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후반 경상도 함양 栢吐里鄕約의 구성과 재정운영

        한미라(Han, Mi Ra)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2 No.-

        본 논문은 『栢吐里鄕約案』과 『栢吐鄕約稧本錢記』자료를 기반으로 경상도 함양 백토리향약의 성립 배경, 구성과 운영, 재정운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백토리향약은 경상도 관찰사 이헌영의 향약 정책과 백토리 사족들의 협조로 인하여 1892년에 성립되었다. 백토리향약은 백토리의 上栢, 太古亭, 內栢, 楮田, 南孝, 麥亭마을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栢吐里鄕約案』의 「節目」을 살펴보았을 때, 혼상시 부조와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강회, 善籍, 過籍관련 내용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토리향약이 향촌의 교화에 주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18세기 주현향약은 사회경제적 변동을 막는 방파제로, 향촌통제 목적이 강했다면 19세기 후반 시행된 주현향약은 강력한 향촌통제보다는 향촌의 풍속교화에 중심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백토리향약은 1892년부터 1894년까지의 임원 명단을 확인할 수 있는데, 約正은 매번 바뀌지만 訓導, 直月, 下任등은 2~3번 연임하였다. 또한 백토리향약은 강회 재정 자료가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인데, 1892년 8월 13일과 1893년 4월 16일 강회의 재정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매 강회 때마다 약원들에게 회비를 거두었으며, 회비는 대부분 강회 관련 물품 비용으로 지출되었다. 1893년 4월 강회 지출항목에서 눈에 띄는 점은 白紙를 구입한 후 일부를 奴의 집에 賻儀하였다는 점이다. 19세기 후반이 신분제가 해체되고 있었던 상황 등임을 고려하면 奴는 약원마다 1명씩 명목상 기재된 것이며, 실제는 약원의 집에 부의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백토리향약은 19세기 후반 향약이 동・리에서 시행된 향약 운영의 확인할 수 있는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1892~1893년을 중심으로 자료가 남아있어, 그 이후의 운영에 대해서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운동 등의 다양한 변화로 인하여 함양 백토리향약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 사료된다. 제한된 사료의 결과이지만 추후 다양한 지역의 향촌관련 사료들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주현향약 연구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bout background of establishment, composition, operation and financial operation of Baektori in Hamyang, Gyeongsangdo, based on the data from “Baektorihyangyakan” and “Baektohyangyakgyeobonjengi”. Baektori Hyangyak was established in 1982 due to Hyangyak policy of Lee HunYoung, governor of Gyeongsangdo and cooperation of nobles of Baektori. Baektori Hyangyak was operated mainly in Sangbaek, Taegojeong, Naebaek, Jeonjeon, Namhyo and Maekjeong villages of Baektori. When looking at “Jeolmok” of “Baektori Hyangyakan” contents related to contributions for marriage and funeral were not check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lectures, names of righteous people and names of bad people were emphasize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Baektori Hyangyak paid attention to reformation of villages. In other words, while the 18th century Juhyun Hyangyak was a seawall to prevent socio-economical fluctuation which served a strong purpose to control villages, Juhyun hyangyak, implemented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considered to focused on reformation of villages rather than strict control of villages. The lists of executives of Baektori Hyangyak from 1892 to 1894 were confirmed and contract were changed each time but Hundo, Jikwol, Haim and etc. served 2-3 terms consecutively. Also, the key feature of Baektori Hyangyak was that the financial data of lecture remains. This research was focusing on the financial records of the lectures on August 13th, 1892 and April 16th, 1893. From each lecture dues were collected from the members and most of the dues were spent on supplies for the lecture. A distinguished item from the expense list on the lecture of April,1893 was that after purchasing white paper some of it was distributed to a house of a slave as an aid to a funeral. Considering that the social hierarchy got weakened in the late 19th century, one slave per a member of Hyangyak was nominally recorded but there is a high chance that the aid for funerals were actually paid to the member. Baektori Hyangyak is historically valuable as an example to confirm the operation of Hyangyak that was exercised in Dong/Ri in the late 19th century. Since the records remain focusing from 1892 to 1893, there are limits to the research about the operation after that period. However, due to various changes such as Donghak Peasants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unable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Hamyang Baektori Hyangyak. Although this research is the result of limited feed, I intend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research of Juhyun Hyangyak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Hyangchon related data from various regions.

      • KCI등재

        조선시대 관요백자 원료의 물성과 소성온도에 관한 試論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필요한 자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옹원의 관요를 전문적으로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1467~1468년 사이에 경기도 광주 일대에 분원이 설치되어 왕실과 관청용 백자를 제작하고 공급하였다. 관요백자의 제작에 필요한 원료를 여러지방에서 공급받게 되는데, 공급되는 원료에 따라 색상의 변화 및 품질의 고하가 결정되므로 양질의 원료 공급은 관요 운영에 중요한 부분이었다. 특히 양구 백토는 적어도 16세기부터 조선시대 관요백자 제작에서 매우 중요한 원료로 평가되었다. 본 고에서는 사료를 통한 양구백토에 대한 고찰, 그리고 화학적인 분석과 실제 실험 결과등을 통해서 조선시대 관요 백자의 원료 물성 분석을 토대로 명칭과 실제 소성온도를 추정하였다. 화학분석표와 백토시편 미세구조 변화와 실제 번조실험을 통하여 관요백자 제작에 사용된 양구의 백토는 0.13~0.73%의 철분이 함유된 백운모계 고령토질 도석으로, 철분 등 도자기 소지 원료로 사용하기에 불순물이 적고, 대체적으로 미립의 균질한 원료로서 백운모질의 백토로 1,200℃ 정도에서 적절한 번조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주백토는 A1203의 많은 함량으로 내화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자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두 종류의 원료들이 방산자기박물관의 소성 실험을 통한 결과와 관요에 공급되었던 흙들의 공급량과 종류 등을 증합해 보았을 때 분원에서 사용되는 양구 백토는 기물의 크기에 따라 양구백토 단미, 또는 진주백토가 적당량 섞여서 도자기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원료에 대한 문헌을 통한 정확한 명칭분석과 여러 지역의 백자 도편 등의 재번조 실험 등을 통해 기존의 조선백자 1,300℃설에 대한 전면 재검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도자기 소성용 가마와 태토에 많은 변화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기준으로 1,300℃의 소성온도를 논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There was a special government kiln in Saongwon to make porcelain which was needed for royal family in Chosun dynasty. So, branch kilns were installe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to make porcelains for ruling household and government office in 1467 and 1468. Base materials were supplied to make porcelains from many local districts,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s was important because government office had chosen materials of high quality. Especially, Yanggu white clay was estimated as an important material to make porcelains in government use since the 16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Yanggu white clay in historic references, temperature at which the porcelain were made, and the names of materials through chemical experimentation and ingredient analysis. Yanggu white clay is white mica, kaolin which contains 0.13~0.73% iron, has less impurities, and consists of homogeneous white mica particles which were properly fired at 1,200℃. However Jinju white clay has abundant of Al₂O₃ which is magnetiz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Therefore, we found that Yanggu white clay only, or with some amount of Jinju clay, ha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porcelain, to sum up researches so far. In addition, researches and experiments make certain that there should be a reexamination against the firing temperature of 1300℃, because the kiln and firing circumstance of that age are different from today's. Thus, it is irrational to insist that the firing temperature was 1300℃ by current criteria for judgement.

      • KCI등재

        조선시대 官窯로의 백자원료 조달방식

        이종민(Lee, Jong-min) 호서사학회 2015 역사와 담론 Vol.0 No.73

        이 글은 조선시대의 각종 문헌자료들을 활용하여 관요로의 백자원료 조달방식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관요에서는 처음에 廣州白土를 활용하였으나 17세기 전반 이후부터는 백토의 품질저하로 전국 각지의 좋은 흙을 구해 사용하였다. 특히 肅宗 이후부터는 우수한 품질과 다량의 土脈을 보유했던 楊口백토가 선호되면서 관요백자의 제작에서 중요한 胎土로 자리잡았다. 둘째, 백토는 대부분 산 정상에서 굴취되어 해당 군·읍의 백성들에게 많은 민폐를 끼쳤다. 백토의 分定量은 지역에 따라 달랐으며 양구는 해마다 500석을 바쳤다. 흙은 암석상태로 운반했는데 국가에서 긴급히 器皿을 만들 경우, 소량의 흙을 水飛하여 운반하기도 했다. 백토굴취는 해당 지역 백성이 담당했으나 민폐를 줄이기 위해 當領水軍이나 掘取軍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셋째, 水土·水乙土는 사료분석 결과 백토와 다른 것으로 보이며 유약토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였다. 넷째, 백자원료는 대부분 내륙수운이나 해로를 이용하였고 백토 굴취지역 인근의 군·읍들은 운송의 의무로 인해 인적, 물적 폐해가 심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bout procurable system of the white porcelain materials to the Royal Kiln in Joseon Period by analyzing on documentary records. The concluding remarks of that analyzing are these. Firstly, the Royal Kiln used the White clay of the Gwang-ju Province at first. But after the first half of 17th Century, the Royal Kiln used other good clays of various Provinces because of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White clay of the Gwang-ju Province. Especially, after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the Royal Kiln preferred the White clay of the Yang-gu Province. Because the Yang-gu Province had much white clay lodes and the quality from that lodes was superiority than others. As a result, the White clay of the Yang-gu Province settled down as important basis clay in the Royal Kiln. Secondly, the people of regions corresponding with the extraction of white clays had many public nuisances because white clays were extracted in the peak of mountains mostly. The quota of white clays are various, and the quota of Yang-gu Province was 500 straw bag(石). In most cases, the extraction of white clays were charged to the people of corresponding region, but in some cases to the naval forces or extraction forces in order to decrease public nuisance. Thirdly, Suto(水土) and Sueulto(水乙土) are different with white clay. And we estimate that those are the material of glaze is more possible. Fourthly, most white porcelain materials were transferred by water transport or sea transport. Neighboring counties or towns of extraction of white clay had much nuisances by the duty of transporting.

      • KCI등재

        활성 백토를 이용한 수중의 인산성 인(PO4 3--P) 흡착에 관한 연구

        Ji Young Hwang,Ye Ji Jin,유건상 대한화학회 2021 대한화학회지 Vol.65 No.3

        In this study, activated clay treated with H2SO4 (20% by weight) and heat at 90 o C for 8 h for acid white soil was used as an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PO4 3 -P in water. Prior to the adsorption experimen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lay was examine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XRF) and BET surface area analyser. The adsorption of PO4 3--P on activated clay was steeply increased within 0.25 h and reached equilibrium at 4 h. At 5 mg/L of low PO4 3--P concentration, roughly 98% of adsorption efficiency was accomplished by activated clay. The adsorption data of PO4 3--P were introduced to the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models. It was seen that both Freundlich and Langmuir isotherms were applied well to describe the adsorption behavior of PO4 3--P on activated clay. For adsorption PO4 3--P on activated clay, the Freundlich and Langmuir isotherm coefficients, KF and Q, were found to be 8.3 and 20.0 mg/g, respectively.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s model was more suitable for adsorption of PO4 3--P in water/activated clay system owing to th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R2 and the more proximity value of the experimental value qe,exp and the calculated value qe,cal than the pseudo-first-order kinetics model.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 that activated clay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PO4 3 -P from water. 본 연구에서, 산성 백토를 황산(무게 비로 20%)와 90 o C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처리 한 활성 백토를 수중의 인산성 인(PO4 3--P)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사용하였다. 흡착 실험에 앞서 X-선 형광분광기와 표면적 분석기로 활성 백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 3--P 흡착은 0.25 시간 이전에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4시간에 이르렀을 때 평형에 도달하였다. 5 mg/L의 낮은 PO4 3--P 농도에서, 대략 98%의 흡착효율이 활성 백토에 의해 성취되었다. PO4 3--P의 흡착 데이터를 흡착 등온선과 반응속도 모델에 도입하였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 3--P 흡착거동은 Freundlich와 Langmuir 등온선 모두에 잘 적용되었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 3--P 흡착에 관해서 Freundlich와 Langmuir의 등온선 계수인 KF와 Q는 각각 8.3과 20.0 mg/g이 되는 것으로밝혀졌다. 물과 활성 백토 계에서의 PO4 3--P 흡착은 더 높은 상관계수 R2 와 실험값 qe,exp과 계산값 qe,cal의 근접으로 인해서 유사일차 보다는 유사 이차 반응속도식에 적합하였다. 연구의 결과들은 활성 백토가 수중으로부터 인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인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 KCI등재

        朝鮮時代 楊口白土의 生産과 運送에 관한 연구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양구의 백토는 조선시대 분원에서 사용하던 원료의 주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양구지역에서는 1년에 500~550石의 백토를 분원이 해체되는 시기까지 꾸준히 공납하였다. 하지만 백토를 세는 단위인 ‘石’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백토의 1石은 9斗이고, 1斗는 16kg이라는 결과를 가지고 접근한 논문이다. 양구백토의 채굴은 담당 읍인 양구의 民戶 500호가 역사에 동원되었고, 백토의 正土 선별과 운송은 춘천ㆍ홍천ㆍ인제ㆍ낭천 등에서 담당하였다. 동원된 인력과 운송량은 각 지역별 인구수와 비례되었다. 운송은 육로운송과 수로운송으로 구분되는데, 제 시기에 납입하지 못한 경우와 가뭄이 지속된 경우에 육로로 운송되는 경우가 있고, 그 외에는 일반적으로 수로 운송이 주가 되었다. 육로운송의 경우, 운송에 관계된 읍의 驛馬와 사람이 동원되어 등짐으로 300리 정도의 역로를 3일 정도의 시간으로 분원에 운송된 것으로 보인다. 수로운송은 『經國大典』에 나타나 있는 대ㆍ중ㆍ소선의 규모보다 작은 지토선이나 경강사선을 이용하였다. 배 한척에 25石, 즉 3.6톤 정도를 해당 읍이 할당량만큼 나누어 싣고, 봄ㆍ가을 수량이 풍부한 시기를 선택하여 수운을 시행하였다. 수운은 약 4일 정도가 소요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의 하천상황과 적재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다면 당시 양구백토를 운송했던 배의 규모도 파악되리라 본다. White clay of Yanggu was a main source among all raw materials used at Bunwon (governmental kiln sites)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That is why Yanggu area has a long history of steadily paying tribute of white clay as much as 500 to 550 seoks (a unit of traditional measure) per year to royal authorities until Bunwon was later liquidated. However, there is not yet any further established conception of ‘seok (石)’, a unit of measure for white clay. This study took an approach from a finding that 1 seok of white clay is equal to 9 dus (斗) where 1 du means 16 kg in our contemporary measure. For the excavation of white clay in Yanggu, current historical documents demonstrate that about 5 households of Yanggu were mobilized for excavation works, and acceptable white clay was screened and transported by people in Chuncheon, Hongcheon, Injae, Nangcheon and other areas to Bunwon. Here, mobilized manpower and transported volume were proportional to the population of each area. White clay was transported broadly via two paths such as land route and watercourse: Land route was used in case of failure to meet deadline and in case of long and continuous drought, but watercourse was usually employed as main path of transport in normal cases. For transport via land route, it is estimated that post horses and workers involved in transport were mobilized to carry and deliver white clay to Bunwon with the help of packmen in about 3 days via post road as long as 117.9 km (300 ri). For watercourse transport of white clay from Yanggu to Bunwon, our ancestors employed local vessels or Gyeonggang private vessels on smaller scale than large-, medium- and small-sized vessels provided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a standard code of law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A town community of Yanggu area carried about 25 seoks (i.e. 3.6 tons) of white clay in one vessel as allocated, and water transport was executed in a select series of timings with affluent water volume of river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It is estimated that water transport of white clay required about 4 days. In comprehensive view of watercourse conditions and load weight of white clay as evidenced by historical documents in those time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possibly estimate the scale of vessels for transport of white clay from Yanggu.

      • KCI등재

        楊口地域의 白磁와 白土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양구지역은 오래전부터 백자의 제작지인 동시에 경기도 광주 분원의 백토 공급지로 유명하다. 양구의 도요지에 관한 가장 이른 기록은 『世宗實錄』「地理志」‘土産’조(1432)에 보인다. 이후 양구지역의 백자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의 자료들에서 확인된다. 한편 白土에 관련한 내용들은 다양한 사료에서 백토의 채굴과 품질, 그리고 그에 관한 폐단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등으로 강진 일대의 해안가에서 가마를 운영하던 장인들이 내륙에서 정착하던 중 원료와 땔감, 그리고 수로를 통한 물자의 운송이 용이한 양구지역에서 백자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양구는 고려 말 〈이성계 발원백자〉의 제작을 비롯해 조선시대에는 인순부, 공안부, 예빈시, 장흥고 등의 중앙 관청에서 사용하는 공납자기의 제작지가 된다. 1467년 분원 설치 후에는 일부 양구지역 사기장들이 분원 사기장으로 입역되었으며, 분원에서 사용하는 많은 양의 백토를 채굴하여 공급하는 공급처가 된다. 이때부터 양구의 가마는 지역 수요의 자기제작지로 성격이 바뀌며, 분원으로 공급되는 원료의 채굴지 및 실험번조소 역할을 겸하게 된다. 양구백토는 불순물이 적게 함유된 백운모계 고령토질 도석으로 백색도가 높으며, 1200~1250℃에서 이상적으로 번조된다. 또한 굴취 및 분원 운송에 관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이 사료를 통해 확인된다. 양구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백자가 제작되었고, 백자 원료의 생산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곳이다. 양구의 려말선초 백자는 고려시대의 백자가 계승되어 조선시대의 백자로 연결되었음을 보여주어 한국 도자사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다. 앞으로 한국 도자사에서 양구 백자와 백토의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확립되기를 기대해본다. Yangu area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has been well-known as the producing center of white porcelains and the supply center of white clay for porcelain yards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since long times ago. Earliest records of governmental kiln sites (Bunwon) in Korean history are found in ‘local products (土産)’, a section of “Sejongsi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1432). Later, records about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Yangu area can be found in historical records published in the age of colonized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relevant articles about white clay (白土) - especially, excavation and quality of white clay, and resulting corrupt practices - are continuously mentioned in a variety of historical documents. While craftsmen who operated their kilns ashore in Gangjin area (Jeonnam Province, Korea) began to settle down in the interior of country due to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on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age of Goryeo dynasty, white porcelains began to be produced in Yangu area (Gangwon Province), a location of easy transport for raw materials, firewood and commodities by way of inland watercourse. Yangu was a place of ‘Yi Seong-gye Baekja’ produced in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and became also a producing center of tributary porcelains used at central government offices such as Insunbu, Gong-anbu, Yebinsi and Jangheungo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After governmental kiln sites were installed in 1467, some of porcelain craftsmen who worked in Yangu area were employed as craftsmen for those kiln sites, and Yangu area became later a crucial supply center to excavate and provide abundant amount of white clay used for governmental kiln sites. From then onward, kilns in Yangu area became changing in nature as producing center of porcelains demanded by regional customers, and this area worked as excavation site for raw materials supplied to kiln sites and also functioned as an experimental porcelain baking factory. On the other hand, Yangu’s white clay is composed of kaolin clay falling under white mica,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content of impurities, high white chromaticity and ideal baking at 1200 to 1250℃. In addition,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are evidences of many challenges in excavating white clay and transporting it to kiln sites. Yangu area has a long history as a producing center of white porcelains and has played a crucial role as a producing center of raw materials for white porcelains. White porcelains in Yangu area during transition period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demonstrate that white porcelains of Goryeo became handed over to those of Joseon. That is why Yangu is recognized as an indispensable target location of studies in Korean china and porcelain history.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formulated follow-up studies regarding this topic, so that academic theories on white porcelain and white clay in Yangu area will be well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a and porcelain.

      • KCI등재

        왜관요의 백토구청(求請)에 관한 연구

        권상인(Sang-in Kwon),이기주(Ki-joo Lee)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7 No.-

        본 연구는 대마번(藩)이 1639년 부산왜관에 사기번조 가마(窯)를 설치한 해로부터 1717년 폐쇄하기까지 80년 동안 사기를 번조하기 위한 각종 백토를 동래부에 구청하여 지급받은 사실에 관한 내용이다. 특히 1670년대부터 구청해온 사기토는 조선초기로부터 민간요에서 사발을 만들 때 사용했던 점토가 아니고 고령토질 백토에 집중되어 있었다. 필자는 왜관요에 지급된 백토의 수량이 지나치게 과다하였던 것에 주목하여 고찰한 결과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진 역사적 내용과는 달리 대마번이 왜관 안에 번조 가마를 만든 것은 차완번조를 빙자하여 우수한 조선산 백토를 일본으로 가져가기위한 수단으로 파악하였다. 양질의 조선백토가 왜관에 대량으로 들어간 17세기후반은 큐슈 이마리(伊万里)주변지역의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를 바탕으로 한 채색자기가 유럽으로 수출되던 최성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구청백토수량에 관한 일본기록은 전무함으로 조선기록인『사기번조유초』『왜인구청등록』의 원전기록을 재해석하므로 이상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당시 왜관요의 시설규모 및 운영상황, 왜관요 출토 도자기파편을 분석한 결과 왜관요에 지급된 대부분의 백토는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사실을 논술한 내용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fact that Tsushima built pottery kilns in Waekwan, Busan in 1639 and then requested Dongnaebu to offer a variety of porcelain clay needed to burn the pottery for about 80 years until closing the Waekwan kilns in 1717. The amount of porcelain clay requested was relatively small from the time of making kilns to the 1660s. However, the amount showed a severalfold increase from the 1670s. Especially since the 1670s, the ceramic clay requested was mainly white porcelain clay with kaolin ingredients.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white porcelain clay was sent to Waekwan was excessively huge. As a result, unlike the historical facts known so far, the reason why the Tsushima intended to make pottery kilns in Waekwan seems to use excellent Joseon white porcelain clay on the excuse of making Chawan. The late 17th century was the golden age of the coloring porcelain produced in kilns around Imari, Kyushu and exported to Europ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huge amount of high-quality white clay of Joseon was sent to Waekwan. There was no Japanese record on the over-requested white porcelain at that time. We found these new facts by reinterpret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s of 『WaeinGucheongDungrock(倭人求請謄錄)』and 『SagiBunjoYucho(沙器燔造類抄)』. We also found that most of white clay was sent to Japan through Waekwanyo. This is supported by the analyses about the scale of facilities, operational situation of Waekwanyo, and ceramic fragments excavated from Waekwanyo.

      • KCI등재

        양구(楊口) 백자(白瓷)와 백토(白土)의 역사성과 문화자원으로서의 미래 가치

        박정민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3

        백자는 조선 시대 도자문화의 중심이며, 국초부터 왕실과 중앙 관청을 중심으로 활용되었다. 강원도 양구는 지역에서 만든 여러 명문백자들을 통해 15세기 전반에 조선 왕실과 중앙 관청을 위한 백자를 제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곳이다. 또한 양구는 조선 시대 관요 성립 이후 중요한 백토 공급지 역할을 수행한 곳이다. 양구 백토는 백색도가 높고 성형력이 뛰어난 원료로 관요 백자 제작에 장기간 중요한 원료로 사용됐다. 이러한 양구 백자와 백토의 역사성은 조선 시대 백자문화에서 양구의 위상을파악할 수 있는 근거다. 동시에 양구가 가진 백자 및 백토 관련 특징은 미래에 그 가치를 더욱 드러낼 수 있는 문화요소이다. 특히 양구 백토는 광물자원으로단순하게 상업화할 자원이 아니라 조선 시대 백자문화의 전통과 연계하여 지속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자원이다. White porcelain was the core factor of ceramic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as mainly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central government offi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Gangwon-do Yanggu was an important white porcelain production p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addition, Yanggu was a significant area that supplied raw materials to the royal kil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Yanggu white porcelain and white clay show the status of Yanggu white clay in the history of white porcel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Yanggu white clay is not a resource to be commercialized simply as a mineral resource, but an important cultural resource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dition of white porcelain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사옹원 분원의 백토 수급지 연구

        이미숙 한국도자학회 2010 한국도자학연구 Vol.6 No.2

        The Study to White Clay Supplying Site of Sa'ongwon Branch From Koryeo Dynasty to Chosun Dynasty, ceramic wares were paid a tribute to the central government as a local products. However, as the demands of ceramic wares which were needed to Royal family of Chosun Dynasty getting increased, the branch of Sa'ongwon which could manufacture ceramic wares supervised and managed by headquarter was installed to Gwangju, Gyeonggi-do. Gwanyo which was the branch of Sa'ongwon manufactured ceramic wares under supervision of 29 managers including Dojejo(도제조) who were chief supervisor and under the system with 1140 ceramic ware masters. The reason that Gwanyo which was the branch of Sa'ongwon was installed to Gwangju, Gyeonggi-do was because it was so close to the headquarter geographically and quality white clay was produced. Also, this site was located to the position where Namhan river and Bukhan river were met, and therefore the delivery of raw material for ceramic wares through waterway was convenient and it was also convenient to deliver manufactured ceramic wares to Hanyang where Royal family resided through Han river. However, Gwangju was a quality white clay producing site but the amounts of white clay which were produced at this site were insufficient to manufacture Gwanyo offering ceramic wares. According to [Yukjeon Regulations(六典條例)], the amounts of white clay supplying to the branch per year were 2,095 Seok, and quality white clay which were produced from Sahyeon, Yanggeun, Seoncheon, Jinju, Yanggu, Gonyang, and Gyeongju were delivered to the branch of Sa'ongwon in Gwangju through waterway.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도자기는 지방의 토산물로서 중앙에 공납되었다. 그러나 조선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도자기의 수요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사옹원 본원에서 관리 감독하여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는 분원이 경기도 광주에 설치되기에 이른다. 사옹원 분원인 관요에서는 최고 책임자인 都提調를 비롯한 29명의 관리자의 감독아래 1,140명의 도자기 장인이 分三番立役制의 체제에서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경기도 광주에 사옹원 분원인 관요가 설치된 것은 지리적으로 사옹원 본원에서 가깝고 양질의 백토가 산출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수로를 통한 도자기원료의 운반이 용이하며, 만들어진 도자기도 한강을 이용해 왕실이 있는 한양으로 운반하기 편리했다. 그러나 경기도 광주에서 백토가 생산되기는 하지만 그곳에서 산출되는 백토로는 관요 진상자기를 제작하기에는 부족한 양이었다. 『六典條例』에 의하면 1년에 분원에 공납되는 백토의 양은 2,095石이다. 廣州를 비롯한 沙峴․陽根․宣川․晉州․楊口․昆陽․慶州 등지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백토가 수로를 이용하여 광주의 사옹원 분원으로 운반되어 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