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한국의 한자, 한문교육 -디지털 媒體를 활용한 중등학교 교수ㆍ학습 자료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동운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이 논문은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의 의미와 이를 활용한 한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필자가 수업 실제에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共有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 한자, 한문교육 현황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입 또는 통과 중이라고 여겨지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의 한자, 한문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란 디지털 자료로 볼 수 있는 주로 대중매체 즉 영화, 드라마, 가요, 웹툰 만화, 광고, 뉴스 기사 등을 말하는데, 내용인 콘텐츠와 매체인 미디어를 포괄하여 ‘디지털 매체’라 하겠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특히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실생활과 연결된 영역에서 한자, 한문 학습이 삶에 유용하다는 점에 공감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의의가 있다. 한문 학습 요소(한자, 한자 어휘, 고사성어, 한문 격언 명언, 한시, 한문 고전의 글 등)가 담겨 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한자, 한문 교수ㆍ학습자료와 수업 사례를 매체의 종류별로 나누어 예시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TV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놀면 뭐하니?>한자 이름2) 한자 이름에 담긴 뜻-‘펭수’의 이름 뜻3) 한자의 짜임․유래․조자 원리에 대한 이해-<개그콘서트>한자의 달인4) 한자를 응용하여 재미있게 할 수 있는 학습 활동-<놀면 뭐하니?>음식재료 한자 명칭 학습2. 영화/드라마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영화 <자산어보>로 배우는 한자어휘ㆍ한문문장ㆍ한시ㆍ문화2) 드라마 <더 킹: 영원의 군주>로 배우는 단어의 짜임3. 만화(웹툰)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죽음에 관하여>20화4. 신문기사/방송뉴스/다큐멘터리 등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안중근 의사 사진과 일본인의 헌시 / 김구의 한문 친필 사연과 사진5. 노래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슈가<대취타>/힙합곡<마법천자문> 6. 광고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애착용기>/<치어럽 캠페인> 7. 其他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디지털 기술로 실재화한 한문 고전 학습 자료2) 고전앱/고전 창작동화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본론에 사례로 제시하고 보고한 자료 이외에 한문수업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 한자, 한문학습 자료를 목록으로 만들어 부록에 첨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and the meaning of Chinese language classes using them, and introduces class cases in which the author possess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video media in class practice and applies them.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to understand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nd improve the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method by grafting it with new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considered to be entering or pass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refers mainly to mass media that can be viewed as digital materials, such as movies, dramas, songs, webtoons, comics, advertisements, and news articles.' I'll say. Classes that use digital media, especially those that use video media, make them sympathize with the usefulnes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n life in areas connected to real life, and give young students (secondary school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t is meaningful to motivate learning by inducing it. Chinese characters/Chin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class cases using digital media that contain Chinese characters learning elements (Chinese characters, Chinese vocabulary, ancient idioms, Chinese proverbs, Chinese poetry, classic Chinese texts, etc.) It is presented as follows. 1.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TV entertainment programs 1) Arouse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Chinese name 2)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names - The meaning of the name ‘Pengsoo’ 3) Understanding the weave, origin, and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 <Gag Concert> Master of Chinese characters 4)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fun by applying Chinese characters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food ingredients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movies/dramas 1) Learn Chinese vocabulary, Chinese sentences, Korean poetry, and culture through the movie <Janja Eobo> 2) Word structure learned through the drama <The King: Eternal Monarch> 3.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artoons (webtoons) - <About Death> Episode 20 4.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newspaper articles/broadcast news/documentary, etc. - Ahn Jung-geun's photo and Japanese tribute / Kim Gu's handwritten story and photo 5.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songs - Sugar <Daechwita>/ Hip-hop song <Magic Thousand Characters> 6.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advertisements - <Courage of Attachment>/<Cheerup Campaign> 7. 其他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digital media 1) Classical Chinese learning materials made real with digital technology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lassic apps/ classical creative fairy tales It is hoped that the grafting with new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elp to revitalize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the improvement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edu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esented and reported as examples in the main body,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language classes are listed and attached to the appendix.

      • KCI등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 방안

        김미숙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reading textbook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While research 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s being carried out steadily, most of the textbooks were publish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published are integrated textbooks mainly used b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textbooks for academic learners, and test books for preparing for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tc.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advanced textbooks for general purpose learners who are constantly learning Korean with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digital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has not achieved much in terms of research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necessity. Digital textbooks are equipped with various learning materials, which further arouse learners’ interest, enable them to learn self-directedly, and facilitate the supply and demand of textbooks oversea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reading materials containing various topics was suggested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I intend to develop digital textbooks that are easy to access even abroad. The content was based on a travel destination that learners may be interested in, and a theme-based textbook was developed by connecting it with reading texts on unfamiliar topics. In addition, reading strategi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to improve the reading skills of learners by learning reading strategies. In this study, a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using a reading strateg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on digital textbooks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에 있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실제 출간되는 중·고급 수준의 교재는 대부분 언어교육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합교재나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한국어 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꾸준히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반 목적의 학습자들을 위한 고급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교재 개발은 필요성에 비해 연구 성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디지털 교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탑재하고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해외에서도 교재 수급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를 담은 읽기 교재 개발을 제언하였다. 특히 디지털 세대인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외에서도 접근이 용이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여행지를 소재로 친숙하지 않은 주제의 읽기 텍스트와 연결하여 주제 중심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읽기 전략을 학습하여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재에 읽기 전략을 담아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는데 앞으로 디지털 교재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기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참여, 교양교육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균형잡힌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해 대학생의 학습참여, 교양교육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23년 5월 20일부터 6월 15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재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9.0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습참여의 고차원⋅통합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데이터 분석, 학습활용 경험, 디지털숙련도가 디지털 시민성 인지영역의 6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의 고차원⋅통합적 학습, 효과적인 교수, 능동적⋅협동적 학습, 다양한 집단과 토론, 학습전략 그리고 교양교육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의 학습활용 경험이 디지털 시민성 정의영역의 6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참여의 고차원⋅통합적 학습, 능동적⋅협동적 학습, 다양한 집단과 토론, 학습전략 그리고 교양교육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의 학습활용 경험이 디지털 시민성 행동영역의 6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학부교육 차원에서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on cultivating a balance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Methods From May 20 to June 1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390 undergraduate students at University I,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9.0. Result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high-order and integrated learning in learning engage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data analysis, learning utilization experience, and digital proficiency collectively explained 65% of the cognitive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Secondly, high-order and integrated learning in learning engagement, effective teaching,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diverse group discussions, learning strategies,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and learning utilization experience in digital literacy explained 60% of the normative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Thirdly, high-order and integrated learning in learning engagement,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diverse group discussions, learning strategies,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and learning utilization experience in digital literacy explained 67% of the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ults can be utilized to design education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is regard.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디지털교과서의 역할 탐색

        성지현,조영환,조규태,허선영,양선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4

        Although digital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to strengthen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support meaningful learning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ere is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roles of digital textbook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We observed a learner-centered science class, in which students (n=37) used a digital textbook for individual, group, and whole-class activities, in a middle school for six weeks and interviewed a teacher and ten student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how the teacher and students used the digital textbook for learning and teaching and what functions and contents of the digital textbook should be improved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digital textbooks were mainly used for watching educational videos (100%), searching information (100%), reading learning materials (89%), and inquiry activities (50%). Digital textbooks played important roles in increasing accessibility to a variety of multimedia materials, promoting cognitive activities for inquiry-based learning, facilitating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fostering adaptive instructional supports. The teacher and students perceived that digital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four aspects: (1) functions and contents to support learner-centered activities, (2) flexibility and resourcefulness to support a teacher’s design of learning activities, (3) adaptive instructional supports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4) usability to enhance the interaction between a student and a digital textbook. These findings imply that digital textbooks should be redesigned as a meaningful learning tool to enhance 21st-century competencies, not a means to transmit knowledge from a teacher to students. 디지털교과서는 미래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해 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 및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나, 실제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을 탐구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n=37)을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학수업을 6주 동안 관찰하고 교사와 10명의 학생을 면담하였다. 교사와 학생들이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해 디지털교과서의 어떠한 기능과 내용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동영상 보기(100%), 검색하기(100%), 학습 내용 읽기(89%), 과학탐구(50%) 활동에 주로 활용되었다.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탐구학습을 위한 인지적 활동을 촉진하고,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교수자의 적응적 교수지원을 돕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 지원, 교사의 학습활동 설계 지원, 개인차를 고려한 적응적 학습 지원, 사용 편의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디지털교과서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21세기 역량 향상을 위한 유의미한 학습 도구로 재설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들 ( Roh Deul ),서수현 ( Seo Suhyun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4

        각 교과에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어과의 도구적 역할도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상황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의 토대로서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관련 연구를 촉구하는 목적에서 초등 제 교과의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2학년 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5-6학년군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에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은 전반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돕는 비계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교과마다 그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에 양적으로도 많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 대한 안내도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교과 리터러시에 대한 재개념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As digitally-mediated learning increases in each subject,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tend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o the digital media-based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ubject to promote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began to appear from the 2nd grade level and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5-6th grade level. It also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relatively evenly in most subjects except math.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ctual level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of learners. To solve this, scaffolding to help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but the variation was large for each subject. The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quantitatively insufficient to support activities in other subjects, and the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as not specific.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part emphasized that additional analysi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of other subjects,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subject literacy, and ways to bridg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gaps that may appear in the classroom are needed.

      • KCI등재

        성인학습자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인식 분석

        주민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2 No.-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시대의 필수적인 생존 기술로 인식하며 대학의 성인학습자들 대상 관련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성인학습자들은 디지털 기술 사용 능력이 모바일 네이티브인 학령기 학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자료 수집과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학습자간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 모든 성인 학습자가 디지털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 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학습자 77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도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 데이터 활용 역량, 디지털 윤리 역량, 디지털 활용학습 역량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성인학습자는 디지털 도구 활용과 데이터 생산과 식별에서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반면, 디지털 윤리 역량과 디지털 활용학습 역량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는 성인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기술 접근성, 사전 노출 수준, 기술 활용 능력 등을 고려하여 디지털 정보 활용 기회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gital literacy as an essential survival skill in the digital age an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levant education to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Adult learners are often less skilled in using digital technologies than school-age learners who are mobile natives, and the older they are, the less likely they are to be able to gather information and communicate using digital platform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reduce the digital divide among learners and improve the practical skills of all adult learners to utilize digital technologies. This study utilized a diagnostic tool to assess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77 adult learners enrolled at University A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in four areas: digital tool utilization competency, data utilization competency, digital ethics competency,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While adult learners perceived relative difficulty in utilizing digital tools and producing and identifying data, they perceived digital ethics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to be at a very high level. Th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targeted to minimize disparities in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opportunities, taking into account access to technology, prior exposure, and technology literacy skills.

      • KCI등재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인디스쿨’에 공유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노들,옥현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제작하고 공유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들의 대표적인 소통 플랫폼인 ‘인디스쿨’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124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들이 언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주로 고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교수⋅ 학습 자료의 양은 2020년을 기점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급증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대상으로 고학년이 적합하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일부 내용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료의 경우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성 등의 유관 개념의 내용 요소와 잘 변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특성에대해 좀 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크게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활동 지원,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디지털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예방과 해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의 필요성, 평가 목적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적절한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duced and sha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shared through ‘Indie School’, a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platfor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when, what content, and why they are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ults First, teachers were mainly conduc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us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for upper grad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wed a rapid increase starting in 2020.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eachers'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has increased rapidly since COVID-19, and that they recognize that upper grades are appropriate target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concentrated on some cont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at some materials were not well differentiated from content elements of related concepts such as news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This suggests that teachers need a more specialized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objective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upporting digital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learners' low digital literacy levels, and preventing and resolving problems that appear in digital spac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teachers to have a mor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support in various aspect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the need for research into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사용에 관한 요인 분석

        김규미(Kim. Gyoomi),배지영(Bae,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충청 소재 두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디지털 학습 전략 사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에 중점을 두고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의 영어 학습 전략은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었다.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을 측정하고자 하는 도구는 Oxford(1990)의 SILL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고, 총 4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2학기동안 디지털 학습 전략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비롯된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을 구분하는 7개의 하위 전략 요인들과 다른 유형의 전략 요인들로 분류되었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도 기존의 문항 구성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총 9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1개는 정의적 요인, 그리고 나머지 8개는 학습 전략 요인으로 재분류되었다. 9개의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요인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략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서로 중간 크기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측정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나아가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적절한 양·질의 학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 사용에 관한 교육적 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t two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factors constitute th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The measurement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Oxford s (1990) SILL. A total of 400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ver the fall semester, 2017,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factors that distinguished the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that origin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items of each factor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question composition. There were nine factors in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y inventory, one of which was reclassified as a positive factor and the other eight as a learning strate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new factors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most factors showed more than medium levels of correlation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the inventory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y measurement tool. Furthermore, the need for educational strategy training is also suggested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use appropriate quantity and quality learning strategie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 디지털교과서 품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임유진,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교육분야에서는 이를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4년부터 개정된 교육과 정에 따라 영어, 사회, 과학 교과의 디지털교과서가 새롭게 개발되었고 이는 163개의 연구학교에서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에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전국의 모든 초∙중등학교에 보급될 것 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 있어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 서를 활용하는 과학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학습만족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영 향변인으로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 디지털교과서 품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상정하였다.학습만족도와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과학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는 중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교과서 자 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품질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교과서 자기효능감과 디지털교과서 품질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제시하였다. Since 2014, a revise version of digital textbooks on English, Science, Society subjects have been implementing in 163 elementary and secondary demonstration schools. Given that digital textbooks would be incorporat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ross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outcome in the classes where using digital textbooks. Thus,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digital textbook qu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affecting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2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ho studied using digital textbooks for a science cla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digital textbook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y suggests strategies that helps to increase students’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lassrooms where using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평생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디지털 학습의 인식과 실천의 분류와 군집유형의 탐색

        하수민,김진화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3

        디지털 학습활동은 21세기 디지털 세상에서 나타나는 일상의 새로운 현상으로 귀납적 접근의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디지털 학습활동을 탐구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디지털 학습의 인식과 실천 행위의 특성을 분류하여 군집유형을 도출한다. 둘째, 평생학습자의 군집유형별 디지털 학습 특성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평생학습자의 디지털 학습 행위에 적합한 군집유형을 개념화하여 설명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평생학습자의 디지털 학습과 관련된 조사 도구를 구성하고,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한 후 데이터를 수집한 후, 군집 분석(K-Means 기법), 판별 분석,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디지털 학습실천의 분류 빈도와 분류 비율로 4개 군집이 확인되었다. 둘째, 평생학습자의 디지털 학습 인식(시대적, 지식)과 실천(탐색, 선택, 표현, 시청, 활동, 확장)의 특성이 4개 군집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평생학습자의 디지털 학습의 군집유형은 심화몰입형, 인식소극형, 구독활동형, 탐색시청형으로 개념화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현대인의 디지털 학습을 유형별로 이해하고 평생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학습실천을 촉진하는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