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오창은(Oh, Chang-eun)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국립근대문학관이 ‘시간을 기억하는 체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고려해야 한다. 국립 근대문학관이 ‘자료의 보존’과 ‘자료의 향유’가 동시에 이뤄지는 곳이다. 국립근대문학관은 △ 근대문학유산 보존 및 향유 △ 근대문학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 한국근대문학 연구와 대중화 △ 문학생산을 위한 창조의 장 △ 문학교육의 공간이라는 5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근대문학 유산이 보존되면서도 2) 그 보존 방식이 밀폐된 장소에 격리된 상태로 전시되는 것이 아니라, 대중적으로 친숙하게 향유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안될 수 있다. 더불어 3) 활력 넘치는 생활문화 공간 4) 문학유산의 재생산의 토대가 되도록 다른 장르와 융복합하는 예술생산공간 5) ‘과거를 현대화하는 디지털문학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국립근대문학관의 복합공간적 성격과 관련해 미국 텍사스 대학의 메건 윈젯(Megan Winget)이 제안한 ‘라키비움(Larchiveum)’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라키비움’은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s), 박물관(Museum)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지식 정보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 창작과 재가공 및 교육이 가능하도록 공간 배치가 이뤄져 있다는 측면에서 국립 근대문학관의 공간 구성에 적극 고려할 수 있다. 국립 근대문학관은 구체적 공간으로 1) 근대문학 도서관 2) 근대문학지도 전시실 3) 아카이브 기록관 및 상설ㆍ기획 전시실 4) 야외문학공원 5) 국제회의실 및 문학 강좌 세미나실(문학교육센터) 6) 문인의 집(문인창작센터) 7) 근대문학연구소(문학연구센터) 8) 미래문학관 9) 국립 근대문학관 운영실 10) 문학기념품점 및 문학카페 등을 배치할 수 있다. 국립 근대문학관은 문학유산을 네트워크화해 관리하고, 희귀자료는 복각본(復刻本) 제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대중이 향유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국립 근대문학관의 자료들이 자유롭게 활용될 때, ‘한국 근대정신’의 안주처일 수 있다. 그 정신의 고향은 근대문학 도서관이자 아카이브이고, 문학박물관이자 문화적 휴식공간일 때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문학 공간과 서사 체험 -‘윤동주문학관’․‘구보 따라 걷기’를 중심으로

        김명석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is study analyzed the Yoon Dong-ju Literature Museum and ‘Walking along Mr. Gubo’ event among the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museums,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literary space and the readers' narrative experience. Literary space is not an narrative space within a work, but an extraneous space outside the work. The reader, who is not a character or writer in the work, but an inmate, will become an epic subject. First, the study looked at the influence and effect on the narrative experiences of the inmates, the readers of the work and viewers of the literary space, focusing on the space called the Literature Hall. The Yoon Dong-ju Literature Museum has sublimated the memory of the capital’s pressure center into the storytelling of ‘Replay,’ pushing for the design and remodeling of the building, making visitors feel Yoon Dong-ju’s poet from the building. As an exhibition room with no exhibits, the museum designed to experience empty spaces in water tanks as well as a space reminiscent of a prison where a poet was imprisoned. Visitors move away from passive viewing and fill in the empty space with stories. The Yoon Dong-ju Literary Museum as a space is considered to combine with the time of the festival called the Yoon Dong-ju Literary Festival to provide readers and visitors with various epic experiences. Second, the narrative experience of exploring the background of Park Tae-won’s work in the 1930s, “The Daily Life of novelist Gubo,” analyzed the event of ‘Walking Along Mr. Gubo’ that walked along the path that he had walked for a day. As a walker of modernism, Gubo shows reflection on modern city hardness and self-reflection of colonial intellectuals at the same time. ‘Walking along Mr.Gubo’ is a program to experience landmarks and cultural hot places in Seou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alking along Mr.Gubo’ not only follows the path, but also imitating the act. Walking along Mr.Gubo trying to establish one’s identity as a modern person, readers make their own stories. As a popularization project of humanities and a literary education program, the government will be asked to build a Gubo Literature Museum or designate it as a cultural property of the city of Gubo City Street or Gubo Walkway for the development of ‘Walking along Mr.Gubo’.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ways to commercialize literary tourism through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본 연구는 문학 공간과 독자의 서사 체험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대표적인 국내 문학관 중 윤동주 문학관과 ‘구보 따라 걷기’ 행사를 사례 분석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문학 공간이란 작품 내에서의 서사적 공간이 아니라 작품 외적인 서사 공간으로, 작품 속 등장인물이나 작가가 아니라 수용자인 독자가 서사적 주체가 될 것이다. 이번 연구는 첫째, 문학관이란 공간을 중심으로 수용자 즉 작품의 독자이자 문학 공간의 관람자의 서사 체험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고찰하였다. 윤동주문학관은 수도가압장에 대한 기억을 ‘재생’의 스토리텔링으로 승화시켜 건물 설계 및 리모델링을 추진함으로써 방문객들이 건물로부터 윤동주 시인을 느끼게 했다. 전시물이 없는 전시실로서 물탱크 속 빈 공간을 시에 등장하는 우물이나 시인이 수감됐던 감옥을 연상케 하는 공간으로 체험하도록 동선을 설계해 스토리두잉을 유도했다. 방문객은 수동적 관람에서 벗어나 빈 공간을 이야기로 채운다. 공간으로서의 윤동주문학관은 윤동주문학제라는 축제의 시간과 결합 되어 독자/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서사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둘째, 문학 공간 중 작품 배경지 답사를 통한 서사적 체험으로는 1930년대 박태원의 작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주인공 구보가 하루 동안 걸었던 길을 따라 걷는 ‘구보 따라 걷기’ 행사를 사례 분석하였다. 구보는 모더니즘의 산책자로서 근대 도시 경성에 대한 성찰과 동시에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성찰을 보여준다. ‘구보 따라 걷기’는 구보씨의 산책로를 따라 서울의 랜드마크와 문화적 핫플레이스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구보 ‘따라’ 걷기는 ‘행로’를 뒤따른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행위’를 흉내내 본다는 의미로도 이해해야 한다. 근대인으로서 보행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던 구보를 따라 걸으며 독자들은 자기의 이야기를 만든다. 인문학의 대중화 사업과 문학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구보 따라 걷기’의 발전을 위해서 구보문학관 건립이나 ‘구보씨 거리’ 또는 ‘구보 산책로’의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이 요청되며, 민간 부문 참여를 통한 문학관광 상품화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강원 지역 여성문단 연구

        권석순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이 글은 강원지역문학의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문학 단체인 강원도여성문학인회의 현황과 동인지 󰡔강원여성문학󰡕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문학적 정서를 검토하였다. 강원도 전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문인들로 구성된 ‘강원도여성문학인회’는 2004년에 창립하여 현재 146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강원도여성문학인회가 강원도 지역문학 단체인 만큼, 지역문학을 규정하는 조건으로 실존적 조건인 형식의 층위와 강원지역성을 담보하는 문학의 내적 기제인 내용 층위를 바탕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강원도여성문학인회의 외적 활동 현황을 살펴본 바, 강원여성문학의 맥을 이어나갈 사적 자료 정립을 위한 ‘선대여성문인조명’을 위해 2005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세미나를 열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후배 여성문인들을 위한 강원도 여자 중․고등학생 문학작품 공모뿐만 아니라, 강원여성문학상을 제정․시상함으로써 여성문인들의 사기 진작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출간된 동인지 󰡔강원여성문학󰡕 창간호부터 10집까지에서 나타나는 강원여성문인들의 문학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생명과 상생의 자연공간, 현존재의 생활공간, 내면 치유의 생성공간, 상생 추구의 생태공간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양상은 강원지역이 문학적 공간이라는 점, 그리고 여성들의 특유한 정서라는 점이 맞닿아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Gangwondo Women Writer Association, a women literature group performing activities in literature space of Gangwon Region, and literary sentiment of works included in Gangwon Women Literature, a literature coterie magazine. Gangwong-do Women Writer Association composed of women writers performing activities across Gangwondo was established in 2004 and has 146 member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formal layer, existential condition prescribing local literature, and content layer, internal mechanism guaranteeing Gangwon regionality given the association is a local literature group in Gangwondo.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xternal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and found that the association has steadily held seminars from 2005 to the present in order to illuminate women writers of previous generation aimed at establishing historial data that would carry on the legacy of Gangwon women literature. In addition, the association invited public participation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junior women writers and enacted and granted awards for women writers, thereby boosting their morale. Next, this article examined literary sentiment of Gangwon women writers whose works were posted on Gangwon Women Literature, from the first issue to the 10th issue published thus far. It contained natural space for life and mutual coexistence, life space of present existence, generation space for internal treatment, and ecological space for mutual existence. Such aspect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Gangwon region was a cultural space and concerned women's unique sentiment.

      • KCI등재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강정구,김종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essay show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read by literacy geography.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means Lonely Mountain(1958), Rural Dance(1975), and Sea-Hill(1979)by Shin, kyeong-rim. This essay is studied that Shin, kyeong-rim’s literacy character whichis variety and live person representedin Shin,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caused by place. The rural community in Lonely Mountain of 1950’s, is historic different space, which is the un-continual and extinct characters, against progressive historicism of anti-Communism. The middle of night, A tombstone,Lonely Mountain are this space. And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60-70’s is double-faced Espace vecu that is experienced space positive or non-positive. The rural community is shown by policy of power and capital, and simultaneously resistance of villagers.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60-70’s is the mental aspects of a non-balance of district and giving up farming. Expressly the aspect is seen in the Rural Dance and Sea-Hill . The rural communit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is a place of collapse in the truth of place, and reflect on placelessness.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문학지리학을 참조·활용하여 1950-7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신경림의 문학은 당대의 지배적인 이념에 휩쓸리지 않은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형상화했는데, 이러한 문학적인 특성이 농촌이라는 공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농촌이 2000년 이전에는 주로 피억압의 공간 혹은 내부식민지로 논의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특유의 공간성이 언급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림의 장편소설 『고독한 산』과 시집 『농무』와 『새재』를 대상으로 하여서 문학지리학의 기존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문학 속의 농촌을 세밀하고 종합적으로 읽고자 했다. 첫째, 195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은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전개된 진보적·단선론적인 역사주의의 관점과는 상당히 구별되는 불연속적·단절적인 성격을 지닌 역사적 차별화의 공간이었다. 시 「심야」와 「묘비」와 같은 1950년대의 시편에서는 촌락의 산이 자주 시어로 등장했는데, 이러한 시어는 당대의 지배적인 이념과 달리 슬픔과 고독의 감성을 드러낸 것이었다. 산은 신경림의 개인사에 비추어 볼 때에 우익 이념이 온전하게 구현되지 않고, 슬픔과 고독의 감성으로 어긋나는 불연속적·단절적인 공간이었던 것이다. 1950년대에 발표된 소설 『고독한 산』에서도 공간의 역사적 차별화가 잘 드러났다. 소설 속의 촌락은 반공주의가 전면에 부각된 전후 사회의 분위기와 사뭇 다른 공간이었다. 소설의 주인공인 종구와 그의 아버지 달영이 경험하는 촌락은 우익 이념이 통제·지배하는 진보적·단선론적인 역사주의적 공간이 불연속·단절되는 역사적 차별화의 공간이었던 것이었다. 둘째, 시집 『농무』에서 보이는 1960-70년대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은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을 수동적으로 경험하면서 동시에 그 표상의 성격을 변화시켜 자발적으로 비판·저항하는 양면적인 체험공간이었다. 먼저, 농촌은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이 수동적으로 경험되면서 그 표상이 비판적으로 상상된 체험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조합 빚이 되어 없어진 돼지”(시 「시골 큰집」)와 “서울로 새로 트이는 길을 닦으러 나가”(시 「동면」)는 구절에서는 각각 양계·양돈과 도로개선·확충사업이라는 자본·권력의 정책적인 표상이 경험되면서도 그 표상의 성격이 비판적·부정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리고, 시집에서는 비판적인 태도를 넘어서서 자발적인 저항의 모습을 형상화한 체험공간도 제시되었다. 시 「전야」에서 ‘그들’의 저항은 자본·권력의 지배전략을 동의하면서 전복시키는 양면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셋째, 1960-70년대 압축적인 근대화의 결과로 인한 지역 불균형과 이농·유민 현상에 대한 촌민의 심리 양상은 시집 『농무』와 『새재』에 잘 드러나 있었다. 시집 속의 농촌은 근대화의 과정에서 장소의 진정성이 붕괴되거나 그것이 인식·자각·성찰되는 공간이었다. 농촌은 무엇보다 장소에 대한 진정하지 못한 태도, 즉 무장소성이 경험되는 공간이었다. 시 「실명」의 시적 화자는 자본·권력이 조장한 지역 불균형 현상에 의해 무장소성을 경험한 획일적·평균적이고 단순한 존재였다. 이러한 농촌의 무장소성은 신경림의 문학에서 성찰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시 「각설이」의 시적 화자는 자신이 뿌...

      • KCI등재

        근대문학관 건립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이민호 ( Lee Minho-h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근대문학관은 아직 태동하지 않았다. 존재의 당위성만이 있을 뿐이다. 어디에 근대문학관을 짓고, 어떤 규모와 모습이어야 하며, 누가 어떻게 운영하는가를 논할 게재가 아니다. 그런 측면에서 본고는 한국 근대문학을 어떻게 공간화할 수 있는가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우리나라 문학관 현황을 볼 때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고 그 해결책도 대동소이하다. 그만큼 문학관 건립 취지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사업범위, 규모, 운영형태에 대한 문제는 부차적이다. 오히려 문학의 현실과 관련해 문학관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태다. 특히 문학관 앞에 붙은 `근대`는 수사에 지나지 않는 듯하다. 그만큼 근대문학관 건립 자체가 우리 문학의 근대성 논의와 무관하지 않다. 근대문학관은 단순히 근대라는 시간을 가두는 거푸집이 아니라 근대공간을 감각하는 시 · 공간의 장소라 할 수 있다. 시간은 현재의 존재감을 가능케 하는 기계이다. 과거와 미래의 시간은 무엇으로 감각하는가. 공간의 역할이 거기에 있다. 그러므로 현재를 살며 과거와 미래를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장소로 한국 근대문학관이 건립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토대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고 자아와 타자의 차이를 지양하여 근대문학을 여러 방향에서 융합하는 통합서사로서 `상상력의 공동체`를 제시한다. 대전제로서 도출된 스토리텔링은 우리의 근대문학을 `중립지대` 혹은 `완충지대` 이미지로 테마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문학 속에 전통과 근대, 자아와 타자의 이미지 맥락을 완충적이고 중립적인 융합 이미지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학의 가치를 `동북아`를 넘어 `세계화`하는 하위 스토리텔링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전통과 근대문학 속에서 추출된 통합 이미지를 통해 근대문학관을 `삶의 궁극적 공간`, `삶의 주체적 공간`, `삶의 실천적 공간`으로 테마화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modern literature museum in Korea yet. There is a justifiable argument for the existence only. But, no specific discussion is made like the place of museum, its size and feature and its operation subject. In this sense, this study aimed to discuss a methodology of making space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Considering the literature museum in Korea, there are same problems and so are solutions. Since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consens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iterature museum, the project scope, size and operational type are subsidiary. Rather,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space character of the literature museum. In particular, `modern` attached to literature museum seems nothing but a euphoric. As suc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itself is closely related to our discussion of modernity.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is not a simple cast to contain modernity as a time, but is a spatial and time location that senses a modern space. Time is a machine enabling sense of existence of the present. How do people sense past and future time? The role of space lies in it. Therefore,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museum must be established as a place to live in the past and future as well as in the present. Based on such condition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imaginative community` as an integrating narrative conversing modern literature from various directions embrac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and eliminating differences between ego and the others. Storytelling extracted such a pretext shall be a theme as an image of `neutral zone` or `buffer zone`. By means of this, tradition and modern, image of ego and others could be constructed as neutral and converged image in the modern literature, which might link the value of the Korean literature to the sub-storytelling toward `globalization` beyond `north east Asia`.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ed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as themes like `an ultimate space of life`, `a subjective space of life` and `a practical space of life`by means of integrated image extracted in the traditional and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김현의 망각과 욕망 – 김현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을 중심으로

        이승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5

        This work tried to figure out what Kim Hyun desired and forgot as he appeared as a reader by interpreting his first literary critical writing, Poetics of Narcissus. oblivion means to forget one’s existential condition of dissociation and is the root of his desire as a reader. His oblivion as the origin of his desire to be a reader turned into his desire to be a literary critic and it is through his oblivion that he could access to literature. To Kim Hyun, literature is the ideal place where any splittings or dissociations is not yet experienced where one can never return. Ultimately, Kim Hyun’s desire as a reader can never be fulfilled, because, in reality, literature as an ideal form can exist not as a self – satisfied entity but only as a process. Kim Hyun considered as one of originator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might suffer from the fact that he never fulfilled his desire as a reader. Paradoxically, Kim Hyum recognized that he could approach only “partial truth” because he presupposed literature as the self – satisfied entity. “Reflection”, one of the main subjects in his critical writings,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respect. 이 논문은 김현의 문단 데뷔작인 「나르시스 시론」에서 김현의 ‘망각’을 추출하여, 김현의 독서가로서의 욕망과 비평가로서의 욕망 그리고 망각과의 관계에 대해 주목했다. 김현의 망각은 존재의 분열에 대한 망각인데, 이는 김현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의 뿌리였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망각의 기제는 김현에게 독서가로서의 욕망의 추동력으로 작동함으로써 김현의 ‘문학’을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김현의 <듣기의 공간>은 그의 유년시절에 <읽기의 공간>에서 반복되고 있었다. 이때 부모의 금지가 시작됨으로써 김현의 읽기는 욕망의 자리로 이동한다. 그럼으로써 그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은 시작된다. 그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은 <듣기의 공간>을 향해 있는데, <듣기의 공간>은 존재의 분열 이전을 향해 있다. 분열 이전을 지향하는데 있어서 김현에게는 망각이라는 요소가 작동한다. 따라서 망각은 김현에게 <듣기의 공간>을 향하게 하는 추동력이다. 결과적으로는 김현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은 망각을 매개로 하여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는 분열 이전을 지향하는, 즉 듣기의 공간을 추구하는 ‘문학’의 실천적 원형을 호출하게끔 한다. 김현 ‘문학’의 실천적 원형은 <듣기의 공간>에 있는데, 현실에서 <듣기의 공간>은 회귀할 수 없는 부재의 공간이므로 언제나 결핍의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김현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은 궁극적으로는 채워질 수 없는 조건을 갖고 있다. 독서가로서의 욕망이 궁극적으로 채워지지 않는다는 것은, 결국 그의 ‘문학’은 현실에서는 절대로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욕망은 충족되지 않으면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그의 독서가로서의 욕망은 영원히 채워지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현대문학은 그가 왕성하게 문학의 이념형을 형성하기 위해 분투하던 시절에도 여전히 형성 중이었기 때문이다. 욕망에 대한 결핍을 채우기 위해 김현은 문학비평가로서 왕성한 기획력을 가질 수 있었겠지만, 독서가 김현으로서는 늘 결핍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그는 불행했을지 모른다. 정신분석에서 말하듯, 이 세계에서 <욕망>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의 문학 비평에도 드러나듯이 “인간은 부분적 진실”을 살 수 있을 따름이다. 절대로 완성태로서는 실재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그는 문학 안에서 “부분적 진실”을 경험하지만, 거기에서 진실만큼은 분열 되지 않은 완성태로서 존재한다. 문학 안의 진실을 부분적 진실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것도 그의 ‘문학’이 완성태로서 존재함으로 말미암아 그에 비추어 김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의 비평적 글쓰기에 끊임없이 ‘반성’이라는 어휘가 등장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분단 접경지역 문학공간의 의미

        박덕규(Park Duk-kyu),이은주(Lee Eun-joo)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문학공간은 대상지역이 함유하고 있는 다른 장소자산과 결합해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기억을 회상하고 보전하고 재생산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근대소설에서 그것은 근현대사의 문화적 기억에 대한 공동체적 동질성을 확보하게 해준다. 6ㆍ25전쟁의 중단으로 그어진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한 분단 접경지역은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사회문화적 상징성을 띤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한국문학 또한 이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많은 작품을 생산해 왔다. 본 논문은 지리적으로 분단 접경지역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강원도 철원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 작품의 공간성에 주목해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삶의 배경으로서의 철원의 지명과 건물을 작중 배경으로 하는 이들 문학작품들은 사멸되어 가는 개인적 체험적 기억을 문화적 기억으로 이행시켜 준다. 철원은 광복 이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작품의 공간으로 제공되어 왔다. 이곳에서 태어나 자란 이태준의 다수의 작품을 비롯해서 1970년대 이후 활약한 유재용, 임동헌, 이현의 주요 작품들의 배경이 바로 철원 일원을 공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태준의 작품은 주로 광복 이전의 구철원읍과 안협, 용담을 주무대로 하고 있다. 유재용의 작품 다수는 창성(창도)을 중심으로 한 분단 접경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그중 특히 「달빛과 폐허」는 민통선 안의 구철원읍을 무대로 하고 있다. 이현의 작품도 구철원읍을, 임동헌의 작품은 현재의 민통선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태준의 작품들은 근대와 전근대의 생활양식이 공존하는 삶의 현장으로서의 철원을 묘사한다. 당시 철원은 일제의 수탈로 낙원에서 실낙원으로 전락해가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땅을 가지지 못한 인물들은 이 공간을 떠날 수밖에 없다. 이때 철원은 땅을 토대로 한 삶의 공간이라는 의미로 부각된다.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은 이러한 공간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다음, 유재용의 1970년대 후반 작품들과 이현의 작품은 공산치하 접경지역이라는 공간 배경에서 각 계층의 욕망이 충돌하는 혼돈의 비극을 드러낸다. 이때, 몰수에 이은 무상분배, 그로부터의 상실의 자리에서 배태되는 새 체제에 대한 희망이라는 스토리라인이 형성되면서 작품의 공간적 의미가 부각된다. 한편, 민통선 마을을 공간 배경으로 하는 임동헌의 작품과 유재용의 또 다른 작품은 분단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면서 그 공간 배경에 내재된 유구한 역사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분단을 극복하는 정신적 근거를 마련해 보이고 있다. 이 역시 이들 작품이 지니는 문학공간이 지니는 특별한 의미라 할 수 있다. A literary space combined with other place asset of target area works as a motive to remember, maintain and regenerate the memories for history and culture of that area. Especially in modern novels, it can secure communal homogeneity for cultural memor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Divided border area around the DMZ built the result of Korean War is a special place in Korea which has a sociocultural symbolism. Korean literary has produced lots of works based on this area. This study has focused in spatiality of novels based on Cheolwon, Gangwon-do as it could be center of divided border area geologically and has searched its cultural meaning. These literary works using the place name and buildings in Cheolwon as a background of life can convert the dying personal experienced memories to cultural memories. Cheolwon has become a space of various literary works from pre-liberation to present. The main literary space of Lee Tae-joon who was born and grown-up in Cheolwon, Yoo Jae-yong, Lim Dong-hun and Lee Hyun who actively engaged in post 1970s was around Cheolwon area. The main stage of Lee Tae-joon’s works were Pre-liberation old Cheolwon, Anhyup and Yongdam. Yoo Jae-yong’s many works were based on divided border area around the Changsung(Changdo) and especially “Moon Light and Ruins” was based on old Cheolwon inside Civilian Control Line. Lee Hyun’s works were based on old Cheolwon and Lim Dong-hun’s works were based on current Civilian Control Line Village. Lee Tae-joon’s works described Cheolwon as a scene of life co-existing the pre-modern and modern life-style. At that time, Cheolwon was set the changing space from Paradise to Paradise Lost cause by Japanese exploitation. Those persons without land had to leave and Cheolwon was focused as the living space based on land. The author’s critical recognition against our old intellectual at that time and Japanese Imperialism was revealed through this special recognition for space. Next, the literary space of Yoo Jae-yong’s works in second half of 1970s and Lee Hyun’s works exposed tragedy of chaos crashing with desire of all social standings based on geological characteristic of communist-run border area. And at that time, a new storyline was made from forfeiture, free distribution and the hope to new social system generated from lost space and accordingly spatial meaning was focused.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space of Lim Dong-hun’s and Yoo Jae-yong’s work based on Civilian Control Line was space showing the divided reality. And further it arranged the spiritual base included in spatial background to overcome the divi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eternal history. This also could be the special cultural meaning of literary space of these works.

      • KCI등재

        ‘작은 글쓰기’의 공간과 문학비평의 자리—김윤식의 『해방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2006) 다시 읽기

        이지연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3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제출된 해방공간의 문학을 “부재하는 문학”이라고 할 때, 단일성과 일관성을 토대로 한 한국 ‘근대문학(사)’의 차원에서 그것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 김윤식의 1980년대를 관통하는 이 물음은 『문학사론』을 거쳐 『글쓰기론』에 이르면, 기존의 ‘문학’ 개념을 해체하고 확장하여 ‘글쓰기’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새로운 지평으로 나아가게 된다. ‘문학’의 차원에서 해방공간에 잠시 등장했다가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 어디에도 발붙이지 못하고 사라져 간 ‘제3의’ 문학은 단연코 실패와 몰락의 문학사로 기록된다. 그러나 그것을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말하자면 단일한 것으로 여겨져 온 근대문학사에 다의성(多義性)을 부여하는 것으로 읽는다면, 해방공간은 닫히고 버려진 공간이 아니라 무한히 열린 가능성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김윤식의 『해방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이 이원조의 민족문학론을 ‘은폐된 주체성’이자 ‘숨은 신’으로 읽어내는 것도 그러한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윤식은 ‘반드시 찾아야 하지만 찾아지지 않는’ 본질로서의 유토피아를 지향하였던 이원조의 글쓰기에서 루카치의 흔적을 발견한다. 루카치에 따르면, 신이 모든 것을 관장하였던 서사시의 세계에서 신이 모습을 감춘 후 인간은 그것을 찾아 헤매게 되었는데, 바로 그 세계가 ‘근대’이자 ‘소설의 세계’인바, 소설은 불가능한 모험을 영원히 지속하는 문제적 개인의 운명을 다루고 있다. 해방공간에서 이원조는 바로 그 문제적 개인으로서 민족문학의 이상(理想)을 향해 나아갔으며, 그것의 실패를 온몸으로 감당한 인물이었다. 김윤식이 마침내 이원조의 문학론을 ‘숨은 신’의 형상으로 한국문학사에 새겨 놓는 것은, 그것이 스스로 ‘온전함’을 갖춘 글쓰기 양태로서 근대 또는 근대문학의 단일성을 계속해서 물음에 부치고 있기 때문이다. If the literature of the liberated space submitted in a short period of three years is called “absent literature,” how can it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ased on unity and consistency? This question, which runs through Kim Yoon-shik’s work in the 1980s, moves from “Theory of Literary History” to “Theory of Writing” to a new horizon in which he deconstructs and expands the existing concept of ‘literature’ and introduces the concept of ‘writing.’ In terms of literature, the ‘third’ literature, which appeared briefly in the liberated space and disappeared after the division of Korea without being able to establish a foothold in either North or South Korea, is definitely recorded as a literary history of failure and downfall. However, if we read it not as wrong but as different, or in other words, as giving diversity to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hich has been considered monolithic, the liberated space is transformed into a space of infinitely open possibilities rather than a closed and abandoned space. Kim Yoon-shik’s Theory of Ethnographic Writing by Korean Writers in Liberated Spaces reads Lee Won-jo’s ethnographic theory as a “concealed subjectivity” and a “hidden god.” Kim finds traces of G. Lukács in Lee Won-jo’s writings, which aimed for utopia as an essence that must be sought but could not be found. According to G. Lukács, after God disappeared from the world of epic poetry, where God oversaw everything, humans were left to search for it, which is the “modern world” and the “world of the novel,” and the novel deals with the fate of a problematic individual who continues an impossible adventure forever. In the liberated space, Lee Won-jo was such a problematic individual who strove toward the ideals of ethnic literature and bore its failures with his whole body. Kim Yoon-shik finally inscribes Lee Won-jo’s literary theor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form of a “hidden god” because it continues to question the unity of modern or contemporary literature as a mode of writing with its own wholeness.

      • KCI등재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권경록(Kwon Kyong ro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영남삼로(嶺南三老)’로 일컬어지던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그리고 그 현장의 문화지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박손경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백불암(百佛庵)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18세기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그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십승지로 일컬어지던 예천(醴泉) ‘금당곡(金塘谷)’에서 실천하는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 글은 문학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은 ‘금당곡’에 관련된 박손경의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박손경의 문학에 재현된 ‘금당곡’은 ‘일상의 공간’, ‘교유·교화의 공간’, ‘천형(踐形)의 실천 공간’이었다. 박손경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것’, 곧 ‘천형’을 사람의 직분으로 이해했고, ‘금당곡’은 그 직분을 다하는 삶의 공간이었다. 시대의 참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실천해 가는 철저한 ‘진인(眞人)’의 심상공간이었다. 박손경이 ‘금당곡’에서 처사로 ‘천형’을 실천하고,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십승지 ‘금당곡’이라는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literature of Namya Park Son-gyeong, who w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and examine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eanings of his place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He was revered 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Daesan Lee Sang-jeong and Baekburam Choi Heung-won. He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devoted to practice at ‘Geumdanggok’ of Yecheon, which was called Shipseungji, until he passed away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s in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spac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to shed light onto the meanings of spatial representations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as social spa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k's literary spati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Geumdanggok’ were socially created spaces. The findings show that ‘Geumdanggok’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represented ‘space for life’, ‘space for social intercourse and reformation’, and ‘space for the practice of Cheonhyeong’. He understood ‘Cheonhyeong’ or ‘practice of being human’ as the duty of man and found a life space for the fulfillment of the duty in ‘Geumdanggok’, which was a space of mental imagery of a ‘true man’ that practiced life as a true human being of the times. His practice of ‘Cheonhyeong’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and his literary creation at ‘Geumdanggok’ were the results of place occup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n the social and geographic outcome and order of ‘Geumdanggok’, one of Shipseung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