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곳춤의 인류학적 표현성 연구 - 빅터 터너(Victor Turner)개념을 중심으로 -

        이남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빅터 터너의 통과 의례인 ‘분리-전이-통합’의 개념을 속곳과 관련된 의례의 춤에 대입하여 표현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획일화되는 세계 문화보편주의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적 다양성과 예술현장 에서의 콘텐츠활용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속곳춤은 중심이 아닌 사회적으로 주변부인 여성의 춤이 자, 민중이 주체가 되는 춤이다. 하나로 수렴되는 현상을 분산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춤을 연구의 핵심 으로 삼았다. 속곳춤은 기본적으로 여인들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춤이다. ‘분리’의 단계를 만들어 내 는 춤의 대상은 마을의 안전을 해치는 도깨비, 원혼, 질병이다. 부정의 대상을 강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적 생명성을 강조한 쫓아냄의 춤을 춘다. ‘전이’는 빅터 터너가 중요시한 의례 단계이다. ‘리 미날리티(Liminality), 커뮤니타스(Communitas)’로 경계, 반구조, 중간단계의 시공간이다. 이때 여성은 오 히려 사회적 억압의 기제에서 벗어나 여성성이 강화된 춤을 춘다. 그것은 사회적으로 드러낼 수 없었던 속옷을 드러내고 심지어 아랫 속옷을 위로 입고 춤을 추는 전복적 형상을 만들어 낸다. 커뮤니타스에서 좀 더 여성들의 집단성이 강화된다. 그 표현방식으로 남녀 모두에게 금기시 되는 피의 드러냄이다. 의례 에서 피는 부정과 오염이다. 하지만 속곳에 피를 묻혀 극단적 더러움을 표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여성의 월경을 연상하게 한다. 월경은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여성성의 상징이자 생명으로 인해 죽음이 공존 함을 드러낸다. 피 묻은 속곳을 디딜방아에 씌우거나, 막대기에 걸어 부정의 대상들을 쫓아내는 것은 여 성의 신성한 힘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통합’은 전이의 국면을 함께 경험함으로써 다시 돌아가게 되는 일 상은 다른 일상이 된다.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한 여성들을 사회에 필요한 일원으로서 자긍심 을 느끼게 한다. 이 과정에서 의례의 엄격함보다는 모두가 참여하도록 한 의례의 간결함에 있다. 표현에 있어 단순함은 공감의 신명을 공유할 수 있는 힘이 된다. 본 연구에 나타난 특성을 통해 작품에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veness by applying Victor Turner’s concept of ‘separation-transitionintegration’, a rite of passage, to a ritual dance related to a place. It aims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contents in the art scene as a solution to global cultural universalism. Sokkgot dance is a dance of women who are socially peripheral rather than central, and a dance in which the people are the main actors. This dance, which has the power to disperse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was the core of the research. It is basically a dance in which women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village. The objects of the dance that create the stage of ‘separation’ are ghosts, spirits, and diseases that harm the safety of the village. It is a dance of exorcism that emphasizes feminine vitality rather than forcibly removing unclean objects. ‘Transition’ is a ritual stage that Victor Turner emphasized. ‘Liminality, Communitas’ is a boundary, semi-structure, and in-between time and space. At this time, women perform a dance that strengthens their femininity by breaking free from the system of social oppression. It creates a subversive figure that reveals underwear that cannot be revealed socially and even dances with the lower underwear on top. It creates a more feminine collectivity in the communitas. As a form of expression, it is the display of blood, which is taboo for both men and women. In ritual, blood is unclean and polluting. However, by expressing extreme uncleanness through the use of blood on the inside, it paradoxically evokes women’s menstruation. Menstruation is a symbol of femininity, capable of giving birth to life, but it also reveals the coexistence of death with life. Putting a bloody insole on a treadmill or hanging it on a stick to drive away the unclean is a way to reveal the power of feminine divinity. ‘Integration’ is a phase of transition that is experienced together, so that the routine that is returned to becomes a different routine. The women who have helped solve the village’s problems feel a sense of pride as necessary members of society. In this process, it is not the rigor of the ritual but the simplicity of the ritual that allows everyone to participate. Simplicity in expression is the power to share the mandate of empathy. It 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be utilized in artworks.

      • KCI등재

        굿놀이와 탈놀이의 제의성 고찰 -빅터 터너(V. Turner)의 사회극 이론을 바탕으로

        양진영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Noting that exorcism play and mask play are different in their ritual natu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ir ritual through the social drama theory of Victor Turner, a cultural anthropologist. Turner views every incident in human history as a social drama and interprets it based on the four-step structural theory of breach, crisis, redressive action, and reintegration. In particular, he believes that the redressive phase takes place through a ritual solution rather than a legal or political solution in the village community. Based on such Turner's theory, Chapter 2 analyzes Yeonggamnori, Jeju's typical exorcism play, and explains the process leading to reintegration in accordance with peaceful ritual. Chapter 3 then analyzes the Puppet Play on the same principle and examines that redressive action is being resolved through a sacrificial ritual in the case of this play. Chapter 4 checks whether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two plays show similar aspects in other traditional plays. To this end, the exorcism play will be analyzed for Jeju's Seocheon Flower Play, Junsangnori, Segyeongnori and Sanshinnori, while the mask play will include Bongsan Mask Dance, Yangju Byeonsandae Play, Goseong Ogwangdae and Hahoe Mask Dance.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it is the main point of the study to prove that exorcism play and mask play are different in their ritual nature. However, this research is only in the stage of seeking differences in its ritual, and the review on the historical and social causes of differences is left as a research task at a later date. 이 논문은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문화인류학자인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사회극(social drama) 이론을 통해 제의성을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터너는 인간사의 모든 사건을 사회적 드라마로 보고 위반(breach)→ 위기(crisis)→ 교정행동(redressive action)→ 재통합(reintegration)의 4단계 구조 이론에 기반해 해석하고 있다. 특히 마을 공동체에서 교정 단계는 법적, 정치적 해법보다는 제의적 해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본고는 이런 터너의 이론에 기반해 2장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굿놀이인 영감놀이를 분석하고 평화적 제의에 따라 재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어 3장에서는 같은 원리로 꼭두각시놀음을 분석해 이 놀이의 경우 희생적 제의에 의해 교정행동이 해결되고 있음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앞서 두 연극에서 얻은 결과가 다른 전통극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확인해 본다. 이를 위해 굿놀이에서는 제주의 서천꽃놀이, 전상놀이, 세경놀이, 산신놀이 등을 대상으로, 탈놀이에서는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고성오광대,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을 대상으로 교정 단계를 분석한다. 이런 연구의 결과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본고의 논점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제의성의 차이점을 모색하는 단계에 그치고 차이가 발생하는 역사적, 사회적 원인에 대한 조명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 둔다.

      • KCI등재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상징기호 이론을 중심으로-

        손위,송민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The Summer Olympics is a global sport with a history of 90 years. The Olympic host country creates the Olympic symbol mark to represent the culture and ethnicity of that country. The British cultural and social anthropologist Victor Turner's ‘Symbol Theory' states that symbols are used to understand specific societies and cultures. In this thesis, the symbol mark of the modern Olympic Games is analyzed with ‘material' and ‘Action', and the symbol mark of the modern Olympic is ‘Sense', ‘Nature', ‘Society', and 'Virtual'. The difference in symbolism was investigated. The scope of the study is 30 symbol marks of the Summer Olympics from 1896 to 2024.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of the symbol mark based on ‘Victor Turner's symbolism theory, and as a case study, the national symbol elements appearing in the symbol mark were analyzed (SPSS). It was found in material, sensory, and virtual elements. Even in the Olympic elements, the traditional national image symbol is indirectly expressed in the symbol mark, and changes have occurred over time. In modern times, only five rings of Olympic elements were used, and elements of national symbols were mainly u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design strategy that reflects the national symbolism of the Olympic symbol mark and the image of the times. 하계올림픽은 90년의 역사를 지닌 세계적 스포츠다. 올림픽 개최국은 올림픽 심벌마크(Symbol Mark)를제작하여 국가 문화와 민족성을 드러낸다. 영국 문화사회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상징기호이론’에 따르면 상징은 특정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 사용된 구성요소가 상징기호로서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상징기호 이론’의 ‘물질’, ‘행위’, ‘감각’, ‘자연’, ‘사회’, ‘가상’ 여섯 가지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근대올림픽 심벌마크에서 나타나는 시각요소를 분석하여 개최국별 심벌마크 상징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범위는 1896년부터 2024년까지의 하계올림픽심벌마크 30개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 심벌마크의 상징성을 빅터 터너의 상징기호 이론에 근거하여 고찰하고, 사례 연구로 하계올림픽 심벌마크에서나타나는 국가상징 요소를 통계 프로그램(SPSS)을통해 상관 분석한다. 이를 중심으로 하계올림픽을 여러 차례 개최한 국가의 심벌마크에서 시대 흐름에 따른 국가상징 요소의 변화를 고찰한다. 상징기호 분석을 통해 각국의 심벌마크를 분석한결과 올림픽 상징요소는 주로 ‘물질’, ‘감각’, ‘가상’이었으며, 주로 ‘건축물’, ‘국기’, ‘문양’이 각국 이미지와 일치하였다. 올림픽과 관련된 색상이나 형상을 한 요소에서도 국가상징 요소가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여러 차례 개최한 국가의 올림픽 심벌마크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초기 국가상징기호는 물질상징기호, 자연상징기호 등 사실적인요소에 기초를 두었으나 1960년을 시작으로 물질 상징 요소가 줄어들고, 가상상징기호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사회관계와 통합, 자유이념 등이 심벌마크에 나타나면서 국가를 나타내는실재적 요소보다 이념, 신앙 등 정신적 차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임을 유추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올림픽상징요소가 간략화되고 국가상징 요소가 주를 이루었으며, 중기에는 건물이나 트랙 등의 요소가 주로 사용되는 데 반해 현대에 이르러 사람과 의미를 내포한형상들이 중점이 되고 있었다. 본 연구가 올림픽 심벌마크의 국가 상징성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디자인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영화 『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2019)의 통과의례 연구

        강설금(Jiang, Xuejin)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7

        중국 영화 『소년시절의 너』(2019)는 청소년 성장 드라마에 속한다. 본고는 빅터 터너의 탈구조공동체·반구조 개념과 엘리아데의 성현·상징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두 주인공의 성장 서사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화 속 두 주인공인 첸과 샤오베이가 보여준 성장 서사와 협력 방식은 빅터 터너와 엘리아데의 통과의례 이론을 통해 심도 있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두 주인공 모두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일련의 시련을 겪으면서 통과의례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두 사람은 주류 사회의 주변부에 처한 약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우연한 사건을 계기로 가오카오까지 43일간 동거하며 탈구조공동체를 형성했다. 주인공은 가족과 사회의 보호막이 부재한 가운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애매성과 침묵을 보이기도 하고, 공동체를 형성한 이후에는 특별한 의지와 힘을 보여주었다. 수련자들은 상징을 매개로 속세에서 성의 세계로 진입한다. 속세에 머물면서 성의 세계를 갈구하는 것은 종교적 인간의 본질이다. 성은 다양한 사물이나 현상으로 인간에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며, 그 순간 인간에게 이것은 상징으로 발견된다. 영화는 삭발, 모자, 파란색 외투 등의 상징체계를 통해 속세에 머무는 주인공들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구원의지를 발휘하며 성의 세계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The Chinese movie 『Better Days』(2019) belongs to a youth growth drama.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growth narrative structure of the two main characters by utilizing Victor Turner"s concept of de-structural community and antistructure and Eliade"s concept of the sanctity and symbol. The growth narrative and cooperation method shown by Chennian and Xiaobei, the two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could be understood in depth and abundantly through Victor Turner and Eliade"s theory of rite of passage. Both protagonists show various aspects of the rite of passage through a series of trial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adult. The two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are the weak in the periphery of mainstream society, and in the wake of an accident, they lived in Gaokao for 43 days to form a de-structural community. The protagonist showed ambiguity and silence, which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general situations, and showed special will and power after forming a community. Trainees enter the holy world from the world through symbols. It is the essence of religious human beings to stay in the world and crave for the holy world. The sanctity reveal themselves to humans with various objects or phenomena, and at that moment, it is found as a symbol to humans. The film showed the main characters staying in the world are entering the holy world, showing their willingness to save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symbolic systems such as shaving their heads, hats, and blue coats.

      • KCI등재

        변혁의 리미널리티와 해방의 커뮤니타스: 광주항쟁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강인철(Kang, In-Cheo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5

        본 고는 방주네프가 통과 의례의 한 단계로 제시하고 빅터 터너가 더욱 발전시킨 리미널리티 개념 그리고 터너 부부가 제안하고 다듬은 커뮤니타스 개념을 활용하여 1980년 광주항쟁을 분석해 보려는 최초의 시도이다.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은 광주항쟁의 일상 초월적, 변혁적인, 의례적 측면들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광주항쟁 당시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라고 부를 만한 현상들이 뚜렷하게 출현했다. 분리-전이-통합으로 구성되는 통과 의례 도식에서 분리 단계, 곧 구체제로부터의 분리 및 일상생활 초월은 리미널리티(전이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자발적인 ‘의례적 분리’가 아닌 외부의 강압에 의한 ‘군사적-정치적 분리’가 이루어졌다. 광주에서 등장한 리미널리티는 순응적 주체들을 주조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강화하는 ‘질서의 리미널리티’가 아니라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을 촉진하고 새로운 유토피아적 비전을 만들어 내는 ‘변혁의 리미널리티’였다.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은 항쟁이 지향했던 목적과 가치, 곧 최소 목표와 최대 목표를 통해 잘 드러났다. 항쟁의 비타협적이고 비극적인 종결 방식도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을 보강해 주었다. 광주 커뮤니타스는 무엇보다 ‘해방의 커뮤니타스’였다. 더 구체적으로 광주 커뮤니타스는 1980년 5월 18일부터 21일까지는 ‘항쟁의 커뮤니타스’와 ‘재난의 커뮤니타스’ 측면이 지배적이었고, 5월 22일부터 27일까지는(항쟁-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치의 커뮤니타스’와 ‘의례-연극의 커뮤니타스’가 새롭게 등장했다. 항쟁의 최후 단계에서는 ‘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재차 출현했다. 광주 커뮤니타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기통치(자치)의 커뮤니타스’인데 여기에서 광주 커뮤니타스의 해방적 성격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한편 ‘광주 커뮤니타스 이후’, 곧 광주의 ‘실존적 커뮤니타스’를 ‘이데올로기적 커뮤니타스’와 ‘규범적 커뮤니타스’로 계승하는 문제는 여전히 실천적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1980 Gwangju uprising by using the notion of liminality, first introduced by Arnold van Gennep as an intermediate stage of the rite of passage, and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the concept of communitas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Edith Turner.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helps to capture the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al, and ritual aspects of the Gwangju uprising more delicately. Actually, at the time of the Gwangju uprising, phenomena that could be called liminality and communitas appeared distinctly. The rite of passage consists of a three-step scheme of separationtransition-incorporation. Among these, the separation phase, separation from the structure and transcending daily lif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ntering liminality. However, the separation in Gwangju in May 1980 was not a voluntary ‘ritual separation’ but a ‘military-political separation’ by external coercion. The liminality that emerged in Gwangju was not the ‘liminality of order’ that strengthened the existing order by producing compliant subjects, but the ‘liminality of transformation’ which promoted resistance to the existing system and created a new utopian vision.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the Gwangju Liminality was revealed through the purpose and value of resistance, that is, the minimum goals and maximum goals of the uprising. The uncompromising and tragic ending of the uprising has also reinforced the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Gwangju Liminality. Gwangju Communitas was, above all, ‘communitas of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Gwangju Communitas, from May 18 to 21, aspects of ‘communitas of resistance’ and ‘communitas of disaster’ were dominant and from May 22 to 27, aspects of ‘communitas of self-rule’ and ‘communitas of rituals and play’ were strong. At the end of the uprising, ‘communitas of disaster’ appeared again.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found in ‘communitas of self-rule’. It is here that the liberating character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most evident.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the ‘post-Gwangju Communitas’, that is, the problem of succeeding ‘existential communitas’ of Gwangju into an ‘ideological communitas’ and an ‘normative communitas’ remains a practical task.

      • KCI등재

        동화 <빨간 구두>의 서사 변용 특성 연구 : 빅터 터너의 ‘사회적 드라마’ 이론을 중심으로

        최영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민담에 뿌리를 두고 있는 동화는 인류의 무의식과 보편적 정서를 담아낸다. 또한 다양한 서사 변용 작품에서 원형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안데르센의 <빨간 구두>는 빨간 구두와 춤, 그리고 발목의 절단이라는 상 징적인 기표를 통해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갖는 수많은 기의를 끌어온다. 빅터 터너의 사회적 드라마 이론은 단지 이 작품을 탐욕과 허영심으로 가득한 소녀의 징벌이라는 틀로만 읽어왔던 그간의 시각을 넓혀주어 당대 사회가 개인 에게 요구하는 사회공동체의 조건이 무엇인가를 환기하도록 만든다. 원형 콘텐츠로서 안데르센의 <빨간 구두>는 여 성으로서의 성장과 사회공동체로의 편입이라는 이중 진입 장벽 앞에서 어린 소녀가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 수 용되고 거부되는 사회적 조건이 무엇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고통의 서사이다. 안데르센의 서사를 변용한 구병모 의 소설 <빨간 구두>는 흰색으로 대변되는 천국의 영광과 빨간색으로 집약되는 지상의 색채 대비를 통해, 무질서해 보이지만 생명력이 넘치는 그 세계가 바로 지상의 세계이며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과 의미임을 확인시켜준다. 윤미경 의 동화 <빨간 구두 춘맹 씨>는 가비라는 소녀의 여성으로의 성장 서사와 함께 낯선 문화적 배경을 가진 외부인 여 성 춘맹의 사회 진입 서사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다문화 가정과 이방인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고발한다. Fairy tales are rooted in folk tales and contain human unconsciousness and universal emotions. It also plays a role as original content in various narrative transformation works. Andersen's <RED SHOES> brings numerous signification through symbolic signs of red shoes, dance, and ankle amputation. Victor W.Turner's theory of social drama broadens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alysis. In addition, this theory makes us realize the conditions of the social community required by society at the time. As a circular content, Andersen's <Red Shoes> shows the double entry narrative of growth as a woman and incorporation into the social community. In this process, the social conditions accepted and rejected are symbolically revealed. In Koo Byung-mo's novel <RED SHOES PARTY>, achromatic color and red color are contrasted. The red world is full of vitality and represents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Yoon Mi-kyung's fairy tale <RED SHOES, CHUNMAENG> is divided into different characters from the girl's growth narrative and the outsider's entry into the women's society. This work accuses preconceived notions and prejudices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nd strangers.

      • KCI등재

        영적 지도의 ‘반구조’(anti-structure)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성성종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0 No.-

        Spiritual direction is an art that has returned to the life of the Church since the mid 20th century. From the beginning as the early church shaped it, spiritual direction has been anti-structural.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actice of spiritual direction in relation to church communities and also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structure,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art in our time while emphasizing its anti-structural nature. Victor W. Turner’s theory of anti-structural rituals is used as the main analytical framework,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are highlighted to describe the anti-structural character of spiritual direction. In this article, Turner’s understanding of anti-structure is introduced first, and then the anti-structural elements of spiritual direction as below are argued: First, the extraordinariness of the ordinary(separation, solitude). Second, antihierarchical relationships (trust, equality, friendship). Third, contemplative experiences (love, openness). Fourth, active passivity (emptying, filling). Fifth, a journey of uncertainty(dialogue, discernment). Sixth, the recovery of gospel(introspection, lowering of self). Finally, it is argued that the anti-structural nature of spiritual direction is based on Chris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with Christ who lived an anti-structural life as his foundation, spiritual direction is a journey which the church should take again today towards the kingdom of God. 영적 지도는 20세기의 중반에 들어서 교회의 장(場)으로 되돌아온 영적 전통이다. 초대교회 때부터 본격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영적 지도는 태생부터가 반구조(anti-structure)적이었다. 본 논문은 영적 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을 되짚고, 영적 지도가 개인의 내면적 영성뿐만 아니라 교회공동체와 사회 구조와의 연관 속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밝힘과 동시에 그 현대적 필요성에 대해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반구조적 의례이론을 논리 전개의 방법론으로 차용하는데, 특별히 반구조의 특성인 ‘리미널리티’(liminality)와 ‘코뮤니타스’(communitas) 개념을 중심으로 반구조적 영적 지도에 대해서 서술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터너가 말하는 반구조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영적 지도의 역사와 영성에 대해서 성찰하는 과정 속에서 다음과 같이 영적 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을 도출해낸다. 첫째, 비일상적 일상(분리 ․ 홀로 있음). 둘째, 반위계적 관계(신뢰 ․ 평등 ․ 우정). 셋째, 관상의 체험(사랑 ․ 개방). 넷째, 적극적 수동성(비움 ․ 채움). 다섯째, 불확정의 여정(대화 ․ 식별). 여섯째, 복음의 회복(성찰 ․ 낮아짐). 최종적으로 이러한 영적 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은 그리스도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반구조적 삶을 사셨던 그리스도를 본질로 하는 영적 지도야말로 교회가 하나님 나라를 향해 다시 떠나야 할 영적 여정임을 제안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자귀현 단오절의 의례적 기능에 대한 탐구

        강설금(Xue-Jin Jiang)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3 No.-

        본고는 반 겐넵과 빅터 터너의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 자귀현 단오절의 의례적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요 행사인 용주경도는 시공간의 속성에 따라 재현과 질서의 리미널리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재현의 리미널리티는 초나라 시기의 복장과 음악, 굴원 재현 배우 등을 매개로 하여 굴원의 시기를 구현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질서의 리미널리티는 구질서와 체계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여 전통을 복구하는 시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행사 참여자들의 관계에 따라 용주경도는 의례·경쟁·추모의 커뮤니타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례의 커뮤니타스는 초혼곡을 합창하고 이소를 낭송하며 쫑즈를 던지는 유강초혼에서 형성된다. 경쟁의 커뮤니타스는 내부적인 단합과 협력을 통해 외부 타자와의 경쟁에서 우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용주시합에서 형성된다. 추모의 커뮤니타스는 노래 열창과 눈물의 추도식을 통해 굴원에 대한 숭배의식을 각인시키고 참여자들과 관람자들이 일체가 되는 양상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itual structure and function of Dragon Boat Festival in Zigui County, China, using the theories of Van gennep and Victor Turner. The major event, the Dragon Boat Competition, can be divided into the liminality of reproduction and the liminality of order according to the nature of time and space. The liminality of reproduction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period of Quyuan is realized through clothes, music, and actors of the Chu Dynasty. The liminality of order refers to the time and space that restores tradition, starting with the intention of solidifying the old order and system. An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he in the event, the Dragon Boat Competition can be divided into ceremonial, competitive, and memorial communitas. Communitas of the ritual is formed in the youjiangzhaohun, which sings a song calling for the soul, recites lisao, and throws a zongzi. The communication of competition is formed in the dragon boat race that aims to win a competition against an outsider. Communitas of remembrance refers to a pattern in which participants and viewers become one by imprinting a sense of worship for Quyuan through singing passionately and a memorial ceremony for tears.

      • KCI등재

        축제이론을 통해 살펴본 돈화문로의 국악공간 연구

        김지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pace in Donhwamun-ro,Which Was Examined Through the Theory of FestivalsJihy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stival performance and festival value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pace around Donhwamun-ro. As a research method, Victor Turner’s festival theory was applied to Gugak space to analyze the festival nature of performances and action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oor to enter the festival, that is, Remen, refers to Donhwamun. Second, the object to be expressed and the superior object are divided into the common people and the high class. Third, liminality refers to both the ritual festival of court music and the play festival of folk music. Fourth, the concept of Communitas is the exchange of political music and folk music. Fifth, the liminoid stage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folk music. Finally, the concept of performance and theater is performed as a social drama, and the biggest example is Jongmyo Jeryeak.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active research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pace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Key Words: Donhwamun-ro, Perfomances, Festival theory, Korean traditional music, Victor Turner 축제이론을 통해 살펴본 돈화문로의 국악공간 연구김 지 혜* 요약: 본 연구는 돈화문로 일대 국악공간을 중심으로 축제성과 축제적 가치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빅터 터너의 축제이론을 국악공간에 적용하여 연희와 행위의 축제성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로 들어가기 위한 문지방 즉, 리멘은 돈화문을 지칭한다. 둘째, 표출하는 대상과 반대의 우등성의 대상은 서민들과 높은 신분층으로 나뉜다. 셋째, 리미날리티는 궁중음악의 제의적 축제성과 민속악의 놀이적 축제 모두를 지칭한다. 넷째, 코뮤니타스의 개념으로 정악과 민속악의 교류 등이 있다. 다섯째, 리미노이드 단계는 민속악의 가장 큰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연희와 연극의 개념은 사회적드라마로 연행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종묘제례악’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더 활발한 국악공간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돈화문로, 연희, 축제이론, 국악, 빅터 터너 □ 접수일: 2022년 3월 26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중앙대학교 강사(Lecturer, Chung-Ang Univ., Email: wbg2000@naver.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