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 감수성 계발을 위한 문학 비교 연구 - 김숨의 『한 명』과 옌거링(嚴歌苓)의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釵)』를 중심으로-

        박소영,최단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3 No.-

        복잡한 상호의존성과 다면성을 국적이나 민족, 지리 공간에 따라 분절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친다면, 전 인류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비전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의식의 발로로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왔다. 철학으로, 윤리로, 교육 원리로 자리 잡 아 온 상호문화주의의 요체는 차이의 확인과 인정에 있기보다 공통성의 발견과 확립에 있는데, 문화가 표출되는 다양한 삶의 형식에만 천착한다면, 상호문화주의의 진의를 실천하는 교 육이 요원해진다. 진정한 의미에서 상호문화교육은 상호문화 감수성 강화에 있다. 본 연구는 문학 비교가 상호문화 감수성 계발을 위한 교육적 실천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문학이 라는 영역을 거대한 열린 공간으로 보고 더 큰 문화 세계 마련에 방점을 찍는다면, 문학 비교 는 상호문화 철학의 대의와 조응될 수 있다. 그런고로, 본 연구는 역사적 주제에 기반하여 상호문화적 교감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문학 교육을 염두에 두고 김숨의 『한 명』과 옌거링의 『진링의 13소녀』를 분석함으로써, 상호문화 감수성 계발에 기여할 가치가 두 작품에 내재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두 작품은 기억과 증언, 대리발화를 통해 역사를 통시적으로 잇 고 공간적으로 종합한다. 그 가치를 올바로 파악한다면, 국적과 민족을 초월하여 공통의 비전 을 마련하는 데 참여할 하나 됨의 정서 생성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겹침의 미학이자 윤리’로 명명하였다. 다른 시간과 장소에 사는 모두가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중첩되기도 하다는 각성에 이를 길에 붙이는 이름으로서 ‘겹침’은, 좁게는 한국과 중국, 넓게 는 고난의 과거를 거친 인류 전체를 상호문화적 감수성의 주체로 나아가게 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Given the complex interdependence and multifaceted realities of nationality, ethnicity, and the geographic space that separates peoples, fully realizing a world where all humankind can live together would be a difficult task. Intercultural education has emerged as the result of our awareness of this difficulty. Interculturalism is an established philosophy, ethics, and educational principle, and at its core is the task of discovering commonality rather than repeatedly finding and pointing out differences. However, when all aspects of life in which culture is expressed are scrutinized, interculturalism as an educational practice will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depends on strengthen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This study, delving into the possibility of literary comparison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uses One Left by Kim Soom and The Flowers of War by Geling Yan in the context of integrated reading, and focuses on the creation of a larger cultural world for all humanity, rather than just for one group of people. The two novels connect history diachronically and connect spaces through memory, testimony, and surrogate speech. By fully understanding the value inherent in both works, students can gain a sense of common values that transcends nationality or ethnicity, and feel connected to one another. In this study, this is called the ethics of ‘Overlapping’. ‘Overlapping’ is a term that encompasses the path of enlightenment, allowing those living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to be interconnected and even interact. In the narrow sense, it forms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in the wider sense between a troubled past and the interculturally sensitive humanity of the future.

      • KCI등재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이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이 연구는 문학 독서교육의 장에서 ‘상호문화성’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성의 개념과 텍스트에 대한 적용을 시도했다. 이러한 시도는 지속가능성 교육이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생태적 전환을 이루기 위한 작업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지금-여기에서 지속적이고 성찰적인 교육 목적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는 이유는 우리의 사회문화가 지속가능성을 끊임없이 파괴하는 위험사회라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교육 논의 또한 이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생각에서이다. 이 연구에서 지향하는 문명, 문화의 ‘생태적 전환’은 ‘포트스모더니즘’이 해체한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 ‘상호문화성’ 개념 또한 문화적 다원주의를 뛰어넘어 문화의 상호교섭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까지를 아우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생태적 전환을 시도하기 위한 ‘다리 놓기’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들뢰즈의 ‘아장스망’이라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등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생태적인 공동체 문화를 탐색하고, ‘상호문화성’을 통해 비교문학을 넘어 해외문학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다. 이는 개인 간의 차이와 다름에 대한 존중에서 출발하여 작은 공동체의 문화, 지역 사회의 문화, 그리고 한 민족의 문화가 가진 정체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교섭이 만들어 내는 생태적 전환이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순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생태지향적 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하는 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한 교육의 범주는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이라는 경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둘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인간과 언어, 환경의 교섭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미시적인 구조에서 거시적인 구조까지 다양한 포지션을 추구한다. 셋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민족과 국가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되, 교섭을 위한 정체성, 소통을 위한 정체성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 논리는 중심의 논리를 떠나 생태적 연관의 질서에서 계획되고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 논의했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earching the possibilities about ‘interculturality’ in the chapter of Literary Reading Education. For this, the application about the concept and text of interculturality was executed. This attempt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ecological conversion based on the purpose of sustainability education. The reason discussion about the continuous and reflective education purpose was proposed is in the thought that our social culture starts as a recognition that it is a dangerous society that constantly destroys sustainability, and also education discussion is not free compared with this. The ‘ecological conversion’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imed in this research has alternative characteristics about rationalism that ‘post- modernism’ dismantled. ‘Interculturality’ concept also overleaps the cultural pluralism encompassing mutual bargaining aspects to practical aspects. Thus, ‘postmodernism’ in this research has the characteristic of ‘bridgebuilder’ to attempt the ecological conversions and the postmodernism discussion shall not be the purpose. Through the detailed concept of Deleuze's ‘Agencement’, a new ecological culture of community that can play the role as a new ‘stirrup’ and also attempt a search about overseas literature that overleaps comparative literature though ‘interculturality’. With the start of respect about the difference and dis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this attempt is on explaining the identity that has culture of a small community, culture of a loc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an ethnic group race. The ecological conversion made by these negotiations make a new meaning and circulation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ecologically oriented education. Thus, the goal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does not acknowledge the border that social education is school education. Secondly, ‘interculturality’ education is based on human, language, and the bargain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to seek for various positions from microscopic structure to macroscopic structure. Third, ‘interculturality’ education shall maintain identity of an ethnic group and nation, but also form an identity for bargaining and an identity for communication. Also, the logic of identity should be plann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order of ecological connection apart from central logic, which is discussed in this thesis.

      • KCI등재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비교 연구

        장한업(HanUp J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Education Pack, Intercultural Learning,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과 같은)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들이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제안하는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살펴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이 세 지침서를 비교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침서들은 차이가 우리 사회들의 현실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비슷한 목표를 내걸고 있다. 이 목표는 상호의존적 세계의 현실 이해하기, 부정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넘어서기, 다른 사회와 문화에서 온 사람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지게 하기를 포함한다. 이 지침서들은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비슷한 내용을 제안한다. 이 내용은 모두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관계를 발견하고 장벽을 허물게 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이 지침서들은 방법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Education Pack과 Intercultural Learning은 외부로부터 자신을 상상해 보기,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기, 다른 현실과 익숙해지기, 차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긍정적인 태도, 가치, 행동을 가지기라는 몇 가지 단계를 제안하지만,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은 긍정적 학습, 토론, 집단 활동을 강조한다. 평가는 상호문화교육에서 가장 발달되지 못한 영역으로 남아있다. 다행스럽게도 마지막 지침서는 한 장을 평가에 할애함으로써 이 문제를 앞선 두 지침서보다 훨씬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유럽의 상호문화교육의 원칙과 접근방식을 한국 사회와 학교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이 논문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how three guidebooks on intercultural education in Europe (Education Pack, Intercultural Learning,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define their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in order to promote intercultural education to young people and adults. All these three guidebooks start with the underlying fact that difference is the reality of our societies and propose similar objectives. These guidebooks include furthering an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an interdependent world, going beyond negative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generating positive attitudes and habits of behaviors towards people from other societies and cultures. They also suggest similar content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all relate to the discovery of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dismantling of barriers between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However, with regard to methods, they show significant contrast: Education Pack and Intercultural Learning propose several stages that consist of imagining ourself from the outside, understanding the world we live in, being acquainted with other realities, seeing difference positively, and favouring positive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 while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nsists on positive learning, discussion and group work. Evaluation remains the least developed area in intercultural education; fortunately, the last guidebook treats this problem more seriously than the first two by dedicating a whole chapter to it. What is required of us now is determining how to adapt the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European intercultural education to Korean societies and schools.

      • KCI우수등재

        외모 관련 사회비교 상황에서 자기해석이 외모만족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숙영,박기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2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body satisfaction and emotion in situations with appearance-related social comparison. 592 female participants completed independen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 and among them 4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a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and 40 participants as a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Participants completed VAS and PANAS at pretest and then were exposed to the social comparison stimuli, and completed posttest measures with VAS and PANA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lower body satisfaction, positive mood, and higher negative mood than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lower body satisfaction and higher negative mood than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in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In contrast to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ownward comparison condition. However, unlike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whic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comparisons,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the body satisfaction and emotion after exposure to the upward and downward comparison stimulu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모와 관련된 사회비교 상황에서 자기해석 방식이 외모만족수준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및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자기해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기해석의 두 방식인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에 해당하는 여성 각 40명을 선별하였고 외모와 관련된 상향/하향비교 조건에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해석의 두 방식 간에 차이가 존재하여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이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보다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불만족하고 부적 정서는 더 많이, 정적 정서는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해석 방식에 따라 사회비교의 방향이 외모만족수준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지는지 알아본 결과, 상향비교 후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의 외모만족수준이 더 저하되고 부적 정서가 더 증가하였다. 반면 하향비교 후 두 자기해석 집단의 외모만족수준과 정적 및 부적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자기해석 집단 내에서 상향 및 하향비교의 전과 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은 상향비교 시 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저하된 것 외에는 비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은 상향 및 하향비교 조건 모두에서 외모만족수준과 정적 및 부적 정서가 유의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의 함양을 위한 읽기/쓰기 교육

        현남숙 ( Nam Sook Hyun ),김영진 ( Young Jin Kiem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8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은 글로벌 문화역량의 일종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체득 가능하다. 대학 교양과정에서 읽기/쓰기는 그러한 역량 강화에 적절한 방법이다.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에 부합하는 읽기/쓰기를 위해서 다음 원리들이 중요하다: (i) 적합한 텍스트의 선정, (ii) 공감·성찰·비교에 의한 읽기 방법, (iii) 문화 비교의 기존 기준을 탈중심화하기 위하여 메타적으로 성찰하는 비교 방법, (iv) 상충하는 문화의 모순된 전제들로부터 변증적 결론을 이끌어내는 대화적 논증. 이러한 상호문화적 읽기/쓰기를 위하여 두 문화의 차이, 갈등, 해결을 다루는 영화나 소설 같은 매체를 대학 작문 수업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프랑스와 이슬람의 장례 문화의 차이를 다룬 영화 < 이프 유 다이 >는, 자문화 성찰 → 타문화 이해 →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 → 문화적 차이에 대처하는 자세를 연습해 볼 만한 사례이다. 상호문화적 읽기/쓰기는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데 간접적이지만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그 방법론의 개발과 역량 기준의 정립은 더 많은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상호문화적 읽기/쓰기 교육의 한 시론으로서 이 연구는 글로벌 시대 작문교육의 영역을 다양화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Intercultural way of thinking is a form of global cultural ability, and the competency in question can be built in various ways. Reading and writing in the gene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can be an adequate method for enhancing such competency. When it comes to reading and writing designed to increa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y, the following principles are important: (i) choosing a suitable text, (ii) proper reading methods based on empathy, reflection, and comparison, (iii) the method of meta-comparativity aimed at decentralizing the preconceived criteria of comparison, (iv) dialogical arguments that draw a dialectical conclusion from the contradictory premises in conflicting cultures. This form of intercultural reading and writing applies to a university writing class, through the familiar media such as movies dealing with the difference, conflict, and solution between two cultures. Thus considered, the cinema < If you die > which concerns the difference between funeral ceremonies in France and Islam can be an example in which reflecting one`s own cultur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grasp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aving a stance toward cultural difference are exercised. Intercultural reading and writing can be an indirect yet effective means for confron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methods and competency criteria is in need of further studies. This research, as an introduction to inter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has a significance that diversifies writing education in the globalized age.

      • KCI등재

        불교와 상호문화철학 : 공(Sunyata)과 폴리록(Polylog)

        조해정 ( Jo Ha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글은 나가르주나의 공(Sunyata)과 빔머의 폴리록(Polylog)을 중심으로 한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을 시도한다. 중관철학과 상호문화철학의 만남 가능성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 개념들이 서구의 전통적인 개념틀을 벗어나는, 불교적 중도 개념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에 있다. 문화들 사이의 상호의존과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상호문화성은 고정된 정태적인 문화 개념에 의해서는 성립 불가능하다. 상호문화성은 문화가 작동되는 장소와 결부된 맥락적이고 유동적인 문화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만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첩(겹침, Uberlappung)의 개념 또한 고정된 개념적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규명과는 거리가 멀다. 중첩은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를 연결하는 유비적 개념이다. 중관철학의 공의 언어는 이러한 전통적인 서구의 사유 틀을 벗어나는 상호문화철학의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폴리록은 빔머의 상호문화철학적 사유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빔머의 기획에서 폴리록은,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전통들이 동등성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세계철학사 다시 쓰기라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문화들의 폴리포니(Polyphonie)로 이끄는 규제적 이념이기도 하다. 빔머는 폴리록에 의지하여 동등한 문화들의 만남을 위한 선행적인 조건으로서 모든 중심주의를 비판하는데, 그 비판의 이면은 역사적으로 유럽중심주의에 의해서 제외되었거나 폄하되었던 전통들을 복원하여 문화들의 폴리포니로 이끄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빔머의 기획은 중심주의 비판과 폴리록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는 나가르주나의 자성론에 대한 비판과 연기의 드러냄이라는 공의 이중적인 사용과 유비된다. 이러한 공과 폴리록 사이의 유비를 통해서 동서의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 및 비서구의 불교철학에 의한 서구 읽기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focusing on the emptiness(Sunyata) of Nagarjuna and the polylogue(Polylog) of F. M. Wimmer. The possibility of the encounter Buddhism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lies in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approach to the middle-way(中道, Madhyama Pratipad) that is different from the typical Western thought tradition. Interculturality, which represents interdependence and influence relation between cultures can not be established by the fixed static cultural concepts. Interculturality can be established only on the basis of the contextual and fluid cultural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place where culture operates. Furthermore, the concept of overlapping(Uberlappung) that enables intercultural dialogue is also different from identifying the fixed conceptual ident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ept of overlapping is simultaneously such an analogical concept that connects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The terminology of the emptiness(Sunyata) in Buddhism will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sat repudiate the traditional thinking structure of the West. Polylogue(Polylog) is the concept symbolizing the intercultural philosophical thought of F. M. Wimmer. According to Wimmer`s thought, on the one hand, Polylogue(Polylog) is a method to reach the goal of rewriting the new world philosophy history in which all cultural traditions are equivalently involved, while on the other hand, is also a regulatory idea leading to the polyphony of all cultures. F. M. Wimmer criticizes All kinds of centralism for the precondition of the encounters of equal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ylogue(Polylog). The other side of that criticism is the identical process leading to the cultural polyphony through the restoration of traditions that had been historically excluded or devalued by Euro-centrism. In conclusion, the thought of F. M. Wimmer can be summarized as the critique of centralism and polylogue(Polylog), it can be analogous to the complex usage of the emptiness(Sunyata) which is critique of substantive language and the exposing the theory of causality(緣起, Pratitya Samutpada). By observing such an analogy between the emptiness(Sunyata) and polylogue(Polylog), I want to verify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dialogu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the possibility of Western reading by non-Western Buddhist philosophy.

      • 상호배타적 투자대안들의 순위매김

        김진욱,강춘모,안재헌,이동엽,조현수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4 No.춘계

        상호배타적인 공학적 투자사업들의 채택 또는 기각 결정을 할 때 현금흐름할인법(DCF법)을 사용할 수 있다. 비교대상이 되는 투자대안들의 초기투자금액이나 사업수명이 다른 경우에는 증분투자분석을 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두 투자대안의 현금흐름 차이를 서로 비교하는 증분투자분석법은 투자안의 채택 또는 기각 결정에서 DCF법과 동일한 결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계산량이 많고 기각되는 투자대안에 대한 정보를 무시하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투자대안별로 순현재가치나 순연간등가를 구하여 투자대안들의 순위를 매김으로써 투자대안들의 수익성 순위 외에도 수익성의 크기도 비교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팀에 대한 인식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혜준(Hae June Kim),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팀에 대한 인식(긍정적 상호의존성, 지각된 태만)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각 변인에 따른 토론내용의 수준 차이를 규명하여 온라인 토론학습에서의 참여도 촉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여자대학교 전공과목 수강생 57명을 대상으로 3주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다중회귀분석으로 학습참여에 대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긍정적 상호의존성, 지각된 태만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론내용 수준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각 변인을 상하집단으로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정적, 지각된 태만은 부적으로 학습참여를 예측하였고, 토론내용 수준은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긍정적 상호의존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타인지,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높을수록, 지각된 태만은 낮을수록 학습참여가 높다는 것,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높은 집단에서 양질의 토론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의 메타인 지를 촉진하고 팀에 대해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online discussion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erception on team(positive interdependence, perceived loafing), and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were fift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perceived loafing negatively predicted learning engagement. There wer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of the discussion. The learners with higher level of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posted messages that are more cognitively engaged during the online discussion. This implies that learners with higher metacognition, interdependence and lower perceived loafing show more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particularly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lead learners to cognitive engagement in depth. Thus, in order to facilitate participation, the online discussion should be designed to help learners be aware of their metacognirion and to promote positive interdependence among the group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 KCI등재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 자기해석양식을 통한 상향비교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혜린(Hye-Rin L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수동적 SNS 이용, 상향비교, 우울, 자기해석양식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인 모형을 탐색하였으며,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에 대한 자기해석양식의 영향을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프로필 기반 SNS를 이용하는 320명을 대상으로 SNS 활동유형, 상향비교 경험, 자기해석양식, 우울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수동적 SNS 이용과 상향비교의 관계에서 두 가지 자기해석양식의 조절효과를 각각 분석한 결과,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만 조절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를 이용하여 수동적 SNS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에 의해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수동적인 방식의 SNS 이용이 높으면 상향비교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되어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때 수동적인 방식의 SNS 이용이 많으면서 관계-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높을 경우 상향비교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 실제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build a comprehensive model of Passiv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elf-Construal Style,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a Depression by testing a moderated mediation model. 320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f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Upward Comparison,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Depres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mediating role of upward comparison between passive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and depression was confirmed. Second, only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ut of the two styles of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ssive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and upward comparison. Finally, we verify medi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moderated by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social comparison; if the individual with high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upward comparison worse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에 대한 미국, 호주, 핀란드 간 비교

        장민영,유주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valuation system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hich is important in terms of process quality of early childhodd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s in the United States(NAEYC), Australia (ACECQA) and Finland(FINE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aningful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the 5-cycle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implemented from 2020, in accordanc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analysis criteria for this study was organized from the common areas and items of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CLASS)’ and ‘Child Caregiver Interaction Scale(CCIS)’, which are two renowned teacher-child interaction evaluation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dicator trend perspective observed oall three countries to show the highest proportion of interactions pursuing educational purpose. However, there existed national differences in perspectives regarding teacher-child interaction focusing on educational purpose. In addition, there were several items that were poorly addressed in national evaluation indicators even though they we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evaluation tools. Second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perspective showed that the United States NAEYC indicators were presented in more specific and precise ways in comparison to those of Australia and Finland, which rather abundantl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value-oriented explanations on relating indicator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the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high 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an accurate agreement on the role of teacher within interaction was identified for the field of kinergarten evaluation to enable comprehensive evaluation. 본 연구는 미국(NAEYC)과 호주(ACECQA), 핀란드(FINEEC)를 대상으로 과정적 질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체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에 맞추어 시행될 5주기 유치원 평가의 개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기준은 교실평가척도체계(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와 양육자 상호작용 평가(Child Caregiver Interaction Scale; CCIS), 두 도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공통영역 및 항목에 기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지표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세 국가 모두 교육적 목적을 띈 상호작용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국가별 관점은 다소 상이했다. 또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에서는 공통적으로 제시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국가별 평가지표에서는 미약하게 다뤄지고 있는 항목들이 있었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지표의 제시방식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미국은 매우 구체적이면서도 지엽적인 방식으로 평가지표를 제시한 반면 호주와 핀란드는 개별 평가 항목의 준거가 되는 원론적, 가치지향적 설명을 풍부하게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5주기 유치원 평가에서는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 정확한 합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맥락과 행동, 유아의 반응 등에 기초한 종합적인 평정이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