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암(巍巖)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

        하나 ( Ha Na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기의 구분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발과 심을 구분하는 과정을 거쳐 도출된 외암이간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암과 남당의 논변은 미발시에 청탁수박한 기질을 말할 수 있는가 없는가의 문제로부터 촉발되었다. 논쟁 초반, 외암은 미발시에는 기가 용사하지 않기 때문에 청탁수박한 기질을 말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남당은 미발시에 기가 용사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하면서도, 사람의 마음 자체는 청탁수박한 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발시에도 선악의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반박한다. 이에 외암은 `기불용사(氣不用事)`라는 개념보다 더욱 적극적인 본연과 혼요의 기 개념을 사용하여 기를 구분해 보아야 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본연의 기가 전제되었을 때 미발의 대본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외암의 이러한 주장은 곧 본연과 혼요, 두 가지의 기를 기반으로 마음의 영역인 미발을 두 층차로 나누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리하여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본연지기로 이루어진 상태인 대본저미발과 혼요지기로 이루어진 상태인 부중저미발이라는 개념이다. 외암의 논의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심을 본연과 기질로 나누어 설명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는 『대학장구』의 명덕을 본연의 마음에, 기품에 구애받은 것을 기질의 마음에 배치 시킨다. 여기서 명덕은 곧 본심이니 본연지심은 본연지기로 이루어진 마음이라고 할 수 있고, 기품은 곧 혈기이니 기질지심은 혈기에 구애받아 생긴 혼요지기로 이루어진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남당은 외암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심을 둘로 나누고 더불어 성 또한 둘로 나누어보았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외암은 자신은 실사의 측면에서 논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반박한다. 실사라는 것은 우리가 실질적인 삶을 영위하고 있는 현실 세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실세계에서는 리가 기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드러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의 실재 여부는 성이 아닌 심, 즉 마음에 달려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심이 리를 그대로 드러날 수 있는 상태여야만 도덕법칙의 존재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데 외암은 이를 기의 구분, 그리고 미발과 심의 구분을 통해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외암의 이러한 논리는 현실세계에서 본연지기로 이루어진 본연지심을 통하여 심과 성이 일치하고 리와 기가 실질을 같이 하는 경지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This paper have an object in studying the Oeam`s mind-and-heart theory centered on the division of material force(氣), the division of the not-yet aroused state(未發) and the division of mind(心). The debate between Oeam and Namdang(南塘) was triggered by the matter of whether there is physical natural(氣質之性) on the not-yet aroused state or not. In the beginning of the dabate, Oeam insist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does not operate at all, so we don`t need to care about temperament(氣質). Although Namdang agre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does not operate at all, he argued that human mind is composed of temperament, so mind even on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both aspects of goodness(善) and wickedness(惡). Therefore, Oeam insisted that material force on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to be divided into natural statement(本然) and confused statement(昏擾), and he also suggested that we can discover the great foundation(大本) on the assumption of natural force(本然之氣). On the basis of this division of force, Oeam divided the not-yet aroused state: the great foundation(大本底未發) which consists of natural force and non-moderation(不中底未發) which consists of confused force(昏擾之氣). Taking a step forward, Oeam also divided mind into natural mind(本然之心) and temperamental mind(氣質之心). He quoted a passage of 『The Great Learning(大學章句)』 and explained that bright virtue(明德) is natural mind and mind bound by temperament (氣稟) is temperamental mind. In this explanation, bright virtue is original mind(本心), so natural mind is also composed of natural force; temperament is physical mind(血氣), so mind bound by temperament is composed of confused force. Namdang criticized Oeam`s suggestion of division of mind(心) and natural(性). Against Namdang`s criticize, Oeam maintained that his theory is from the aspect of real fact(實事), and real fact is a real world which every human being leads their life upon. In this real world[not a metaphysical world], principle(理) can come to the real world only through a medium, material force. Thus, the exist of goodness depends on mind, not on natural tendency. In this situation, human`s morality can be realized only on the condition of pure mind, so that`s why Oeam divided force into two, the not-yet aroused state into two and even mind into two aspect. This Oeam`s theory facilitate coincide of mind-and-heart and natural(心性一致) in real world through natural mind which consists of natural force.

      • KCI등재

        『맹자』 <우산지목장>의 ‘심(心)’에 대한 연구 -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을 중심으로 -

        신예진 ( Shin Ye-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맹자』, 「고자 상」 ‘우산지목장(牛山之木章)’과 이에 대한 주자의 주석 및 『맹자집주대전』에 편집된 소주(小註)를 분석하여 맹자의 ‘심(心)’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우산지목장’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인의지심(仁義之心)’이다. 그리고 양심·물욕·야기·평단지기·양기·조존과 구방심 등이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있다. 주자는 인의지심과 양심을 ‘본연의 선한 마음[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으로 규정하였는데, 본고는 바로 이 ‘본연지선심’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고찰한 결과 본연지선심을 상실한 요인은 첫째, 물욕과 이욕이다.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생래적인 것으로서 없앨 수는 없으나, 절제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야기(夜氣)의 부족이 본연지선심 상실의 핵심적 요인이다. 주자는 야기를 최상의 기로 부각시켰는데, 야기의 함양과 소멸의 결과에 따라 본연지선심의 보존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공부 방법은 평단지기를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단지기는 야기와 연계된다. 그 핵심은 야간에 휴식을 통하여 대상과 접촉하지 않으면, 그 기운이 점차 맑아져서 평단지기가 회복이 되므로, 본연지선심도 회복된다. 둘째, 양기와 ‘충’인의지기(‘充’仁義之氣)이다. 인의지기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독특한 개념으로, 규명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심(心)’은 리(理)와 기(氣)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의지심을 구성하는 기는 바로 인의지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것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도덕적 기(氣)이다. 주자는 인간이 생래적으로 호연지기를 갖고 있다고 보고, 호연지기를 잘 배양하는 것과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것이 긴밀하게 연계됨을 시사하였다. 셋째, 마음을 보존하는 방법, 즉 조존(操存)과 구방심이다. 조존의 대의는 ‘잡으면 보존되고 놓으면 잃는다’는 두 구절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자는 구방심에 대해 맹자의 견해에 공통점을 보이면서도 일부 내용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다. 그는 방심을 한 사실에 대해 자각(自覺)·자성(自省)하는 순간이 바로 조존으로 연결된다는 것으로 정립시켰다. ‘우산지목장’을 근거로 볼 때, 인의지심과 양심, 즉 ‘본연지선심’에서 본성이 선(善)하다는 성선설뿐만 아니라 ‘마음이 선하다’는 ‘심선설(心善說)’이 가능하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encius’s thought of the heart-mind by analyzing the Mengzi (孟子) 6A8, hereafter the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he Trees of the Ox Hill)>,” and the commentary by Zhuzi and other commentaries i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the Great Compendium of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 The core of the Zhuzi interpret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chapter of Niushanzhimu is ‘renyizhixin (仁義之心, the heart-mind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And ‘liangxin (良心, proper goodness of mind),’ ‘wuyu (物欲, desire for material wealth),’ ‘yeqi (夜氣, the restorative influence of the night),’ ‘pingdanzhiqi (平旦之氣, the calm air of the morning),’ ‘yangqi (養氣, an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good inside the heart),’ ‘caocun (操存, preserving and holding one’s heart-mind)’ and ‘qiufangxin (求放心, seeking for the lost mind)’ are shown as important issues. Zhuzi defined renyizhixin and liangxin as “benranzhishanxin (本然之善心, the natural good mind),” of which this paper was mainly composed. First,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are wuyu (物欲, greed) and liyu (利欲, desire for profit). All humans have them, so that they cannot be eliminated, but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moderation. Second, the lack of yeqi is a key factor in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Zhuzi highlighted yeqi as the best energy, as the result of yeqi’s cultivation and extinction determines whether benranzhishanxin is preserved or not. Based on pingdanzhiqi, the way of recovering benranzhishanxin can be explained. pingdanzhiqi is also linked to yeqi. The key point is that if a person is not contacted through night rest, his/her energy gradually clears up and pingdanzhiqi recovers, so benranzhishanxin is recovered. The second is yangqi and ‘chong renyizhiqi (充仁義之氣, filling the energy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Renyizhiqi is a unique concept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academia so far,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energy, which makes up renyizhixin, is renyizhiqi, given the fact that the ‘xin (心, mind)’ consists of ‘li (理, principle)’ and ‘qi (氣, energy).’ This is the moral qi whcin all human beings share. Zhuzi believed that humans naturally have ‘haoranzhiqi (浩然之氣),’ suggesting that cultivating haoranzhiqi well and restoring benranzhishanxin are closely linked. The third is the way to preserve the mind, namely, caocun and qiufangxin. It can be seen what the meaning of caocun is in two passages: “If caught, preserved; if left, lost.” Zhuzi shared a common ground with Mencius’s views on qiufangxin, but has different views on some of the contents. He made it clear that the moment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of fangxin leads directly to caocun. Based on the chapter of Niushanzhimu, it can be inferred that not only the theory of “good nature” but also that of “good heart” is possible to be drawn from benranzhishanxin.

      • KCI등재

        『정조실록』에서 호락의 미발논쟁 연구 - 김창흡 ‧ 이재 대 한원진‧심조의 논쟁 및 이간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종우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2 No.-

        In the Veritable Records in King Jeongjo’s Regime, the core of Horak debate whether only orginal nature is or with physical nature in the Not-Yet Aroused State. At the time, Sin Myeonggwan, a member of Rak group, crticized Han Wonjin’s, a member of Ho group, argument that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not only original nature but also physical nature, and Kim Changheup agreed with Sin’s criticism. Sim Jo, a member of Ho group, that of Rak group, Sin and Kim, and Han agreed not only Sim’s criticism of Kim but also crticized Sin and Kim in more detail. This debate has between Han and Yi Gan in Ho group. Kim and Yi have a common point. Yi Gan argued both equilibrium and no equilibrium, a stiffened mind, in the Not-Aroused State. Kim also mentioned a stiffened mind, so it has a common point with Yi Gan, but Kim did not divide the Not-Arroused State so. This is different from Yi. Sim Jo had a debate with Yi Jae, a representative of Rak group, and Yi Jae argued that the Not-Yet Aroused State has only orginal gi, so it is a pure good. Yi Jae’s argument has a common point with Kim and Yi Gan but has a difference with them. 『정조실록』에 호락논쟁의 핵심쟁점은 미발시 본연지성만 있는지 기질지성도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었다. 당시 낙학의 신명관은 호학에서 주장하는 미발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 함께 있다는 주장을 비판하였고 이에 대하여 김창흡은 신명관의 비판에 동의하였다. 이에 대하여 호학인 권상하 문하의 심조는 미발시 본연과 기질지성이 함께 있다고 주장하면서 낙학을 비판하였는데, 권상하 문하에서 동문수학한 한원진은 심조의 비판에 동의하면서 김창흡을 더욱더 상세하게 비판하였다. 이것은 권상하 문하인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에서도 나타나는데 이간은 미발시 본연지성만 있다고 주장하였고, 그것이 김창흡과 공통점이었다. 이간은 미발을 중과 부중(不中)으로 구분하였지만 김창흡은 단단한 돌과 같은 상태의 미발을 언급하였는데 그것이 이간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부중의 미발이었고 그러한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또한 심조는 낙학의 이재와 논쟁을 벌였는데 이재는 미발시 본연지기가 있을 뿐 기질이 없다고 주장하였고 이 때문에 그는 순선하다고 여겼다. 이처럼 이재와 김창흡과 이간의 공통점은 미발시 기질이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조실록』에서 그들을 모두 낙학으로 분류했던 것이다. 반면에 한원진은 미발시에 본연지성 뿐만 아니라 기질지성도 있다고 주장한 것이 그들과 달랐고, 이 때문에 『정조실록』에서 그를 호학으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이재는 미발시 본연지기가 있다고 주장한 것은 김창흡과 이간과 다른 점이다. 이재가 주장한 미발시 순선은 낙학인 김창흡과 이간과 공통점이지만 본연지기만 있다고 주장한 것은 그들과 다른 점이다. 이 때문에 같은 낙학이라고 할지라도 김창흡·이간과 이재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 KCI등재

        南塘/巍巖 未發論辨의 再檢討 - 退溪/高峯의 四端七情論爭과 對比하여 : 南塘/巍巖 未發論辨의 再檢討

        최영진(崔英辰)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29

        사단칠정논쟁과 호락논쟁은 조선 전기와 후기 유학을 대표하는 논쟁이다. 이 두 논쟁을 통하여 중국의 주자학이 한국의 성리학으로 재구성되어 토착화된다. 하지만 두 논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는 학계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사승관계에 있는 율곡 성리학과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있으나, 학맥이 다른 퇴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사단칠정논쟁과 미발논변의 관계를 ‘학파적’ 맥락이 아니라 ‘이론적’ 맥락에서 접근한 것이다. 특히 퇴계의 사칠론과 외암의 미발론에 초점을 맞추어 그 공통분모를 추출하였다. 이 작업을 위하여 먼저 남당/외암 미발논변의 쟁점을 재검토하고 결론적으로 퇴계/고봉 사칠론의 쟁점과 대비하여 이론적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외암은 미발에서 기는 ‘담연순선’하다고 보고, 현실적· 수양론적 관점에서 기가 리를 규정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심을 ‘본연지심’과 ‘기질지심’으로 나누고 전자의 미발은 ‘깊은 차원의 미발’이며 후자의 미발은 ‘앝은 차원의 미발’이라고 구분[界分]하였다. 그리고 본연지심은 성과 일치한[心性一致] 순선한 마음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와 반대로 남당은 미발의 시점에서도 기에는 ‘淸濁善惡’이 있으며, 리가 기를 규정하는 것이지 기가 리를 규정한다는 것은 주자학의 기본 문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외암의 심성론을 ‘二心二性’론이라고 비판하였다. 퇴계와 외암은 각각 ‘分別’과 ‘界分’이라는 사유방식, 즉 ‘分’의 논리를 기저로 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퇴계는 사단/칠정이 하나의 정이라는 고봉의 주장을 비판하고, ‘分別言之’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분’의 논리는 논적들로부터 ‘이원화의 오류’를 범했다는 비판을 받는 점도 동일하다. ‘성은 리이다[性卽理]’는 주자학의 핵심명제이며, ‘사단은 리가 발현한 것이다[四端理之發]’라는 것이 퇴계 이론의 중심이다. ‘심과 성은 일치한다[心性一致]’ ‘심이 성이고, 성이 심이다’라고 외암이 주장한 심도 리와 다르지 않다. 즉 ‘주자:성[본연지성]=리, 퇴계:정[사단]=리, 외암:심[본연지심]=리’라는 등식이 성립된다. 리는 인간과 사물에 있어 성이 된다. 그러므로 퇴계에게는 ‘情性一致’가, 외암에게는 ‘心性一致’가 도출된다. 리는 모든 가치의 근거로서 절대선 [純粹至善] 그 자체이다. 이것은 기의 상대적 가치와는 질적으로 구분된다. ‘본연지성?사단[本然之情]?본연지심이 리이다’라는 명제는 이들이 純粹至善한 절대가치체로서 기질지성?칠정?기질지심과 질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언명한다. 그리고 이 점을 이론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기적인 존재와 철저하게 분리시켜 보는 것이다[離看]. 그 방법이 바로 ‘分別’ ‘界分’이다. 이것은 ‘理氣二物’ ‘理氣不雜’의 논리를 토대로 한 것이다. 리/기를 나누어 二物로 보는 ‘離看’과, 이기를 합하여 一物로 보는 ‘合看’은 성리학의 기본적인 사유방식이다. 퇴계와 외암의 학설은 離看法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외암의 ‘理氣同實 心性一致’와 퇴계의 ‘四端理之發’이라는 명제를 形而上/形而下의 상하관계에서 보면 ‘합간법’을 기반으로 한다는 사실을 포착할 수 있다. 퇴계와 외암은 ‘分’의 논리를 기반으로 선의 순수성을 확보하고, ‘合’의 논리를 기반으로 선의

      • KCI등재

        율곡의 윤리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 비판적 고찰

        정연수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4 No.-

        In this thesis, the previous study on Yulgok’s ethical ideas in North Korea was critically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can develop Yulgok studies together was explored. In the precedent studies in North Korea, Yulgok’s ethical ideas have been evaluated as practical and progressive, and there have been some noticeable changes of raising Yulgok’s theory of moral cultivation from a new view point. Yet, they have the problems that they lack a logic system, for example, discussing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at form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Yulgok’s ethical thought as Bonyeongijililseong theory(本然氣質一性論), and therefore using the perspective of the nature mixed with that of disposition, and also interpreting it from the political standpoint of a class struggle. In addition, while discussing Yulgok’s ethical theory about human mind and moral mind(人心道心), the natural principleand human desires(天理人欲), North Korean researchers have had problems of estimating it politically by mixing the concepts of a body’s wants(欲), human mind(人心) and human greed(人慾), or interpreting it arbitrarily without separating out different meanings of stopping greed(窒慾) and little greed(寡欲). Yet, the attitude of discussing and developing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human mind or moral good and evil from the level of personal morality to that of social ethics when discussing Yulgok’s ethical idea has implic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evaluated as an excellent opinion that when North Korean researchers suggested a moral self-cultivation theory guaranteeing the practicality of Yulgok’s ethical thoughts, they expanded the meaning of setting an aim in life(立志) as the study to reform the society, and developed the logic of the study as the study to proceed(推行) from the political affairs(政事). South Korean researchers may not be able to sympathize with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politically biase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ethical thoughts themselves since Confucius from the standpoint of a class struggle. However, North Korean researchers' academic improvement who have examined the moral meanings of Naeseong(內聖) of Yulgok’s neo-Confuncianist study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Oewang(外王) can be said to have the possibility for North and South Korean researchers to study together.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윤리사상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남북한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율곡학을 발전시킬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북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율곡의 윤리사상에 실천성과 진보성이 있다고 평가하면서 율곡의 도덕수양론을 새롭게 제기하는 변화가 돋보인다. 그러나 율곡의 윤리사상에 이론적 근간이 되는 인성론을 본연기질일성론(本然氣質一性論)이라고 논하면서 본연과 기질의 관점을 혼용하는 등 논리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계급투쟁의 정치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심도심과 천리인욕에 관한 율곡의 윤리사상을 논하면서 육신의 욕구(欲)와 인심과 인욕(慾)에 관한 개념을 구분하지 못한 채 정치적인 해석을 하거나, 질욕(窒慾)과 과욕(寡欲)의 의미를 혼용하면서 자의적인 해석을 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다만, 율곡의 윤리사상을 논하면서 인성의 본질이나 도덕적 선악의 문제를 개인의 윤리적 차원에서 나아가 사회의 윤리적 차원에서 탐색하는 시도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북한 연구자들이 입지(立志)를 사회개혁에 뜻을 두는 공부로 의미를 확장하고 정사(政事)에서 추행(推行)하는 공부로 논리를 전개하면서 도덕수양론의 의미를 새롭게 부여한 것은 탁월한 견해라고 하겠다. 북한 연구자들이 공자 이래 유교의 윤리사상을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국내 연구자들이 공감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율곡의 성학 공부론에 담긴 내성(內聖)의 윤리적 의의를 외왕(外王)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학문적 발전은 남북한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국가투명성 제고를 위한 율곡철학의 제언-인사(人事), 기강(紀綱), 공론(公論)을 중심으로-

        정원교 ( Won Kyo Jong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38

        투명성(Transparency)은 개인은 물론 각국 정부가 추구하는 개혁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가치의 하나가 되었다. 정치 행정의 책임과 윤리 영역 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등 사회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면서 이전보다 훨씬 적극적인 관심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투명성의 목적은 어떻게 부패를 제거하고,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느냐 하는 것이다. 사회가 불안정할수록 투명성의 요구가 커지는 이유이다. 시대적 상황을 철저한 시각으로 진단하고 그 개혁을 주장했던 율곡의 철학과 오늘날 우리사회의 투명성 요구를 양립시켜 볼 때, 율곡의 철학은 중요한 처방전과도 같다. 율곡 정치개혁론의 철학적 근거는 明德, 致中和, 本然之氣를 세 기둥으로 한다. 하늘(天)이 명한 바(明德)를 정당성의 근거로 하고, 新民과 致中和를 실천의지와 구현의 원리로 하여 시대적 문제를 때에 맞게 인식함은 물론 적극적이고 성실한 실천을 통해 본연의 상태(本然之氣)로의 회복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율곡은 구체적으로 사상과 실천의 통일과 조화를 주장하면서, 정당성에 입각한 투명한 인사와 기강, 국시와 공론의 확립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 제도를 마련하고 정책을 개선하는 점진적 개혁을 주장한다. 현대는 여론을 통해 국민의 요구와 소통하는 민주정치를 이상으로 삼는다. 개인의 도덕적 삶과 정치적 道義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반부패의 투명성이 요구 되고 있는 이 때, 율곡의 제안을 과거의 유물로서가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는 철학적 이상으로 받아들인다면, 현재에 충실하고 미래의 안정적 세계를 도모할 소통과 화합의 국가투명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Transparency has become one of the values, individuals as well as governments seeking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in the reform. In the reality of the increas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reas of responsibility and ethics, as well as the business community, while covering almost all areas of society than ever to show an active interest.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immediately appearance of the recent decision of the national authorities a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state agencies and the public, and even cross-country or international literature on business relationships between companies is transparencyWhat is the state of modern society? The coordinates of individual value judgments are lost in the presence of unstable drift thrown down, and the fraud and corruption, and the tweaked DNA is still occupied many areas of our society. In other words, an anti-corruption and efficient communication equal transparent society. When we compare between Yulgok philosophy, a diagnosis the situation and argued that reform, and contemporary needs of transparency in our society today, Yulgok philosophy has a great view. Yulgok philosophy, recovering the deteriorate transparency could be a important prescription. In this paper, therefore, to the core of the bassis and features of Yulgok`s political philosophy in the axis of concept of transparency, and a practical commitment to the reform was investigated. Especifically, Yulgok insists that unity and harmony of thought and action, and claims to establish that a transparent human resources and discipline and the national policy and public opinion based on the justification. To this end, he claims a gradual reform which provides specific policies to improve the system. Transparency encompasses all fields, beyond the specific one in a society , and been being in the focus of attention throughout the world. The purpose of the transparency is how to remove corruption, and ensure smooth communication. The ideal of the modern politics is democratic goverment and public opinion on politics. In these days, transparency, anti-corruption, is required in the individual moral and political life. If we accept the suggestion of Yulgok which is not a relics of the past but a timeless ideal philosophy, the country will ensure national transparency, communication and unity, to stick to the current and to promote a stable world in the future

      • KCI등재

        이언적의 태극론

        고성애 철학연구회 2010 哲學硏究 Vol.0 No.88

        이언적의 태극론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무극이 태극’의 의미를 심성론과 수양론의 영역에서 해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손숙돈, 조한보, 이언적의 주장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이언적은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을 적이감(寂而感)으로 설명하며 성(性)을 본연지체(本然之體)와 본연지묘(本然之妙)로 나누고 있다. 정(情)은 용이고 성은 체인데 성을 다시 체와 용으로 나눈 것이다. 이것이 이언적 심성론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태극을 본체로서의 용(用) 곧 본연지묘(本然之妙)로 설정하여 손숙돈에 대해서는 태극밖에 모른다고 비판하고 조한보에 대해서는 무극밖에 모른다고 비판한다. 손숙돈에 대해서는 작용시성의 위험성에 대해 비판하고 조한보에 대해서는 생지위성의 위험성에 대해 비판한 것이다. 무극을 말하지 않으면 욕망조차 리의 발현으로 볼 수 있고 태극을 말하지 않으면리의 발현조차 욕망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무극이태극, 허이령(虛而靈), 적이감은 이처럼 두 가지 위험성을 동시에 견제하는 양날의 칼이다. 리의 체용을 전제로 하고 순수한 리의 발현을 입지점으로 하는 이언적의 철학은 이황에 이르러 리동, 리발 등의 용어를 통해 더 엄밀하고 더 구체적인 내용을 갖추게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언적의 철학사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茶山 『小學枝言』의 修身論과 도덕교육적 함의

        김혜련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본 논문은 인성교육 문제에 대한 대안을 고민하는 입장에서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저술한 『小學枝言』의 수신론에 관한 견해를 윤리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도덕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동양철학에서 수신론은 인성론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다. 다산의 수신론 역시 그의 인성론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성리학적 수신론과의 차별성은 실천을 중시하는 그의 修身論 속에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산은 성리학적 修養論이 내적으로 마음을 관조하는 靜的인 수양론임을 비판하면서 德은 구체적 실천을 통해 비로소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는 입장에 서 있다. 다산의 수양론이 성립되는 근거는 그의 性嗜好說에 있다. 다산은 인간에게 주어진 性을 仁義禮智의 본성으로 보지 않고, 善을 좋아하는 嗜好로 보고 있기에 인간에게는 본래 완전한 본성이나 理가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발휘되어야 할 지향성이 있을 뿐이며, 그 지향성의 함양을 통한 德의 형성은 修身論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산은 『소학』 ‘小道를 따르고 小藝를 익히는 것’으로서 학문적인 추구보다 오히려 가까운 현실로부터 실천을 통해 인격을 성숙시키는 도덕실천서로서의 성격을 지닌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입장 속에서 다산은 『小學枝言』 저술 전체를 관통하여 정확한 訓詁와 考證을 바탕으로 義理를 추구하고자 하는 경전해석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權衡의 行事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그는 『小學枝言』에서 性嗜好說을 바탕으로 한 本然性을 함양하며, 윤리적 존재로서의 관계성을 인식하고, 字學과 道學의 조화을 추구하는 전인교육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小學枝言』에는 그가 추구하는 실천 중심의 도덕교육 철학이 구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What I wish to show in this paper is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on 『The Minor Annotations of Elementary Learning(小學枝言)』 in a position to consider the alternatives about personality education problems by searching viewpoints on moral training theory on the book. 『The Minor Annotations of Elementary Learning(小學枝言)』 was written by Dasan Jeong-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 In the oriental philosophy, a moral training theory is built on the base of human nature theory. Dasan’s moral training theory was also built on his human nature theory. Undoubtedly we could consider that his difference from the moral training theory of Confucianism is reflected in his moral training theory putting stress on practice. Dasan criticized the moral training theory of Confucianism because of its static aspect contemplating mind internally. He stands on the position that the virtue can be come true by the concrete practice. The establishment ground of Dasan’s moral training theory is on his theory of human nature’s preference(性嗜好說). Dasan didn’t consider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 as human nature. He considered that the human nature prefers goodness. So there is no perfect human nature or principle originally to human beings but also directionality to be displayed. We can say that the virtue building by cultivation of directionality get connected to moral training theory. Dasan considered 『The Minor Annotations of Elementary Learning(小學枝言)』 as a practice book for moral training which develops individuals’ personality through practice in the reality. He thought that the book cause individuals to follow ‘the elementary way(小道)’ and to learn ‘the elementary art(小藝)’ more than academic pursuit. From this viewpoint he showed the practice(行事) of judgment(權衡) by keeping the attitude for the scripture interpretation to pursue the right principles(義理) based on Chinese exegetics(訓詁) and the historical evidences(考證) through the whole book. And in the book he suggested the standard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to develop the human nature based on his theory of human nature’s preference(性嗜好說), to cognize relationship as an ethical existence, and to pursue the harmony with graphonomy(字學) and Ethics(道學). So we can regard that he realized his practice centered moral education philosophy in the book.

      • KCI등재

        율곡학의 관점에서 본 호락논쟁의 쟁점과 낙론의 성격 -미발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

        윤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18세기 율곡학파 내부에서 발생한 학술논쟁인 호락논쟁을 ``율곡학파의 분기``라는 문제의식 하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 성리학의 근본 입장을 기발리승일도설 氣發理乘一途說과 리통기국설 理通氣局說로 설정하고, 이에 입각하여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미발논(未發論)과 인물성논(人物性論)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미발논변(未發論辨)은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에 대한 해석과 관련되고 인물성논변(人物性論辨)은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 차이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호론의 대표적 인물인 한원진은 미발(未發)의 영역에 기질(氣質)의 청탁(淸濁)·미악(美惡)이 존재하지만 용사(用事)하지는 않으므로 잠연허명(湛然虛明)한 명덕(明德)의 본체(本體)가 되는데 지장이 없다는 미발기질유선악논(未發氣質有善惡論)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청탁(淸濁)의 기(氣)가 동정(動靜)하고 순선(純善)한 리(理)가 그 가운데 탑재되어 있다는 율곡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한 것이다. 또한 태극(太極)과 오상(五常)을 각각 초형기(超形氣)와 인기질(因氣質)로 구분하여 태극(太極)은 인(人)·물(物)이 같고 오상(五常)은 인·물이 다르다는 인물성론(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리일(理一)을 리통(理通)으로 해석하여 인·물의 동일성을 설명하고 리분수(理分殊)를 기국(氣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라여 인·물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율곡의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계승한 것이다. 반면 낙론을 대표하는 이간과 이재는 미발(未發)의 영역에 기질(氣質)의 청탁(淸濁)이 존재한다는 호론(湖論)의 입장을 미발기질유선악논(未發氣質有善惡論)으로 간주하고 양웅(揚雄)의 선악혼설(善惡混說)로 귀결된다고 비판하였다. 이들은 기질(氣質)의 청탁(淸濁)이 제거된 본연지심(本然之心)을 제시하여 미발(未發)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심선(心善)에 기반하여 성선(性善)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심(心)은 청탁(淸濁)의 기(氣)이고 성(性)은 순선(純善)한 리(理)라는 설정하에 기(氣)의 동정(動靜)에 리가 탑재된 것으로 설명하는 율곡의 기발리승일도설에서 이탈한 내용이다. 또한 이간은 태극과 오상을 동일시하여 리를 단지(單指)한 본연지성(本然之性)은 인·물이 같고 리기(理氣)를 겸지(兼指)한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인·물이 다르다는 인물성론(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율곡의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서 인·물의 동일성을 리일(理一)로 설명하고 인·물의 차별성을 기국(氣局)에 기인한 리분수(理分殊)로 설명하는 것과는 차별화되는 입장이다. 이렇게 볼 때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미발론(未發論)과 인물성론(人物性論)은 각각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과 직결되는 문제로, 한원진으로 대표되는 호론(湖論)이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근본 입장을 논리적으로 심화시킨데 반해, 낙론의 대표적 인물인 이간과 이재는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근본 입장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학문적 노선을 개척함으로써 율곡학파의 분기를 초래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ssues of Horak debate occurred in the 18th century, in terms of the branch of Yulgok school. To this end, the theory of Weifa and the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 and things which is two main issues of the debate, were examined based on the Yulgok`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Exponent of Horon, Han Wonjin argued that there are impure condition of kijil in the area of weifa and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different. As such, his opinion is based on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n the other hand, Exponent of Nakron, Yi Gan and Yi Jae criticized that Horon`s theory of Weifa was contrary to Mengz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t shows that the debate of Weifa is related to validity of the theory of good human nature. They separated pure original mind from physical mind and considered pure original mind as Weifa where is not impure condition of kijil. They also argued that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the same. But their opinion was out of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s a resurl, Horon deepened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whereas Nakron escaped from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and pioneered new academic route. Therefore Horak debate arised to a branch of Yulgok school.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 「불의의 벙어리(不意の唖)」론 - “굴복감”의 이미지, 의인화한 군국주의 -

        최정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불의의 벙어리」에서 오에는 자신이 “거대한 해방감 즉 신생의 감각과 함께 전후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대면하고 대결해야 했던 일본 패전에 의한 “굴복감”을 군국주의자 “통역”의 인물상을 통해 이미지화하고 있다. “통역”을 통해 오에는, 일본의 패전에 대해 일본인이 갖는 “굴복감”은 전시의 지배이데올로기였던 군국주의에 세뇌되어 평화를 사랑하는 본연의 인간성을 상실한 결과임을 보여주며 인간성을 파괴하는 군국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그리고 마을사람들이 “통역”을 살해하고 마을의 평화를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 본연의 인간성을 회복할 것을, 그래서 점령군이 전후 일본에 재건코자 하는 평화의 지고한 가치를 굳게 믿고 이를 위해 협력하며 군국주의자들과 싸워나갈 것을 주장한다. 또한 “통역” 살해의 임무에 가담하여 스스로 ‘평화를 위해 싸우는 전사’로서의 본연의 정체성을 증명한 주인공 “소년”의 모습에 자신의 모습을, 즉 시코쿠 에히메현 오세국민학교 5학년에 다니던 중에 패전을 맞은 후 “신생의 감각”과 함께 전후의 시대를 살아갈 것을 결심하고 패전에 의한 “굴복감”과 대결하고자 작가가 된 자신의 모습을 투영함으로써 전후 일본의 평화 재건을 위한 군국주의와의 대결에 앞장서고자 하는 자신의 작가적 입장을 암시하고 있다. Oe Kenzaburo felt a great sense of emancipation at the same time when he felt a great humiliation when Japan lost the Pacific War. And in order to survive the postwar period with a sense of great emancipation, a sense of new life, he tried to confront the humiliation caused by the defeat of Japan through literature. In ‘Sudden Deafness’, the sense of humiliation caused by the defeat of Japan is imaged through the figure of an “interpreter” who is a militarist. Through the figure of an “interpreter”, Oe Kenzaburo shows that the sense of humiliation of the Japanese caused by the defeat of Japan is the result of losing the original humanity by militarism brainwashing which was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wartime, and warns the danger of militarism destroying humanity. And through the process of villagers murdering the “interpreter” and restoring the peace of the village, Oe Kenzaburo advocates recovering the original humanity and firmly believing in the high value of peace that the occupation forces tried to rebuild in postwar Japan and cooperating with them to fight against militarists. In addition, Oe Kenzaburo implies his own artist's position to lead the confrontation with militarism for the peace reconstruction in postwar Japan by projecting his figure to the figure of the protagonist “boy” who proved his original identity as ‘a warrior fighting for peace’ by participating in the murder of the “interpre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