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 거리를 위한 도시 보행환경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가지우,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실제로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준 가장 큰 경고는 건강의 중요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 보행환경은 주민들의 일상적인 활동을 담는 장소로서 건강 증진 기능을 합리적으로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보행 공간은 불편하거나 활기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건강을 지향한 보행환경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행환경을 개선하여 시민들에게 쾌적한 출행 체험과 교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건강 거리는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수단으로,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목적은 건강 거리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보행환경 평가요소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보행환경 평가지표, 보행환경 평가모델, 도시 건강 거리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CNKI와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인용 빈도, 발표 시기 및 저널의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56편의 문헌을 선정해 이를 분석하여 도시 보행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영국과 호주의 디자이너 건강 거리 점검 2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한다.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지표를 요약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요소와 평가지표의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HP 계층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건강 거리 이념에 기반한 보행환경 평가요소 체계를 구축한다. (결과) 종합 분석을 통해 생리적 건강에서 안전 보증이 가중치 할당에서 0.37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신체 활동 촉진 가중치는 0.355, 질병 감소는 0.272로 나타났다. 심리적 건강에서는 즐겁게 체험으로 얻은 가중치가 0.529로 가장 높았고 정서 회복이 0.294, 안정감 강화 0.177로 뒤를 이었다. 사회적 건강에서 사회 참여 촉진의 최대 가중치는 0.560이고 사회적 포용의 가중치는 0.440으로 보행환경에서 사회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행환경의 핵심 요소가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를 파악하고, 고품질의 도시 보행환경 조성을 통해 사람들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평가요소는 건강 거리 구축, 보도의 보완 및 건설, 도시 보행환경의 건강 수준 향상, 보행자의 건강과 행복 증진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보행환경 평가지표, 보행환경 평가모델, 도시 건강 거리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거리 영상과 시멘틱 세그먼테이션을 활용한 보행환경 평가 지표 개발

        박지영,강영옥,김지연 한국지도학회 2022 한국지도학회지 Vol.22 No.1

        The pedestrian environmen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daily life of citizens as both an individual domain and a public space. As the importance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has been recognized, a systematic survey is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such as stipulating by law that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conduct a survey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ery five years. However, the survey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does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limitations in the survey methodology, such as relying on field surveys in some area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walkability evaluation index using high-resolution street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To develop a walkability evaluation index, a draft of the walkability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walkabilit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the derived walkability evaluation index, the final index was proposed after examining the accuracy of the result of semantic segmentation of streetview images and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necessary data. As for the derived walk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suggested to use 8 indicators in 4 categories: safety, convenience, comfort, and acces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reak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existing walkability studies based on field observation surveys and surveys,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telligent urban research using high-resolution street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perform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tasks more efficiently. 보행환경은 개인의 영역이자 공공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환경의 중요성이 인지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보행환경 실태조사를 전국 지자체가 5년마다 시행하도록 법으로 규정하는 등 체계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보행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에 의지하는 등 실태조사 방법론에 있어서는 기존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거리 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보행환경 평가 지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보행환경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해 보행환경 평가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보행환경 평가 연구를 리뷰를 토대로 보행환경 평가 지표 초안을 개발하고, 도출된 보행환경 평가 지표의 구체적 데이터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거리 영상의 시멘틱 세그멘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 결과 정확도와 영상 외 필요한 자료에 대한 취득 가능성을 검토한 후 최종 보행환경 평가 지표를 제안하였다. 도출된 보행환경 평가 지표는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접근성 4개 카테고리에 8개 지표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 관찰 조사나 설문조사에 기반한 기존 보행환경 연구의 한계점을 탈피하고 고해상도 거리 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도시 연구의 지능화 계기를 마련하고 보행환경 평가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형 보행환경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병정,한상진,이원태,박경욱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3

        Walking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n important transportation mode.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various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to improve poor walkability condi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ose projects because of lack of evaluation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that can be used for Korean walking conditions. The study scope was limited to sidewalk segments (links) and intersections along the car streets. Nine intersection and eighteen link factors were suggested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pedestrian environmental quality and safety. While the intersectionrelated factors were grouped into two domains (safety and expediency), the link-related factors were grouped into three domains (safety, amenity, and connectivity). Based on the expert survey, weights were determined to each domain and its factors, and score values were also assigned to the factor response categories. This process enabled a specific link or intersection to be evaluated on a scale from 0 to 100. A case study was also carried out to demonstrate how to use the developed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odel would find many applications since it is helpful not only to determine the priority for links or intersections that deserve improvements, but also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a specific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열악한 보행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보행교통 관련 사업의 체계적 관리 및 평가를 위해서는 보행환경 개선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절실하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런 모델의 부재로 인해 보행환경의 현재 수준을 상호 비교하기가 어렵고, 개선사업이 이루어졌을 때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도 어렵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가로별 보행환경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가대상은 보행 네트워크의 최소 구성요소인 교차로와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고, 각각에 대한 평가항목과 평가지표, 이들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차로 부문의 경우, 상위 평가항목을 크게 안전성, 편리성으로 구분하여 안전성 관련 평가지표 5개, 편리성 관련 평가지표 4개로 제시하였다. 가로 부문의 경우에는 평가항목을 안전성, 쾌적성, 연결성으로 구분하여 안전성 관련 평가지표 8개, 쾌적성 관련 평가지표 7개, 연결성 관련 평가지표 3개로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들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평가지표 내 선택항목별 점수분포를 산출하여 특정 교차로 및 가로의 보행환경 평가가 계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보행환경 평가 모델은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개선사업 전·후의 정량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향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어디가 더 걷기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거리영상과 샴 네트워크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정성적 보행환경 평가

        최재연,김소망,강영옥 한국도시지리학회 202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보행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정성적 평가를 시각화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보행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행환경에 대한 인지 평가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도시 건조환경에 대한 인식의 평가는 설문이나 인터뷰 등을 통해 일부의 사람을 대상으로 제한된 지역에 대해 수행되는 한계가있었다. 하지만 보행자의 시야에서 관찰하는 것과 유사하게 도시를 프로파일링할 수 있는 거리영상의 대두와 딥러닝기술의 발전은 광범위한 지역에 상세한 수준에서 도시 건조환경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와 영등포구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 거리영상을 수집하고, Global-Patch-RSS-CNN 모델을 활용하여 보행환경을 정성적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걷기 좋다고 인식되는 지역과 나쁘다고 인식되는 지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보행환경에 대한 정성평가를 하고자 할 때 별도의 쌍별 비교 데이터 셋을 구축하지 않고도 연구 지역의 거리영상을 활용하여 보행환경에 대한 상세한 수준의 정성평가를 할 수 있다는 점, 둘째, 보행환경 정성평가를 위한 딥러닝 모델에 있어서도 국내 실정에 맞게 구축한 보행환경 쌍별 비교 데이터셋으로 사전 훈련된 딥러닝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셋째, 국내 타지역에서 보행환경 정성평가를 하고자 할 때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보행환경 정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evaluation of the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and analyze the results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s the importance of walking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of the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is also emphasized. The evaluation of people’s perceptions about the urban built environment had limitation in that it was conducted through surverys or interviews with some people in a limited area. However, the emergence of street view images that can profile cities similarly to observations from a pedestrian’s perspective and the advance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ies enable qualitative evaluation of urban built environment at a detailed level over a wide range of areas. In this study, street view images were collected fromAnyang-si and Yeongdeungpo-gu, and the walking environment was qualitatively evaluated using the Global-Patch- RSS-CNN model,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on a map to analyze areas that are perceived as good or bad for wal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ways. First, when conducting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duct a detailed level of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by utilizing street view images of the study area without building a training data-set; second, the deep learning model for evaluation of the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which is pre-trained with paired comparison data-set built for domestic conditions can be utilized; third, when conducting a evaluation of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in other areas of Korea,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present a process so that non-professionals can easily evaluate the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 KCI등재

        토지이용을 고려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숙희,이규진,최기주,Kim, Suk Hee,Lee, Kyu Jin,Choi, Keechoo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3

        본 연구는 효율적인 보행로 관리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지이용 특성이 반영된 보행로 유형에 따라 보행자가 인식하는 보행환경 만족도의 평가척도는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보행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신도시, 구도심, 상업지, 지하철역, 하천 공원에 대한 보행로별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각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보행환경 평가모형을 수원시 일부 보행로에 적용한 결과, 본 모형은 현상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의 보행환경 개선 우선순위 결정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esents a systematic method of evaluation with the premise that satisfaction rating scale of the walking environment will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by footpath types. Ultimately,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footpath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cators and it's weights for walking environment on new town, old town, commercial areas, subway station, river and park by footpath types. After applying the walking environment assessment model to some of the footpaths in Suwon, it was found that actual level can be simulated successfully in reality.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determining the priorities for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for th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대구광역시의 고령자 보행취약지역 도출 및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 평가

        진수인,김은정 국토연구원 2022 국토연구 Vol.1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nd evaluate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n terms of safety in Daegu. In order to derive vulnerable areas, density-based clustering and hotspot analyses are performed,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s is evaluated for the derived areas. The evaluation items are classified into street environment and walking network environment, for a total selection of 22 detailed items. The results of deriving vulnerable areas for elderly pedestrians are Cluster 3 (around Daegu Station and Chilseong Market Station) and Cluster 4 (around Daegu-Gonggo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vulnerable areas are evaluated at a low level for the level of illegal parking, existence and adequacy of resting spaces and information signs, and adequacy and condition of pedestrian safety facilities. Al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tems of the crossing facility and openness of lower floor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reat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고령자 보행취약지를 도출하고 안전성 측면에서의 보행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밀도기반 군집과 핫스팟분석을 실시하여 보행취약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크게 가로환경 및 보행네트워크 환경 아래에 총 22개의 세부항목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군집 3(대구역 및 칠성시장역 일대)과 군집 4(대구공고네거리 일대)가 고령자 보행취약지로 나타났다. 한편, 보행취약지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결과는 가로환경의 불법주정차 수준, 휴식공간 유무 및 적정성, 보행안전시설 적정성 및 상태, 안내표지판 유무 및 적정성, 횡단보도 상태, 신호등 유무 및 상태, 저층부 개방감 등의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행네트워크 환경에서는 A-1구역(대구역 일대)과 A-2구역(칠성시장역 일대)의 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보였으며, 특히 보행장애물 수준, 도로 끊김 수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안전한 고령자의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KCI등재

        도시 스트리트뷰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보행환경 평가 요소 분석

        황지연,최철웅,남광우,이창우 한국산업정보학회 2023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8 No.6

        최근 일상생활 속 보행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행권 보장 및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이 지역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전주시 도로 이미지를 사용하여 보행환경 평가를 진행하고, 이미지 비교 쌍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숫자로 표현된 데이터 세트는 보행환경 평가자들의 판단 기준을 일반화하거나 보행자가 선호하는 보행환경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보행환경 평가의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미론적 분할 결과를 활용하여 보행환경 평가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보행자는 주로 ‘earth’와 ‘grass’가 많은 환경을 선호하지 않았고, ‘signboard’와 ‘sidewalk’를 가진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안된 연구는 향후 보행환경 평가의 참여자가 임의로 선택한 결과를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데이터에 대한 정제과정을 전처리로 수행함으로써 좀 더 향상된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walking in daily life has been emphasized, projects to guarantee walking rights and create a pedestrian environment are being promoted throughout the region. In previous studies, a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Jeonju-si road images, and an image comparison pair data set was constructed. However, data sets expressed in numbers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judgment criteria of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ors or visually identify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preferred by pedestria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through data visualization by building a web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segmentation result of analyzing the walking environment components that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ors, it was confirmed that pedestrians did not prefer environments with a lot of "earth" and "grass," and preferred environments with "signboards" and "sidewalks." The proposed study is expe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results randomly selected by participants in the futur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and believed that more improved accuracy can b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data purification process.

      • KCI등재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방법 개발

        지우석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2

        While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edestrian environments recently, methods to evaluate their service level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yet. Although many kinds of pedestrian environment-related surveys and field studies are conducted, data are not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accumulate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t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for pedestrian environments. This paper suggests technical indice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s for a city. These indices provide useful ways to determine priorities to enhance pedestrian streets and also provide ways to compare cross sectional and time series changes of pedestrian environments. These indices therefore can be used as criteria for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nd policy. 근래에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보행환경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법이 통일되지 않아 도시간 비교 또는 도시 내 시계열적 비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보행환경에 대한 각종 조사는 시행되고 있지만 조사기법이 다양하여 자료의 축적이 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기법과 조사방법을 통일하여 보행환경계획의 체계를 갖출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더불어 이동편의지수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지표와 이동편이지수는 사례지역 조사를 통하여 산정방안과 활용방안을 검증하였다. 이들 지표와 이동편의 지수는 상호 연계되어 도시 내 보행환경수준의 평가를 통하여 보행환경개선 우선가로를 선정하는데 유효한 방법이 된다. 또한 전국 도시간 비교와 도시별 시계열 비교가 가능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보행환경관련 도시 및 교통 계획의 목표치의 설정을 위한 주요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의 보행환경평가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류은혜,김은정 대구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useong-gu, Daegu is buil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was evaluated by selecting 12 zones within a radius of 300m of Holt Daegu Social Welfare Center, Cheonggok Social Welfare Center,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and Gosan Senior Welfare Center.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was evaluated by sel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ach item of safety, comfort,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street vitality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Cheonggok General Welfare Center and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ere high in terms of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The environment around the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elderly to walk.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irst, rest facilities such as pavilions and benches we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pedestrian routes of the elderly. Seco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elderly in various environments can walk comfortably, such as riding a wheelchair or using auxiliary walking equip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pedestrian safety was secured by installing a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y, and in the case of illegal parking, parking lots were buil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or regular crackdowns were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valuat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ctually take place a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ecomes important as they enter an aging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해당 시설 주변의 보행환경이 노인의 특성을 고려해 구축되어 있는지 평가하는데 있다. 보행환경평가는 홀트대구종합사회복지관, 청곡종합사회복지관, 범물노인복지관, 고산노인복지관 반경 300m 내의 12개 구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보행환경 평가지표는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접근성, 가로활력수준의 각 항목별로 정성적·정량적 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보행환경 평가결과, 청곡종합복지관과 범물노인복지관이 안정성, 쾌적성, 편의성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범물노인복지관 주변 환경이 노인이 보행하기에 가장 적합했다. 본 연구는 보행환경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들의 보행동선을 고려한 정자나 벤치 등의 휴게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휠체어를 타거나 보조보행기구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있는 노인들이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보차분리시설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불법주차의 경우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에 주차장을 조성하거나 복지시설 주변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단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해짐에 따라 실제로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이뤄지는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의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국 도시 보행환경 현황을 기반으로 건강 거리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가지우,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대중 건강의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일상적인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건강 거리는 시민들이 매일 적어도 20분 이상 운동할 수 있도록 자동차 사용을 줄이고 보행이나 자전거 타기를 장려하는 도시 계획 이념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인구가 많고 사회가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단계에 있어 서양 국가보다 훨씬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많은 도시 건강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도시 계획 및 디자인의 부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도시 보행환경의 현황을 기반으로 건강 거리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도시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중국 60개 도시의 보행 환경과 관련된 정책 문서, 디자인 규정, 그리고 자원 보호 협회의 중국 도시 보행 친화성 평가보고서 분석을 통해 중국 주요 도시의 보행환경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CNKI 와 Web of Science에서 관련성, 인용 빈도를 고려하여 이전 단계에서 도출한 건강 거리 특성 요소의 관련된 68편의 문헌을 선별하고, 요소와 생리, 심리, 사회적 건강의 상관관계를 추가로 탐구한다. 셋째, 중국 도시의 현황을 고려하면서 국가 표준과 도시 가이드라인에서 특성 요소와 관련 근거 내용을 추출하고 영국 런던 디자이너 건강 거리 점검의 점수법을 참조하여 예비 평가 기준을 구축한다. 넷째, 공공디자인 전문가 등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하고 인터뷰 의견에 따라 평가 기준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중국의 현지화된 건강 거리 평가 기준을 구축한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해 자동차 교통량 지표의 제거, 건널목 편리성과 건널목 안전시설의 통합하며, 자동차와 비동력 차량 도로의 분리 지표를 버스 환승 편의성으로 변경하고, 개별 지표의 평가 기준도 정성적 용어를 적절하게 수정하여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중국의 현지화된 건강 거리 평가 기준을 구축했다. (결론) 본 연구는 중국 도시 보행환경의 현황을 기반으로 FGI 방법을 통해 개선하고 건강 거리 평가 기준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참조 근거를 제시하고, 건강한 도시 생활을 촉진하기 위한 의미 있는 참고를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지표의 평가 기준을 정성적 용어로 적절하게 수정하여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었다. 향후 건강 거리 평가 기준을 기반으로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도시의 건강 거리를 구축하여 시민들이 더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public health problems in modern society gradually increase, the importance of daily exercise is emphasized.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healthy streets are emerging as an urban planning ideology that seeks to ensure that citizens receive at least 20 min of exercise each day by reducing car use and encouraging walking or cycling. China has a large population base and its society is undergoing rapid development and change; therefore, it faces far greater challenges than Western countrie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root cause of many urban health problems in China is the lack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urban walking environments and promote citizens' health by developing health distance evaluation standards based on the status of urban walking environments in China. (Method) First,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China's major c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policy documents, design regulations, and the Resource Protection Association's evaluation report on the pedestrian friendliness of Chinese cities related to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60 Chinese cities. do. Second, considering the relevance and citation frequency from the CNKI and Web of Science, we selected 68 studies related to the health distance characteristic elements derived in the previous step and further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ose elements and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Third, considering the status of Chinese cities, characteristic elements and related evidence were extracted from national standards and city guidelines, and preliminary evalu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scoring method of London, UK designer health distance inspection. Four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ublic design expert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ir opinions, ultimately establishing China's localized health distance evaluation standards.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automobile traffic volume indicator was removed, convenience of crossing and integration of crossing safety facilities were changed, indicator of separation of automobile and non-motorized vehicle roads was changed to convenience of bus transfer, and evaluation criteria for individual indicators were established. Qualitative terms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accurately reflect the situation. Finally, a localized health distance evaluation standard was established for China. (Conclusion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urban walking environment, this study improved and modified the FGI method, established a healthy street evaluation standard, presented reference grounds for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and promoted healthy urba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