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연구

        전형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f 90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ducted in this paper refer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when learners perform collaborative tasks in a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urvey utilizes a coope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survey tool developed by Yoo Ji-won (2016). The test paper sets thre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Performance,” “Social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with a total of 11 detailed factors at each lower level. Focusing on these three competenci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thre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was the lowest. The mean of the other two competencies was similar. It can be thought that learners lack confid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Second, the highest average question out of the total 54 questions is 41, which is “I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 whole team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in every team activity.” It can be seen that for learners, the most basic element of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the equal status and participation of team members. Third,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in digital literacy skills is high. In addition, as the Korean proficiency increased, the overall average of competency also rose, but the digital literacy level gradually decreased as the language proficiency went from level 5 to level 6.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need fo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increases as we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Fourth, among the 11 factors, the most correlated factor is the sixth “Clear Communication and Responsible Performance” factor.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e the third “Collaborative problem solution and Decision Making” and the sixth and seventh “Sympathy and Consideration”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is more demanding in performing collaborative tasks situations than in individual cognitive activities, i.e., more digital literacy is needed with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activities during team activities. 이 연구는 중국인 학부생 9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본고에서 실시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협력적인 과제수행을 할 때,필요한 역량을 말한다.조사에는 유지원(2016)에서 개발한 대학생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이 검사지는 하위에 각각,‘문제해결 역량’,‘사회적 협력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등 세 가지역량과 총 11의 세부 요인을 설정하고 있다.본고에서도 이 세 역량을 중심으로,중국인 학부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을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세 역량 중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다른 두 역량의 평균은 비슷한 수준이었다.학습자들이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부족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둘째,가장 평균이 높은 문항은 41번 ‘팀 활동에서 팀원 전체가 한 명도 빠짐없이 참여와 기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이다.학습자들이 생각하는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가장 기본 요소는 팀원들의 동등한 지위와 참여인 것을 알 수 있다.셋째,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서의 평균이 남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한국어 숙달도가 상승할수록 역량의 전체 평균도 함께 상승했으나,디지털 리터러시는 5급에서 6급 수준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졌다.다양한 과제를 접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교육적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넷째,11개 하위 요인 중 다른 요인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은 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 요인이고,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번 ‘협력적 문제 해결안 도출 및 의사결정’ 요인,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7번 요인 ‘공감,배려’ 요인이다.이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개인적 차원의 인지 활동에서보다 협력적 과제수행에서 더욱 요구가 높아지는 역량으로,팀 활동 중 상호소통하고 협력적 의사결정 활동을 수행할 때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이 더욱 필요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이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이 된 배경에는 디지털 기반 사회의 특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도 이를 수용하여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함양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증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 체육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이도경 ( Do-kyeong Lee ),유정애 ( Jeongae You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2

        본 글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가진단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200명의 수도권 예비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성별, 재학소속별, 이수 과목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예비 체육교사의 변인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몇 가지 의미 있는 사항이 확인되었다. 예비 체육교사의 경우, 여자 예비 체육교사와 교육대학원소속 예비 체육교사가 남자 예비 체육교사와 학부소속 예비 체육교사보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을 이수한 예비 체육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이수하지 않은 예비 체육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글에서는 체육교사교육에의 3가지 시사점(체육교사교육에서의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 개설 및 운영,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진단 검사를 체육교원 자격취득 요소로 반영)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using the self-evaluation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Data from a total of 20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llected for analyzing the level and differenc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on sex, affiliation, and courses take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P.E. teachers is an above average level. Even if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several variables, some meaningful facts are found. For pre-service P.E. teachers,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for female pre-service P.E. teachers and pre-service P.E. teachers in the graduate program is higher than male pre-service P.E. teachers and pre-service P.E. teachers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Moreover,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pre-service P.E. teachers that have taken more than one course related to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higher than pre-service P.E. teachers without taking any course.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has provided three implications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PETE) such as and developing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male and female preservice P.E. teachers, establishing and operating of digital literacy course in PETE, and including one of required elements as qualifying P.E. teacher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술창업 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 중심

        김춘호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4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역량과 기술창업 기회역량 강화가 취업 창업과 같은 진로 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대학생들이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있어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술창업 기회역량에 미치는 실증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이 창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주요 실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높을수록 잠재적 창업자의 기술지식, 창의적사고, 기술사업화 가능성 평가 등이 높아져 기술창업 기회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역량과 기술창업 기회역량의 하위 변인 중 기술지식과 창의적사고와의 영향 관계에서 혁신성은 긍정적 조절 효과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술지식과 창의적사고와 관련하여 혁신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역량과 기술창업 기회역량의 기술사업화 가능성 평가와의 영향 관계에서 혁신성, 위험감수성, 경쟁적 태도는 긍정적 조절 효과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술창업 기회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전 연구에서도 나타났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혁신성, 위험감수성, 경쟁적 태도와의 상호작용 효과가 더 깊이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창업 기회 역량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역량만으로는 부족하며, 혁신성과 위험감수성, 경쟁적 태도와 같은 다른 요인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혁신성이 높은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기 쉽고, 높은 위험감수성을 가진 사람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이 창업 기회 역량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이나 청년 창업자들이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이 더욱 중요해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rengthening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technology start-up opportunity capacity affects the development of career paths such as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nd determines how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trengthens college students' abil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help college students discover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competency. The main empirica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e higher the potential entrepreneur's technical knowledge, creative thinking,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easibility assessment, whic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startup opportunity capabilitie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startup opportunity capabilities,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can increase innovation in relation to technical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Third, innovativeness, risk tolerance, and competitive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technology startup opportunity competency evaluation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otential. Fourth, although it has been shown in previous studies t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y startup opportunity capabiliti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innovativeness, risk tolerance, and competitive attitude were analyzed in more depth. This result suggests that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lone are not sufficient to increas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apabilities and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other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tolerance, and competitive attitude. In particular, people with high innovativeness tend to accept new ideas, and people with high risk tolerance tend to take on challenges without fear of failure. These characteristic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capacity for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se factors together. Additionally,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that help college students and young entrepreneurs develop and strengthen these capabiliti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 KCI등재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예,이정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2 No.-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digital literacy as a future competency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22). UNESCO(2013)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s one of the 21st-century skills that students ne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effectively and criticall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ing digital literacy is crucial for young people to secure employment, engage fully as global citizen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So, what ar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w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mean in art educatio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art, and identifies five elements that constitut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media literacy,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online collaboration competency, critical cultural consumption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elements, the study conducte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rt classes, and analyzed changes in their competencies through surveys, interviews, observ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shifted from being "passive consumers" to "creative producers" of art,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and their actual achievement, and the study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 media criticism competency.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explor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As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what and how ar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nd propos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ctual learners. 교육부는 개정 2022 교육 과정에서 미래 역량으로 디지털 소양을 강조한다(교육부, 2022). 또한 유네스코(2017)의 경우, 21세기 학생들이 필요한 기술(21st-century skills) 중 ‘정보 통신 기술을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강조하는데 이는 청소년들이 직업을 구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세계 시민으로 사회에 완전히 참여(full participation)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를 개발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술 교과에서 주목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들과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들을 참고해 미술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 요소로 미디어 활용 역량, 창의‧융합 역량, 온라인 협업 역량, 비판적 문화 향유 역량, 시각 문화 향유 역량을 구성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수동적 감상자’에서 ‘창의적 제작자’가 되었고 이는 창의‧융합 역량과 시각문화향유 역량 함양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활용(역량)에 대해 연구자가 생각했던 요소와 학습자가 생각한 요소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취도 또한 격차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비평 역량 관련해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프로그램 보완 및 수정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기초 연구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술 교과는 무엇을 어떻게 고찰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성을 실제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탐색하고 제언하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성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of 81 pre-service teachers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targeting 161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self-regulation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digital literacy, the relative influence was high in the order of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pecific effort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digital literacy attitudes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A교육대학원의 양성과정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81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균점수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균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간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하위 변인들 중 자기조절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가장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변인들 중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참여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분석

        김태영 ( Tae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4년제 대학 인문사회 단과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41부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성격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학생변인(성별, 학년, 소속학과)과 성격특성(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 그리고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는데, ‘참여 및 창조’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학생변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에서는 성별과 소속학과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 학년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격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인 ‘기술적 사용’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생의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나타냈으며, 우호성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어떤 하위영역과도 통계적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Survey was used to examin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a 4-year university, Gwangju.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out offline and online and a total of 441 respondents was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understanding of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them according students’ personal variables (gender, age, major), and correlations between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Participants generally presented positive results in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however ‘participants & creation’ showed relatively low competency.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age. Students also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reeableness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 KCI등재

        단대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

        김태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Competency of Several Different DepartmentsTaeyoung Kim Abstract: Survey was used to examin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students of Health and Sciences and Culture and Art colleges in a 4-year university of Gwangju. Undergraduate students in 6 different departm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 total of 371 respondent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m were compared with students of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ased on their personal variables (gender, major, etc), and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Participants generally presented positive results in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among subarea ‘ethics’ was to be the most highest score.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which is the same result of the previous study. Students also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hich were the sam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Key Words: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ollege, Survey 단대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김 태 영* 요약: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단대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알아보았다. 두 개의 단과대 6개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371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인문사회대 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대별 학생들의 변인(성별, 소속학과 등)과 성격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와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고, 하위영역 중 ‘윤리’가 가장 높았다. 학생변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에서는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성별’과 ‘소속학과’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격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인 ‘기술적 사용’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생의 성격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 상관관계는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핵심어: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성격특성, 단대, 설문조사 □ 접수일: 2022년 3월 28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호남대학교 부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ktkty@naver.com)

      • KCI등재후보

        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신동인(Shin, Dong In),박미리(Park, Mi Ri),이유정(Lee, Yu Jung),고민수(Ko, Min Soo),정소라(Jeong, So Ra)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예술교육이 가능한 수업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가 시의적절한 이유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상호 작용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인간중심과 창의성, 융합과 통합 그리고 현실 감각 고취의 4가지로 된 교육 모델을 정립하였다. 또한, 실제로 수행되었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형태를 살펴보고 예술 강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설문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다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uwab)이 주장한 4차 산업혁명의 사회에서 필요한 4가지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예술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즉 정보의 처리 과정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았고, 결과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예술교육에서 발생하는 상호소통에 대하여 새로운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은 일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수업 안에서 소비하는 소비자로서 강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콘텐츠 간의 활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였다. 이 후, 수업 안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재생산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로 변화하고, 다시 그 콘텐츠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형태로 상호 작용의 선 순환적 과정을 반복 경험하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예술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정보 리터러시 능력을 기본으로 하되, 정보에 내재한 인문학적 배경 관련 교육이 제공될 때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ts by exploring ways to utilize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in the arts education field and establishing a teaching model that enables effective arts education. The reason this research is timely is that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more than ever, due to the global Corona Pandemic.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art education for interactivity was investigated, and an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human-centered and creativity,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nd a sense of reality was established. Next, we looked at the for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at were actually conducted, and reviewed the digital literacy skills of art instructor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we developed a program that utilizes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conducted actual classes, then analyzed them. In th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our virtues claimed by Klaus Schuwab to be needed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is, we found out which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made between art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sultingly, a new stage could be identified for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art education using unique digital literacy. Students experienced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contents as consumers who primarily consume digital contents delivered by art lecturers in class. Then, reproduce one s own contents in the class,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could be seen in the form of the students changing into a producer who produces digital contents and accepting and consuming the contents again. The role of arts education experts is the most important to create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when education related to the humanities background embedded in information was provided while prioritizing digital literacy skills as a basis for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of art instructors.

      • KCI등재

        일반논문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이애화 ( Ae Hwa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정보와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와 과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의 협업과 소통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능력이다. 그 개념에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개념, 역량 수준의 그라데이션, 역량 수준의 진단 기준, 영역-일반과 영역-특수의 통합, 개인 및 조직의 특성과 상황 의존성 등의 특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역량은 지속적인 학습과 사회참여, 창의성,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효과적인 의사소통 등의 가능성과 디지털 정보의 과신 및 오용, 디지털 정보 관련 병리 현상, 포장된 정체성 및 소외감 증가, 인성 및 감성 능력 저하, 불건전한 정보 습득과 저작권 침해 등의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강화를 위해 디지털 기기와 정보 활용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과목을 통한 디지털 역량 중심 수업, 디지털 의존 및 병리현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생활지도 및 상담과 디지털 시민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The paper explore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igital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Digital competence is an ability to address the tasks and problems embedded in social actions through th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by using the digital resources and informations and by analyzing and applying them critically and systemat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the multidimensional and ambiguous definition, the gradation of competence levels, the diagnosis criteria of competence, the integration of domain-generic with domain-specific, and the situational context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It has the possibilit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and social participation, self-directed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ut it also has limitations like digital misuse and overuse, digital addiction and uneasiness, information obesity, fake identity, emotional problems, unsound media exposure. In order to enhance the digital literacy, educators need to consider digital devices and resources utilization education, digital-competence based instruction, and digital guidance an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김용덕(Kim Yong Deok),최동연(Choi Do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최근 정보와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새로운 평생교육기관 및 고등교육환경으로 사이버대학교의 위상이 강화되고 있다. 사이버대학교의 주요 재학생은 성인학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성공적으로 학교생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필수 역량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디지털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성인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세분화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22명의 사이버대학교 현직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3일부터 10월 19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5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 26개의 역량 정의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정보와 자료이용 역량군’,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역량군’, ‘안전과 보안 역량군’, 그리고 ‘문제해결 역량군’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교에 근무하는 교수의 관점뿐만 아니라 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추출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학습환경뿐만 아니라 학교시스템을 이용할 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까지 종합적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에 향후 성인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transition to an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atus of cyber universities has been strengthened as means of new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igher education systems. The major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are composed of adult learners, who ne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o succeed in school lif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digital literacy suitable for cyber university adult-learners. For this purpose,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digital competenc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potential digital literacy competency required by adult learners. Then, the Delphi survey of 22 in-service cyber university experts was implemented to revise potentially design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adult learners. Lastl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as conducted by experts and finally five unites of competency, 16 detailed competencies, and 26 competencies definitions were final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it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are information and data use competency ,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 digital content development competency , safety and security competency and problem solution competence .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ecessary for adult learners is to extract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professors at cyber university but also from that of administrative staff. These results, which include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ot only for the e-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for using school system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successful learning of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