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과에서의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적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중심으로

        김정자(Jeong-ja Kim)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 국어과교육에 도입되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초등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의 이론적 특징과 각 단계에 따른 주요 활 동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문제’와 ‘문제 해결’의 의미를 논하고 나서 문제 해결 학습 모형에서의 학생의 활동의 성격과 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서 문제해결 학습 모형이 적용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분석하였다. 모형이 적절하게 적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고,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의 4단계가 잘 구성되었는지, 그리고 각 단계에 학생들의 문제 해결 활동이 잘 전개되었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의 적용 사례는 거의 대부분 기본 학습 성격의 차시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대부분 학습 목표의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어 ‘문제 확인하기’ 단계에서 학생들은 해결해야 할 문제를 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문제 해결 방법 찾기’와 ‘문제 해결하기’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이 일어나야 하는데, 과정안의 단계에서는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실과 ‘목공수업’에서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심연현,이춘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실과 기술영역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방법과 전통적 학습방법을 비교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시 ㅁ초등학교 6학년 2개반 60명을 실험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송현순의 문제해결학습모형에 따라 지도안 작성하여 4월 3주간 10차시 분량의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학습을 적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단원의 지도 목표에 따라 기술적 지식, 제품 구상능력, 제품 제작능력으로 나누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실험집단의 기술적 지식 영역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기술적 지식 영역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제품 구상능력 영역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 생활과 목제품’ 단원에서 문제해결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제품 제작능력 영역의 학업성취에서 교사의 평가로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 본인 평가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첫째, 문제해결학습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및 평가방법을 개발 보급할 수 있는 지원이 요구된다. 교사가 쉽게 문제해결학습을 더 다양한 교과와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으로 문제를 개발하고 이러한 자료를 현장에 보급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문제해결학습이 실과수업에서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실, 충분한 실습설비를 갖춘 실습실 등의 환경조건이 갖춰져야 하겠다. 셋째, 문제해결학습은 실과 교수학습방법의 일부분이므로 다른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ward the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 in woodworking in the practical art subject. To achieve these goals, the sample populations were selected two classes of 30 students each in 6th grade in Incheon. After the pre-test of the two groups to verify there isn't a meaningful difference. The teaching plan based on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has been applied for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hours during 3 weeks. And the controlled group has followed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e unit such as technological knowledge, concept for the product, and the making ability, the learning achievement has been verified by the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To verify the result,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WIN 14.0 sotfwa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has been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area of technological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 Second,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Third, in the area of ideation and draw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Finally, in the area of making product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 unit of woodworking is far better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one. But the student hasn't felt the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s a lot effective than traditional one in the area of improving the technological knowledge and product ideation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recommended First, it is demanded to develop the way of evaluation and questionaries in the stage of draft on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That is, the practical questions which can be applied for regular course for teacher to deal with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and there is also need for the plan to supply these data to the educational field. Second, to generaliz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study in practical arts, the facilities such as school library, computer lab where students can use the internet, and laboratory room which contains sufficient experimental equipment should be prepared. Finally, there should be a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ther teaching method owing to its limitation within practical arts.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수의 문제해결지원을 중심으로

        김혜영(Kim, Hyeyoung),이숙정(Lee, Sookjeong),유지현(Yu,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문제해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찾는 연구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역량의 인과관계적 모형에 입각하여 문제해결행동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문제해결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의 제9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논문공모의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에서 활용한 한국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지(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를 통해 2011~2014년도에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2015년 6월부터 11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대학생의 문제해결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 교수자의 문제해결지원 활동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성과의 수준이 높아졌으며, 문제해결 지원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문제해결 행동을 통해 학습성과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행동을 적극 유도하는 방식의 수업설계와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교수법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가능하다.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precedenc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behavior; however, the researches of the impacts on a learning outcome of problem solving behavior based on paradigm of competence -causal relationship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how the problem solving support of the instructors has the impact on a problem solving behavior and how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has influence on the learning outcome. To do this, ‘the impact of the learning outcome that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bring out through a survey(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of the professional study of Korean-College students is analyzed, and reviewed the influence of an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problem solving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level of problem solving behavior was, the higher result of learning outcome was. Likewise, a case with high-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recorded higher learning outcome than the case with low-level of problem solving support. Future researches of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supporting problem solving and curriculum in order to induce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analysis.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의 개발

        이상봉,전하솜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Dicky, Ganefri & Ridwan(2020)의 직업 교육에서의 학습 모형 개발 단계(p. 574)를 수정 및 보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 기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은 준비, 실행, 마감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교사와 학생의 활동을 주요 요소로포함한다. 첫째, 준비에서 교사는 주제 선정, 학습 목표 설정, 문제해결 활동 선정 및 조직의 절차를 수행하며 학생은 주어진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예습을 수행한다. 둘째, 실행에서 학생은 문제해결 과정에 따른 주요 활동을 수행하며, 교사는 학생의 문제해결 활동을 촉진하고 총평한다. 셋째, 마감에서는 학생은 교사의 요약 및 정리를 통해 문제해결 활동을 상기한다. 교사와 학생은 문제해결 활동을 다른 단원, 다른 과목, 실제 생활과 연계하고 다음 학습을 확인하며 문제기반 학습을 마감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문제기반 학습 모형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와 문제기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자료 개발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개발된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문제기반 학습의 모형은 문제기반 학습 중심의 수업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술 교사들에게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관계

        최준섭,임미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their styles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purpose, 344 students of A junior high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for their learning styl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tyl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Kolb 's learning style, there were Converging Type (19.77%), Diverging Type (22.09%), Assimilating Type (30.23%) and Accommodating Type (27.91%).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lear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learning problems. Especially, Assimilating Type and Converging Type were prov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Third, the score of the tendency toward solving the techn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was highest in the Assimilating Type, followed by the Diverging Type, the Accommodating Type and the Converging Type. Fourth, when learners lear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Converging and Diverging type learners showed low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and Assimilated Learners showed high tendency to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양식에 따라 중학생의 학습유형을 분류하고,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A중학교의 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SPSS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수렴형(19.77%), 확산형(22.09%), 동화형(30.23%), 조절형(27.91%)의 분포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네 가지의 다른 학습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유형 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각 유형 별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동화형과 수렴형은 모든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유형 별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의 점수는 동화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확산형, 조절형, 수렴형의 순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순서는 각 하위요소에서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다. 동화형 학습자는 가장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고 수렴형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구체적 경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또한 활동적 실험을 통하여 학습할 때 수렴형, 확산형, 조절형 학습자는 높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이고, 동화형 학습자는 낮은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을 보였다. 추후 학습유형의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며, 학습유형과 기술적 문제해결력 등 인지적 특성과의 관련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유형 이외에 학습자 개인차를 결정짓는 다양한 요인과 기술적 문제해결의 관계를 구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이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문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e general features,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learning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detailed aspects of problem solving skills (problem confidence, problem control, problem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in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irty students studying speech therapy in a four-year university were examined from March 2018 to June of the same year. The subjects learned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nd they were tested for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s :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gra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rough learning flow (F=94.861, p<.001), metacognition (F=11.169, p<.001), and problem solving skills (F=11.644, p<.001). The learning flow (β=.118, p<.05) and metacognition (β=.139, p<.05) of flipped learners heavily influe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blem confidence, a detailed element of problem solving skills of flip learners, heavi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3, p<.05) and metacognition (β=.157, p<.05), while problem control mainly impacted learning flow (β=.117, p<.001) and metacognition (β=.138, p<.05) and problem approach great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4, p<.05) and metacognition (β=158, p<.05). Conclusions :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speech therapy instruction are an important supplementary method that can enhance learning flow,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students' learning types and information usage. Future studies will need to look at various learning types and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nd seek learning methods that can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목적: 본 연구는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일반적은 특성과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알아보았다. 또한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의 세부요인(문제자신감, 문제통제, 문제접근)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에 맞는 교육방법과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4년제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30명의 학생이었고,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 까지 실시되었다.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대상자들에게메타인지검사지, 학습몰입검사지, 문제해결력 검사지로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을 파악하였다. 결과 :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학점에서 학습몰입(F=94.861, p<.001), 메타인지(F=11.169, p<.001), 문제해결력(F=11.64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플립러닝학습자의 학습몰입(β=.118, p<.05)과 메타인지(β=.139, p<.05)에서 문제해결력에 큰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의 세부요인인 문제자신감에서 학습몰입(β=.133, p<.05)과 메타인지(β=.157, p<.05)가, 문제해결력의 문제통제가 학습몰입(β=.117, p<.001)과메타인지(β=.138, p<.05)에서 그리고 문제접근에서 학습몰입(β=134, p<.05)과 메타인지(β=158, p<.05)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언어치료에서 적용된 플립러닝기법은 교육을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몰입,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향상 하는데 중요한 교육 방법이다. 또한학생들 각각의 학습유형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학습유형과 플립러닝의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학습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실과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

        임미가,김진수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의 학습양식을 도출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기술적 문제해결의 교수⋅학습을 위한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데 있었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을 위해 기술적 문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기술적 문제해결의 각 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는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서로 다른 범주의 구성요인을 분류하고 유사한 범주의 구성요인을 통합하여 기술적 문제해결의 최종 학습양식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은 ‘경험형-사고형’, ‘적응형-혁신형’, ‘관찰형-행동형’, ‘독립형-의존형’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학습양식별 학습자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경험형–사고형’은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탐색 과정에서 구분된다. 경험형 학습자는 논리보다는 직접 경험이나 외부에서 주어지는 정보에 의존하고 사고형 학습자는 사고를 통하여 내적 체계를 구축하며 논리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둘째, ‘적응형–혁신형’은 창의성에 관계된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아이디어 탐색,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적응형 학습자는 기존의 절차, 규칙, 집단의 관습을 중요시하고 문제해결 방법이 순차적인 특징을 가진다. 혁신형 학습자는 새로운 시각, 아이디어의 생성을 중요시하며 예측 불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셋째, ‘관찰형-행동형’은 심동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관찰형 학습자는 주의 깊게 관찰 후 판단하며 행동보다는 관찰을 선호한다. 행동형 학습자는 문제를 지켜보기보다는 실제로 문제에 접근하며 생각의 실현에 가치를 둔다. 넷째, ‘독립형-의존형’은 정의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실행, 평가 과정을 주로 하여 전체 과정에서 구분된다. 독립형 학습자는 개인적 활동을 선호하고 높은 성과를 중요시한다. 의존형 학습자는 협동적 활동을 선호하고 성과보다는 구성원과의 조화를 우선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획일적인 방식의 문제해결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학생의 개인차를 존중하는 기술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현장연구를 통하여 이 연구의 결과를 검증할 것과 도출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을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skill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order to deriv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style, the literature on technological problem,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kills, learning style theory, problem solving style theory, and creativity theory are examined. Learning style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ocess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style and creativity. After that, the components of similar categories were integrated, and finally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components of different categories. The learning style for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as 'experiential - thinking type', 'adaptive - innovation type',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and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First, 'experiential type - thinking type' is cognition- related style, mainly distinguished from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the idea. The experiential learners rely on direct experience rather than logic, or information given from the outside. Thinking learners think about the internal system constructed through thinking and search for information and solve problems based on reason and rationality. Second, 'Adaptive type – Innovation type' is a form related to creative characteristics, mainly distinguishing between idea search and execution. The adaptive learners place importance on the existing procedures, rules, and group customs,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s are sequential and prudent. Innovative learners have a new vision, an emphasis on the generation of ideas and unpredictable features. Third,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is a form related to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is mainly distinguished in the execution process. Observers prefer to observe carefully and observe rather than behave. Behavioral learners approach real problems rather than observe problems and value realization of thought.s Fourth,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is a form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haracteristics. Independent learners have a similar meaning to introverted, competitive, task-oriented, prefer personal activities, and prioritize higher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action or harmony with their members. Dependent learners have similar meanings as extroverted, collaborative, and interpersonal - centered, prefer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rioritize harmonization with their members rather than outcomes.

      • KCI등재

        일본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의 특징과 전개 유형

        남경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In Japan, problem-solving learning is actively pursued as one of active learning methods recently. As Dewey's reflective inquiry process, problem-solving learning has become a main learning method in Japanese social studies, linked to the subjectivity of the learner and self-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learning in early social studies was pursued as a learning method for solving the frustrating reality problems faced by Japanese society and students after defeat. As the age and society change, the pursuit of problem-solving learning has also changed and various types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ability to cultivate. The social background of this change of perspective is the dealing with the serious youth problems that had arisen in the 1980s. And the development of 'living power' presented in the Education Reform Document of 1996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ISA educational and core competency education since 2000. There are fore types of problem-solving learning that have been developed in Japan: early social studies type, human oriented type, and outgoing type(social participation type), active learning type. There are fore types of problem-solving learning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it is common that the learner is the center and pursues the problem independently.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learning as active learning include self-education power, desirability, subjectivity, and continuity. Problem-solving learning is evolving from the viewpoint of empathy, value identification, self-determination, and dispatch as essential elements. This suggests many implications for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learning. 일본에서는 최근 액티브 러닝이 강조되면서 학습방법의 하나로 문제해결학습이 적극 추구되고 있다. 듀이의 반성적 탐구과정으로서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의 주체성이나 자기학습력 등과연계되면서 일본 사회과에서의 주된 학습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초기 사회과에서의 문제해결학습은 패전 후 일본 사회와 학생들이 직면한 현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식 주체의 사고과정과 방법을 강조하였다. 시대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문제해결학습의 추구 관점도 바뀌어 육성하고자 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 변화의 사회적 배경으로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야기된 심각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처, 21세기 국제화 및 평생학습시대에 대비하여 1996년의 교육개혁 문서에서 제시된 ‘살아가는 힘‘의 육성 및 2000년이후 피사형 학력과 핵심역량 교육의 강화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문제해결학습으로는 초기 사회과형, 인간중심형, 발신형(사회참가형), 액티브 러닝형의 4가지 유형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4가지 유형의 문제해결학습은 추구하는 관점과 전개 방식은 달리하고 있으나 학습자가 중심이되어 주체적으로 문제를 추구하는 학습주체의 사고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은 공통적이다. 문제해결학습의 특징으로서는 자기교육력, 절실성, 주체성, 교류 및 연속성을 들 수 있다. 주체적으로 배우는 의지, 태도, 능력인 자기교육력과 더불어 학습자에게 절실성이 있을 때 학습문제로 성립되고, 주체성을 가질 때 상호 교류와 연속적인 추구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현대사회에서 공감과 가치 규명, 자기결정과 발신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문제해결학습이 진화해가고 있다는 것은 이의 구성과 전개에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 방식을벗어나서 학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체적이고 대화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생각과 관점을 교류하고, 이를 통해 최종 인지한 해결 방안을 외계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발신 활동을 보장하는 교수-학습 환경이 적극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석,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task ability as recognition of assessment rubric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I designed theoretic assessment rubric model for learning task ability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learning based upon literature reviews. Theoretic rubric has been verified based upon decision of professional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junior-high school classes(9th grade) located in Yangpyung, Gye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groups' homogeneity,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onducted, using assessment rubric. The study was conducted on two selected classes which showed similar learning ab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1 lesson times. Assessment rubric was reveal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make it recognized before starting the task. By evaluating two groups' process and results through assessment rubric, this study was t-tested two groups' average value in each level as well as overall average value. And the study researched the effect recognition of assessment rubric on learning task ability in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assessment rubric was developed in a way that it has 7 steps including problem check, search for solution, selecting problem solution method, specification of solution, implementation, evaluation(activity), evaluation(work) as well as 4 levels including A,B,C,D. The general-analytic Rubric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through professional review and practical application. Second, in this experiment, when learners recognize assessment Rubric in learning technical problem-solving, it has positive impact on problem check, search for solution, selecting solution, specification of solution and learning task ability of evaluation(activity). However,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work)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confirming the fact that there is no effect in learning task ability. After comparing overall average value of technical problem-solving study, it has shown meaningful difference. Thus, it can be translated as it has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learning task ability when assessment Rubric is revealed and recognized. Based upon the study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study. First, assessment Rubric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ed activity-oriented evaluation factors in implementation of technical problem- solving. Thus, it needs to develop valid evaluation factors as an implementation process in experiment-centered technical problem-solving. Second, I felt it was much easier to teach in a class where assessment Rubric was recognized than its counterpart. Students in a group where assessment Rubric was revealed asked more questions which are necessary in a class as they were aware of the direction of learning. They also tried very hard to meet the standard suggested in assessment Rubric. Likewise, the study is needed on quality study for teacher's convenience in conducting class as well as self-motivate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assessment Rubric's recognition. Lastly, assessment Rubric for learning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in this study was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for technology teacher and study conductors who teach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method in a class. It is my hope that this study may be provided as resources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s evaluation area in technology curriculum and becom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better follow-up study. Also, I hope meaningful evaluation method and tools in education may be developed for evaluation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의 이론적 평가루브릭을 구안하였으며, 이론적 루브릭은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의 전문적 판단에 근거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실험대상은 경기도 양평 소재 Y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평가루브릭을 공개 후 인지시켰고, 통제집단은 비공개하여 수업을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검사를 포함하여 16차시에 거쳐 진행되었고, 두 집단 간에 기술적문제해결학습의 각 단계별 평균값을 t-test하여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수업에서 평가루브릭의 인지여부가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루브릭은 문제확인, 해결방안의 탐색과 창안, 해결방안의 선정, 해결방안의 구체화, 실행, 평가(활동), 평가(작품)의 7개 단계, 그리고 A, B, C, D의 4개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는 일반적-분석적 루브릭으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의 검토 및 실제 적용을 통하여 타당함이 증명되었다. 둘째, 이 연구의 실험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에 평가루브릭을 학습자가 인지하였을 때 문제해결학습 단계 중 문제확인, 해결방안의 탐색과 창안, 해결방안의 선정, 해결방안의 구체화, 평가(활동)의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실행, 평가(작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습수행능력에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단계의 총점의 평균값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평가루브릭을 공개하여 인지시켰을 때 학습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 평가루브릭은 일선 교육현장에서 기술적 문제해결학습의 수업을 진행하는 기술교사와 연구자들에게 평가의 수월성을 제공하고자 개발되었다. 이 연구가 기술교과 교육의 기술적 문제해결 평가영역에 자료로 제공되어, 더 나은 후속 연구의 개발에 밑거름이 되고, 평가영역에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평가 방법 및 도구들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 사회과 경제교육에 있어서 신문제해결학습 적용효과

        최병모,김경모,박형준,전희옥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2006 敎員敎育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감성개발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 사고를 촉진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는 신문제해결학습 사례를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사회과 경제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신문제해결학습의 현장 적용에 따른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 수업 사례의 개발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학교 사회과교실에서 신문제해결 수업모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과, 고급사고력의 육성, 학습욕구 유발, 지식 기능 가치, 참여 등의 통합적 지도, 수행평가 가능 등의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인다. 셋째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으로, '시간부족', 모둠의 동질성 확보, 교실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여건 성숙문제, 문제중심 교과 내용의 조직 필요성 등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현장에 신문제해결학습이 원활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이 수업운영에 필요한 사회과 경제관련 교육과정 구조전반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본다. The Effect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Economy Education was analys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making and verifying Experiment stud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and it's lesson in the social studies economis Education, as a result, to make a contribution to achieving the good economic educ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lass 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was discussed and it's lesson model has been made. Secondly, instrument(learning achievement ability, the opinion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bout a new problem solving model)that is, the experiment with a new problem solving model has been made. Thirdly, a new problem solving model lesson was applied in the classroom, and cause and effect by using statistical and interpretative method was analysed. And, we found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conomic education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conclusion, we can propose the activation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for economic problems resolution in knowledge centered society, the necessit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