco-behavioral assessments were describing style. However 3 evaluation tools included different coding variables. 14 eco-behavioral assessment usually used checklist, interview, and rating scale. 본 연구는 일반학급(통합학급)과 특수교육에서 성공적인 교육적 환경 및 중재를 설립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생태학적 평가도구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추후 한국형 생태학적 진단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선정기준과 절차에 따라 총 25개의 생태학적 평가도구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생태학적 평가도구를 활용한 연구는 총 64편으로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25개의 평가도구는 전반적인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연령, 개발자, 개발목적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연구별 평가도구 활용목적을 알아보고, 데이터 수집방식에 따라 생태학적 평가 도구를 분석·기술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부분의 평가도구들은 일반교육(통합교육)과 특수교육, 가정에서의 환경, 교사(부모, 돌보미), 학생(영·유아)의 환경내 생태학적 변인에 대한 정보수집을 통해 교육환경과 중재를 설립하고자 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별 활용목적은 개발목적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나, 위험환경, 환경간의 상호관계, 장애유아와 또래간의 상호작용, 출생전 위험요소(마약, 알코올)를 파악하여 보다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평가도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데이터 수집방식은 크게 두 가지(코딩식, 기술식)로 코딩식은 대부분 환경변인 교사행동, 학생행동의 세 가지 상위변인에 따라 49~110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시간간격기록법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11개의 코딩식 평가도구 중 3개는 기존의 상·하위 변인과 전혀 달랐으며, 기술식은 대부분 관찰을 통한 진술방식, 체크리스트 및 평정척도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노자 사상의 시각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전유미,배정민,한왕모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outlines the flow of the sustainability discussion embrac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being accompanied by the ideas derived from the East Asia. Accordingly, it suggests with a case study that the thought of Lao-tzu, the Chinese philosopher, ‘Do nothing and do everything’ can be instilled into the design work through the method called ‘mark-making’. This claims that the ecological outlook necessarily indwells in the process of creating sustainable design and proves the possibility of embodying a metaphysical concept into the formative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it is fundamental to borrow an ecological paradigm to establish a sustainable society and the development is followed by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 East Asian thought and philosophy. Secondly, ecologically sustainable design is based on ecological aesthetic criteria and adheres to the principles of ecosystem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iming to fulfill completely new and different experiences and values through the design outcome. Thirdly, Loa-tzu talked on the role of a moral human in the ecosystem. His very core and practical guideline, ‘do nothing and do everything’ can be infused into the design in a way of mark-making, the expressive method. Fourthly, mark-making is a creative method that minimizes creator’s deliberate control or intervention and allows the objects and tools to leave a mark or trail on their own. A relevant case study is carried out so that the mark-making method could be approved as a sustainable design approach and to meet the aesthetic standards as well as values pursued from the point of ec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methodology to incorporate ecological viewpoints, such as the philosophy of Lao-tzu, into the sustainable design. The design outcome possibly delivers new world views with aesthetic experiences and values both ecological aesthetics and sustainability attempt to communicat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is to lay the foundations for diverse sustainable design experiments to follow up on visualizing the ecological philosophy.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논의에 생태학적 담론이 등장하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사상에 대한 탐구가 동반되는 흐름을 개괄하였다. 그리고 노자의 무위자연사상이 마크 메이킹이라는 표현 방법으로 디자인에내재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사례 해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창작에 생태학적세계관이 내재될 필요를 주장함과 동시에 형이상학적개념이 적절한 표현 방법을 통해 조형적인 실체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이 필요하며, 이는 동아시아의 사상과 철학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둘째,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생태미학을 미적 기준으로 삼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생태계의원리를 따르며, 그 결과물을 통하여 기존과 다른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셋째, 노자는 인간이 생태계 안에서 어떠한 도덕적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논하였는데, 그 핵심적이고 실천적인 지침인 무위자연은 마크 메이킹이라는 표현방법으로 디자인에 내재될 수 있다. 넷째, 마크 메이킹은 창작 주체의 통제 또는 개입을 최소화 하고, 표현 대상이나 사용 도구가 스스로 흔적과 얼룩을 남겨 완성되도록 하는 창작 방식이다. 관련된 사례를 통해 이 방식이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의 필요조건과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미적 기준⋅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해석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노자의 철학이라는 생태학적 관점을 내재시키기 위한 창작 방법의 탐색을 논하였다. 그리고 그 디자인 결과물이 생태미학과 지속가능성이 확산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세계관, 미적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생태철학을 시각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창작 실험이 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증장애인 생태학적 평가에 관한 연구

        박석돈 대구대학교 2005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1

        본 연구는 직업재활의 발전과정과 평가, 중증장애인 지원고용프로그램에서의 생태학적 평가, 중증장애인 생태학적 평가모델을 중심으로 중증장애인 생태학적 평가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구명하였다. 중증장애인의 평가는 바로 이러한 개인의 평가실제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와 직무와 관련되는 개인의 능력뿐 아니라 작업장의 성격이나 환경까지를 고려하는 생태학적 평가체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생태학적인 직업평가모델은 측정(measurements), 자료분석(data analysis), 결정(decision making)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는데 관심이 있다. 중증장애인을 위한 지원고용모델은 성공적인 수행의 필수조건으로 지속적인 평가를 강조하고 있고 그 평가는 생태학적인 측면의 통합적인 평가를 주장한다. 따라서 평가수행을 위한 전문요원과 평가도구, 평가를 위한 기본체계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evaluation for the severely disabled through document analysis, which wa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proces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evaluation, ecological evaluation in supported employment for severely disabled, ecological evaluation model for severely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according to which the assessment method has also changed and is developing with focus on the cognitive process approach, ecological and current vocational assessment to cope with recent severity, duplication and diversification. The evalu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in the supported employment should be focused not only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personal evaluation reality and the individual ability related to job but also holistic, ecological esti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nature and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The ecological vocational assessment model is composed of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which concerns itself with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ability. The original vocational evaluation model emphasizes the measurement of the elements related to the ability and the job of person with di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cological vocational evaluation in the supported employment emphasized individual ability as well as the ecological and comprehensive measurement such as social circumstances, physical and social organization and relative variables, goal adjustment, system management and traffic and applicable and external stimulation, etc.

      • KCI등재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한정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0

        However, this meaningful performance assessment has not been fully implemented in teaching fields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adopted for over ten years.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point of having a question about this reality. Besides the lack of institutional strategy and teachers' low acknowledgement, this question leads to another problem that the philosophical theory to support the realiz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ambiguous. In addition, when referr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education, it is not just a simple task performance, but also all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assessment. Therefore, the ecological organiz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required. The ecological strategy in Korean education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organisms and surroundings. All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 "I," have an equal effect. To have the ecological organization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learner should acquire practical knowledge, sustainable literacy skills, and ability to interact with circumstances. Particularly, by ecologically analyzing the classroom, which is mainly taken place for learning, and by combining with "writing" education, a specific model for ecological performance assessment will be introduced. One of the features of 2011 national curriculum is acknowledging each student's personality and level, and providing appropriate task to accomplish. The ecological performance assessment does not apply same criteria to all learners, but includes various relations with surroundings into the assessment. As a result, the ecological performance assessment could be used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이 연구는 가치를 인정받은 수행평가가 7차 교육과정부터 도입된 지 십 수 년이 지난 지금도 온전하게 정착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것은 제도적인 지원과 교사들의 인식 부족 등 통상적인 원인 외에도 수행평가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철학적 관점이 명확하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으로 전이되었다. 이때 국어교육의 수행평가를 바라보는 관점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한 과제 수행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제반 현상 모두를 보는 안목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이른바 생태학적 구성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생태학적 국어교육은 유기체와 유기체를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일반적으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심이 되고 환경은 제반 요소로 작용하는 것과 달리 생태학적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나’를 둘러싼 모든 현상들이 대등한 위치에서 영향을 끼친다. 그런 속에서 실제적 지식, 지속가능한 문해력, 환경과의 상호교섭능력 등의 함양에 대한 가치가 발현될 수 있어야 이른바 ‘생태학적 수행평가’가 의미를 갖는다. 특히 학습자 생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실을 생태학적으로 분석해보고 이를 ‘쓰기’ 영역과 접목해 보는 속에서 생태학적 수행평가의 구체적인 모형을 살펴볼 수 있다. 2011 교육과정의 특징 중 하나는 학습자의 개별성과 수준을 인정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수행평가는 모두 다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따른 다양한 관계성들을 평가에 적용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평가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태학적 다문화 도시공간을 위한 도시인문학의 근본개념 탐구

        윤영돈(Y oon, Y oung-d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생태학적 다문화 도시공간을 위한 도시인문학의 근본개념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본적으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하늘과 땅과 바다와 공기, 그리고 대자연과의 생태학적인 관계를 재설정하고, 더 나아가 인간 간의 차별을 드러내는 경계를 지양(止揚)하고, 소통의 풍토를 촉진하는 개념의 정립이 요구된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문학적 접근을 기초로 한 기존의 도시학 연구 성과들을 분석적이고 평가적으로 고찰하여, 도시인문학의 성격과 과제를 종합적으로 규정해 보았다. 다음으로 생태학적 다문화 도시공간의 가능조건으로서 도 시인문학의 근본개념, 다시 말해서 시간과 공간의 의미,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권으로서의 주거권과 다문화 공동체를 위한 조건 등에 대해 탐구했다. 인간다운 도시공간은 궁극적으로 생태학적으로 건강하고, 사회적으로 정의로우며, 역사와 삶의 기록이 현대적 건축과 공존하고, 다인종·다종교·다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공간을 지향한다. 도시인문학에 기초한 이들 개념은 생태학적으로 건강하며 다문화가 공존하는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인천의 도시계획 및 도시재개발 과정의 건전성을 담보하거나 평가하는 데 일정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basic concepts of urban humanities for ecological & multicultural urban space. With a view to carrying out this aim, this study sought to the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 nature including sky, earth, sea, air and so on. Furthermore it calls for the creation of concepts which can pull down visible or invisible barriers between human beings and facilitate communicative atmosphe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critically the various articles about humanities-based urbanism, and then defined synthetically the characteristics & tasks of urban humanities. Upon this urban humanities, I formed basic concepts for ecological & multicultural urban space : meaning of time and spac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housing rights as human rights and conditions for multicultural community etc. Humane urban seeks after urban space which is healthy in the context of ecology & social justice, filled with history & life story as well as modern buildings, and multiracial/multireligious/multicultural. These concepts based on urban humanities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ensuring or evaluating the healthiness of urban planing

      • KCI등재후보

        생태학적 평가기반 체육수업을 통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신체활동 변화에 대한 실행 연구

        홍재영,한성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3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view and examine the implication of changes in the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made by applying ecological assessment-bas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s. These instructions were prepared by ecologically evaluating and modifying the diverse environment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physical activities necessary for them to live independent, adult liv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adopted. To this end, this study used constructionism as a theory of knowledge, interpretivism as a theoretical frame and the action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rough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assessment-bas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s,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showed 'attention' and 'interest' in new education tools presented by teachers. Thus, the students began to active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The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other disabilities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prolonged. Thes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s, prepared through teacher-directed systematic and active modifications of environmental factors, can help students learn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and enable them to live independent lives in their communities after they graduate from school.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이 성인기에 독립적이고 기능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체육수업에서 시각중복장애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환경을 생태학적으로 평가하고 개작한 생태학적 평가기반 체육수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신체활동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Crotty(1998)의 분류법에 따라 인식론으로 구성주의 관점을, 이론적 틀로 해석주의의 이론적 관점을, 연구 방법론으로 실행 연구(action research)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생태학적 평가기반 체육수업 적용을 통하여 시각중복장애학생은 교사가 생태학적 평가를 통해 제시한 새로운 교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보였고, 그로 인하여 능동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 하게 되었다. 아울러,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의 신체활동이 정교화 되었으며, 오랜 시간 동안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경험을 하였다. 이와 같이 교사의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환경 요인 개작을 통한 체육수업에서 시각중복장애학생은 신체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신체활동의 가치를 학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아울러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이 새로운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신체활동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졸업 후 지역사회 안에서 독립적인 삶을 살아 갈 수 있도록 하는 활동적 생활 기술을 사용하는 데 토대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평가기반 체육수업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있어서 생태학적 평가

        박석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5 장애와 고용 Vol.15 No.1

        최근의 직업재활은 중증장애인에 관심을 두고 이에 따라 평가방식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즉, 장애의 중증화, 중복화, 다양화에 대응하여 인지 프로세스적 접근, 생태학적 및 현직평가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지원고용체제에 있어서 중증장애인의 평가는 직무와 관련되는 개인의 능력뿐 만 아니라 작업장의 성격이나 환경까지를 고려하는 총체적(Wholistic) 생태학적 평가체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생태학적인 직업평가모델은 측정(Measurements), 자료 분석(Data Analysis), 결정(Decision Making) 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통적인 직업평가모델은 장애인 능력과 직무와 관련된 요소의 측정을 강조하고 있으나 지원고용에서의 생태학적 직업평가는 개인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상황이나 물리적, 사회적, 조직적 및 관계적 변수, 목표적응, 체계관리나 변화특질, 교통과 활용할 수 있는 외적 자극 등과 같은 생태학적 및 종합적 측정을 강조한다. 즉 직무환경외에 외부환경적인 자극도 지역사회의 직무배치에서 활용도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이러한 것들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가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evalu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through document analysis, which was speifically focused on the transition of the evaluation paradig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cological evaluation of the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and the ecological evaluation model. Vocational rehabilit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according to which the assessment paradigm has also changed and is developing with focus on the cognitive process approach, ecological and current job assessment to cope with recent severity, duplication and diversification. The evalu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in the supported employment model is focused not only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personal evaluation reality and the individual ability related to job but also holistic, ecological esti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nature and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The ecological job assessment model is composed of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which concenrs itself with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ability. The ecological job evaluation in the supported employment emphasized individual ability as well as the ecological and comprehensive measurement such as social circumstances, physical and social organization and relative variables, goal adjustment, system management and trafiic and applicable and external stimulation, etc. Namely, job environment as well as external and environmental stimulation can become the factor to decide application in job placement of the community. Therefore, comprehensive evaluation is performed.

      • KCI등재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 개발

        박은숙,임여진,조은지 한국아동간호학회 2013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9 No.1

        목적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 및 생태학적 모형의 체계에 따른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을 확인하고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특별시 S구 소재 보육시설 중 재원아동 70명 이상의 국공립, 법인 및 민간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 보육아동 부모, 3개 집단 총 2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후 잠재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으로는 ‘발달상태확인’, ‘건강행위훈련’ 등 12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생태학적 체계에 따른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으로는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갑작스런 사고에 대한 미숙한 대처, 아동건강관리 전문인력의 부재, 유용한 건강관리 매뉴얼의 부족, 발달 및 건강에 대한 보육시설-부모 간 의견차이,자녀건강관리에 대한 부모의 과도한 위임, 건강관리와 관련된 보육시설평가인증 항목의 부족 등 총25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결론본 연구에서 제시된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모형은 보육아동을 위한 건강관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체계의 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