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제스처의 메타인지적 활용 연구: 『Sweat』 트레이시 인물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고연주 ( Ko Yeon-ju ),조준희 ( Cho Joon-hu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메타인지란 어떻게 자신의 인식처리 과정을 이해하고 인지하는가에 관한 정신 활동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런데, 배우의 연기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스스로 학습하고 자신을 성찰해나가는 과정이므로, 본질적으로 메타인지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인지 이론을 통해 기존의 연기론을 재인식해봄으로써, 해당 연기론과 배우의 역할창조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카엘 체홉 테크닉(Michael Chekhov Technique) 중에서도 정수로 평가받는 심리적 제스처(Psychological Gesture)를 메타인지 이론을 적용해 고찰한다. 심리적 제스처의 전반적인 과정에 메타인지 요소들-주의, 시연과 부호화, 조직화와 인출-을 적용해 분석해본 결과, 메타인지의 관점에서 심리적 제스처는 원형적 동작의 선택, 동작 이미지에 대한 상상의 두 가지 측면에서 메타인지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심리적 제스처의 구현에서 메타인지는 원형이라는 무의식적 특성에 의식적으로 접근하여 심리적 제스처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상상이라는 총체적이고 집약적인 심리-신체적 사고 과정을 관리ㆍ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심리적 제스처는 수많은 인지 활동을 수반하며 배우의 만족 여부를 기반으로 한 메타인지가 끊임없이 작동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메타인지를 통해 심리적 제스처를 조망함으로써, 직감적이고 경험적 성격이 짙은 심리적 제스처에 체계적으로 접근을 하여 주체적인 역할창조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메타인지 전략을 실제 『Sweat』의 트레이시(Tracey) 인물 구축 과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Metacognition is a mental activity about how one understands and perceives the process of one's percep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one's ability to learn on one’s own. An actor's performance is a process of constantly learning and reflecting on himself throughout his or her life, which inherently implies meta-cogni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by reexamining the existing acting theory with meta-cognitive theory, we try to clearly understand the acting theory and the role creating process of the actor. This study looks into Psychological Gesture that is evaluated as integers among Michael Chekhov Techniques by applying meta-cognitive theory. Having analyzed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overall process of Psychological Gestures - attention, rehearsal and encoding, organization and withdrawal, - we could find that psychological gestures have a high correlation in two aspects: choice of archetype gesture and imagination of motion images. As a result, in the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Gesture, metacognition consciously approaches the unconscious nature of circularity, helps to understand Psychological Gestures more clearly, and manages and controls the overall and intensive psychological-physical thinking process of imagination. Therefore, Psychological Gestures is a process in which numerous cognitive activities occur and meta-awareness based on actor satisfaction is constantly working. By investigating Psychological Gestures through metacognition, this paper confirms that psychological gestures that are intuitive and experiential can be systematically approached and used as an independent role creating strategy. Furthermore, we anticipate specific questions that can be derived using a list of meta-cognitive strategy questions. These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racey’ of 『Sweat』 that actual production character construction process to validate its results.

      • KCI등재

        메타인지 전략 학습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박혜연,정순모,김응환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자기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자 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사람으로,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사고력이 강 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사고력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절·통제하는 메타인지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결과들의 통합을 통해 ‘메타인지능력과 수학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그 효과,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metacognitive learning by stressing metacognitive abilities as a core strategy to increas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eoretical exploration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metacognitive abilities and various ways of mathematical thinking. Various metacogni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by many teachers at school were integrated for sharing. Also, the methods of learning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metacognitive thinking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asoning, communi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mmitment'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athematical thinking. Second, various megacognitive ability-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d positive impacts on definitive areas such as 'anxiety over Mathematics, self-efficacy, learning habit, interest, confidence and trust' as well as cognitive areas such as 'learning performance, reasoning, problem solving, metacognitive ability,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which is a result applicable to top, middle and low-performance students at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acilities. Third, 'metacognitive activities, metaproblem-solving process, personal strength and weakness management project, metacognitive notes, observation tables and metacognitive checklists' for metacognitive learning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performance assessment covering problem-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Various metacognitive learning methods helped to improve creative and systemic problem solving and increase mathematical thinking. They did not only imitate uniform problem-solving methods suggested by a teacher but also induced direct experiences of mathematical thinking as well as adjustment and control of the thinking process. The study will help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ise and apply teaching or learning models for their teaching environments, improving students' metacognitive ability as well as mathematical and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메타정동(meta-affective)과 메타인지(meta-cognitive) 검사도구의 타당도 확인 및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의 집단유형분석

        박은주(Eun Ju Park),하민수(Min Su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메타정동 및 메타인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고,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의 학습상황에서 인지적, 정서적 조절특성 및 집단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Uzuntiryaki-Kondakci & Kirbulut(2016)의 메타정동 특성 측정검사도구(meta affective trait scale: MATS)와 Harrison & Vallin(2017)의 재구성된 메타인지 인식항목표(meta-cognition awareness index: MAI)를 번역하여, 강원도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72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ver. 19.0, Statistical Package of Social Science) 프로그램과 라쉬모델분석(Rasch Anlysis)을 사용하여 문항 신뢰도, 난이도, 및 적합도와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모형기반군집분석(Model-based clustering)을 실시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메타정동과 메타인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동인식, 정동조절, 인지지식, 인지조절 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메타정동과 메타인지 수준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였고 성별, 나이, 계열 등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분석결과 학생들의 집단 유형은 3가지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70% 이상의 학생들이 메타정동과 메타인지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이는 그룹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메타정동 특성 측정검사도구(MATS)와 메타인지 인식 항목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메타정동과 메타인지 확인에 접합하며, 여러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영역에서 낮게 나타나는 메타인지와 메타정동 수준은 유의미한 학습과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핵심 구성요소이므로,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역할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at can measure meta-affect and meta-cognitive levels, which are one of the key elem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states and group types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Meta-Affective Trait Scale (MATS) of Uzuntiryaki-Kondakci & Kirbulut (2016) and the reconstructed Meta-cognition Awareness Index (MAI) of Harrison & Vallin (2017) ) was translated and the test was conducted on 728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Gangwon-do. For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ver. 19.0, Statistical Package of Social Science) program and Rasch Model Analysis, item reliability, difficulty, and fit and thre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Model- based clustering to analyze the meta affective and metacognitive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perception, affective regulation, cognitive knowledge, and cognitive control levels were very low in all domains, and meta-affective and metacognitiv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ender, age, and track was shown.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here were three types of students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70% of the students belonged to the group showing low levels in all domains of meta affective and meta-cognition. Conclusions The Meta-Affective Trait Scale(MATS) and Meta-cognition Awareness Index(MAI) are suitable for checking meta-affective and meta-cognition of Korean students, and can be used as a tool to explore the interaction with various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addition, meta-cognition and meta affective levels, which are low in all domains, are key components for meaningful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an educational role is needed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develop them.

      • KCI등재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사고 과정 분석 사례 연구

        이봉주,고호경 한국학교수학회 200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2 No.3

        본 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접근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선행 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하여 메타인지적 발문을 고안하고 이에 따라 학생들에게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메타인지가 수학적 사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임을 제안하고, 학생들의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두 가지 사례를 들어, 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를 분석함으로서 자신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과 절차를 의식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조정하고 통제하려는 모습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 대학교 급별 학생들의 메타인지 비교 연구

        김윤옥(Kim, Youn-Ock) 학습전략중재학회 2019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의 등급 수준에 따라 대학생들의 메타인지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중부지방에 위치한 D대학교 학습클리닉센터의 도움을 찾은 77명의 학습부진 대학생들, 남부지방의 A대학교 111명, B대학교 66명의 학생들, 서울지역의 전문대학교인 C대학교 81명의 학생들 등 모두 335명 이다. A대학교와 D대학교는 수학능력 1,2등급, B대학교는 수학능력 3, 4등급, C대학교는 수학능력 5, 6등급의 고등학생들이 지원하는 전문대학이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D대학교 학습부진 학생들은 효과 초래를 위한 ‘어떻게’의 사용에 취약하고(메타인지기술), 과제완성 후의 검토에 약하며(메타인지모니터링), 과제들의 우선순위 매김과 기억방법에 대한 지식이 약하다는(메타인지지식) 것이다. 둘째, 전문대학교인 C대학교 학생들은 주제 찾기 방법과 과제들의 우선순위 매김에 대한 인지가 약하며(메타인지지식), 효과 초래를 위한 ‘어떻게’의 사용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약하다(메타인지기술). 셋째, B대학교 학생들은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글의 전/후 비교에 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약하다는(메타인지기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 2급 대학교 학생들은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둘째, 전문대학교 학생들은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셋째, 위 두 부류의 학생들에게는 실패가 허용되는 통제된 학습환경에서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성공경험이 필요하다. 넷째, 국립 1급 대학교에서 학습부진을 겪는 대학생들은 메타인지기술에 대한 중재가 가장 시급하고, 메타인지지식과 모니터링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메타인지지식, 메타인지기술, 메타인지모니터링 등의 중재방법은 낱개의 지식으로 가르치기보다는 각 요소들이 잘 고안된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중재를 통하여 메타인지의 각 요소들에 대한 완전학습과 자동화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differ college students’ meta-cognition according to each university’s applicants’ Korean SAT (K-SAT) level.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77 D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and 111 from A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hile the applicants were from top 1st or 2nd level, 66 from B privat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3rd or 4th level, and 81 C two-year college students who had 5th or 6th level in the K-SAT. As the results, first, D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skills which bring about effectiveness, monitering related to reviewing after complishing tasks, and meta-cognitive knowledge related to memorizing strategies. Second, C two-year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knowledge related to how to find out theme and prioritize tasks, meta-cognitive skills related to bringing about effectiveness, and believing in their capabilities. Third, B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weakness in meta-cognitive skills related to comparing front and back of the context to grasp comprehension and believing in their capabilitie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ivate college students with 3rd or 4th K-SAT level need some meta-cognitive skill intervention. Second, two-year college students need some meta-cognitive skill and knowledge intervention. Third, these two kind of students need to experience mastery level of success thru cotrolled practices. Fourth, university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s holding 1st or 2nd K-SAT level need meta-cognitive skill intervention urgently, an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onitoring intervention as well. Finally, meta-cognitive skills, knowledge, and monitoring intervention could be accomplished thru well-designed learning strategy programs.

      • KCI등재후보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진화봉,이순아,김회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핵심요소로 강조되는 메타인지가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세 개의 실험집단과 한 개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메타인지적 지식 수준이 높은 피험자는 낮은 피험자보다 메타인지적 규제를 요구하는 과제에서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작동기억 용량에 따른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에서는 중앙집행장치와 언어적 작동기억을 제외한 시· 공간적 작동기억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 · 공간적 작동기억 검사도구의 신뢰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반복실험이 필요하다. 작동기억을 억제했을 때의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 성취도는 예측했던 대로 중앙집행장치 억제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고, 네 집단 중에서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가 중앙집행장치의 많은 인지적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앙집행장치 용량의 상하에 따른 성취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중앙집행장치를 억제하면 성취도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결과는 메타인지적 규제의 기능을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가 담당하며, 메타인지적 규제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메타인지적 규제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를 고려해야 보다 설명력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mponents of metacognition and working memory that were considered as critical constructs to have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subjects were 140 sixth grade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tasks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concurrent working memory suppression task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only the task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ith high metacognitive knowledge got higher achievement in the task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than the low metacognitive knowledge group. Visuo-spatial working memory span affected task performance requiring metacognitive regulation. However, because of low reliability of visuo-spatial span test additional experiments are necessary to confirm the results. As expected, the central executive sup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tasks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other groups got the lowest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entral executive would play the rol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the students with high metacognitive regulation skills would be successful in self-directed learning. It is desired that the stud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skills consider the students' central executive capacity.

      • KCI등재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이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문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e general features,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learning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detailed aspects of problem solving skills (problem confidence, problem control, problem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in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irty students studying speech therapy in a four-year university were examined from March 2018 to June of the same year. The subjects learned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nd they were tested for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s :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gra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rough learning flow (F=94.861, p<.001), metacognition (F=11.169, p<.001), and problem solving skills (F=11.644, p<.001). The learning flow (β=.118, p<.05) and metacognition (β=.139, p<.05) of flipped learners heavily influe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blem confidence, a detailed element of problem solving skills of flip learners, heavi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3, p<.05) and metacognition (β=.157, p<.05), while problem control mainly impacted learning flow (β=.117, p<.001) and metacognition (β=.138, p<.05) and problem approach great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4, p<.05) and metacognition (β=158, p<.05). Conclusions :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speech therapy instruction are an important supplementary method that can enhance learning flow,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students' learning types and information usage. Future studies will need to look at various learning types and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nd seek learning methods that can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목적: 본 연구는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일반적은 특성과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알아보았다. 또한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의 세부요인(문제자신감, 문제통제, 문제접근)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에 맞는 교육방법과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4년제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30명의 학생이었고,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 까지 실시되었다.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대상자들에게메타인지검사지, 학습몰입검사지, 문제해결력 검사지로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을 파악하였다. 결과 :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학점에서 학습몰입(F=94.861, p<.001), 메타인지(F=11.169, p<.001), 문제해결력(F=11.64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플립러닝학습자의 학습몰입(β=.118, p<.05)과 메타인지(β=.139, p<.05)에서 문제해결력에 큰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의 세부요인인 문제자신감에서 학습몰입(β=.133, p<.05)과 메타인지(β=.157, p<.05)가, 문제해결력의 문제통제가 학습몰입(β=.117, p<.001)과메타인지(β=.138, p<.05)에서 그리고 문제접근에서 학습몰입(β=134, p<.05)과 메타인지(β=158, p<.05)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언어치료에서 적용된 플립러닝기법은 교육을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몰입,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향상 하는데 중요한 교육 방법이다. 또한학생들 각각의 학습유형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학습유형과 플립러닝의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학습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쓰기메타인지, 가정환경의 상관연구

        이민영,이성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writing abilities through investigations that verify if elements such as writing abilities, writing metacognition, and the home environment are related. For this purpose,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Kangdong-gu, Seoul,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ir writing abilities, writing metacognition, and home environment. In addition, correlations between each element and low-ranked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writing abilities are more related to writing metacognition than to the home environment, but that writing metacogni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home environment. In short, we suggest that the home environment indirectly influences writing skills through writing metacognition. To improve our students' writing abil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use the strategies for writing metacognition, and, especially, planning strategies for metacognition would be an important element. Throughout the study, the elements of family companionship and the stimulation of learning material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writing skill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vest in concrete studies of how writing metacognition influences the home environment and to verify the various aspects; thereby, expanding the objects of study. 본 연구는 아동의 쓰기 능력·쓰기메타인지·가정환경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 아동의 쓰기 능력발달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탐색하여 쓰기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쓰기능력·메타인지·가정환경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질문지의 검토를 위해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가정환경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검사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질문지의 요인 분석을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질문지의 검토 후, 서울시 강동구에 소재한 K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쓰기 능력·쓰기메타인지·가정환경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각 요인과 그 하위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쓰기 능력은 가정환경 보다는 쓰기메타인지가 더 큰 상관을 나타냈으며, 쓰기메타인지는 가정환경과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가정환경은 쓰기메타인지를 통하여 쓰기 능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추측하여 볼 수 있었다.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쓰기메타인지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쓰기메타인지의 계획하기전략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은 가족 유대감과 학습 도구의 자극이 쓰기 능력과 관련이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쓰기 능력에 메타인지와 가정환경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경로분석이 필요하며, 연구 대상을 확장시켜 다양한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차이

        심명보(Shim MyungBo),이신동(Lee ShinDo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가정환경, 메타인지, 창의적 사고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생 105명과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학생 111명 총 216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검사, 메타인지 검사, TTCT 검사(언어, 도형)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가정환경에서는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에서,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과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가정환경에서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정환경의 모든 하위요인들, 메타인지에서는 영재학생의 학습관리와 도형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이 모든 창의적 사고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가정환경,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가정환경과 메타인지가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 사고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하위요인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하위요인은 인지전략 수준과 메타인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따른 교육적 함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고, 가정환경 및 메타인지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변인의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과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e abilities i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It also reveal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on the creative abilities. Subjects included the total 216 students, who are 105 gifted students from the institute of gifted education and 1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asked to take a family background checkup, metacognition test and TTCT test(language and fig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the subfactors in the field of home environments and creative abilities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ones showed that all the family background factor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creative abilities.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metaconition and creativity also showed that all the metacognitive factors are meaningfully related to creative abilities except for learning management and figure creativity in the gifted students. Third, home environments and metacognition both influence creative abilities. When students’ creativities are influenced by the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s,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 case of metacognition, both groups of students are affected by cognitive straetegies and, metacognition levels.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ulted by the investigations and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 with subfactors of home environment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thinking skills with new program development related with them.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신승윤 ( Seung Yoon Shin ),류성림 ( Sung Rim Ryu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初等 數學敎育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메타인지 구성 요소별 영향력을 밝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 메타인지적 접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영재교육원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으로 총 80명이다. 연구결과 초등수학영재 집단 안에서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의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전체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으로 나타났고,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 유창성과 독창성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이며, 융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적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적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메타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 does metacognition has with creative math problem-solv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cond, how does each component of metacognition (i.e. metacognitive knowledge, metacognitive regulation, metacognitive experiences) influences the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0 fif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For assessment tools, the study used the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he Metacognition Test. Analyses of collected data involved descriptive statistics, computation of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Statistics 20.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eat deal of variability between individuals was found i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even within the group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eco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Thir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component of metacognition, it was found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metacognitive component that relatively has the greatest effect on overall mat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results indicated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has the greatest effect on fluency and originality among subelements o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hile metacognitive regulat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flexibility. It was found that metacognitive experiences relatively has little effect on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finding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etacognitive approach in math gifted curricula and programs for cultivat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math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