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에 대한 실행 개선 요구 분석 연구

        안재영,이병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s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rmation process Of Cooperation NetWork(FoCNW)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usinesses, and 2) to draw the success factors that need improvement. To achieve these purpose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1,098 (professors, teachers and workers in charge of cooperation at universities, technical colleges, vocational high schools and businesses which are equipped with a cooperation system), and 33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cooperation workers showed high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CNW, their performance of those factors was relatively low. Secondly, both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CNW was highe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 in businesses. Thirdly,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bo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usinesses are ‘collecting outer information and consulting’ and ‘publicizing cooperation competency’, ‘setting cooperative activities (programs) and contents of agreements’, ‘managing cooperation quality formally’, ‘drawing plans for sustainable cooperation improvement’ and ‘diffusing cooperation network’.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perceiving necessity of and forming consensus on cooperation’ and ‘deciding and supporting the worker in charge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ng and sharing of organization members’.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businesses are ‘deciding goals and performance strategies’, ‘develop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hecking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potential partners’, and ‘evaluating cooperation activities and their outcomes and providing feedback’ and ‘adjusting contents of agreements and deciding whether to maintain cooperation’. Therefore, efforts from each partner to improve those factors and support from related organizations are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의 중요도와 실행 정도를 분석하여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기관과 산업체가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고교와 산업체의 산학협력 담당자 1,09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39부(30.9%)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담당자들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성공 요인의 실행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둘째, 교육기관이 산업체보다 대체로 성공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이 산업체보다 대체로 성공 요인을 잘 실행하고 있는 편이다. 셋째, 교육기관과 산업체 모두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외부 정보 수집 및 자문’과 ‘산학협력 역량 홍보’, 구축 단계의 ‘협력 활동(프로그램) 및 협약 내용 설정’, 운영 및 조정 단계의 ‘공식적인 산학협력 질 관리’, 강화 및 확산 단계의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개선 방안 도출’과 ‘산학협력 네트워크 확산’이다. 교육기관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산학협력 필요성 인식 및 공감대 형성’과 ‘산학협력 담당자 선정 및 지원’, 구축 단계의 ‘조직 구성원의 참여 및 공유’이다. 산업체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목표 및 실행 전략 설정’, 동기화 단계의 ‘잠재적 협력 주체와의 상호 이해 및 협력 가능성 검토’, 운영 및 조정 단계의 ‘산학협력 활동·성과 평가 및 피드백’과 ‘협약 내용 조정 및 협력 유지 여부 결정’이다. 따라서 이들 요인에 대한 주체별 개선의 노력과 유관기관의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허선영(Heo, Sun-Young),장후은(Jang, Hoo-Eun),이종호(Lee, Jo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LINC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 number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s been sharply increased for the last five years. It is viewed tha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ve played a prime role for promot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threat that about 70 per cents of total expense needed for maintain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are dependent upon finances of the LINC projec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will be disappeared, if a university or college fails to be selected in the LINC project or the government decides to suspend the LINC project.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and policy alternatives o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this paper conducts a literatur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persons concer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legal, finan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 KCI등재

        산업현장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의 방향

        장승권,최종인,홍길표,Jang, Seungkwon,Choi, Jong-In,Hong, Kilpy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4

        대학에 산학협력 제도가 정착되었지만, 대부분의 한국 대학이 연구중심 인사관리 체계를 유지하며, 교육과 연구의 현장 적합성이 부족하다. 대학의 학술중심 문화와 인사제도 때문에 정부정책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산업현장친화형 교수는 자리 잡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현장친화형 교수인력을 채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사제도를 연구하여, 한국 대학의 문화에 산학협력 풍토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연구문헌조사, 사례분석, 면접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 대학의 교원 인사제도는 법제도에 근거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대부분 유사하며, 산학협력을 잘 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학과 산업체가 다른 요구와 문화를 갖고 있다는 '죽음의 계곡'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려면 대학교원 인사제도를 혁신해야 한다. 다양한 산학협력프로그램 운영은 산학협력성과, 연구성과와 교육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 산학협력 인사제도와 지원제도의 도입은 산학협력 성과, 교육성과와 연구성과 향상을 촉진한다.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확보 등 산업친화형 대학풍토조성이 중요하다. 정책제안으로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 도입 및 확산을 위해서 간접 지원정책과 제도 환경 조성을 제시한다. 산업현장친화형 교원인사 자율목표 채택 대학에 인센티브 제공, 산학협력 지원프로그램과 산업현장 친화형 교원인사 연계,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육을 강화하는 정보공개 등이 중장기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다. 기대성과와 활용방안은 산업현장 친화형 대학교원 인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 대학 특성화 유형별 인사제도 제시, 산업현장 전문가의 교수채용 활성화를 통한 대학의 산학협력 인식 제고, 산학현장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강화를 통한 자발적인 산학협력 활성화, 대학유형별 산학협력 특성화 대학의 육성 정책수립 방향 제시, 산학연 협력 선진화 지원정책의 근거 조사자료를 제공했다. The practices and processes of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university faculty in Korea depend heavily on assessment of research and teaching rather than the UIC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erformance. In this regard, HRM of Korean universities is said to be far distant from UIC. Although policy initiatives by the Korean government, notably the MoE (Ministry of Education) have implemented in most universities, the desirable level of UIC could not be achieved yet. Moreover, the very notion of 'university' in Korea is much more to do with 'pur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ion than with 'applied' and 'vocational' purpose. Considering upon HRM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UIC in Korea, the government's policy should be linked to alter deep-rooted university culture. So the aims of the research are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of HRM in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critical factors of UIC in Korean universities; to analyze the gaps between university research and industrial commercialization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the 'valley of the death'; and to recommend HRM policies fostering UIC for the MoE.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we deploy multiple methodologies, namely,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survey,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ith regard to UIC. Analyzing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present research sheds light on all aspects of HRM processes and UICs. And the main policy implication is restricted to the Korean universities, even if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foreign universities, notably universities in the USA. The research findings are mainly two folds. Firstly, the HRM practices among Korean universities are very similar due to the legally institutionalized framework and the government's regulations. Secondly, the difficulties of UIC can be explained by notion of the 'valley of death' ways in which both part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are looking for different purposes and dire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gap in the valley of death, the HRM policy is better to be considered as leverage. Finally, the polic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various kinds of UIC programs are able to enhance the performances of not only UIC, but also education and research outcome. Secondly, foster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 for UIC, employing various UIC programs, and hiring industry-experienced faculty are all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high performance of university. We recommend the HRM policies fostering UIC by means of indirect way rather than funding directly for university. The HRM policy of indirect support is more likely to have long-term effectiveness while the government's direct intervention to UIC will have likely short-term effectiveness as the previous policy initiatives have shown. The MEST's policy means of indirect support might vary from financial incentives to the universities practicing HRM for UIC voluntarily, to information disclosure for UIC. The benefits of the present research can be found in suggesting HRM policy for UIC,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industry-experienced faculty for UIC, and providing statistical analysis and evidences of UIC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대학측면에서의 新산학협력 방향에 대한 고찰

        고인영(Ko, In-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산학협력이란 대학, 산업체, 연구소 등 서로 상이한 영역에 속하는 주체들이 연구, 기술개발, 인력양성, 정보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는 현상을 말한다. 산학협동이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이유 중에 하나는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산업계는 진보된 이론을 실제 생산과정에 도입함으로써 생산성 증대 및 기술․경영의 혁신을 꾀할 수 있고, 대학은 산업계의 실질적 문제점을 교육과정에 반영시켜 교육의 질적 혁신을 유도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미국의 경우 1970년대 경제적 불황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학에서 이루어진 기술개발의 성과를 사회전반으로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베이-돌 법(Bayh-Dole Act)을 제정하면서 본격적인 산학협력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유럽은 15세기부터 시작한 도제교육제도를 효시로 하여 산업체 주도의 산학협력이 시작되었으며, 영국의 샌드위치시스템과 독일의 듀얼시스템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산학협력은 1890년대 설립된 상업학교의 현장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산학협력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추진과 함께 성장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1963년의 산업교육진흥법과 1967년 과학기술진흥법에 제정되면서 산학협력을 위한 제도적,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1980년대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 제정으로 정부주도의 산학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으로 변화하면서 新산학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기존 이공계중심의 산학협력에서 발전하여 인문사회, 예체능분야로 산학협력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새로운 추세라 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지금까지 경제적 관점에서 이공계분야의 산학협력이 이루어졌으나, 지역발전과 연계하여 인문사회계열 대학들이 산학협력의 추진 주체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학협력의 발전과정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산학협력과 외국의 산학협력의 주된 차이점은 미국은 주로 첨단사업기술 분야에서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영국과 독일은 제조업분야에서의 애로기술 해결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일본의 산업인력양성 형태와 개발도상국의 시장기반 기술개발 형태의 중간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학협력은 산학협력의 목적, 산학협력의 영역 또는 산학협력 참여주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 중,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산학협력의 목적에 따른 분류로서 연구개발, 교육 및 인력양성, 기술이전 및 사업화, 인적교류 및 정보교환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산학협력의 문제점으로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계기획분야, 인력양성분야, 기술개발분야, 기술사업화분야, 주체 간의 협력분야 중 산학협력의 중심축인 대학과 기업 간의 인식차이를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학과 기업 간의 이해관계가 다른 상황에서 신뢰도 또한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근본적으로 대학과 기업 간의 상호교류가 부족한 원인에 기인한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향후 새로운 산학협력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이 상호 동반성장할 수 있는 상호신뢰 네트워크의 구축이 중요한 관점인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은영,최종인,Hong, Eunyoung,Choi, Jong-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산학협력의 성공요인 중의 하나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를 통하여 기업은 대학 연구기관과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수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산학연관 각 주체간에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의 개인역량으로서 업무적극성은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와 기술DB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관의 지원의지로서 센터직원 수의 확보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코디네이터 과제도출,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 교류 정도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기술DB 발굴,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개인적인 역량 중 조직유지와 센터장의 리더십, 지자체의 지원의지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관심과 확대를 통하여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enterprise to strengthen growth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o seek more participation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Government (I-U-R-G) using success factor analysis of "Excellen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ordinator".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ndicated that Coordinator' business aggressivenes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and technology DB excava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agency staff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he number of Project derived by Coordinator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Third, it is indicated that the Fellowship of the Enterprise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echnology DB excavation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Lastly, it is indicated that organization maintains, center chapter leadership, and local government'commitment don'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I-U Cooperation of SM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hat affect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MEs, I-U cooperation coordinator needs more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 and Government.

      •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김형주,김석현,엄미정,홍성민,김은경,최정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산학협력의 필요성 증대와 관련 정책의 확산· 지식기반 사회에서 혁신 창출을 위해 산학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이를 지원하는 정책들이 세계 각국에서 널리 추진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인 산학협력 활성화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여전히 국제비교에서 혁신 주체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정부 주도의 산학협력 지원 제도 마련과 조직 설립에 집중한 그 동안의 접근방법에 대한 한계가 지적되고 있음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제도적, 조직적 관점의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인적 네트워크 관점에서 산학협력을 분석하고자 함 · 지식 이전이 이루어지는 기본 단위인 인적 네트워크의 유형과 형성 메커니즘 및 형성 단계의 상호관계를 분석했음 ·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한국 산학협력의 특성· 한국 산학협력의 특성과 문제점의 근본적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인적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였음 - 한국의 산학협력은 선진국과 달리 정부 주도성이 강하고 제도와 공식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으며, 따라서 개인적인 차원의 산학협력 행태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했음 - 본 연구는 산학협력을 시간에 따른 인적 네트워크의 변화로 파악하여 형성 단계별로 파트너간 관계를 분석했음 - 인적 네트워크의 공식화 정도와 뿌리내림 정도, 그리고 형성 메커니즘을 통해 파트너간 관계 변화를 분석했음 · 사례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는 형성 단계에 따라 그 유형과 메커니즘이 변화함 - 초기 접촉 단계는 인적 네트워크의 뿌리내림(embeddedness) 차원에서는 일회적/독립적/견제적(arm`s length) 네트워크에서 시작하며, 공식화 차원에서는 사례별로 차이가 있음 - 인적 네트워크 형성 단계에서는 뿌리내린/상호신뢰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시작하며, 이 시기 뿌리내린/상호신뢰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못한 경우에는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가 소멸됨 - 인적 네트워크 형성 단계에서 뿌리내린/상호신뢰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경우 인적 네트워크가 지속, 강화되며, 공식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대부분 공존하며 인적 네트워크가 강화됨 · 지속적으로 강회되는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는 대부분 비공식적이고 일회적/독립적/견제적 네트워크에서 시작하여 상호 교류를 통해 뿌리내린/상호신뢰의 네트워크로 발전함 · 소멸되는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는 대부분 공식적이고 일회적/독립적/견제적 네트워크에서 시작한 후 뿌리내린/상호신뢰의 네트워크로 발전하지 못함 정책적 시사점· 중앙정부 주도의 산학협력 정책의 한계 - 중앙정부 주도의 산학협력 정책은 인적 네트워크 측면에서 주로 공식적인 네트워크의 형성을 유도하지만, 이는 인적 네트워크의 지속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음 · 정책기업가의 발굴과 지원 - 특히 지역에 밀착한 산학협력 사례의 경우 지방정부의 정책기업가들이 아주 적확한 사례를 발굴하고 개발하여 큰 성과를 거두는 경우가 있으며, 이런 정책기업가들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bottom-up 방식의 정책이 필요함 · 대학원생 교육과 산학협력 - 사례연구 결과 산학협력에서 대학원생의 역할이 크며, 대학 교원의 산학협력 활동은 대부분 대학원생의 참여를 전제로 함 - 그러나 현재 산학협력 정책은 학부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원생의 산학협력 활동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은 거의 없는 상황임 정책적 시사점□ 간접적 지원 방안 · 대학 내에서 산학협력 지원 유도 - 최근 대학정보공시 항목에 산학협력에 대한 지표가 추가되었는데, 이를 대학 평가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대학의 역할에서 교육과 연구라는 양대 축에 이어 산학협력을 통한 사회공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대학 평가에서 산학협력 항목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대부분 연구실적 위주의 교원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대학 내부에서 산학협력에 대한 가치 평가가 자리잡도록 할 필요가 있음 · 국가연구개발사업 차원의 산학협력 친화적 선정 및 평가 기준 조성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선정에서 산학협력 실적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직접적 지원 방안 · 소프트 인프라 마련 - 국내외 특허정보 검색 인프라 구축 - 특히 대학에서 산학협력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특허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대학 교원이나 학생 개인 차원에서 특허에 대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얻기 쉽게 지원할 필요가 있음 · 국가 차원의 산학협력 분야 개인 수상/훈포장 제도 마련 및 언론 홍보 -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하여 포상제도와 언론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산학협력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포상과 지원금(block-funding) - 개인 차원의 산학협력 분야 포상과 함께 학과나 대학 차원의 산학협력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포상과 지원도 필요함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간접적 지원 방안 · 대학 내에서 산학협력 지원 유도 - 최근 대학정보공시 항목에 산학협력에 대한 지표가 추가되었는데, 이를 대학 평가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대학의 역할에서 교육과 연구라는 양대 축에 이어 산학협력을 통한 사회공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대학 평가에서 산학협력 항목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대부분 연구실적 위주의 교원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 대학 내부에서 산학협력에 대한 가치 평가가 자리잡도록 할 필요가 있음 · 국가연구개발사업 차원의 산학협력 친화적 선정 및 평가 기준 조성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선정에서 산학협력 실적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 □ 직접적 지원 방안 · 소프트 인프라 마련 - 국내외 특허정보 검색 인프라 구축 - 특히 대학에서 산학협력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특허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대학 교원이나 학생 개인 차원에서 특허에 대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얻기 쉽게 지원할 필요가 있음 · 국가 차원의 산학협력 분야 개인 수상/훈포장 제도 마련 및 언론 홍보 -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하여 포상제도와 언론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산학협력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포상과 지원금(block-funding) - 개인 차원의 산학협력 분야 포상과 함께 학과나 대학 차원의 산학협력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포상과 지원도 필요함

      • KCI등재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임의주,김창완,조근태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2

        지식경제사회에서 국가 R&D수행 주체로서 대학이 차지하는 역할이 큰 폭으로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성과 간에 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관련 직무의 인력구성이 산학협력 성과와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협력 성과와 산학협력단에서 기술사업화와 창업보육 직무 담당 인력을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하고 산학협력단 총 인력규모를 평균미만 및 평균이상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비교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집단 간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력규모가 평균이상인 집단에서 기술사업화 전담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산학협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분야의 인력관리시 단순한 규모 증가가 아닌 직무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기술사업화 부문의 전담 인력의 확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 산학협력 증대가 대학의 교육 및 연구에 미치는 영향

        한경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지식기반사회의 등장으로 지식 생산의 주축이 되는 교육 및 연구 조직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정부의 대학 지원 정책과 연구 지원 체제에서 큰 변화가 관찰됨- 정부는 대학의 교육과 연구능력 향상을 산업체의 수요와 연계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함- 대학을 지역혁신체제의 중심축으로 설정함으로써 전통적인 역할보다는 대학의 새로운 주도적 역할을 기대함˚ 이 연구는 과학과 공학 분야를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로 삼아 집중적인 투자와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는 정부 정책과 산업 지향적 대학 연구 시스템의 구축이 대학 연구의 수준에서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주요한 목적을 둠- 첫째, 산학협력의 구조적 차원과 연관된 것으로 한편으로는 정부의 대학 지원 정책의 변화와 주요 내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에 따른 대학의 변화, 특히 교육과 연구 성과에 나타난 변화를 검토- 둘째, 산학협력 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대학 교수와 산업체 임직원들이 산학협력의 성과와 대학 연구의 지향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석- 셋째, 산학협력의 강조, 혹은 대학의 역할 변화에 대한 요구가 대학 교수들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분석 주요 연구내용* 제1절 구조적 측면: 산학협력 중심의 정부 정책 및 대학 연구 시스템 변화˚ 정책적 변화- 정부 연구개발사업 중 대학이 주관하는 연구개발과제에 기업의 공동 참여 비율이 1997년 17.7%에서 2004년 37.3%로 급속히 증가- 정부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이 목표지향적으로 한정된 분야에 집중되는 전략적 연구개발의 의미가 강화됨- 대학 내부에도 산학협력단 설치, 직무발명제도, 기술이전에 따른 보상체계 개선, 특허 경비 지원 등 다양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짐˚ 이공계열 연구능력 향상과 산학 공동 논문의 증가- 최근 몇 년간 양적 측면의 연구력 지표가 크게 향상되어 2005년도 기준 SCI 논문수가 세계 12위를 차지* 제2절 문화적 측면: 산학협력 활동에 대한 대학과 기업의 생각과 평가˚ 대학 교수와 산학 협력 활동˚ 산업체와 산학협력 활동* 제3절 행위 차원의 분석: 물리학과와 전기전자공학과에 대한 비교 분석˚ 두 학과에서도 SCI 논문의 급속한 성장이 나타남˚ 1990년대 후반 이후 대학의 SCI 논문수가 급증한 것은 대학의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방향과 연구비 수주 및 평가를 위해 교수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해 온 결과로 나타난 것임˚ 산업체와 활발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교수들의 논문 성과가 그렇지 않은 교수들에 비해 낮다는 가설은 증명되지 않음˚ 물리학과나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들은 최근 몇 년간 연구의 중심이 기초에서 응용 분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 섣부른 결론을 내리기 어려움 결론 및 정책제언˚ 산업체 연구비의 증감과는 별도로 정부의 대학 연구비 지원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되고 지속될 필요가 있음˚ 정부의 대학 평가나 학문 분야 평가에 있어서 학문 분야간 차이가 고려되고 분야에 따른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기술발전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산학협력 관계의 모색이 필요함˚ 대학과 산업체 사이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노력이 있어야 함- 산업체와 대학의 우수 연구 집단이 함께 만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면대면 접촉의 장을 만들 필요 있음 요 약 제1장 연구 필요성 7 제2장 연구 방법론 11 제1절 연구의 이론적 ? 실증적 배경 11 제2절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및 접근 방법론 15 제3절 데이터의 구성 17 1. 과학논문 데이터베이스(ISI 논문) 17 2. 공대 교수 및 기업체 설문 18 3. 전기전자공학과와 물리학과의 SCI 논문 분석 20 제3장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범위 23 제1절 구조적 측면 23 1. 정책적 변화 23 2. 이공계열 연구능력 향상과 산학 공동 논문의 증가 26 제2절 문화적 측면 30 1. 대학 교수와 산학 협력 활동 30 2. 산업체와 산학협력 활동 35 제3절 행위 차원의 분석 38 제4장 연구 결과 및 정책적 함의 45 제1절 산학 협력의 구조, 문화, 행위 45 제2절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 47 참고문헌 51 URL : http://www.stepi.re.kr/app/report/rss.jsp?cmsCd=CM0013

      • 대학유형별 산학협력단 특성과 활동에 관한 연구

        권기석(Kwon, Ki-Seok),김석호(Kim,Seok-Ho),김현우(Kim,Hyun-Woo) 한국의사결정학회 2013 의사결정학연구 Vol.21 No.2

        대학의 산학협력활동이 정책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대학유형별 접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유형화하고 대학유형별 산학협력활동을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산학협력단의 운영 및 인력현황에 있어서는 대학의 규모와 산단의 규모가 비례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유형에서 산학협력 전담업무를 담당하는 비율은 낮았다. 산학협력단의 수익창출에 있어서는 산학협력활동이 아닌 외부국책과제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산학협력과 관련해서는 대형대학의 경우 기술이전이 가장 중요했으나, 지방중소형 대학은 창업보육에서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었다. 산학협력성과에 대한 관리규정 등 제도에 있어서는 지방대형대학들이 산학협력활동(국내외 특허출원 등)에 대한 교원평가에 있어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서울지역 대형대학들이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 중 인력교류에 있어서는 서울대형사립대학과 중형국공립대학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기술이전전담부서의 규모는 대학의 규모와 비례하였으며, 과학기술특화대학은 특히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산학협력 정책은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third mission of universities grows important, it is imperative to adopt policy approach based on university typology. In this vein, this study analyzes the technology transfer offices(TTOs)’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university typ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ize of TTOs is proportional to their universities, but personnels dedicated to industrial collaboration is not main force in the TTOs. In terms of revenue creation, they are dependent more on national R&D projects rather than on industrial collaboration. Technology licensing is an important financial source for TTOs in big universities, while business incubation is main source for those in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in regions. With regard to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ig universities in regions are more willing to adopt industrial collaboration in assessing their academics than big universities in Seoul. Big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and midium-sized universities in regions are very active in experts exchange. In order to maximize the synergy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these differences are needed to be carefully reflected on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