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의 예술성 발달단계에 관한 일 연구

        유혜경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6 No.2

        이제까지 무용의 발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신체 발달에 기준하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무용도 예술이니만큼 무용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성의 발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 예술 분야의 실증적 연구를 기초로 한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를 무용에 적용하여 무용도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Hargreaves와 Galton은 예술성 발달 연구에 있어 서 각 예술분야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과 함께 연령 단계별로 예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상징의 공통적 특성으로서 ‘예술적 인지 발달(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s)’을 제 예술 분야와의 상호 관련 하에서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8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무용 발달에 관련된 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무용의 연령 단계별로 고유한 상징적 사고 양식,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상징 양식으로서의 예술적인지,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타 예술 분야와 같이 전상징기(0~2세), 형상기(2~5세), 도식기(5~8세), 규칙체계기(8~15세), 후인지기(15세 이상)에 걸쳐 무용 고유의 연령 단계별 발달 사항이 존재하였으며, 아울러 ‘예술적인지’에 있어서는 단계별로 타 예술 분야와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다. 타 예술 분야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0~8세까지 무용과 음악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규칙체계기(8~15세)에 해당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를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후인지기(15세 이후)의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과 같은 공통적 특징은 무용과 타 예술 분야의 관련성을 암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Hargreaves와 Galton의 예술성 발달단계는 무용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무용 역시 예술성을 중심으로 한발달단계의 구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무용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예술성 발달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licate Hargreaves and Galton’s ‘artistic development’ to dance development bringing the artistic quality in dance into focus. Hargreaves and Galton’s artistic development theory is composed of five phases; presymbolic phase(age 0~2), figural phase(age 2~5), schematic phase(age 5~8), rule system phase(age 8~15), metacognitive phase(age 15~). Each phase describes domain specific developments and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refers to general symbolic developments based on research evidence in music, fine arts, writing, and etc). Various literature related to dance development were reviewed according to five phases, and each phase was described in terms of dance-specific developments,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to music and fine arts. As a result, it was found Hargreaves and Galton’s five phases of artistic development were applicable to dance development on the whole.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 및 발달기제 연구

        곽미선,조영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g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caree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find the central task,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f each development stage. To this end, nine career teachers who had about 10 years of experience as career teachers and were recommended to have expertise in fellow teachers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ages of development process of career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divided into five stages: 「Exploration Stage」, 「Preparation Stage」, 「Adaptation Stage」, 「Achievement Stage」 and 「Contribution Stag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 stage, in the 「Exploration Stage」, ‘decision to switch to a career teacher’ was the central task,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limitations of subject teacher’s job’ were motivations and ‘active interest in career education’ appeared as the learning strategy. In the 「Preparation Stage」, ‘expectation for the role of a career teacher and strengthening basic skills’ was the central task, ‘change in perspectives on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was motivation and ‘proactive learning’ and ‘network formation with fellow career teachers’ appeared as the learning strategies. In the 「Adaptation Stage」, ‘adaptation to the new role and environment by trial and error’ was the central task, ‘change students' attitudes and eyes’ and ‘passion and energy of fellow career teachers’ were motivations and ‘challenge in new experiences’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appeared as the learning strategies. In the 「Achievement Stage」, ‘building my own identity as a career teacher’ was the central task, ‘recognition of reward and existence value for the role of career teacher’ and ‘intern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value’ were motivations and ‘continuous self-development’ and ‘expansion and accumulation of experience’ appeared as the learning strategies. In the 「Contribution Stag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was the central task, ‘a sense of mission to revitalize career education’ was moti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and ‘sharing and spreading accumulated experiences’ appeared as the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areer teacher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진로전담교사들이 진로전담교사로 전환하기 전 단계부터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로 거듭난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전문성 발달과정을 겪고 있는지 전문성 발달단계를 확인하고, 발달단계별 중심과제, 동인, 학습전략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전담교사로서 10년 정도의 경력을 보유하고, 주변 동료교사에게 전문성이 있다고 추천받은 9명의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중요사건기법을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는 「탐색단계」, 「준비단계」, 「적응단계」, 「성취단계」, 「기여단계」 총 5단계로 구분되었다. 각 발달단계별 특성을 살펴보면 「탐색단계」에서는 ‘진로전담교사로 전환 결정’이 중심과제였으며 ‘학생 중심의 교육’, ‘기존 교과의 한계 인식’이 동인이 되었고, ‘진로교육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학습전략으로 나타났다. 「준비단계」에서는 부전공 연수를 통해 ‘진로전담교사 역할 기대 및 기본기 다지기’가 중심과제였으며, ‘자신,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동인이 되었고, ‘주도적 학습’, ‘동료 진로전담교사와의 네트워크 형성’의 학습전략을 통해 진로전담교사로서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진로전담교사로서의 기본기를 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단계」에서는 ‘시행착오를 통한 새로운 역할 및 환경 적응’이 중심과제였으며, ‘학생들의 태도와 눈빛 변화’, ‘동료 진로전담교사들의 열정과 에너지’가 동인이 되었고, ‘새로운 경험 도전’, ‘다른 부서와의 협업’의 학습전략을 통해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취단계」에서는 ‘진로전담교사로서 나만의 정체성 구축’이 중심과제였으며, ‘진로전담교사 역할에 대한 보람과 존재가치 인정’, ‘진로교육 가치의 내면화’가 동인이 되었고, ‘끊임없는 자기계발’, ‘경험의 확장과 축적’을 학습전략으로 숙련가로 성장하였다. 「기여단계」에서는 ‘진로교육 발전 기여’가 중심과제였으며, ‘진로교육 활성화에 대한 사명의식’이 동인이 되었으며 ‘진로교육 정책 및 제도에 적극 참여’, ‘축적된 경험의 공유와 확산’을 학습전략으로 진로전담교사 전문가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복잡계이론 관점에서 본 축구재능발달 단계

        강지훈 ( Ji-hun Kang ),윤영길 ( Young-kil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1

        [목적] 본 연구는 복잡계이론을 토대로 축구재능발달 단계를 해석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복잡계이론을 주제로 한 연구를 대상으로 복잡계이론의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K리그 선수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을 진행하였다. 축구재능발달의 초기코드와 잠재주제, 복잡계이론의 구성개념과 잠재주제는 은유적 분석으로 해석하였다. [결과] 문헌연구 결과 복잡계이론의 분석 틀은 환경복잡성, 환류구조, 자기조직성, 임계조건, 창발현상으로 구성되었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축구재능발달 단계를 해석하여 축구재능발달 단계를 잠재된재능, 수월성기반재능계발, 축구화된재능, 축구재능도약, 축구재능자기화 단계로 구획하였다. 구체적으로 잠재된재능 단계는 신체조건, 신체활동 선호와 환경변화로, 수월성기반재능계발 단계는 기술숙달, 축구생각과 주요타자와의 관계로, 축구화된재능 단계는 기술분화, 축구몰입과 성장경험으로, 축구재능도약 단계는 위기극복경험, 비계환경과 경기력 도약으로, 축구재능자기화 단계는 경기력 자기화의 발현, 경기력 진화와 컨디션 자기조절로 구체화하였다. [결론] 복잡계이론을 토대로 해석한 축구재능발달 단계는 잠재된재능 단계, 수월성기반 재능계발 단계, 축구화된재능 단계, 축구재능도약 단계, 축구재능자기화 단계로 구분된다. 본 연구가 축구재능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축구재능발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interpreting the football talent development stages based on complexity theory.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garding complexity theory revealed the features of complexity theory and five football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K-league were interviewed. Gather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thematic analysis. Initial codes and potential themes of football talent development stages, the conception and potential themes of the complexity theory were interpreted by metaphorical analysis. [Results]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were as follows: analysis frame of complexity theory were organized environment of complexity, feedback structure, self-organization, critical condition and emergent phenomenon. The football talent development stages, interpreted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ere divided into Potential Talents, Excellence based Talents Development, Footballizational Talents, Football to Takeoff and Personalization of Football Talents. The stages were specifically materialized as follows: Potential Talents was materialized into physical condition, physical activity preference and change of environment. Excellence based Talent Development was materialized into skill mastery, thoughts about football and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Footballizational Talents was materilized into skill fractionation, football flow and growth experience. Football to Takeoff was materialized into overcoming crisis experience, performance scaffolding and performance takeoff. Personalization of Football Talents was materialized into manifestation of performance personalization, performance evolution, condition maintenance. [Conclusions] Football talent development stages, interpreted by means of complexity theory, were divided into Potential Talents stage, Excellence based Talent Development stage, Footballizational Talents stage, Football to Takeoff stage and Personalization of Football Talents stage. Utilization of this study as a fundamental resource of football talents development programs and as a means to understanding football talents development is looked forward to.

      • KCI등재후보

        미술성 발달단계: 상징적 사고양식을 중심으로

        유혜경 ( Hye Kyung Yo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미술성 발달단계별 제 특징을 규명하여 미술교육의 기초를 구축하는데 그 뜻을 두고 있다. 이에 먼저 제 관점의 고찰을 통해 미술성 발달의 핵심이 되는 요인을 규명해내고, 당 요인의 질적 변환 또는 차이에 따라 발달단계를 설정한 후, 이 발달단계에 준해 단계별 제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술성 발달의 중심이 되는 요인은 인지적 요인인 상징적 사고양식으로 밝혀졌고, 상징적 사고양식의 변환에 따른 단계는 0~2세, 2~5세, 5~8세, 8~15세, 15세 이후와 같이 설정되었으며,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0~2세 사이의 유아는 상징체계가 아직 발달하지 않은 시기이므로 미술에 있어서도 특정한 상징적 사고양식이라 할 만한 것을 찾아볼 수 없다. 2~5세경에는``지적 사실주의``가 나타나고, 상징의 발달이 급속히 일어나며 총체적·개략적 개념을 사용한다. 5~8세경에는 아동에 있어서 누적된 사물에 대한 지각 경험이 특정 개념들을 형성하게 된 결과 그들의 그림은 도식적이 되며, 표현이나 묘사에 있어서 사실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발현된다. 8~15세경의 청소년은 주위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자신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의 규칙체계를 숙지하고 나아가 당 문화권의 관습적 양식의 사용에 숙달된다. 객관적·사실적 묘사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15세경 이상으로 미술을 계속해 온 청소년의 경우에는 미술적 관습에 대해 성숙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문화나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관점을 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예술에 대한 가치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전통적 시각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는 자율적인 관점으로도 볼 수 있게 됨으로서 미술성 발달의 가장 상위 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림으로부터 멀어지는 청소년이 많다. 상기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상징적 사고양식이라는 인지적 요인을 중심으로 했지만, 향후 미술성 발달 관련 연구는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까지 포함하여 다룰 것,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될 필요성, 그리고 더 중요한 것으로 미술성 발달에는 연속적·순차적 발달만이 아닌 비연속적 측면도 있음을 유념하여 아동이 세상을 접하는 순수한 지각양식을 보존하고 격려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비고츠키 고등정신기능 발달의 단계와 법칙에 관한 고찰 및 교육적 함의

        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4

        이 연구는 비고츠키의 문화역사적 이론에서 제시하는 고등정신기능 발달의 ‘단계’와 ‘법칙’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그동안 국내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온 비고츠키의 발달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러한 개념이 교육실천을 위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주류심리학은 독립적인 심리기능을 개인의 현재 발달수준에서 측정하여 다른 독립적인 심리기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관심을 갖는 반면, 심리기능의 발생기원과 상호기능체계의 변화과정에 대한 탐구는 비고츠키 심리학연구의 핵심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이 진행되어온 과거의 경로와 현재의 발달수준뿐만 아니라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가능한 잠재적 발달노선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이 비고츠키가 이야기하는 근접발달영역(ZPD)이다. 이 연구는 먼저 비고츠키의 발달개념, 즉 심리기능의 자연적 단계에서 문화적 단계로, 사회적 단계에서 개인적 단계로, 그리고 자발적 단계에서 의식적 자각 단계로의 전환과 이러한 발달을 지배하는 네 가지 발달법칙(매개, 사회발생, 내면화, 지성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그동안 교육 현장에의 적용과정에서 확대 해석되어 온 ZPD 개념을 재고찰하고, 역동적 심리기능 구조의 ‘발현적’ 속성을 강조하는 ZPD의 본래적 의미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고츠키의 발달법칙에 기초하여, 정신의 도구인 ‘단어의미’를 통해 새로운 개념과 아이디어 생성을 도모하는 개념학습, 기호활동의 개별화 및 차이 생성으로 특성화되는 개성화교육, 그리고 자율적인 인간의 형성을 도모하는 지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notions of the stage and law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functioning as suggested by Vygotsky s cultural-historical theory,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ose concepts. While today s mainstream psychology is interested in measuring independent psychological traits at the individual s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and finding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psychological traits, the genesis and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interfunctional psychological systems are the central theme of Vygotsky s psychological stud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otential developmental paths which are assumed to exist for the future as well as the actual developmental trajectory. This is calle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This study, within the Vygotskian theoretical framework, examined the developmental transition from natural to cultural, from social to individual, and from spontaneous to voluntary forms of behavior, and discussed four developmental laws governing those transitional processes-mediation, sociogenesis, ingrowth, and intellectualization. This study also reexamined the concept of the ZPD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attempted to restore its original meaning, focusing on the ‘emerging’ structure of dynamic mental functions. Finally, it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ncept learning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transformation, and generation of ideas, education for personalization characterized as differentiation of sign-mediated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intellectualization which aims at promoting intellectual autonomy.

      • KCI등재

        콜버그의 도덕단계에 기초한 참여자 이해와 연극치료사의 발달 단계 연구

        정은선 ( Jung Eun Sun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6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6

        본고는 콜버그(Kohlberg)의 도덕 발달 단계 이론을 바탕으로 연극치료 참여자에 대한 이해와 연극치료사의 발달 단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Kohlberg의 도덕 철학에 바탕을 둔 도덕단계 이론은 연극치료사가 내적 기준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좋은 기준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도덕성의 성장을 `단계적 발달`로 보았다. 철학적, 심리학적, 교육적 연구와 사례검증을 통하여 인간의 도덕발달을 단계로 제시하여 강압적 논리의 교조주의와 무책임한 상대주의 사이에서 길을 헤매고 있는 현대 사회를 비판하고, 마땅히 가져야할 `인간에 대한 존엄`을 기초로 한 `판단 근거`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많은 경우 심리적 `환자`는 정상 또한 평범한 기준에서 벗어난 인식, 판단, 행동, 정서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개인의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부적응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엇이 `옳은 것`인가에 대한 판단의 단계적 성장을 획득하는 것은 참여자의 건강한 삶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참여자의 성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연극치료사가 참여자의 도덕 판단에 대한 수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연극치료 과정에서 치료사가 직면하게 되는 여타의 문제는 결국`인간의 문제`이므로,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상황의 복잡다단한 맥락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극치료에서도 고정된 `가치의 기준`, `행동 기준`보다는 다양한 치료 상황에 대한 유연하고 적절한 `판단 기준`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연극치료사의 자기 점검을 위하여 연극치료사의 발달단계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도덕 단계에서 참여자가 보이는 판단 오류의 기원과 성장 방향을 탐구하고, `판단 기준`을 바탕으로 연극치료사의 발달 단계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연극치료 작업에 대한 과정 안에서의 자체 평가와 연극치료사의 현재 역량을 점검하고 적절한 대안을 세우는 것, 나아가 치료사로서의 자기 전망을 세우고 실현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and development stages of drama therapists based on 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stages based on his moral philosophy provides drama therapists a great reference point to establish internal standards. According to Kohlberg,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can be structure as stages. Kohlberg criticizes modern society that wanders between dogmatism of coercive logic and irresponsible relativism through philosophical, psychological, educational research, and case studies. Furthermore, he suggests a growth direction of “judgement grounds” based o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In many cases, psychological “patients” have problems of perception, judgment, behavior, and emotion that are beyond ordinary or normality which causes social maladjust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within the individual. Therefore, obtaining the step-by-step growth of judgements about what is “right” can contribute to the healthy life of participant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participants, it is important that drama therapists understand the level of participants` moral judgement. Other problems drama therapists face during the process are in the end “human problems,” tangled with other factors which are in the context of complex and different situations alike. Therefore, flexible and appropriate “judgment criteria” is more important than fixed “value standards”, or “behavior standards” in drama therapy.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judgment criteria,” in turn, makes it essential for drama therapists to set a reference point of development stage for themselves as self-assessment. This thesis first investigates the origins and growth directions of judgment errors of participants of moral development. Secondly, it suggests the types of therapists` development stage based on the `judgement criteria`. This study can help self-evaluation within the drama therapy process and check the therapist`s current capability and formulate appropriate alternatives if needed. Moreover, this thesis can help establish and fulfill one`s prospects as a therapist.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김진경(Kim, Jinkyung),이정미(Lee, JungMi),신현주(Shin,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발달단계별 특성과 직무만족도의 증진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질 높은 보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 등의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연령, 학력,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연령 및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파워먼트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 전체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영향력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문수용단계, 능력구축단계, 열중·성장단계와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고, 안일안주단계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에도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와 직무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의사결정에는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전문성 신장에는 동료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이, 지위에는 능력구축단계와 직무자체가, 자기효능감에는 동료관계가, 자율성에는 동료관계가, 영향력에는 능력구축단계, 동료관계 및 직무자체 만족도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자율성에서 보육교사의 발달단계인 입문수용단계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was examined so that the resultant data could be provided so as to promote the characteristics by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s teachers, and eventually to effectively practice high-quality child 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career among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empowerment according to age and career. Second, the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ed tha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ntire empowerment and sub-factors of empowerment, the main effect and the interactive effect were significant. Third, their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attention·growth st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Their complacent settlement stag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empowerment indicated this: Their decision ma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itself;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ism by colleague relationship, job itself and working environment; their position by the competence building stage and job itself; their self-efficac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autonomy by colleague relationship; their influence by competence building stage, colleague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Meanwhile, the autonomy of child care teacher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ir development stage, which is the introductory acceptance stage.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신앙발달과정에 관한 근거론적 연구

        경선미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9 No.-

        본 연구는 근거 이론을 사용하여 탈북청소년의 남한 사회 진입 후의 신앙발달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의 신앙발달유형을 밝혀냄으로써 탈북청소년의 신앙적 성숙과 더불어 건강한 자아의 회복을 위한 단계별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탈북 당시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남한 사회에 진입한 탈북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한 이후 신앙의 깊이를 더해가지 못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이들의 신앙발달을 돕는 일은 한국 교회에 주어진 사명이다. 탈북청소년은 우리 미래사회 의 구성원으로서 특히 통일을 위한 중간지대이며, 통일 이후 남북 간 이질감 해결의 인력이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의 신앙발달을 돕는 일은 그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일이 될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연합의 중간지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다. 탈북청소년의 신앙발달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파울러(Fowler)의 신앙발달단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로서, ‘감정적 신앙체험 유형’, ‘습관적 종교 생활 유형’, ‘성숙한 신앙 정서 유형’, ‘개방적 상호의존 유형’의 네 가지 신앙발달유형이 도출되었다. By using grounded theory, this study proposes a step-by-step curriculum for North Korean defectors’ faith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hristian spiritual development after entering South Korean society and uncovering their developmental patterns. At the time of defectio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n identity as Christians, but often remain unconstitutionalized by their faith. They are members of our future society, especially those who will serve as a bridge for the unified generation as well as a resource to resolve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 after unification. Helping North Korean adolescents to develop Christian spirituality not only helps them restore healthy self-identity, but also grow into positive influencer to unified society.

      • KCI등재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이은경 ( Eun Kyung Lee ),홍양자 ( Yang Ja Hong ),정복자 ( Bok Ja J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 및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7세의 발달장애유아 20명으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동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GMD II(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3회의 비디오 촬영과 특수체육전문가의 매회 관찰지이다.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12개월 간의 사전 연구활동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것으로 24주 동안 60분씩 24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근운동기술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종속 t-검증(paried t-test)을 실시했고,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단계별 특성분석은 Gallahue와 Ozmun(2002)이 제시한 운동발달단계를 기준으로 3회의 비디오 촬영과 3명의 특수체육전문가가 매회 지속적으로 체크한 관찰지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이동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동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이동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물체조작운동기술의 6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치기(p<.01), 제자리 튀기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 던지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물체조작 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ptual - 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provide effective data on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by motor development stages.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t the age of 4-7 years,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instrumentation, 12 items of TGMD II (6 items from each locomotion and object manipulation domai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video footage (3 times) by 3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observations records were utilized. The perpe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experiments for 12 months were performed 60 minutes, 24 times per week. To see the pre and post results of gross-motor skills, a series of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a critical value of α = .05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tor development stages suggested by Gallahue and Ozmun(2002),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footage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locomotive movement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as running(p<.001), galloping(p<.001), hopping (p<.001), leaping(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ing(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in 6 area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econd,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tatisticall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 as two-hand strike(p<.01), stationary bounce(p<.05), catching(p<.001), kicking(p<.001), overhand throw(p<.001) and underhand roll(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were observed in 6 area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전문적 협력의 효과: 교사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박효원,송효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이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협력 활동 참여와 직무만족도 사이의 관계가 교직 발달단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 발달단계에 따라 교사의 특성이 다르다는 이론적 검토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를 교직 경력별로 적응단계(5년 미만), 성장/발달단계(5년 이상~20년 미만), 숙련단계(20년 이상)로 나누어 각 발달단계에서 전문적 협력 활동에의 참여와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조사 및 발표하는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연구(TALIS)’의 제3차 조사(2018년) 자료 중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 2,6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도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직업환경만족도’와 ‘교직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 발달단계별로 서로 다른 효과가 관찰되었다. 먼저, 적응단계 교사들의 경우 전문적 협력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직업환경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성장/발달단계 교사들은 두 가지 직무만족도 모두 전문적 협력 활동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면, 숙련단계 교사에게서는 두 가지 직무만족도 모두 전문적 협력 활동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그 긍정적 효과성과 함의가 논의되고 있는 교사의 전문적 협력 활동에 대해 면밀히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전문적 협력 활동이 지닌 이론적 함의와 그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협력 활동 실천이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전문적 협력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들이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