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 설계 및 구현

        여지민(Jimin Yeo),박대원(Daewon Park),박수현(Suhyu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2

        본 논문은 '바다지도' 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기반의 응용시스템을 위한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은 응용시스템에서 '바다지도' 데이터를 시스템의 내부 자료 구조 및 형식으로 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관된 형식으로 '바다지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공한다.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설계는 '바다지도' 데이터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하였다. 국제수로기구의 S-57 전자해도 표준의 데이터 형식과 '바다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 표준에 따른 전자해도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표준인 S-52 표준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바다지도' 데이터를 위한 자료구조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배포형식의 '바다지도' 데이터 셋을 해도 응용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바다지도' 데이터를 파싱하여 객체를 중심으로 정의한 자료구조로 변환하는 입력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테스트를 위해 '바다지도' 뷰어를 구현하여, 입력 모듈을 테스트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Map' importer module which is for map-based application using 'SeaMap' data. 'SeaMap' data importer is a module that reads 'SeaMap' data in consistent form and offers using easily change the format and the internal data structure in the application. Design of data importer module is based on analyzing characteristic of 'SeaMap'.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ata type of 'SeaMap' and standard S-57 Electronic Navigation Chart (ENC) of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 based on this, to be applicable of S-52 standards 'SeaMap' data is defined as a structure of data. The importer module is designed and converted to allow to use distribution type of 'SeaMap' data sets in map application, parsing 'SeaMap' data around the object defining transformation data structure. In addition, we implemented a 'SeaMap' data viewer in order to test our 'SeaMap' data importer module.

      • KCI등재

        고전소설 속 바다 형상과 근대적 변모

        이승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7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sea in Korean classical novels are transformed in the era of modernization, and what its meaning is. First, I divided the image of the sea in classical novel into four parts. Basically, the sea of ​​classical novels has been shaped in imagination, rather than being depicted as a specific life scene. As a result, the sea was portrayed as a space of suffering, a space of fantasy and mystery, and an alternative space, only Choi Cheok-jeon depicted the sea as a result of a more concrete experience. In common, the sea was recognized as a space separating the place from here, or a passage for going there. However, the setting that a new world is opened beyond the sea, and the fantasy space is existed under the sea in Korean classic novel is remarkable. It paradoxically reveals the contradictions and fetters of the real world and suggests a way to solve it. In early modern era novels,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ea begin to be seen. Yeoyeong-woong borrowed the form of the hero novel, but widened the action radius of the hero to the distant sea. The Sea of ​​the Seohae-pungpa was not a path of movement but an object of exploration and exploration in itself. The sea of ​​Heosaengjeon is projected to dream of civilization world construction. Now the sea is no longer a barrier between this world and the world, and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lassical novel. Rather, it is necessary to notice that the world is connec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e sea, and the movement area of ​​the character is expanded and its movement is strengthened in the novel. 본고는 고전소설 속 바다에 대한 체험과 인식이 근대전환기라는 시대적 현실 속에서 어떻게 변모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고전소설에 나타난 바다의 형상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기본적으로 고전소설의 바다는 구체적인 생활의 현장으로 그려지기보다는 상상 속에서 그 형상이 주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바다는 고난의 공간, 환상과 신비의 공간, 대안적 공간으로 묘사되었으며, <최척전>과 같은 작품은 보다 구체적인 체험의 결과물로 바다를 그려내고 있었다. 공통적으로 바다는 이곳과 저곳을 분리하는 격절의 공간이거나, 저곳으로 가기 위한 통로 정도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고전소설 속에서 바다를 넘어서 새로운 세계를 열거나, 바다 속에 환상의 공간이 있다는 소설의 설정은 주목할 만한 바다. 그것은 현실세계의 모순이나 질곡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며, 해결을 위한 한 방법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근대전환기 소설에는 바다에 대한 다른 인식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여영웅>은 영웅소설의 형식을 차용하되, 주인공의 행동반경을 먼 바다로 넓혔다. <서해풍파>의 바다는 이동의 통로가 아니라, 그 자체로 탐험과 탐색의 대상이 되었다. <허생전>의 바다는 문명 세계 건설에의 꿈이 투영되어 있다. 이제 바다는 더 이상 이 세계와 저 세계 사이에 놓인 격절의 장벽이 아니라는 점에서 고전소설의 그것과는 변별된다. 오히려 바다를 통해 세계는 종횡으로 연결되고, 등장인물의 운동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그 운동성이 강화된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나타난 바다의 용

        변지선(Byun, Ji-Su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이 연구의 목적은 『삼국유사』 ‘기이(奇異)’ 편 <만파식적>에 나타나는 바다의 용의 양상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바다에서 신라를 지키는 용’, ‘바다에서 온 사자로서의 용’, ‘바다에서 제작된 옥대인 용’으로 나타났다.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유언대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또한, 문무왕은 사자인 용을 신문왕에게 보내어 흑옥대와 대나무를 전달했다. 문무왕은 유언대로 죽어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문무왕의 사자인 용은 신문왕과 함께 앉아 대나무의 갈라짐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에 대해 이야기했다. 문무왕과 김춘추의 선물인 흑옥대는 그 자체로 용이었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원래 바다에 존재하고 있으면서 끊임없이 육지 즉, 신라와 관계를 맺고 있다. 문무왕의 환생인 용은 호국해룡으로서 동해의 대왕암(문무대왕릉)에 존재하면서 사자를 감은사 바닷가로 보내 신문왕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를 전했고 감은사와 연결된 수로를 통해 감은사의 금당에서 불법을 듣기도 했다. 사자인 용은 문무대왕릉과 감은사 사이에 존재하면서 문무왕의 가르침을 전했다. 바다에서 만들어져 신문왕에게 전해진 흑옥대는 그 자체로 살아있는 용이면서 신문왕의 허리에 착용되어 신성한 왕권을 눈앞에 보여주었다. 이처럼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용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를 넘는 용이며 세상을 다스리는 이치를 알려주는 용이고 신성한 왕권을 상징하고 눈앞에 보여주는 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확장하여 『삼국유사』 ‘기이’편의 여러 이야기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한다면 신라인의 바다의 용에 대한 인식과 신라인에게 바다의 의미는 어떠했는지를 종합적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ocum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a’s dragon, the chapter ‘Kiyi(紀異)’ -<Manpasikjeok(萬波息笛)>in Samgukyusa(三國遺事). The dragons of sea’s dragon in <Manpasikjeok> appeared as ‘a dragon that protects Silla from the sea’, ‘a dragon as a messenger from the sea’, and ‘a dragon made in the sea. King Munmu, who unified the three kingdoms,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nearby Silla) and protected Silla according to his will. In addition, King Munmu sent a messnger, a dragon, to King Sinmun to deliver black jade and bamboo. King Munmu died according to his will and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 to protect Silla. The dragon, the messenger of King Munmu, sat with King Sinmun and talked about the means of bamboo and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The Black jade belt, a gift from King Munmu and Kim Chun-chu. That consisted of several dragons.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Manpasikjeok> originally exists in the sea and is constantly in a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live in Slla, that is, Silla. The dragon, the reincarnation of King Munmu, existed in Daewangam (the tomb of King Munmu) in the East Sea as a sea dragon, and sent messengers to the seaside of Gaunsa to convey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with King Sinmun. The messenger is the dragon, was present between the tomb of King Munmu and Gaunsa Temple and conveyed the teachings of King Munmu. The black jade belt, which was made in the sea and passed on to King Sinmun, is itself a living dragon and was worn on the waist of King Sinmun, demonstrating the divine power of the king. As such, the dragon appearing in <Manpasikjeok> can be said to be a dragon tha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ea and the land, a dragon that informs the laws of governing the world, and a dragon that symbolizes and shows the divine power. If we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various stories in the “Samguk Yusa” and ‘KIii’ section, we can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Kiyi(紀異)’ section of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by making games based on the contents of <Manpasikjeok>, it will be possible to be reborn as a living story by realizing the space and ‘dragon of the sea’ in the ‘Metaverse’.

      • KCI등재

        시인과 바다

        오문석(Oh, Moon-Seok)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전통적으로 인공과 자연이 대립하지 않는 상태를 물아일체라고 했다. 이때의 자연은 전혀 낯설거나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인간에게 동화된 존재인 것이다. 물아일체의 전략은 인간이 자연을 지배할 수 없을 때 자연에 복종하면서 지배한다는 샤머니즘의 전략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다에 대해서는 물아일체의 샤머니즘적 전략이 적용되지 않는다. 바다에는 인간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깊이와 넓이가 있기 때문이다. 바다는 인간화되지 않는 자연이면서, 인간의 한계를 알려주는 자연이다. 바다 앞에서 인간은 자신의 한계와 마주하게 되며, 한계를 넘어서는 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작동시키게 된다. 고전 시가에서 바다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으며, 육지에 부속된 공간에 불과하다. 바다는 육지에서 분리될 수 없으며, 육지의 연장인 것이다. 그러므로 고전시가에서 바다는 독립된 공간으로 표상되지 않았다. 최남선에 이르러 바다는 드디어 육지에서 독립하여 육지에 대립하는 독자적인 목소리를 얻게 된다. 육지를 향해서 거칠게 밀려드는 파도는 육지의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두려운 대상이다. 바다는 편안하고 친숙한 일상을 뒤흔드는 낯설고 두려운 존재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두렵고 낯설고 익숙치 못한 대상을 향한 동일시의 시도가 발생한다. 익숙하지 않은 세계, 또 다른 세계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의 감정도 발생하게 된다. 친숙한 것들에 대한 물아일체의 경험에서 벗어나 낯선 세계에 대한 동경을 포함하는 수사학적 전략이 필요해졌다. 바다는 육지에서의 삶에 비해 정착을 허용하지 않는다. 바다를 향해서 개방된 항구에서는 누구나 외지인처럼 낯설다. 육지에서의 기억들 사이에 바다가 개입하여 기억은 파편화된다. 이렇게 바다가 시의 대상으로 부상하면서 바다를 취급하는 시의 형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Traditionally, a state of incompatibility between nature and the artificial is said to be a concordance. At this moment, nature is not a strange or feared existence, but a assimilated one. Assimilation strategy is also a strategy of shamanism to control nature while obedience to nature. But the strategy does not apply to the sea. Because there is a depth and breath in the sea that the human does not touch. Sea is the nature that is an unhumanized existence and tells us the limits of the human. In front of the sea, human face their limitations, and operate their imagination beyond their limits. In classical poems, the sea is not far away from the land, but only onshore. The sea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land, therefore it is an extension of land. Land-centric notions do not represent the sea as an independent space. At the poems of Choi Nam-seon, the sea finally gets its own voice, gaining independence from land. Rough waves towards land are intimidating and frightening to humans on land. The sea has become a strange and feared existence that shake the familiar routine. However, hamans try to assimilate to the scared and unfamiliar nature. There will also be nostalgia and longing for other worlds, which are unfamiliar to this world. And the sea does not allow settlement over life on land. Anyone who opens the mind toward the sea is unfamiliar to anyone else. Not only the sea collides with land, but also forms an independent world. The sea, independent of land, serves as a function of connecting disparate lands. This is an expression of the property of otherness inherent in the sea.

      • KCI등재

        바다의 기억, 기억의 바다

        최영호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0 에피스테메 Vol.- No.4

        인간을 인간일 수 있도록 하는 요소 중 하나는 기억이다. 그리고 바다는 바다와 무관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하지만 기억과 바다가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 있는지'를 말하기란 쉽지 않다. 각각의 형태가 너무 많고, 하나로 고정되지도 않고, 전혀 다른 형태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삶에 투영된 바다와 기억의 존재 양상에 대한 탐구이다. 「로빈슨 크루소」의 바다와 기억은 고립된 섬에 갇힌 존재의 생존과 직결되고, 시간이 흘러도 소멸되지 않는 근대사회로부터 학습된 것 이었다. 이 소설에는 근대자본주의가 빚어낸 폭력성과 억압의 이데올로기가 함축되어 있었다. 6천 년 전 제작된 울산의 ‘반구대 암각화'는 선사인들의 바다가 기억으로 재구성되고 이미지로 재해석된 경우이다. 「웨일라이더」에는 마오리족 출신의 여성작가 위티 이히마에라가 꿈꾸는 신화 속 바다와 인간의 약속, 인간과 고래가 공유한 기억과 공존의 삶으로 제시된다. 한편, 고전소설 「용궁부연록」의 바다는 환몽의 형태로 그려지며 현실계와 상상계를 잇는 다리로 작용한다. 셰익스피어의「태풍」과「배비장전」에는 변화무쌍한 바다를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강제하려는 인간의 무모함과 결부된 바다가 등장한다. 곽재구의 시는 인간의 몰상식성 때문에 빚어진 여인의 바다가 애절하게 노래되고 있다. 좀 더 비극적인 바다와 기억은 「손돌목」 전설이 전한다. 여기서는 사람의 목숨을 함부로 빼앗는 위정자들의 잘못된 인식과 폭력으로 나타나며, 그 억울한 영혼이 지금도 우리 곁에 살아있음으로 환기되고 있다. 「자산어보」에는 수산생물들에 이름을 부여하는 선비의 지식활동으로 나타나고, ‘제주바당'은 제주도 사람들이 한라산을 기준으로 바다의 위치를 어떻게 가늠하며 사는지를 들려준다. 특히, 연어의 신비로운 모천회귀 과정을 과학과 인문학적 사유로 재현한 고형렬 시인의 「은빛 물고기」는 하나의 생명체 속에 내재한 바다와 기억의 숭고성을 사려 깊게 보여준 예다. The Memory is one of the factors that make human beings human. And the sea affects people, even those who live lives unrelated to the s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how the sea and memory is ‘alive' to us. It is because things are various in form, they are not fixed in form, and are susceptible to change. This study examines the projection of the sea in our lives and the modality of memory in existence. The sea and memory in Robinson Crusoe are directly linked to survival in an isolated island, and are studied from modern society that is not annihilated through time. The oppression and violence born from modern capitalism is implied here. The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that were created six thousand years ago illustrates the sea in the Zen Masters' memories. In The Whale Rider, the Maurian female writer Witi Ihimaera writes about a mythical sea, the promise to humankind, and the memories that the whale and the human share as well as their coexistence. On another note, the classical novel Palace of Dragon King, the sea is illustrated as an empty dream that bridges reality and imaginary. The constantly changing sea in Shakespeare's The Tempest and the Korean Bae Be Jang Jun reveals people's imprudence as they coerce the sea into a political ideology. Gwak, Jae-Gu's poem sings of a woman's sea that is molded from humankinds ignorance. A more tragic form of sea and memory is portrayed in the legand Son Dul Mok. Here, the sea symbolizes the violence and mentality of politicians who take lives of others indiscriminately, and reminds us that their poor souls still remain with us today. Ja San Uh Bo describes the intellectual activities of the classical Korean scholars giving names to sea life, Jae Ju Ma Dang tells us how the people of Jae Ju calculate and map out the sea in relation to Mt. Halla. The salmons' mysterious journeys of mating and laying eggs in Hyung Ryul Ko's Silver Fish reveals a scientific and humanistic recount of the sublime beauty in the sea and memory within life in the sea.

      • KCI등재

        바다를 잠잠케 한 이적 이야기(막 4:35-41)에 나타난 새 출애굽 연구

        김선욱(Kim, Sun Wook)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2

        본 연구는 막 4:35-41에 나타난 바다를 잠잠케 한 예수의 이적 사건이 출애굽에서의 홍해 바다 승리 사건을 반영하고 있으며, 우주론적이고 종말론적인 측면에서 새 출애굽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바다에 대한 공간 이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애굽 군대에 쫓기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을 가로막고 있는 바다는 생명을 위협하는 장애물이었지만 하나님께서는 바다를 가르고 길을 내어 그들을 안전하게 인도하셨고 애굽의 군대를 바다에서 몰살시키셨다. 출애굽의 이 역사적 사건은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출 15장)에서부터 시편과 이사야에 이르기까지 우주론적이고 종말론적이 의미를 가지고 재해석되어왔다. 여기서 출애굽 이미지를 가진 바다는 이스라엘을 위협하는 혼돈의 세력으로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되었고, 하나님은 이 혼돈의 바다(the chaos-sea)를 파멸시킴으로서 자신의 우주적 주권(the universal sovereignty)을 확증시켜 보이셨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수께서는 혼돈의 세력인 바다를 꾸짖으시고 잠잠케 하심으로 제자들을 안전하게 구원하셨고, 이를 통해 자신이 ‘우주의 구원자이시며 주’(the universal Savior and Lord)되심을 드러내셨다. 필자는 이러한 해석을 도출하기 위해 사건의 일대일 대응을 연구하는 모형론적 방법론의 한계를 넘어서 본문상호관련성(intertextuality)이라는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홍해에서의 역사적 승리 사건을 포함하여 후대 구약 본문들이 이 사건을 어떻게 재해석했는가를 살펴보면서, 예수의 바다 이적 사건이 이러한 구약 본문들과 어떠한 상호 관련성 속에서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설명되어진다. 첫째는 출애굽 사건에서의 물리적 바다가 후대 구약 본문 속에서 어떻게 우주론적이며 종말론적인 차원에서 이해되어져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는 이것을 기초로 해서 예수가 사나운 바다를 잠잠케 하는 사건이 어떤 방식으로 우주론적이며 종말론적인 의의를 가지고 새 출애굽을 보여주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다의 공간 이해를 통해 어떻게 바다를 잠잠케 한 예수의 사역이 새 출애굽 의의를 함의하고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story of Jesus’ calming the stormy sea reflects the victory at the Red Sea in the exodus story and has the significance of the new exodus in the cosmological and eschatological aspects.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spatial analysis of the sea. The Red Sea was an obstacle to threaten the Israelites who were chased by the Egyptian army, but God parted the sea and made a way for the Israelites to cross it over while drowning the Egyptian army there. This historical event of the exodus had been reinterpreted from the song of Moses and Miriam (Exod 15) to Psalms and Isaiah with cosmological and eschatological implications. Here, the sea in the exodus imagery was regarded as the chaotic force in a cosmic dimension and God demonstrated his universal sovereignty by destroying the chaos-sea. Likewise, Jesus rebuked the sea as the chaotic force and calmed it down; the disciples were delivered safely by crossing over it. In this way, Jesus revealed himself as the universal Savior and Lord. For this interpretation, I used the approach of intertextuality which, I believe, may overcome the weakness of typological approach dealing with the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wo events. Intertextuality examines the Old Testament (OT) texts that includes not only the historical event of the victory at the Red Sea but also many and diverse reinterpretations of this event. On the basis of this investigation, I will demonstrate how these OT texts are related to the story of Jesus’ calming the roaring sea. In this way, the theme and significance of Jesus’ story may be discovered.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 will explore how the physical sea in the historical event of the victory at the Red Sea had been reinterpreted with cosmological and eschatological dimensions in the later OT texts. Second, I will investigate how Jesus’ calming the roaring sea disclose the meaning of the new exodus with the cosmological and eschatological significance, in which Jesus becomes the Savior of the people of God and the Lord of the universe. This study, therefore, will show how Jesus’ work of calming the sea has the significance of the new exodus on the basis of spatial analysis of the sea, demonstrating that Jesus is the universal Savior and Lord.

      • KCI등재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근대’의 세 표정

        조동구(Jo, Dong-Goo)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정지용과 임화,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바다 표상이 가진 근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바다는 1930년대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근대를 표상하고 있었으며, 시인들은 바다 표상을 통해 근대에 대한 이해와 대응 및 태도를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시인들의 일본유학과 바다체험을 살펴보았다. 시기와 기간 등이 각기 다르지만 일본 유학 당시 왕래했던 바다의 체험이 시에 고스란히 녹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 시인의 바다는 각각 무엇을 표상하는지 알아보았다. 바다가 표상하는 의미와 차이들을 살펴보면서 그 뒤에 깔린 시의식과 시대와 현실에 대한 태도의 차이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시대의 시인으로서 그들의 바다가 공유하는 공통점과 접점을 찾아보았다. 바다는 그들 모두에게 주어진 시대적 표상 이자 몸담고 있었던 현실의 다른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 시인의 바다 표상이 지닌 근대적 의미를 다음과 같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먼저 정지용의 경우에는 바다를 하나의 풍경으로 발견하면서 주체를 확립하고 객체에 대한 근대적 자각과 미적 근대성을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대와 현실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갖지 못한한계를 노출하였다. 반면에 임화에게 있어서 바다는 낭만적 전망과 성찰 의 역사적 공간으로서 중층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기약과 성취의 공간이자 민족의 객관적 현실의 공간, 그리고 자기 다짐과 깨달음의 자기성찰의 공간이기도 했다. 그리고 김기림의 경우에는 1930년대 말 시인의 내면풍경을 담는 자기반성의 공간이었다. 바다는 근대에 매혹되어 온 자신의 한계를 부끄러움으로 고백하는 장이었다. 이렇게 보았을 때 1930년대의 바다는 시인들이 몸담고 있는 당시의공통된 표상이었으며, 바다가 지닌 다양한 표상들이 모여 1930년대가 마주했던 근대의 총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sea in the poetry of the 1930s, focusing on the sea in Korean modern poetry, and especially how it relates to ‘modernity’ which was an important theme of 1930s poetry. The target poems are concerned with sea poems of Jeong Ji-Yong, Im Hwa, Kim Ki-rim from the late 1920s to the 1930s. The three poets have all in common that they have studied in Japan, and the sea in their poem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ea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studying in Jap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ems, the term ‘sea’ of Jeong Ji-Yong described the sea as an immediate space by pursuing a sensual image while removing emotions. Im Hwa described sea as a historical space of self-reflection, concentrating on the meaning of the times that the sea(Hyeonhaetan) possessed rather than sensuous feeling. Kim Ki-rim described the ocean in an urban sense at the beginning, but in the late 1930s He transformed the sea into a space of self-gaze in the times. All three poets were poets who wondered how to practice the value of modernity through the object of the sea in the times of the 1930s.

      • KCI등재

        이청준과 헤밍웨이의 바다 소재 작품 비교 연구 -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김민주(Kim, Min-Joo)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이 글은 한국문학과 미국문학의 대표적인 작품 각 한 편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작품이 서로 상이한 문화 및 문학적 환경 위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를 밝혔다. 그리하여 그것이 서로에게 어떤 시사점을 보여주는가를 확인함으로써 한미 비교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전례가 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문학의 경우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미국문학의 경우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그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두 작품의 이야기 구조를 분석하여 자기정체성의 형상과 자아성찰의 방식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교육소설적 형식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했다. 두 작품 모두 소설적 공간 환경에 있어 바다가 그 무대로 설정되면서 여러 상징적 의미들을 불러올 수 있었다. 정서적 분위기, 환경과 주제의 조응, 소설적 흐름에 대한 역할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바다의 이미지들은 등장인물이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사건과 관련하여, 그리고 바다의 의미 구조에 힘입어 그 내면세계를 성찰하는 방향성을 얻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가 가지고 있는 작품으로서의 공간적이며 시간적인 차이, 또 두 나라 문학이 가지고 있는 기반의 차이를 고려하고서도 그 비교 분석이 학술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 본 연구의 의도를 강화해 준다. 두 작품에서 바다라는 소재는 주제와의 관련성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당신들의 천국』에서 소록도라는 이야기 무대가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보면, 바다는 나환자들의 자유에의 갈망을 견인하는 동시에 바다로 둘러싸인 섬에 수용되어 있다는 정서적 억압을 상징한다. 『노인과 바다』에서는 인간이 넘어설 수 없는 힘을 가진 바다를 배경으로 인간의 투지가 불러올 수 있는 최대한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바다가 이중적 장치의 기능을 맡고 있다. 이처럼 두 소설에서 긍정과 부정의 측면이 함께 함으로써 소설 구성의 재미와 긴장감을 거두어들인다. 바다를 매개로 한 차별성에 있어서 『당신들의 천국』은 바다의 이미지를 이야기의 구성에 응용하고 있고, 『노인과 바다』는 바다와의 실제적인 싸움을 통해 의식의 심층을 발굴해 낸다. ‘내면의 단절화’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보면, 『당신들의 천국』은 눈앞에 주어진 환경이 비극적 단절을 암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어려운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내면으로 눈을 돌려 자기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아성찰의 단계를 거쳐 인식의 변화에 따른 문제 해결을 시도한다. 반면에 『노인과 바다』는 겉으로 드러난 결과보다는 과정 자체를 중요시하는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인식에서 해결방안을 찾는다. 그리하여 노인의 의지가 지속되고, 그 과정상의 힘이 마지막 허무의 결과를 넘어서는 자기정체성의 정립으로 나아간다. This study chose two of the novels from Korean and American literature respectivel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in their themes and character description. The main purpose is to examine the self-reflectional aspect in the two novels. The Korean novel The Heaven and the American novel The Old Man and the Sea are selected for the reason. The Heaven presents the 1980’s Korea depicting the main characters to strive for the freedom under the oppression. The leper colony, Sorok Island, is playing two different images in the novel; freedom from the outside world and the severance from the same. The Old Man and the Sea shows the 1950’s America based on the background of a port town and the sea. An old man lost everything in his profession, fishing, but did not lose only thing - the hope - in the process of catching a marlin. This study found out the two similarities in the two novels. First, the role of the sea played in the two works are compared in detail. Both of the sea has, intentionally, two comparative images: freedom and oppression. Secondly, in terms of the ‘internalization of severance,’ both works describes the main characters to look for hope in the extremely difficult situation. The core message is love and hope for the future in the end. The thought of nothingness in life also resides in the two novels; it helped the main characters to grow up while changing their perspective from negative to position. For these traits, the two novels could be included in the range of buildunsroman. They could assist younger generation to study different lessons in life such as the doubling image of nature, strong willingness in human, and mental effort to overcome life obstacles.

      • KCI등재

        전통과 근대의 바다 ― 한국과 중국의 20세기 전반기 바다 관련 시 고찰

        이시활(Lee, Si-Hwal)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0 No.-

        한중 양국의 전통시기 문화관에서는 세상에 재앙과 혼란을 가져오는 두려움의 대상, 죽음과 절망의 공간으로 바다를 인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항해시대 이후 서구에서는 바다를 생존의 바다, 미지의 넓은 세계로 나아가는 모험과 동경의 바다라고 인식하면서 바다중심의 근대문명을 태동시켰다. 최남선과 궈모뤄의 시에 보이는 바다는 전통시기 죽음의 바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적 계몽과 각성을 통해 변화된 살아 꿈틀거리는 생존과 부활의 바다로 문화적인 의미가 변이한다. 전통적 문화의 해체와 근대적 계몽으로서의 바다이다. 김기림과 쉬즈모는 모더니스트로서 바다를 모더니티의 심미적 대상으로 승화시켜 생동하는 이미지를 통해 바다에 대한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우울과 고독, 근대적 인간존재의 근원적 비애, 방황과 고민의 자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Focusing on literary images and notions of the sea in the works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poets, such as Choi Namseon, Guo Moruo, Kim Girim, and Xu Zhimo,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e from traditional to modern cultures and re-examines the value of modernity. It has often been suggested that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poetry takes root in cultural conflicts between external impact and internal reaction to modernity. Drawing on the notion of tradition against modernity,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how sea has traditionally been depicted i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and compares the traditional images with modern ones in term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econd, this study thematically reviews modernity in the works of Korean and Chinese poets. This discussion unfolds that for Choi Namseon and Guo Moruo, the sea represents an open space that both extends and leads to the new modern world. Finally, this study views the sea as an aesthetic object of modernity, discussing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ity. For this issue, I deal with Korean writers, Kim Girim and Chinese writers Xu Zhimo. It was Kim Girim and Xu Zhimo loosened modern Korean and Chinese poetry from its traditional enlightening meaning and granted it with the considerable pathos of human existence: the sea finally emerged as the aesthetic object of modernity in moder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While demonstrating the way in which modern Korean and Chinese poets employ sea images to review modernity, this project will contribute to re-mapping the overview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China.

      • KCI등재

        정지용의 「바다2」, 혼돈에서 질서로

        이수정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고는 「바다2」의 해석을 돕기 위해 알려지지 않은 문화적 배후를 탐색했다. 그 결과 구약성경의 창조신화와 고대 근동의 신화 “신들의 싸움” 모티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신화들에서 바다는 혼돈의 괴물이고 신은 투쟁 끝에 혼돈을 제압하고 질서를 부여하는데 이것이 곧 세계의 창조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면 「바다2」의 난해성은 쉽게 해소된다. 도마뱀떼는 용이나 뱀, 악어로 묘사되는 성경의 바다 괴물에서 왔고, 바다에 변죽을 두르고 해도를 만드는 것은 바다와 육지를 분리하고 세부적으로 조형하는 창조 작업이다. 변죽은 성경의 거대한 저수조 “놋바다”를 계승했고 해도는 성경에 나타난 창조의 측량적 성격을 집약한 표현이다. 창조가 완료된 바다는 지구의 일부로서 지구의 움직임에 종속된 운동성을 가진다. 이것이 바로 우리에게 익숙한 조석(潮汐)이라는 질서다. 따라서 「바다2」는 혼돈에서 질서로 바다에서 지구로 가는 창조의 여정을 담은 작품이다. 그러나 창조신화 자체가 「바다2」의 주제는 아니다. 「바다2」는 시 창작 과정의 알레고리로 창조신화를 차용했고 극단적인 축소 지향을 통해 신의 창조와 차별을 두었다. 「바다2」를 시 창작 과정으로 볼 때 바다는 무질서하고 미분화된 시의 질료이며, 변죽은 카오스에 형상을 부여하는 시의 언어다. 변죽을 두르는 것이 시상을 잡는 단계라면 정밀한 해도를 만드는 것은 본격적으로 시를 쓰는 과정이다. 손을 떼었다가 다시 받쳐드는 것은 창작의 종료와 감상과 평가의 시작을 가리킨다. 완성된 지구/바다의 조화로운 운동성은 상상과 감동의 여지, 해석의 다양성과 관계될 것이며, 이러한 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변죽(언어)은 연잎 같은 유연성과 신축성을 지녀야 한다. 「바다2」는 『정지용시집』 출간기념시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정지용시집』과 관계가 깊다. 『정지용시집』과 연결 지어 해석한다면 들어 올려진 바다, 지구는 바로 새로 출간되는 『정지용시집』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