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그리스도교 문서에 나타난 막달라 마리아의 사도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소기천(Ky Chun So) 한국Q학회 2014 예수말씀연구 Vol.- No.4

        본 소고는 1960년대 이래로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여성 리더십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즉, 한국 교회에 다소 낯선 주제인 성서의 정경화 이전에 함께 통용되었던 외경문헌들까지 포함하여 초기 교회의 상황을 추정해 보고, 당시에 여성 사도직이 인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비록 외경에 다수 등장하지만 4세기 이전까지 초기교회에서 경전이 채택되기 이전의 상황 속에서 교부들도 중시하였던 여성 리더십의 대표적인 모델인 막달라 마리아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와 관련된 문헌들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특별히 마리아 복음서 를 세밀하게 분석해 볼 것이다. 먼저 마리아 복음서 의 문학적 양식과 내용을 살펴보고, 그 내용을 신약성서와 비교해 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신약성서 안에 등장하는 여러 명의 마리아들 가운데 마리아 복음서 의 마리아는 어떤 마리아를 가리키는지 추정해 보고자 한다. 그 외 몇몇 외경 문헌들에 나타나는 마리아들과 대조해 봄으로써 그 정체성을 정확하게 규명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분석 작업을 통해서 초기 교회에서 인정된 진정한 여성 리더십의 모형과 그와 관련된 당시 초기 교회의 정황을 파악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wants to solve the issues in relation to the women leadership which has been a hot potato since 1960s. He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postolic approval to women in the early Christian literatures before canonization period of the New Testament and extra-canonical gospels as well on order to trace the circumstances of the early church. In addition, this article take a trajectory focused on the Mary of Magdala who is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woman leadership in the early church.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especially studies such issues throughout the Gospel of Mary. First of all, I the literary genre and contents of the Gospel of Mary and compare them with the New Testament. Then I want to trace who Mary is in the Gospel of Mary and which Mary is the Mary of Magdala in the New Testament. I also compare many Marys in the extra-canonical literature in order to the apostolic integrity of Mary. It will be understood some situations in relation to the model of an authentic women leadership which the early church recognized through these analytical studies.

      • KCI등재

        Mary, Icon of Hope, in Pope Francis' Gospel of Mercy

        놀란 줄리아(Norlan Julia)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8

        마리아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장 대립되는 입장을 보였던 주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가톨릭교회에서 마리아 신심이 강렬하게 솟이올랐던 기간 중에 소집된 공의회는 마리아론에서 마리아의 신실함을 지나치게 괴장하려는 경향과 이와는 반대로 마리아의 아드님이신 성자의 구속사에 있어서 마리아가 갖는 중요한 역할을 무시하려는 경향 사이에서 양립된 의견을 조율하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은 마리아께 ‘순례하는 교회를 위한 희망의 아이콘’이라는 칭호를 붙여 준, 마리아에 대한 더 깊은 이해에서 비롯되는 견해를 바탕으로 마리아에 대한 공의회의 핵심적 가르침을 재조명한다. 교회의 정체성을 하느님의 자비로 보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교회에 관한 비전과 리더십 하에서 순례하는 교회는 그 여정에 나서는 것이기에, 본 논문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자비에 대한 가르침을 조명하면서 그 안에서 희망의 아이콘이신 마리아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자비의 어머니로 묘사하신 마리아는 신앙과 기쁨의 완벽한 조회를 보여주면서 당신의 자녀들에게 희망을 불러일으키신다. 신앙의 결실은 우리를 기쁨으로 이끌며 신앙의 기쁨은 훨씬 더 풍성한 결실로 우리를 이끈다. 교황 프란치스코에게 있어서 마리아는 선교하는 교회, 자비와 기쁨의 교회로써 그분 자체가 곧 교회의 본질로 요약된다. 마리아와 마찬가지로 교회 또한 가난한 이들에 대한 사랑으로 자비의 심장이 요동치고, 그들을 위해 두 팔을 활짝 벌릴 줄 아는 어머니인 것이다. 그러므로 마리아는 교회의 순례하는 여정에서 교회 희망의 아이콘임을 강조한다. Mary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ested topic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Convened during a period of intense surge in Marian piety in the Catholic Church, the Council sought to strike the balance between the tendency to be excessive and exaggerated in Marian theology and religiosity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o be reticent and dismissive of Mary's significant role in her Son's redemptive work. This paper revisits the Council's key teachings on Mary, in view of coming to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title it gave to Mary: as the icon of hope for the pilgrim church. As this pilgrim church journeys at this point under the leadership of Pope Francis and his vision of the church as 'church of mercy',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Mary's role as icon of hope in the light of Pope Francis' gospel of mercy. Hailed by Pope Francis as the Mother of mercy, Mary inspires hope among her children as she mirrors the perfect combination of faith and joy: the fiuitfulness of faith leads to joy; the joy of faith leads to even more fruitfulness. For Pope Francis, Mary SlllllS up in herself the essence of the church as a missionary church: a church of mercy and joy. Like Mary, the church is a mother whose arms are open to and whose heart of mercy beats for love of the poor. Thus is Mary is the icon of the Church's hope on its pilgrim way.

      • KCI등재

        연구 논문 : 《마리아 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종교적 권위"에 대한 고찰

        안연희 ( Youn Hee 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7 No.27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전통이 ‘부활의 첫 증인’으로부터 ‘회개한 창녀’까지 복합적 이미지로 기억해온 막달라 마리아가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 《마리아 복음》에서 어떻게 종교적 권위를 입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어 남성 중심적 구조 안에서 권위 있는 말을 시도한 세 여성의 사례에 대한 브루스 링컨의 분석을 《마리아 복음》에서 막달라 마리아의 권위화 양상과 그녀의 복합적 전승들에 적용해보았다. 신약성서에서 십자가 수난과 부활한 예수의 증인이며 ‘사도들의 사도’로 묘사되기도 했던 막달라 마리아는 그리스도교가 제도화되면서 권위의 장에서 사라진 여성들에 속한다. 예수 이후 권위의 위기 속에서 다양한 공동체들 간의 경쟁과 논쟁을 거쳐 형성된 그리스도교 주류 전통은 예수를 따르던 여성들을 배제함으로써 열두 제자와 사도전승으로 이어지는 권위구조를 확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마리아 복음》의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의 인정과 그녀의 영적 자질을 바탕으로 자신의 종교적 경험(환상 속에서 예수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다른 제자들에게 ‘가르치는’, 즉 말하는 행위를 통해 스스로를 예수의 대리자로 권위화하고 있다. 즉 그녀는 그리스도교의 공동체를 이끄는 사도의 권위, 즉 진리를 가르치고 전하고 말할 수 있는 권위를 주장하고 있다. 막달라 마리아와 같은 주도적인 초기 그리스도교 여성들의 자취는 남성 중심의 사도권이 자명하고 당연한 것이 아니라 예수의 여성 제자들에 대한 침묵과 배제, 혼합을 통한 몰 개성화와 같은 정교한 주석적 작업의 결과였음을 보여준다. 《마리아 복음》의 막달라 마리아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해 박제되거나 주변화되어 종교적 경험과 실천의 주체로 서지 못하고 대상화된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종교적 성취를 통해 예수의 인정을 받아 젠더화된 남성의 우위성에 도전하고, 환상과 예언적 힘에 의지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젠더 역할을 벗어나 권위화된 공간자체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마리아 복음》에 드러난 막달라 마리아의 종교적 권위는 사도성과 비전의 담지자로서 남성 중심적 권위가 젠더화된 것임을 일깨우면서도 ‘그 안에서’, 즉 예수의 예외적 신적 권위를 인정하는 장 안에서 그의 말을 권위있게 전하는 방식으로 확립된다. 이는 기존의 권위의 장을 완전히 벗어나거나 잠재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대항 담론이나 권위를 가진 남성과의 혼인을 통한 여성의 권위화 유형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으며, 예언자 시빌라 유형을 구조적으로 연상시키는 그리스도교 공동체 안에서의 망각된 여성 성직자 모델에 가깝다. 그런 점에서 《마리아 복음》은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제공한다기보다, 초기 그리스도교사에서 잊혀지고 배제된 여성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종교적 실천의 전통을 재구성하고 음미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종교사의 전통을 젠더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잊혀진 여성들의 자취와 흔적들을 기억하고 발견해내 그들의 종교적 경험과 종교적 성취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은 남성 사제층의 작품이며 전유물이었던 종교 문헌들에 바탕한 기존의 종교사 서술에 대한 반성적 작업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how Mary Magdalene, remembered as acomposite image from the ‘first witness of the Resurrection’ to ‘the repentantprostitute’ by the Christian traditions, proved her religious authority in theGospel of Mary. And then, I tried to apply Bruce Lincoln’ analysis of threetypes of women who managed to speak within authorized and authorizingplace in the male-dominated structure, to authorizing strategies of MaryMagdalene in the Gospel of Mary and her comlex traditions. Mary Magdalene is one of the women who had disappeared from theauthorized places of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even if she was described asnot only the witness of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but also ‘theApostle of the Apostles’ in the Gospels. Mainstream Christian tradition is aresult of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the apostolic authority through thecompetition and disputes between the various communities struggling forauthority in the crisis of authority. In this process, the women followers ofJesus would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uthority structure of which thesummit is Apostolic tradition of the twelve disciples. But Mary Magdalene of the Gospel of Mary, with the recognition ofJesus(Savior) and her spiritual qualities, tries to authorize herself as thedelegate(apostle) of Jesus by teaching(that is to say, ‘action of speech’) herreligious experience (taught by Jesus in vision) to the other disciples. This shows that Mary Magdalene, the apostle of the Apostles, deserved the authority to teach and preach the truth in Christian community. Traces of the leading early Christian women such as Mary Magdalene proves that the masculine apostolic authority is not the obvious fact but the result of elaborate exegetical works such as silence about Jesus’ female disciples, exclusion of them or mixing of them. When applied to three types of Lincoln, religious authority of Mary Magdalene in the Gospel of Mary can be classified as the variation of Sybilla type. Because she chooses to make herself authorized by convoying Jesus’s word in recognition of Savior’s exceptional divine authority rather than completely dismantling the existing authorized and authorizing places, on the other hand, as the apostle of apostles and bearer of vision or revelation, evoking that existing authorities are gendered. It could be said to be close to the role model of female priests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rather than queen or love model who enters or approaches authorized places through the marriage to the man with authority. Even if we can not say that the Gospel of Mary offers raw facts about historical Mary Magdalene, it will be a very valuable text to remind and reconstruct the narratives and vestiges of religiously active Christian women who has been forgotten and disappeared in the Christian traditions and history of religions.

      • KCI등재

        로베르 캉팽의 〈화열가리개 앞의 성모자〉에 나타난 마리아 락탄스(Maria lactans) 도상 연구

        전한호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3 No.-

        This study explores two issues concerning The Virgin and Child before a Firescreen by Robert Campin (1375?-1444) in National Gallery, London. First, Mary is not actually breastfeeding the child, even though she is nursing him. Second, the significance of the firescree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position, has often been neglected in the interpretation. Images of Maria lactans generally represent Mary breastfeeding baby Jesus in order to stress her maternal love and affection for him. It supports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Incarnation, which explains how God became a human being through Mary. In Campin's painting, however, Mary seems to offer her breast to the viewer, not to the child. The firescreen, used in ordinary households in Campin’s time, functions as a halo for Mary. It also serves as a visual device that unites Mother Mary and the Christ Child. Analyzing these two elements, this study suggests a new interpretation of Campin's work that diverges from the iconographic tradition of Maria lactans. The Virgin is seated on the floor in front of a wooden bench, which reminds us of the iconography of Maria humilitatis. Moreover, the figure's richly ornamented dress and her frontal pose present her as “The Queen of Heaven.” Directed at the viewer, the exposed breast is shown as “a means to reach eternal salvation”(Mechtild) for all. Baby Jesus’ unique pose and his lack of interest in his mother's breast seem to allude to his circumcision. The Holy Grail on the table prefigures the Crucifixion. The fire above the firescreen suggests the sacrifice of Jesus, as he is compared to both a sacrificial lamb and unleavened bread in relation to the burnt offering in the Old Testament.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Jesus' Passion lies in the purification of the sins of all mankind. Thus, The Virgin and Child before a Firescreen, with its unique iconography, serves as a rich material for personal prayer. Mary gave birth to Jesus, fed him her milk and raised him with love and devotion. In this sense, her breast is a symbol of the promise of salvation. In this regard, the iconographic meaning of the act of presenting her breast is associated with the theme of the Last Judgment. As seen in The Intercession of Christ and the Virgin, attributed Lorenzo Monaco (c. 1370-c. 1425), Christ exposes his side wound, as Mary lifts up her breast as intercessor. Mary's exposed breast shows her mercy and love to those who long for salvation, just as the wounds of Jesus signify his love for mankind, for which he sacrificed his life. 본 연구가 런던 내셔널 갤러리(National Gallery, London)에 소장된 로베르 캉팽(Robert Campin, 1375?-1444)의 〈화열가리개 앞의 성모자(The Virgin and Child before a Firescreen)〉에서 주목하는 점은 두 가지이다. 첫째, 수유하는 상황임에도 성모는 실제 아기 예수에게 젖을 물리고 있지 않다는 점, 그리고 화면에서 구성상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화열가리개의 의미가 소홀히 취급되었다는 점이다. 마리아 락탄스(Maria lactans)는 일반적으로 수유 행위를 통한 아기 예수와의 인간적 친밀감, 모성애를 주된 내용으로 다룬다. 신학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육화, 마리아를 통해 인간의 몸을 입었다는 기독교 교리를 뒷받침해 준다. 하지만그림에서 마리아는 아기 예수가 아니라 관람자를 향하여 정면으로 가슴을 보이고있다. 화열가리개 또한 당시 서민 가정에서 사용하던 기물에 해당하지만 그림에서는 마치 후광처럼 마리아의 머리를 감싸는 동시에 화면에서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한다. 이 글은 이 두 가지 사항에 주목하여 마리아 락탄스의 일반적인 도상 전통과 차이를 보이는 캉팽의 작품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성모는 서민적인 가정의 바닥에 앉은 ‘겸손의 마리아(Maria humilitatis)’ 도상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성모는 고급스런 복장에 관람자를 정면으로 향하고 있어 서민적이라기보다 오히려 ‘천상의 마리아(Maestà)’에 가깝다. 아기 예수뿐 아니라 관람자를 향하고 있는 마리아의 젖은 모든 사람을 위한 “영원한 구원에 이르는 수단”(Mechtild)임을 역설해 준다. 수유 행위에 동참하지 않는 아기 예수의 특별한 몸짓은 할례에 대한 암시로 보인다. 이는 오른편 탁자 위에 놓인 성배와 함께 앞으로 있을 십자가 수난을 예고한다. 구약의 번제의식과 관련하여 예수는 누룩을 넣지 않은 빵으로 비교되듯 화열가리개 위로 보이는 불은 예수의 희생을 시사한다. 예수 수난의 궁극적 의미는 인류의 죄에 대한 정화의식(Purification)에 해당하므로 〈화열가리개 앞의 성모자〉는 개인용 기도화의 주제로 적합한 것임을알 수 있다. 이때 마리아는 예수에게 생명을 부여하고 사랑과 헌신으로 양육했기에 마리아의 젖은 구원을 간청하는 상징이 된다. 이런 관점에서, 가슴을 제시하는 행위의 도상학적 의미는 최후의 심판 주제와 연관이 있다. 로렌초 모나코(Lorenzo Monaco, c. 1370-c. 1425)의 〈그리스도와 마리아의 중보(The Intercession of Christ and the Virgin)〉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리스도가 옆구리의 상처를 보일때, 마리아는 가슴을 내보이며 구원을 간청한다. 이때 예수가 보이는 상처가 죄로인한 희생, 인류에 대한 사랑을 뜻하듯, 마리아의 가슴은 구원을 간구하는 이들에 대한 사랑을 나타낸다.

      • KCI등재

        로마 산타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의 〈성모대관〉 출현에 관한 연구

        정은진(鄭恩賑)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3

        본 논문은 로마 산타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의 앱스에 인노켄티우스 2세가 주문한 〈성모대관〉이 제작되고 수용된 사회적 문맥에 관한 연구이다. 성모대관은 성모 마리아가 지상에서의 삶을 마치고 하늘로 올라갔을 때, 성자 그리스도 혹은 성부 하느님이 그녀에게 왕관을 수여하는 장면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산타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의 〈성모대관〉이 이미 관을 쓰고 그리스도와 나란히 앉아있는 장면이기 때문에, 이 도상의 문헌적 기원인 아가의 신부 이미지와 혼동을 일으켜 최초의 작품으로 보기를 주저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서론에서 성모대관을 그 정의에 따라 마리아의 일생이라는 서사구조 속에서 마리아의 죽음과 승천에 이어지는 대관식 장면으로 보기를 제안했고, 앱스 언저리에 마리아의 죽음과 승천이 나타난 이 작품을 최초의 성모대관으로 꼽았다. Ⅱ에서는 〈성모대관〉의 형식적인 기원과 의미해석에 단초가 된 성모대관 이전의 여러 대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류의 태동과 함께 시작된 대지모신에 대한 숭배는 여러 문명에서 어머니 신을 만들어냈고, 비너스를 로마의 어머니로 여기는 대관의 풍습으로 이어진다. 로마가 그리스도교화 되면서 이교의 풍습은 제거되기도 하고, 그리스도교 문화로 수용되기도 한다. 바로 마리아는 고대인들이 어머니 신을 섬겼던 자리에 ‘하느님의 어머니’로 공경을 받았다. 또 성모대관을 권력의 시선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것은 황제의 신적 권력을 재현한 로마황제의 대관식으로, 서로마와 동로마 황재의 대관식을 다루었다. 그리고 비잔틴 미술에서 나타나는 황제와 황후의 대관은 결혼의 축복을 상징하는 것인데, 이는 형식적인 면에서 성모대관의 직접적인 원형으로 볼 수 있겠다. Ⅲ장에서는 우선 산타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의 〈성모대관〉을 분석하고, 이 도상을 주문한 주문자의 의도와 이를 바라보는 수용자의 입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140-1143년 거대한 앱스 모자이크 〈성모대관〉을 주문한 인노켄티우스 2세는 교회 안팎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다. 밖으로는 세속 군주의 틈바구니에서 이들의 힘을 활용해 교황의 권력을 견고히 해야 했고, 안으로는 자라나는 이단의 세력을 저지해야 했다. 재위 중에 많은 분열과 위기에 직면했던 인노켄티우스 2세는 탁월한 외교술로 교회의 독립을 지켜냈으며, 〈성모대관〉과 같은 주제를 교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앱스에 주문함으로서 그리스도의 대리자인 교황의 권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확산되는 이단에 대응에 신자들의 신심을 응집하고자 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를 바라보는 신자들에게 마리아는 이 시대에 나타난 연옥이라는 새로운 저승관의 탄생과 함께 죽음 이후에 그리스도 앞에서 자신들을 대변해 줄 중재자로 수용되었다. 이미지는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과 같다. 〈성모대관〉이 서유럽사회가 성장하면서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되는 시점인 12세기에 가장 공적인 장소인 교회에 등장한 것은 결국 로마황제의 대관처럼 교황의 신적 권력을 재현하기 위함이었고, 우리는 강력해진 교황권을 이 도상 속에서 읽을 수 있었다. 최초의 〈성모대관〉의 출현을 분명히 하고, 그 정치적 의미를 밝힌 것이 바로 본 논문의 의의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ordered by Innocentius the second at the apse of Santa Malia in Trastevere, was produced and accepted. The work shows Christ the Son or God the Father awarding a crown to the Virgin Mary when she ascended to the heaven after ending her life on earth. Other preceding researches hesitated to view the work as the first piece of work which described the Santa Malia in Trastevere because Malia was already sitting with Christ, with a crown on her head and this work is similar to the image of the bride in the Song of songs that is regarded as the reference origin of this work. But in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the researcher suggests this work should be regarded as the Coronation following the Death and Assumption of the Virgin in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me life of the Virgin. And it asserts that this work is the first Coronation of the Virgin in which there is the Death and Assumption of the Virgin on the edge of the apse In chapter two, we studi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preceding coronations which were the origin of the form and offered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work. The worshipping of the Mother Earth which started as the mankind appeared made the mother goddess in many civilizations and lead to the custom which considers Venus the mother of Rome. As Rome became a Christian nation some of the customs of other religions were removed and others were accepted into the Christian culture. It was Virgin Mary that was respected as "the Mother of God" where the ancient civilization served the mother goddess. The coronation ceremony of the Roman emperor, covering the coronation of emperors of west and east Rome. which reproduced the godlike power of the emperor indicates a ground for which the coronation is analyzed as the bestow of power. And the coronation of the emperor and empress which appears in Byzantine art symbolizes the blessing of marriage and this can be viewed as tile direct original form of the Coronation cf the Virgin In chapter three, we analyzes Santa Malia in Trastevere's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and separately explained the intention of the orderer and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thar look upon it. From 1140 to 1143, Innocentius the second, who ordered the gigantic apse mosaic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was faced with difficulty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 On the outside, he had to make firm the Pope's power by making use of the power of the surrounding secular monarchs, and on the inside he had to obstruct the growing influence of heresies. Throughout the many disruptions and the crises Innocentius the second faced during his period of reign, he kept hold of the independence of the church by his outstanding diplomacy ability, and by ordering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at the apse-most important part of the church-he showed the power of the Pope who was the substitute of Christ and at the same time confronted the spreading heresies by cohering the faith of the believers. In addition, to the believers who looked upon such images, the Virgin Mary was accepted as the mediator who would act as a spokesman for the believers in the presence of Christ after death as the purgatory, a new view of the world beyond came into being in this period. Images are like mirrors that reflect the society. The reason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appeared at the church which was the most public place in the 12th century, the point in which the western European society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willie growing, was for reproducing the Pope's godlike power as the coronation of the Rome Empire, And we could interpret the strengthened power of the Pope in the image. The meaning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e first the Coronation of the Virgin and to clarify the political meaning.

      • KCI등재

        중세 이베리아의 재정복과 성모 마리아의 이미지 - 『성모 마리아 찬가』를 중심으로 -

        서영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4

        본고에서는 성모 마리아 찬가의 재정복에 관련된 기적 이야기를검토하여 전쟁의 수호자로서의 마리아가 표상화되는 과정과 전사로서의 행동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럽에서 성모 마리아 숭배가 확산된 시기는 이베리아의 재정복 시기와 겹치는데, 그런 만큼 이베리아에서는 정복의 수호성인으로서의 표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은 성모 마리아 찬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독교 전사들에게있어 마리아는 연인이자 주군으로 설정된다. 전사들은 사랑하는 연인인 마리아를 위해 전투에 참가하는 한편 주군에 대한 봉사 의무를 수행한다. 그 대가로 그들은 보상과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 특히 마리아의 전쟁 수행과 승리는 가장 값진 보상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마리아는 정복의 수호성인으로 표상되었던 것이다. 문학 작품 곳곳에서 마리아는 방어자 내지 공격자로서 무슬림과의전투에 적극 참여한다. 정복지의 주요 모스크가 마리아에게 봉헌된 교회로 개조된 것은 정복의 완결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rgin Mary and the reconquest by analyzing the Cantigas de Santa María. Iberia didn’t follow a general European process with relation to Holy Mary. In medieval Iberia Mary took on the image of the conqueror and warrior. Mary and Christian soldiers including Alfonso X formed the relationship of feudal lord and vassals. In addition to it, Christian men saw Mary as their ladylove. They went to war against the Muslim army to serve Mary, and expected great rewards from Mary in exchange for their services. She and Christian soldiers formed warrior community for fighting Muslim army. In Cantigas de Santa María Mary herself controlled and destroyed the attack of Muslims. She became a subject and symbol of conquest. The main mosques were converted into churches, which were dedicated to Virgin Mary. It symbolize a spiritual domination of conquered territories.

      • KCI등재후보

        로마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웅 ( Sang Ung Lee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본고를 통해 논자는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리아론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가톨릭에서는 마리아를 여신으로 숭배(latria)하는 것이 아니라 마리아에게 최대의 존경(hyper-dulia)을 표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여 왔다. 반면에 극단적인 개신교 비판가들은 가톨릭이 마리아를 여신으로 숭배해 왔다라고 비판하여 왔다. 따라서 우리는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비판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공식 문서들과 마리아론 교본들을 주요 관찰자료로 삼아보았다.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서론에 이어지는 두 번째 부분에서는 (2) 로마 가톨릭 마리아론의 4대 기본 교의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4대 교의란 동정녀 마리아의 신적 모성 교의, 평생 동정성 교의, 원죄로부터 면제된 무염시태 교의, 몽소승천교의 등이다. 특히 마리아의 무염시태 교의와 몽소승천교의는 전혀 성경적인 근거가 없고, 다만 중세와 근현대 가톨릭신학자들과 신자들의 신심에 근거하여 교황이 선포한 교의들이라고 하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또한 평생동정성 교의는 성경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교의이기 때문에 신앙의 조항이 될 수 없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3) 로마 가톨릭교회가 마리아에게 부여한 가장 중요한 위치와 역할인“중재자”(mediatrix) 교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톨릭에 의하면 마리아는 그리스도와 신자들 사이에 모든 은혜의 중재자이며, 위하여 기도해 주는 중재자라고 한다. 그러나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에 이러한 마리아 중재 사상은 성경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는 사상이며, 오히려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되어진 신자들의 신심에 바탕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수가 없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로마 가톨릭의 마리아론은 많은 비성경적인 교의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말로는 마리아공경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de facto) 마리아를 그리스도와 동등한 반열에 놓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는 다시 한 번 마리아와 같은 신앙의 선조들의 신앙적 모범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는 인식과 더불어서, 그리스도의 유일 중보자되심을 부인하거나 약화시키는 어떠한 마리아론이나 성인숭배 사상 등을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바로 비판하고 물리쳐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Mariolog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Catholics have argued that they do not worship (dulia) Mary as a goddess, but they attribute the highest respect (hyperdulia) to her. On the contrary, the extremists of the Protestant Church have criticized that the Roman Catholics have worshiped Mary as a godd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proper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the Catholic Mariology. So, in this paper, I made a thorough research on the official documents and the textbooks of Mariology produced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second chapter, following the introduction, I have dealt with the four basic dogmas of the Roman Catholic Mariology, which are (1) the dogma of the divine motherhood of the Virgin Mary (theotokos), (2) the dogma of the perpetual virginity, (3) the dogm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exempt from original sin, and (3) the dogma of the assumption into heaven of Mary. I have argued that the dogmas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and of the assumption into heaven of Mary are not grounded on the Bible at all. They are produced by the encyclicals of Popes on the basis of the opinions of various Catholic Theologians (from the Medieval period to the Contemporary times) and believers of common faith. In addition, we have observed that the dogma of the perpetual virginity cannot be forced as the article of faith, for it has no Biblical basis at all. In the third chapter, we looked at the dogma of mediatrix, which talks about the important position and role of Mary. Roman Catholics have asserted officially that Mary is the mediatrix of all grace between Christ and the Catholic believers, and she is the intercessor who prays for them. However,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the mediatrix thought cannot be justified biblically. It is only grounded on the faith of the Catholic believers and it has been shaped by a long historical procedure.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Roman Catholic Mariology is composed of the un-biblical dogmas, and they, de facto, put Mary on a par with Christ, although they acclaim that they gave highest respect to her. Therefore, we must rightly criticize and reject the Mariology as it denies or weakens the only mediatorship of Jesus Chri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 교의의 성립 과정과 신학적 의미

        조동원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본고는 교황 비오 9세의 칙서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과 관련하여, 그것이 선포하고 있는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 정립되었는지 살피며, 그 신학적 의미를 논구한다. 성경은 마리아의 원죄 없음에 대해 직접적으로 서술하지는 않지만, 구원역사 안에서 마리아가 보여준 탁월한 신앙과 순명의 자세는 교부들로 하여금 성경 안에서 마리아의 ‘은총 가득함’과 거룩함, 나아가 그녀의 죄없음을 묵상하고 통찰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교부들의 성경 독법과 더불어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서 매우 이른 시점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마리아 공경과 신심에 기초하여, ‘마리아의 거룩한 잉태’ 혹은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기념하는 전례적 실천이 동방교회에서 시작하여 서방교회 전역으로 확대되기에 이른다. 중세 신학자들은 아우구스티노 이래 엄격하게 해석되어 온 원죄론과 마리아의 원죄 없음을 조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고, 특히 둔스 스코투스는 선행구속이라는 개념을 통해 죄의 보편성에 상응하는 구원의 보편성이 마리아에게서 더 탁월한 방식으로 실현되었음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신학적 적합성의 확보와 더불어 하느님 백성 안에서 점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에 대한 더 크고 강력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그러한 신자들의 신앙 감각 속에서 마침내 교황 비오 9세는 1854년 칙서 <형언할 수 없으신 하느님>을 통해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모든 그리스도인이 믿어야할 결정적인 교의(教義)로 선포하게 된다.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의는 그리스도론적이고 구원론적이며 교회론적 함의를 갖는다. 그것은 또한 현재 ‘교회의 현실’ 안에 나타나는 신자들의 신앙 감각이 계시의 내용을 식별하는 데 결정적인 기준이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무염시태 교의가 갖는 이러한 신학적 가치들은 모든 시대의 그리스도인에게, 특히 시노달리타스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가톨릭 신자들에게 커다란 의의를 가지며, 올바른 마리아 공경과 신심의 실천에 있어서도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 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ogma Immaculate Conception and its theological meaning,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papal bull Ieffabilis Deus. Although one can hardly find some explicit testimony on St. Mary’s Immaculate Conception, many Church Fathers read in the Bible her crucial role in the Salvation History, fulfilled by the faith and obedience in her Fiat, which led them to contemplate her unalternative holiness and even her immunity to sin. Based on those voices of the Fathers, the People of God,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have celebrated the liturgical feast of the holy conception or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always in their special devotion to the Mother of God. Medieval theologians suggested various arguments for harmonizing the liturgical practic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of Originanl Sin, among whom there is B. Duns Scotus who underlined that the universality of the salvation fulfilled by Christ had been accomplished in its supreme form through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the Mother of the Savior. Scotus argues that St. Mary was protected and saved from sin already in the first moment of her life by the merit of the paschal work of her Son, Jesus Christ. In sensus fidei revealed in all these theological thoughts and liturgical devotion of the People of God, Pope Pius IX declared the Immaculate Conception as Dogma in the papal bull Ieffabilis Deus. The Immaculate Conception is not only a Mariological Dogma, but has its root in Christological, soteriological and ecclesiological dimensions. It also reveals the role of sensus fidelium for discerning the genuine contents of depositum fidei, which provide us some important landmark both for finding the way of sinodalitas and practicing a genuine and harmonized Marian devotion.

      • KCI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훼손된 여성의 의미 연구

        양소영 ( Yang So-young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오장환 시에 나타난 `매음녀`와 `음부 마리아` 라는 훼손된 여성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동안 그의 시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매음녀`와 `음부 마리아`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장환은 `매음녀`라는 훼손된 여성을 자신의 시 속에 등장시키며, 퇴폐적으로 묘사했다. 시인부락 동인이였던 오장환이 `성녀마리아`마저 불결하게 만들며, 타락의 극점을 보여줬다. 하지만 그는 그녀들을 통해 퇴폐와 성스러움의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 더 본질적인 면을 추구했다. 우선 오장환 시에 결핍과 상실의 심리가 많이 나타나 있다. 이는 그의 신분제도와 연관된다. 게다가 그의 상실감은 그를 항구로 떠돌게 만들었다. 특히, 그의 항구 주변은 그로테스크한 곳으로, 이곳에서 그는 존재론적 기반이 흔들리며, 내면의 유폐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 결과 소외와 상실감은 더욱 극점에 다다른다. 하지만 항구에서 느낀 비천한 존재의 슬픔은 오히려 자신의 내면의 본질에 대해 진실하게 대면하게 되고, 자신이 느끼는 여러 결핍감에 대해 좀 더 자유로운 사고를 하게 된다. 자신이 느끼는 결핍감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하게 만든 대상은 바로 매음녀이다. 그의 시 속에 등장하는 매음녀는 차갑고 슬픈 존재이다. 하지만 이런 매음녀는 시인 자신과 동일시된 존재이며, 그녀 속에서 자신의 진실한 내면의 본질을 찾아낸다. 그리고 오장환 시에서 내면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그의 `음부 마리아`에서 좀 더 확장해서 나타난다. 물론 `음부 마리아`는 표면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시인에게 `음부 마리아`는 “이지의 프리즘”(「불길한 노래」)이 되기도 한다. 즉, 음부 마리아는 신분 제도에 의해 결핍과 상실감에 괴로워하던 시인에게 내면의 진실을 깨우쳐 주는 지혜로움의 대상이 된다. 음부 마리아는 신성한 마리아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이는 기독교 신화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는 시인이 `음부 마리아`를 통해 기독교 정신에 순응하기보다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면을 보여주고자 했다. 결국, 시인에게 `음부 마리아`는 존재의 의미를 성찰하게 해주는 대상이다. `음부 마리아`는 신분제도에 의해 억압받고 결핍과 상실감에 사로잡힌 지친 자아를, 자신을 힘들게 했던 지난날을 “추억”으로, “아름다운 뉘우침”으로 긍정적인 사유할 수 인식하게 만든다. 결국 “피 흐르는 詩人”에게 음부 마리아는 “이지의 프리즘”처럼 구원의 표상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search for a meaning in the distorted images of women, described as a "prostitute" and "pubic Maria" in O Jang-hwan`s poetry.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ystematical studies conducted on the "prostitute" and "pubic Maria" which often appeared in his poetry. The poet O used such distorted images of woman in his poetry, and described them in a worldly manner. Especially through degrading Saint Maria, the poet, a member of Siinburack, represents the extreme sense of depravity. However, one can consider that beyond the simple dichotomy of depravity and sanctity, he may have tried to pursue and reveal more essential aspects of it. First of all, in his poetry, there appeared lots of the senses of lack and loss, which were connected to his class in the status system in society. The sense of loss caused him to wander around a port. The harbor in him was a grotesque place. It shows that, in the grotesque harbor, his foundation of existence was revealed; reflecting his restrictive status. Thus, the sense of being alienated and loss reaches its peak. In order to comfort his loneliness, what he chose was none other than the "prostitute". The prostitute in his poem is a cold yet sad being. However, in her negative image, the poet found the essence of his existence. He ruminated "Old story, old memory" (Wolhaynggucheongok) in the image of the prostitut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arious different objects. We can assume that his seeking for his being was through the image of "prostitute", yet that aspect extended even more through the image of "pubic Maria". The "pubic Maria" apparently carries a more negative image. But, for Mr. O, the "pubic Maria" sometimes transforms to the "prism of sagacity" (Ominous song). In other words, for the poet who suffered the misery of feeling lack and loss under a status class, the image helped him to realize a sense of truth. For Mr. O, the "pubic Maria" is a denial of the existence of Saint Maria, which meant a total denial of the christian myths themselves. Through the negative image of Maria, he attempts to be a "descendant of Cain" (Ominous song), who did not just submit to the christian spirit but who independently accepted it. Finally, the medium "pubic Maria" was an essential object to reflect the meaning of existence. The "pubic Maria" helped to transform the sick self and the past, caught in the emotion of lack and loss under the repression of the caste system, positively into a kind of "memory" and "beautiful repentance". Based on this evidence, for "the poet of oozing blood", the "pubic Maria" was a representation of the saying like the "prism of sagacity".

      • KCI등재

        성서의 여성 리더십 : 나자렛의 마리아를 중심으로 Mary of Nazareth

        최혜영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6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 대한 공경은 교회 역사 안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왔다. '교회의 모범, 모든 이의 어머니' 등으로 상징되는 마리아에 대한 이미지들은 그리스도 신앙에 의해 이상화한 여인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상징들은 역사적인 인물 나자렛 마리아의 모습을 느끼기에는 거리가 있으며 보통 여성들의 모습과도 거리가 멀다. 본 논문은 성서 속의 마리아를 현 시대가 요청하는 여성 리더십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서 속의 마리아는 1) 자신의 소명을 분명히 깨닫고 주체성 있는 선택을 한 여인(루가 1,26~38, 성모영보), 2) 비전을 위해 함께 공감하고 격려할 수 있는 여인(루가 1,39~56, 엘리사벳 방문), 3) 진정한 기쁨을 노래할 줄 아는 여인(루가 1,46~55, 마리아의 노래), 4)내 아이가 아니라 하느님의 아이로 키워 낸 진정한 모성애를 보여 준 여인(루가 2,1~52), 5) 핏줄을 넘어서 새로운 가족을 일구는 신앙의 여인(마르 3,31~35; 병행 마태 12,46~50; 루가 8,19~21, 참조: 요한 15,14),6) 예수의 공생활에서 동반자적인 역할을 담당한 여인(요한 2,1~12, 가나의 혼인잔치)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마리아는 자기 지도력과 상호 지도력을 갖춘 봉사적 리더로서, 상호관계성과 유연성, 다양성이 요청되는 복잡한 현대 정보 사회 안에서 새로운 지도자상으로 부각될 수 있다. 마리아가 보여 주는 하느님과 인간의 선함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 경청하는 능력, 민감하게 다른 사람의 필요를 감지하는 감정 이입의 능력, 가난한 이들과 함께하는 연민의 마음, 사람들의 성장에 투신하는 능력, 예수의 삶을 지켜보고 각성해 가는 성숙함, 자신을 넘어 다른 사람 중심, 하느님중심으로 살아갈 수 있는 관대함, 고통의 삶을 견뎌 낼 수 있었던 강인함, 공동체 구축 등의 자질은 그리스도인이 갖추어야 할 봉사적 지도력의 중요한 요소들이다. 우리가 그동안 수동적으로만 해석했던 마리아의 모습은 변화하는 21세기 안에서 새로운 리더의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마리아에 대한신망 언어도 오늘날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Veneration of Mary, Mother of Jesu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aith of the Catholic Church. Images of Mary the ;model of the Church, mother of all human beings; which show the feminine ideal as formed by christological dogma are far from the historical Mary of Nazareth and also from the image of ordinary women. This article approaches Mary as she is in the New Testament,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leadership in our contemporary world. Mary in the Gospels is depicted firstly, as a woman who recognized her vocation vividly and chose her path accordingly(Lk 1,26-38, the Annunciation). Secondly, she was a woman of sympathy and encouraged others in their vision of the Reign of God(Lk 1,39-56, the Visitation). Thirdly, she was a woman who sang her genuine joy(Lk 1,46-55, the Magnificat). Fourthly, she lived her true motherhood, raising Jesus as a child of God rather than as her own child(Lk 2,1.52). Fifthly, she was a woman of faith who formed a new family, God's family, beyond blood ties(Mk 3,31-35; par. Mt 12,46-50; Lk 8,19-21; cf. Jn 15,14). Finally, she fully lived her partnership in the public life of Jesus(Jn 2,1-12). As a servant-leader with ;self-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ry proposes new leadership for our modern complicat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ich calls for relationships, flexibility and pluriformity. Mary's leadership was a servant-leadership, modelling Christian qualities. These include a deep faith in the goodness of God and in human beings; empathy with the needy, capable of sympathetic listening with the poor. She was committed to nurturing growth in others, herself aware of developing growth in her son, Jesus. With all this she lived generosity, a God-centered life which took her beyond herself, expressed in a devotion to God which involved suffering in her commitment to build community. Mary, who has been traditionally seen as a passive figure, has changed the model of leadership in the 21st century. The language used to define Mary will also have to correspond with contemporary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