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이 초등예비교사의 영어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차수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5

        연구목적 이 연구는 두 번의 마이크로티칭을 적용하고 영어교사 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여 마이크로티칭이 초등예비교사의 영어교사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영어교육 비 전공 예비교사 19명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두 번의 마이크로티칭을 수행하게 하였다. 마이크로티칭이 영어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티칭을 수행하기 전 사전 검사, 1차 마이크로티칭이 끝난 뒤 1차 사후 검사, 2차 마이크로티칭이 끝난 뒤 2차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모든 마이크로티칭을 마친 후 자기소감문을 통해 마이크로티칭을 준비하고 수행하며 들었던 생각이나 느낌 등을 자유롭게 서술하면서 수업을 성찰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와 2차 마이크로티칭 모두 초등예비교사의 영어교사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두 번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을 수행하며 초등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해 자신감과 만족감을 느꼈다. 결론 마이크로티칭을 준비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영어수업을 위해 초등예비교사들의 많은 고민과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에 영어교사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도 향상되었다. 특히 1차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2차 마이크로티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어교사 효능감 향상을 위해 마이크로티칭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가치 있는 경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두 번의 마이크로티칭 경험은 초등예비교사의 영어교사 효능감 향상뿐만 아니라 유능한 초등교사로서 앞으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teaching on English teachers’ efficacywit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9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an English teacher efficacy test and the collection of teachers' self-reports. The obtained results underwent analysis emplo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For the quantitative data,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using SPSS, while the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self-reports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vealed a positive impact of microteaching on the English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rthermo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increased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a resul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ngaging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nd conducting microteaching can yield a positive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English teachers’ efficacy, along with fostering increased confidence and satisfaction. Notably, the positive influence observed during the initial microteaching experience carried over to the subsequent session,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and value of microteaching as an experience to enhance English teachers’ efficacy.

      • KCI등재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 탐색

        서윤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 대상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경험적 효과를 질적으로 도출하고, 보다 발전적인 마이크로티칭의 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A여자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 중 20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의 일반적 절차인 사전 교육, 1차 마이크로티칭, 피드백, 2차 마이크로티칭, 피드백 등에 따라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고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성찰보고서, 면담 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수업 전문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적 실천’, ‘전문가적인 태도 형성’,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등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마이크로티칭을 운영하기 위하여 첫째, 수업행동분석실을 이용한 마이크로티칭 실시, 둘째, 장기적인 마이크로티칭 운영, 셋째, 교직 과목에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과 같은 실제적 내용 강화, 넷째, 마이크로티칭시 역할극 도입 등의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의 단편적인 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경향에서 벗어나, 질적으로 종합적인 효과를 도출함으로써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을 보다 확장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마이크로티칭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어 선행연구의 성과를 귀납적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술가교수들의 교육적 성찰의 사례와 시사점

        한수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기존 마이크로티칭 관련 연구들이 주목하지 못했던 예술전문교육의 상황에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함으로써 예술가교수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탐색하고, 새롭게 드러나는 마이크로티칭의 역할은 무엇인지 그 확장 가능성과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짧은 모의 수업이 아니라 한 학기 수업 전체를 대상으로 확장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함으로써 예술전문교육의 특수한 맥락을 최대한 살리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마이크로티칭은 예술가교수들이 교수학습을 체계적인 수업 설계와 실행의 과정이라는 개념으로 정교화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술가교수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본 시간을 가진 것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교수학습에 대해 지속적인 반성과 설계를 도모하게 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예술전문교육이 비언어적인 체험의 교류, 미적 판단력과 상황특수적인 교수적 직관이 작용하는 특수한 국면을 지닌다는 점을 드러내었으며, 예술가교수와 교육 연구자 간 소통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교육학 분야에서 예술전문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성과 그 방향이 어떤 것인지를 가늠케 하는 것으로서 적지 않은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Artist professors have neither fully paid attentions to the concept of education or teaching and learning issues nor been supported systematically by arts colleges to promote their awareness of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 technique called microteaching to artist professor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in this attitude for education and any improvements in their classroom practice. In comparison with typical microteaching using mock classes, this study designed an enlarged concept of microteaching using a whole semester's classes to reveal the peculiar dimensions of professional art education in art colleges. Several outcom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the experience of microteaching helped artist professors to elaborate the concept of teaching and learning as a process of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and execution process. Secondly, artists professors could have a chance to look over their classes objectively and make reflections on them. Thirdly, the experience of microteaching leaded artist professors to continuous reflections on their educational practice and re-designing classes. Fourthly, the enlarged microteaching covering a whole semester's classes revealed the peculiar aspects of professional arts education involving exchanges of experience over the language and situation specific judgement in teaching through aesthetic intuition.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김안나(Kim an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어떤 양상을 보이며,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대학교의 수업연구 및 수업분석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6일부터 6월12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 초기에 부담을 느꼈으며, 자기 수업에 실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자기수업과 동료수업을 분석하며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자기 수업을 분석하고 비평하며 마이크로티칭의 경험을 확장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자기 장학의 기회가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동료 멘토링을 통해 교수학습을 정교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을 통해 자신의 수업전문성이 향상되는 기회가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티칭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experience in microteaching which was conducted on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what it means to th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 6 to Jun 12 of 2014 on 20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taking instructional research and class analysis in A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burden at the beginning of experience in microteaching, and showed aspects of getting disappointed in their class. Nex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spects of analyzing and getting immersed in their class and class of fellow teachers through microteaching. Also, it was identified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spects of expanding experience in microteaching by analyzing and reviewing their class through microteaching. Secondl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microteaching became an opportunity of self-supervision.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microteaching gave them an opportunity to elaborat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peer mentoring.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ir instructional expertise improved through microteaching.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Kim, J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 D대학 2015년 2학기 유아수학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2학년 127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 과정을 소개한 후, 1차 마이크로티칭을 하고 이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지도 교수 평가를 받고 2차 마이크로티칭 후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티칭 사전 사후 수학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설문 지로 t-검증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크로티칭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마이크로티칭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을 객관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수업행동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예비유아교사들이 개선하는 모습을 통해 상대적으로 위축된다는 이 전과 상반되는 반응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of micro-teaching on th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7 students who were in their second year at a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who were taking a course in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After the process of micro-teaching was explained to them, they engaged in micro-teaching. And then they made a self-evaluation and got feedback from their peers and advisors, and secondary micro- teaching was implemented.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ir math teaching efficacy and math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micro-teaching in order to determine its eff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cro-teaching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math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micro-teach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ath attitud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experience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icro-teaching,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look at themselves in an objective way, was quite effective at changing their own teaching behaviors for the better. On the other hand, some responded in a manner to be different from their previous response. They told that they became relatively intimidated when they found other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의 인식

        조영남 ( Young Nam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1 교육학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행동주의에서 출발한 마이크로티칭은 반성적 실천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교사교육에도 유용하다. 설문조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 모두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마이크로티칭의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마이크로티칭 경험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육에서 마이크로티칭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초등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 모두 교과지도를 선택했으나, 특별활동에 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와 마이크로티칭의 장점에 대한 개방형 설문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 모두에게 반성적 교사교육을 위해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 연수 경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and in-service teachers` cognition on microteaching. Microteaching was introduced as a method of CBTE(competence-based teacher education; PBTE, OBTE). It provides a kind of meta-learning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opportunity for pre-service students and in-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e-service students` cognition on microteaching are as follows: The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cognition is relatively low in relation to the need for microteaching. They receive information on microteaching mainly via teacher employment institute rather than pre-service education. They respond highly to subject matter instruction as the most needed area of microteaching in schooling. They respond relatively low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service teachers` cognition on microteaching are as follows: Similar with pre-service students, the elementary in-service teachers` cognition is also relatively low in relation to the need for microteaching. They receive information on microteaching mainly via college and graduate school rather than in-service training. They also respond highly to subject matter instruction as the most needed area of microteaching in schooling. So, the positive mind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microteaching is needed in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An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microteaching via vari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 마이크로티칭 기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연구는 마이크로티칭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 D대학 유아수학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2학년 127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 과정을 소개한 후, 1차 마이크로티칭을 하고 이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지도 교수 평가를 받고 2차 마이크로티칭 후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티칭 사전 사후 수학교수효능감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설문지, 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크로티칭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마이크로티칭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영향을 주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을 객관화 할 수 있는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수업행동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예비유아교사들이 개선하는 모습을 통해 상대적으로 위축된다는 이전과 상반되는 반응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중등 음악과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효과 분석

        오지향 ( Ji Hyang Oh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음악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1명을 대상으로 2회의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한 후의 효과를 분석하고 마이크로티칭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교수평가의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1차 마이크로티칭 후에 예비교사들은 교수평가 및 동료평가를 받았고 비디오 분석을 통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본인의 수업을 반성하고 분석하였다. 21명중에 14명의 학생이 2차 마이크로티칭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수업에 대한 자신감 있는 태도와 유연한 상황 대처 기술 학습동기 유발 및 구체적인 학습목표 제시 항목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음을 볼 수 있다. 예비 음악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을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수업의 실제적인 부분들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던 점, 동료를 평가하면서 자신의 수업실연에 적용한 정과 비디오 녹화를 통한 반성을 통해 자신의 버릇과 개선점을 알 수 있다는 점을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가장 도움이 되는 실천적이고 반성적인 경험으로 생각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and contents of micro-teaching on the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s. With 21 pre-service music teachers currently in their junior year as Music Education major al a teacher`s college, two micro-teaching session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ir effects and experience have been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own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has also been examined. Those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evaluated by instructor and peers after the micro-leaching session, while their own teaching was critiqued and analyzed through self-evaluation based on video-taped analysis. 14 out of 21 students came up with better scores on the second micro-teaching, particularly showing improvement in categories of confidence about class, flexibility in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learning motivation, and specification of learning goal.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faculty evaluation appeared largely equal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found the most beneficial practical experience in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think about actual aspects of a class while planning and performing the microteaching, and that while they evaluated their peers they were able to apply it to their class performance, and that the video recording ensured self-reflection, knowledge of their own habits, and improvements required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과정 기반 영어 마이크로티칭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안경자 ( Kyung Ja A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본 연구는 과정 기반 영어 마이크로티칭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 예비교사교육 강좌에 적용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을 탐구했다. 초등 예비교사 21명을 대상으로 모형을 적용하고, 마이크로티칭 성찰문, 사후 설문지를 비롯해 배경요인 설문지, 수업지도안, 동료평가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 및 빈도분석을 거친 결과 주요 연구 및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기반 마이크로티칭 모형은 예비교사들의 영어 수업계획, 실연, 평가에 대한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티칭 전, 중, 후 단계로 고안되었다. 마이크로티칭 전 단계에서는 수업실연을 위한기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 수업지도안, 교실영어, 영어 수업 평가 관련 워크숍을 진행했다. 수업지도안은 초안, 수정본, 최종본을 작성하면서 발전시키도록 했다. 마이크로티칭 후 단계에서는 교수, 동료, 자기평가를 시행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업지도안 계획 및 수정시 학습목표에 적합하고 실제적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높이는 활동을 단계별로 적절히 구성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문법적이고 적절한 영어 표현을 사용하고자 했다. 자기성찰을 통해 본인 수업실연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영어 수업실연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마이크로티칭 모형이 유용하다고 인식했다. 그러나 수업실연의 절차와 소요시간 등에서 임용시험과 동일하기를 원했다. 또한 교수, 동료, 자기평가가 예비교사들의 영어 교수 능력 향상에 유용하다고 인식했으나, 보다 자세하고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교수 및 동료평가와 보다 자유롭게 성찰하는 자기평가가 되기를 원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모형의 개선 방향과 영어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for process-based English microteaching (PEM) for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ir microteaching and the microteaching model when this model was implemented in one of their teacher education courses. The participants were 21 pre-service primary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n primary ELT methodology class taught by the researcher. Data collected include the participants’ personal reflections on microteaching and post-survey responses about the microteaching model as well as three lesson plan drafts from each pre-service teacher, video-recorded microteaching sessions, and feedback from peers and the instructor. The data were analyzed both qualitatively (content analysis) and quantitatively (frequency analysis) using a mixed research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in planning, teaching, and evaluating English lessons, PEM was developed based on pre-, while-, and post-microteaching stages. When PEM was implemented, the participants focused on planning and revising their lessons based on the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model to achieve the lesson objectives, provide the pupils opportunities for real-life communication, and improve their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Also, the participants wanted to use grammatical and more appropriate English expressions. Through self-reflection on their microteaching, they analyz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ir own lessons and created plans to improve their English and teaching skills. While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PEM as useful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they wanted the format of the microteaching to be closer to that foun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Whereas the participants found the feedback from the peer, instructor, self-assessments helpful, they wanted more analytical feedback from more competent peer evaluators, more detailed and critical instructor feedback, and more open self-reflec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to improve PEM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re made. Moreover,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increasing the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