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채호의 문학에 드러난 상상의 공동체와 실재의 공동체

        김승환 ( Seung Hwan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애국계몽기(1905~1910)의 문학작품에 드러난 한국/조선은 실재의 공동체이면서 상상의 공동체이다. 이 두 개념은 서로 상반되기도 하지만 한 가지 개념만으로 한정하기 어렵다. 그것은 인종, 민족, 국가와 같은 구체적 실재를 토대로 하면서 한편 문화, 예술, 언어와 같은 요소를 통하여 강화되기 때문이다. 애국계몽기에 역사의 중층성을 가장 깊이 인식하고 가장 처절하게 부딪힌 사람은 단재 신채호였다. 신채호는 몰락한 남인 계열이었으므로 전통의 중압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그는 노론계열의 소중화주의가 위정척사로 이행한 것을 통렬하게 비판하면서 조선민족의 주체와 국민의 혼을 호명했다. 또한 단재는 멸망하는 봉건왕조에 대한 충절의식보다는 인민을 주체로 하는 조선 민족의 주체와 자주 국가를 기획할 수 있었고, 역사의 공동경험과 지리의 구체성을 근거로 실재의 공동체를 주창할 수 있었다. 신채호가 직접 비판한 것은 중국 중심의 중화주의와 조선 지배계급의 소중화주의 그리고 일본의 동양주의였다. 그 정점에 1908년 민족주의 사관에 의거한 『독사신론』과 민족자주의 역사전기소설인 ?을지문덕』이 놓여 있다. 두 작품을 비롯한 수많은 작품과 논설에서 단재는 조선 민족의 실재를 강력하게 강조한다. 하지만 이 실재의 공동체만으로 위급한 조선을 구할 수가 없었기에 단재 신채호는 상상의 공동체를 통해서 실재의 공동체를 강화한다. 간혹 신채호가 무리한 역사서술을 하거나 비현실적인 주장을 하는 것은 실재의 공동체 조선 민족만으로는 일제의 침탈을 막아낼 수 없었고 소중화주의와 모화사상에 젖은 조선의 지배계급을 각성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민족의 호명에 응했다고 믿었던 단재는 1908년 『독사신론』과 같은 민족주의 사관과 ?을지문덕』과 같은 소설작품을 통하여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로서의 조선민족, 독서의 공동체(reading communities)로서의 조선민족, 실재의 공동체(real communities)로서의 조선민족을 동시에 기획했다. 이 중 상상의 공동체는 조선민족을 상상의 세계로 인도하는 한편, 허구가 아닌 상상을 통하여 조선민족공동체를 상상하고 인식하도록 한다. 실재의 공동체 조선과 상상의 공동체 조선을 연결하는 것은 독서의 공동체인 언어였다. 독서의 공동체는 곧 언어의 공동체를 말하는 것이며 언어의 공동체는 국민의 국가어와 민족의 민족어를 바탕으로 한다. 특히 단재 신채호는 일제의 침탈이 심각해지면서 국가인 조선이 몰락하는 것을 보고 국가어보다 민족어를 강화하는 문필활동을 통해 상상의 공동체와 실재의 공동체를 연결했던 것이다. Shin Chao-ho realized the historical context of Chosun deeply and fight against it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c-Enlightenment(1905~1910) enthusiastically. Since he was free from the oppressive feudal system, he could criticize the Little Sinocentrism and could denounce the conservative idea of the feudal ruling class. Instead of royal patriotism, he had set the plan of independent state for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Non the less, he insisted the real community of Chosun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n the other hand, he payed the attention to the idea of the imagined community of Chosun for uniting people of Chosun through language and culture. What he directly denounced were the Sinocentrism, the Little Sinocentrism and Japanese Orientalism. His resistant action came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nationalism and came out in a novel Euljimundeuk, which was written for urging the enlightened and patriotic eagerness. With these kind of writings, he emphasized the real community of Chosun state, but it was not easy because the half colonial situation under the Japanese ruling. Since it was not enough to emphasize the real community of Chosun ideally, he re-emphasized the imagined community of Chosun simultaneously. But, there was a chasm between the two communities. To overcome the disparity, he changed to the exclusive nationalism and concentrated on the reading community and language community expressed in his novels. Regarding himself as an interpellated subject of the Nation and writer of the transitive period, he spread hope of the independent state through the reading community. His notion was similar to the Linguistic Nationalism coined by Wilhelm von Humboldt, German philosoph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Humboldt, every nation needs nationalism when their own state was under the crisis. For the recovery of the independent state, novelist must write an imagined story with a homogeneous emotion and identical thought. He dedicated his whole life to make his home land as an independent Nation State through his writing.

      • KCI등재

        도덕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공동체의 역할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연구 : 뒤르켐, 앤더슨, 라깡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철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3 No.-

        This study is to show the fact that it is an ‘imagined community’(Anderson’s term) that makes the moral life of individual possible. Morality finds its source on the one hand in the inner voice like conscience and on the other in the hand, the outside voice from the community. This article concerns the latter. The morality is formed and maintained by the works of the ritual and its symbols that the community members perform in everyday life. This is well documented by the Anderson’s work on nationalism. It is also supported by the concepts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scholars such as Freud, Winnicott, Durkheim, Bellah and Lacan, especially his concepts of the symbol and the imaginary. Though the community is imagined one, it has an imposing status to its constituents. The role and power of the imagined community is easily revealed when it happened to be de-constructed by the invasion of ‘the real’ in Lacan’s term. Christian church, with its ritual and symbols, also creates the imagined one, and this community allows the church to work as an outer voice of moral authority to its members. 개인의 도덕성을 형성,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외부 공동체는 ‘상상된 공동체’ 로, 이 공동체는 상징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이 수행되는 집합 의례를 통해 만들어진다. 이 공동체는 비록 상상된 공동체이지만 구성원들에게 끼지는 도덕적 영향력은 지대하다. 이 힘의 존재와 크기는 상상된 공동체가 와해되거나 약해질 때잘 드러난다. 도덕적 혼란 혹은 무규범 상태가 확연히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공동체의 속성이 상상의 산물이기에 공동체는 쉽게 흔들리고 해체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상상된 공동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지되는 것이 개인의 도덕적 삶을 위해 필요하다는 역설이 제기될 수 있다. 교회 역시 상징과 의례를 통해상상된 공동체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는 개인들에게 권위 있는 도덕적 목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

      • KCI등재

        상상 중국과 현실 중국 - 개인, 가문, 국가

        박지현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7 No.-

        本論文在中國原先是`想象的共同體`的前提之下,考察其原理的中華主義和其媒介的歷史敍事,以淸??≪巢林筆談≫里的形成主體談論爲中心,分析了個別的現實自我轉移到共同體的文明自我的過程。 中華主義是想象中國的主要原理,換句話說,就是起源于`中原`卽世界中心的文明自我把環繞自己的非文明異質性世界使內在化的理念。文明自我以歷史卽超時間性敍事爲媒介,不斷擴大自己的內涵與境界,這就是`想象中國`的內容,這時,現實的個別人??成爲一個想象主體的`華人`卽文明自我,是在乎他如何把自己聯結到一個`中心`和`太 初`,`中心`是想象中國的空間起源,`太初`是想象中國的時間起源。 通過≪巢林筆談≫來看,??作爲一個文明自我的主體形成過程,是通過對他家族構 成整體性完成的,他的家族是一個共同集團,共同具有其作爲`太初`的始祖??的、其作爲`中心`的神聖道德性。這時,構成其始祖??`中心性`的一些故事,采用與`天`溝通 或交感的話素(motif), 承襲着傳統王朝誕生的故事結構,因而??他一個個人的存在超過家族疆界,連接國家起源的絶對中心所具有的神聖文明性。 因此,個人、家族、國家成爲一個共有絶對中心的同心圓,作爲想象中國的主體或境界,讓我們看幷沒矛盾的幸福結合。尤其是在中國傳統時期,不容易?到任何個別人否定或破壞這樣結合一致,可能存在背離的行爲,但不能存在背離的自我,這就是想象中國的現實。

      • KCI등재

        상상된 국가대표: 상상된 공동체 개념을 통해 본 운동선수의 병역특례와 정체성의 정치

        한승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2 No.1

        Drawing upon the concept of ‘imagined commun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military exemption system for national athletes (MESNA).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institution of military exemption and its beneficiaries (athletes) are socially constructed. Several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MESNA hinges on the approval and agreement of the constituents who collectively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Second, as the ambiguous conception of ‘enhancing national prestige’ works as the key criterion for military exemption, essential is the approval from the community’s collective perception. Third, athletes who represent the nation are accepted to be legitimate beneficiaries of MESNA only when they suffice the public’s imagination of ‘national representatives’, in terms of athletic performance, patriotic spirit, high moral standards, etc. Finally, national disputes over MESNA serve as a process of nation-building. As the main actor of identity-construction, the nation fosters the public’s imagination of what their nation is, reinforcing the national identity, while individuals in this process continue to identify the boundaries of their imagined community. 이 연구는 상상된 공동체라는 생각의 틀을 통해 국가대표 운동선수의 병역특례제도에 대해 접근한다. 국가․민족 공동 체가 그 구성원의 상상의 산물로서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베네딕 앤더슨의 논의에 따라 병역특례라는 제도와 그 수 혜자인 국가대표 운동선수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규정되는지 살펴본다. 상상된 공동체라는 분석틀을 통해 살펴본 운 동선수 병역특례 제도의 본질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운동선수의 병역특례는 공동체를 상상하 는 국민의 인정과 동의가 그것의 수용 여부의 기준이다. 둘째, 대중은 운동선수의 병역특례 기준을 국위선양이란 추 상적 감각을 통해 인식하기 때문에 그 추상성에 대한 공동체 인정이 그 본질이다. 셋째, 국가대표 운동선수는 공동체 가 상상하는 ‘국가대표’로서의 모습을 충족시킬 때 병역특례의 수혜자의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다. 국가대표의 모습 이란, 운동실력, 국위선양에 대한 의지, 애국심, 윤리의식 등이다. 넷째, 국가대표 운동선수의 병역특례를 둘러싼 논 쟁의 과정은 곧 구성원들에 대한 국민형성의 과정이다. 정체성 형성의 주요한 행위자로서 국가는 국가대표 운동선수 의 병역 혜택에 대해 주체가 상상케 함으로서 국민이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개인은 병역특례에 대한 논쟁의 과정을 통해 상상된 공동체의 경계를 끊임없이 확인한다.

      • KCI등재후보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제주 해녀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유산화 (heritization)’ 과정을 중심으로-

        함한희(Hahm, Hanhee)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2

        국내에서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는 종목이 점차 증가하면서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판단아래서 본 논문이 작성되었다.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에 대한 성찰이 국제적인 학술 영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해녀문화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전후해서 ‘유산화’ 과정을 겪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해녀문화의 유산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보았다. 하나는 해녀공동체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마을단위의 공동체에서 제주도 전체에 산재해 있는 여러 해녀공동체를 하나로 묶은 새로운 상상의 유산공동체가 탄생한 것이다. 유네스코 협약체제의 영향이 국가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킨 것은 명백하지만, 개별 공동체 중심의 보호에는 힘을 미치고 있지 못한 점이다. 마을단위 해녀공동체의 실제 운용력, 상군의 지도력 등이 정부의 상명하달식 정책으로 대체될지도 모른다. 자발적이고 자체적인 운용의 힘 대신 정책적 의존도가 높아질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등재 이후 해녀와 공동체에게 새로운 임무와 과제가 부여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유산만들기’에 많은 시간과 힘을 기우려야 해서 과거와는 다른 국면을 경험하게 된다. 해녀문화가 제주도 전체의 문화적 상징과 정체성으로 부상하면서 해녀들은 홍보, 관광, 교육, 공연 등 생업 이외의 대외 활동에 나서야 하는 일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This article is prepared under the judgment that the issue of increasing elements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Korea should be addressed. The reflective stud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policy of UNESCO which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international scholarship has affected my study to a great extent. In this article, it is noted that the culture of women divers in Jeju has undergone the heritization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inscription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in 2016. Two problems are indicated in the process of heritization of the culture of women divers. One is that the character of the women divers’ community has changed. A new imaginative heritage community has been created by tying together various women divers village communities scattered throughout Jeju Island. It is clear that the influence of the UNESCO Convention strengthens the hegemony of the state, but it may not have the policies to protect individual village communities. Actual operating engin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leadership of the superior haenyeo may be replaced by the government"s top-down policy. It is concerned that policy dependence will increase instead of voluntary and self-management power. Secondly, new duties and assignments are given to the women divers in Jeju after the inscription. It has to spend a lot of time and energy in making ‘heritage’, so it experiences a different phase from the past. As the culture of women divers emerged as the cultural symbol and identity of Jeju Island as a whole, it became more and more necessary for them to engage in outside activities other than livelihood, such as publicity, tourism, education and performances.

      • KCI등재

        재소(在蘇)한인 작가들의 문학작품 연구

        이화경(Lee Hwakyeong)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3 No.-

        본 연구는 ‘상상의 공동체’이자 ‘느낌의 공동체’를 함께 건설하려고 했던 《선봉》의 작가들과 작품들을 보다 개괄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선봉》에 실린 문학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소 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과 인식이 어떤 궤적을 그리고 있으며 어떻게 문학적 형상화를 이루고 있는지, 그것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3년에 창간된 《선봉》은 재소(在蘇) 한인들의 최초의 한글 신문으로, 문예페이지를 개설하면서 한글문학을 본격적으로 개척하고 일군 선구자 역할을 했다. 《선봉》은 연해주로 이주한 지식인과 작가들이 한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민족어인 한국어로 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 끝에 만들어낸 매체였다. 《선봉》은 1937년에 폐간되어 《레닌기치》로 재탄생되기까지 한글문학의 영역을 구소련까지 확대하고 발전시키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고, 이후 중앙아시아로 이주하게 된 한인 작가들의 문학적 맹아(萌芽)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 선진적인 매체였다. 재소 한인 작가들은 전통의 단절과 새로운 이념의 개입의 영향을 받은 문학 작품을 알리기 위해 ‘신문’과 ‘문학’이라는 근대적인 매체를 통해 연해주 동포들의 인식을 바꿔놓으려 노력했다. 이는 《선봉》의 작가들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20~30년대라는 특정한 시기와 10월 혁명이 구현된 소비에트라는 공간 속에서 조선의 망명자들이 그들만의 경험을 통해서 구성되고 의미를 부여한 역사적 공동체라는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선봉》매체의 주체들은 재소 한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신문과 한글이라는 언문일치의 도구를 통해 공감된 세계와 상상적 세계를 재현하고자 했다. 물론 과도한 정치적 요구와 이념에 경도된 도구화된 문학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향성을 띠고 있긴 하지만 시대정신을 강력하게 상기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무엇보다 그들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려고 했다는 점이 지금 현재 무력한 문학을 향해 혁명적 상상력이 왜 필요한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writers and works of 《Seonbong》, which was an attempt to construct ‘Imaginary Community’ and ‘Feeling Community’ in a more general and concrete dimension. In other words, it is aimed to reveal the trajectory of diaspora life and recognition of the Korean refugees centering on literary works in 《Seonbong》, and how they are shaped literary and what meaning and value it has. 《Seonbong》, which was created in 1923, was the first Korean-language newspaper of the residents of Soviet., and opened up literary pages to pioneer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acted as a pioneer in the field. 《Seonbong》was expanded in 1937 and expanded to the Soviet Union until the rebirth of 《Lenin Gichi》 to the Soviet Union, providing the basis of socialist realism, and then the literary bud of Korean writers who moved to Central Asia was an advanced medium that faithfully fulfilled its role. Korean writers who tried to change the perception by means of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Literature’ in order to inform the literary works influenced by the interruption of tradition and the intervention of new ideologies. It can be seen that the writers of 《Seonbong》 sought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 Also, in the specific period of the 1920s and 1930s and the Soviet space in which the October Revolution was realized, the exiles of Chosun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community that is constituted and meaningful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Seonbong》 tried to reproduce the world and the imaginary world that were sympathized through newspapers and Hangul, a tool for communicating with Korean residents. Of course, it has a tendency to be dotted with instrumentalized literature that is devoted to excessive political demands and ideologies, but has shown a powerful reminder of the spirit of the times. Above all, they tried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s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

      • KCI등재

        백석 시의 낭만성과 동양적 상상력 : 유토피아 의식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Utopianism

        이경수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 시에 나타난 동양적 상상력을 분석함으로써 백석시의 유토피아 의식과 낭만성의 의미를 맞히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시의 영향을 받았거나 동양 고전을 직접 인용하거나 동양 고전을 읽은 흔적이 보이는 시들에 주로 주목하였다. 이 논문에서 백석 시의 동양적 상상력에 주목한다고 해서 백석 시의 근대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동양적 상상력을 활용하는 방식에서 백석 시의 근대적 성격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독특한 시각이다. 논문의 2장에서는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통해 백석 시의 동양적 상상력이 창작의식과 어떤 관련을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백석의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는 '기려행', 그 중에서도 눈이 흩날릴 때 당나귀를 타고 거니는 선비의 모습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이 시에서 느껴지는 낭만적 태도라든가 현실 도피적 태도는, '기려행'의 일반적인 이미지를 계승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시에서 주로 인용된 기려행이 선비의 유유자적하는 소요(逍遙)를 드러내는 것이었다면, 인용한 백석 시의 경우에는 기려행의 기본 정서에 이국적 여인과의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인 사랑을 덧씌움으로써 연애시의 요소를 더해준다. 논문의 3장에서는 고전을 인용한 시에 나타난 은들의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백석의 시에는 노자, 공자, 도연병, 이백, 두보 등의 동양 고전이 종종 인용되는데, 그것은 대개 은둔적이고 현실도피적인 삶의 태도를 드러낸다. 백석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은둔의 상상력은 현실 도피적인 그의 성향을 드러내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배면에는 세상과 화합하지 못하는 시인의 성향이 깔려 있다. 논문의 4장에서는 백석의 후기시에 자주 나타나는 '가난'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석의 시에서 가난은 단지 물질적 빈곤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인이 현실에 대해 느끼는 결핍과 무소유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태도이자 자의식적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의 가난에서 안빈낙도의 정신이 자주 연상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백석 시인은 기꺼이 '가난'에 머무르지만, 훼손된 현실이 자아내는 쓸쓸함이 그로부터 묻어난다. 논문의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백석 시가 지향하는 유토피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 보았다. 그것은 모계적 공동체의 모습에 가까운 것으로, 이상향인 동시에 어디에도 없는 곳이었다. 백석 시의 동양적 상상력은 은둔적이고 도피 적이고 주변적인 태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데, 이러한 분위기가 가부장적 지배 질서가 온존해 있는 공동체가 아니라 모계적 이고 원시적이고 이질적인 공동체를 지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백석의 시는 이질적인 것들이 각자의 개성을 잃지 않으면서 평화롭게 공존하는 모계적 공동체로서의 유토피아를 꿈꾸는데, 사실상 그 꿈에 도달하지는 못한다. 그의 낭만성이 감상주의에 빠지지 않고 현실과의 거리에서 쓸쓸함을 자아내게 하는 힘을 지닌다는 점에서 백석시에 근대적 의식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은둔적이고 도피적이며 주변적인 세계관은 궁극적으로 1930년대 후반기 시인으로서 백석이 자기자신에게 던진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의식적인 질문과 만남으로써, 시인이 처한 현실과의 괴리가 자아내는 쓸쓸함을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것이 백석 시의 동양적 상상력이 근대적인 질문과 만나는 자리이며, 동시에 백석 시의 동양적 상상력이 근대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이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utopianism and romanticism of Baek Seok's poetry by analyzing the Eastern imaginations portrayed in his poems. In this research,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oems which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Chinese poetry, directly quoted Eastern classics, or had signs of influence from Eastern classics. Whi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astern imaginations of Baek Seok's poetry, it is not meant to deny the modernity of Baek Seok’s poetry. On the contrary, this research is based on a unique foundation that modern characteristics of Baek Seok's poetry can be verified through the way he used Eastern imaginations in his work. The second chapter of the thesis studies Baek's poem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ek's Eastern imaginations and creativity. Baek's poem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illustrates a scholar riding a donkey on a snowy day. The romantic and escapist attitudes of this poem resemble the general image of "Giryeohaeng (image of a scholar riding a donkey or a horse)." But looking close, while the Giryeohaeng quoted in Chinese poems usually displayed easygoing lifestyle of scholars, Baek's Giryeohaeng adds onto the basic sentiments of Giryeohaeng a romantic love with a foreign lady, enriching the poem more like a love poem.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secluded imaginations portrayed by the poems quoting classics. Baek often quoted Laotzu, Confucius, Lunwen, Dubo and other Eastern classics, and such quotations usually displayed seclusive and escapist lifestyle. The secluded imaginations found in Baek's later poems are evidence of his escapist attitude, but at the same time, it reflects the poet's in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the world. Chapter four discusses the meaning of "poverty" often illustrated in Baek's later poems. The poverty portrayed in Baek's poetry does not merely refer to material poverty. Rather, it has to be treated as the poet's attitude toward the questions of insufficiency and lack of possessions. This constitutes the main reason of his frequent description of being contented amid poverty. Baek willingly remains in "poverty", and yet he boldly expresses the pains of the distorted reality. The fifth chapter of the thesis attempts to use the discussions above and compose a detailed picture of the utopia Baek's poetry pursued. It was more like a matricentric community, an idealistic society that exists nowhere. The Eastern imaginations of Baek's poetry closely relate to seclusive, escapist and environmental attitudes, and such attitudes apparently caused him to pursue a matricentric, primitive and heterogeneous community rather than a community based on patriarchal dominance and order. As discussed above, Baek Seok's poetry preserves heterogeneity of things, and pursues a harmonious, coexisting and matricentric community as its utopia, but in real terms, such dream remains unachievable. The fact that Baek's romanticism does not indulge in sentimentalism and that he boldly describes the pain of reality, we can see that Back Seok's poetry has a substantial element of modernity in it.

      • KCI등재

        재일 제주인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문화적 기초

        김창민 ( Kim Cha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문화적 접경지대’의 관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의 사회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사람들은 일제 강점기 이후 대규모로 일본으로 건너가 재일제주인 사회를 형성하였으며 마을마다 친목회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친목회는 일본에서 상호부조와 친목활동을 할뿐 아니라 고향마을의 개발사업에도 재정적인 후원을 하였다. 이는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친목회 구성원들 사이에 사회적, 경제적 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친목회가 공동체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상상된 공동체’이다.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로 상상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하나는 이 공동체가 출신 마을을 근거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거주 기간의 차이, 경제적 차이, 사회적 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재일 제주인에게 출신 마을은 일본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준거의 하나이다. 밀항자들에게 고향은 최종적으로 돌아가야 할 곳이며 오래된 재일교포에게 고향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인정 받아야 하는 곳이다. 이런 면에서 고향은 친목회 구성원들에게 ‘작고 따뜻한 세계’의 이미지를 주고 있으며 이는 일본에서의 친목회가 공동체라고 인식하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다른 하나의 이유는 공동체 내부의 인간관계가 유교적 질서에 근거해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 내부에서는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이익을 우선시 하며, 조상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일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연장자가 존중받았다. 이런 유교적 질서가 중요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들은 경제적 조건, 일본에서의 법적 지위 등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런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처럼 간주되었다. 요컨대,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문화적 접경지대에 있으며 고향과 유교적 질서라는 두 가지 상징적 자원을 활용하여 일본 사회에 적응하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ocial relation of Jeju community in Japan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boundary’. Jeju people had immigrated to Japa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d formed Jeju social groups in Japan. These social groups not only have functions to do mutual aid and socialize with confidence in Japan but give financial support to home village’s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Jeju. In this perspective,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can be considered as a community. In spite of the diversity in social or economic conditions of members, these social groups recognized as community. In this meaning,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are ‘imagined community’. There are two reasons in the fact that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imagined as a community. One is the fact that these social groups has been organized based on home village in Jeju. In spite of the social or economic difference, Jeju immigrants regard home villag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reference in Japan. Because home village gives image of ‘little cozy world’ to the Jeju immigrants, these social groups based on home village conceived as a community. The other reason is the fact that social relationship in Jeju immigrant’s group is based on Confucian order.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put priority on common wealth rater than private interest and put emphasis on ancestor worship. Further more, senior members are held in honor by junior members. In spite of the differences o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members, Confucian order makes these differences meaningless. In conclusion,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are cultural boundary and accommodate to Japan society by using symbolic resources such as home village and Confucian order.

      • KCI등재

        ‘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éel)공동체의 향유: 뱅크시의 문화적 실천과 <훈민정음>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혜,안숭범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concepts of “NFT contents” and “NFT culture content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produced using NFT (non-replaceable tokens). Second, the identity of the enjoyment community formed in the process of consuming NFT culture contents will be named a derivative real communit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will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imply defining “NFT contents” can be said to be content that has proven ownership with NFT technology, and there are various types. Determining the value of NFT contents is not the original value of real objects, but the symbolic value of virtual objects transferred on the web. In particular, if NFT content issued with non-replaceable tokens is NFT culture contents by embody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lements, it can cover concepts such as “NFT art” and “NFT culture and artistic contents.” It can also acquire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culture contents terms that are already being used on a new technology basis. Today, NFT culture contents is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through imaginary preference valu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which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utility of NFT contents.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case of NFT culture contents, the valu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is confirmed by the storytelling effect of the enjoyment community derived around it.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ed the power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driven by the NFT culture contents in the term “Hyperréel Community.”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article analyzes two representative examples of NFT contents. The series of NFT contents work attempted by Banksy and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published as an NFT by the Kansong Museum of Art, are examples of the natur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flowing power of the “Hyperréel Community.” These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as consumer goods with a new imaginary context, era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web and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imaginary preference values and the supermediated aspect of the derivative re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NFT(대체불가토큰)를 활용해 생산된 콘텐츠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여 ‘NFT콘 텐츠’, ‘NFT문화콘텐츠’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NFT문화콘텐츠의 소비 과정에서 형성된 향유공동체의 정체성을 파생실재공동체로 명명하고 ‘상상적 대화공간’의 함의를 해명하기로 한다. 연구결과, ‘NFT콘텐츠’는 NFT 기술로 소유권이 증명된 콘텐츠라 할 수 있다. NFT콘텐츠의 종류는 다양하다. NFT콘 텐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현실 사물의 원본가치가 아니라 웹상으로 전이된 가상적 사물의 기호가치이다. 특히 유무형 의 문화적 요소를 체화시켜 대체불가토큰으로 발행된 ‘NFT콘텐츠’를 ‘NFT문화콘텐츠’라고 칭한다면, 이는 ‘NFT아트’, ‘NFT문화예술콘텐츠’ 등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 범용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용어를 새로운 기술기반 위에서 인문학적으로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오늘날 NFT문화콘텐츠는 제작⋅유통 과정에서 상상적 기호가치를 통한 상호작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NFT콘텐츠의 효용을 논하는 데 중요한 참고점이 된다. 주목할 지점은 NFT문화콘텐츠의 경우 그것을 둘러싸고 파생된 향유공동체의 스토리텔링 효과로 ‘상상적 대화공간’의 가치를 확인시킨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NFT문화콘텐가 견인 하는 ‘상상적 대화공간’의 힘을 ‘파생실재공동체’라는 용어로 해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NFT콘텐츠의 대표적인 사례 두 가지를 분석한다. 뱅크시가 시도한 일련의 NFT콘텐츠 작업과 간송미술관에서 NFT로 발행한 H훈민정음 해례본H은 ‘상상적 대화공간’의 성격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유동하는 힘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은 웹과 현실세계의 경계를 지워내며 새로운 상상적 맥락이 기입된 소비재로 공통점을 지닌다. 한편 상상적 기호가치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초매개적 양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민족’의 사회학적 설명과 ‘상상의 공동체론’ 비판

        신용하(Yong-ha Shin)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1

        이 논문은 ‘민족’이 사회역사적으로 형성된 ‘실재의 공동체’임을 사회학적으로 설명하여, 앤더슨의 민족이 ‘상상의 공동체’라는 주장을 비판한 것이다. 앤더슨은 민족이란 실재하지 않는 것인데, 18세기에 민족주의적 문필가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민족’이라는 허구를 상상케 하는 서적들을 지방어로 써서 인쇄자본주의가 대량 출판 보급하여 지방민들도 ‘민족’이라는 허구를 상상하게 되어 ‘상상의 공동체’(민족)가 형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앤더슨의 ‘상상의 공동체론’은 사회사적 인과관계 분석부터 잘못되어 있다. 민족주의가 먼저 형성되어 그 결과로 민족이 출현한 것이 아니라, 먼저 민족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 민족주의가 출현하였다. 민족은 인간이 동일한 언어ㆍ지역ㆍ문화ㆍ혈연ㆍ정치ㆍ경제생활ㆍ역사ㆍ민족의식을 공동으로 하여 오랜 기간 사회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공고하게 결합하여 형성된 구체적 명칭까지 가진 실재의 인간공동체이다. 인쇄자본주의가 지방어로 쓴 서적을 대량 공급하기 이전에 이미 먼저 종족ㆍ원민족ㆍ전근대민족 또는 근대민족이 형성되어 있었다. 민족주의적 문필가들의 서적은 ‘민족’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이미 형성되어 있던 민족의 민족의식을 더욱 강렬하게 강화해서 ‘민족주의’ 형성에 일정의 역할을 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sociologically explaining the “nation” as a sociohistorically formed “real communities” and in critiquing Benedict Anderson’s view that it is but an “imagined communities.” According to Anderson, the nation does not exist in reality. Rather, the “imagined communities” of the “nation” was formed when provincial residents came to imagine this fiction which was called “nation” after nationalistic writers had, for political purposes, penned books in the vernacular prompting the reader to imagine the fictive category of the “nation” and print capitalism had subsequently published and disseminated them en masse in the 18th century. Anderson’s theory of the “imagined communities,” however, is flawed even in its causal analysis of social history. In other words, the “nation” did not come into being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Instead, the “nation” predated and gave rise to nationalism. The “nation” is an actual human community historically formed through the solid integration of a group of people who have lived together for a long time based on the common language, territory, culture, kinship, polity, economic life, history, and national consciousness, even possessing a concrete name. Even before 18th-century print capitalism produced and disseminated en masse books in the vernacular, there already existed Volks(ethnies), proto-nations, premodern nations, or modern nations. It is therefore more reasonable to say that nationalistic writers, instead of forming the “nation,” played a role in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by reinforcing a national consciousness that already existed among members of a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