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있어서 동이문화(東夷文化)의 지위

        金聖基 ( Kim Sung-kee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0 No.-

        본 논문에서는 고고학의 발전에 따른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관한 재인식에 주목하고, 특히 이에 따른 東夷민족과 동이문화에 관한 인식과 지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문헌자료에서의 전통적 華夷觀에서는 동이문화를 중원문화에 비해 낙후된 문화로 인식했다. 사마천의 『史記』를 중심으로 한 大一統史觀에서는 신화·전설상의 동이문화를 의도적·역사적으로 일원화된 五帝 계보 하에서 중원문화의 계통 안으로 편입시켰다.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한 傅斯年, 徐旭生 등의 연구 성과를 통해 동아시아문명의 기원에 관한 이전의 華夏族 중심의 사고가 재검토되었고, 다원론적 시각에서 동이집단과 동이문화가 상고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에 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최근 중국 각지에서 발굴된 고고학의 발견에 따라, 동이문화가 后李文化, 北辛文化, 大汶口文化, 龍山文化, 岳石文化로 이어지는 동이문화의 일련의 발전 과정이 밝혀졌고, 동이문화의 수준이 상당히 선진적이었으며, 중화문화의 형성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는 점 또한 조명을 받았다. 동이문화의 유산과 역사적 공헌으로는 수준 높은 도기제조업, 銅器제조업, 방직업 등의 역사·문화적 공헌을 들 수 있으며, 문자학 방면에서도 동이문화가 갑골문의 형성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이러한 고고학 자료 분석을 통한 동이문화의 지위와 공헌을 살펴봄과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동이문화가 활동영역, 계승관계, 문화와 풍속 등의 측면에서 정합적인 맥락 하에서 발전해 왔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new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developed by archaeological achievements, especially focusing on changing perspectives on Dongyi 東夷 and their culture. From a traditional sinocentric perspective (huayiguan, 華夷觀) shown in written sources, Donyi culture had been recognized as backward one compared to Central Plain (zhongyuan, 中原)’s. From the historical paradigm of the Great Unity (dayitong, 大一統) shown in the Sima Qian 司馬遷’s Shiji 史記, Dongyi culture reflected in myth and legend had been included in the Central Plain culture under the unitary pedigree of five emperors (wudi, 五帝). However, recently, with works of archaeological studies such as Fu Sinian 傅斯年’s and Xu Xusheng 徐旭生’s, Huaxia 華夏-centered thought regarding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has been re-examined and status of Dongyi groups and culture in ancient East Asia history has been reassessed. Moreov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nyi culture, starting from Houli 后李 culture and developing to Beixin 北辛, Dawenkou 大汶口, Longshan 龍山, and Yueshi 岳石 culture, has proved that Dongyi culture had advanced with high levels of culture acumen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entral Plain culture. For example, Dongyi culture had advanced ceramic skills, bronze-making skills, and weaving skills and these had influenced on ancient culture and history. Not only that, pictorial characters of Donyi cultur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oracle bone script.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and contribution of Donyi culture by analyz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consistent developmental process of it in boundaries, succession relationships, and customs.

      • 韓韓國古代文化의 特性 : 東夷의 개념 변화와 三國志 東夷傳 分析을 中心으로

        박응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경기교육논총 Vol.5 No.-

        본고에서는 東夷의 사용 용례를 중심으로 東夷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夷라는 단어에 동서남북이라는 방위 개념이 추가된 것은 후대의 일이며, 先秦 시기에는 흔히 夷라고만 칭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夷는 중국 동부연안에 거주한 많은 종족과 씨족을 가리킨 용어이지 어떤 특정한 종족이나 민족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華夏族 주변에 사는 異民族을 가리킨 夷라는 용어에 동쪽이라는 방위 개념이 첨가되면서 東夷라는 용어가 정립된 것은 秦漢代 이후의 일이었다. 결국 東夷 명칭의 지역적 변천은 중국의 영토적 팽창에 따른 중국인들의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九夷라는 단어도 중국 고대에 존재했던 東夷 집단을 전체적으로 일컫는 명칭이었으며, 四夷도 東夷系 뿐만 아니라 東夷·西戎·南蠻·北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중국 변방을 가르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편 東夷 諸族에 대한 접촉이 번번해지고 그들에 대한 지식이 늘고 그 기록이 풍부해진 後漢·三國期의 東夷觀은 어떻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三國志」「東夷傳」을 분석하였다. 본문에서는 우선 夫餘·高句麗·東沃沮· 婁·濊·韓·辰韓·弁辰의 諸族別로 구분되는 기사를 地理, 制度·刑罰, 軍事·施設, 特産物, 歷史, 文化 등의 내용별로 나누었다. 그러고 그 내용의 대강을 적었고, 後漢·三國期에 이르러 東夷 諸族은 중국과는 명백히 이절적인 하나의 집단으로 형성되었으며, 정치제도와 禮俗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종국의 영향을 받기는 하였으나 뚜렷이 중국과 대립되는 사회였다고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고 있다. ① 先秦 시기 山東에 있던 九夷와 종국민족과의 관계를 논증하기 위해 고고학적인 연구 성과와 갑골문·금문 등의 자료를 검토·분석하지 못하였다. ② 따라서 東夷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山東東夷와 東北東夷의 종족적·문화적 성격에 관한 문제도 다루지 못하였다. ③ 「三國志」「東夷傳」 을 내용별로 정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면의 제약성 때문에 그 史料의 분석 내용을 일일이 게재하지는 못하였다. ④「史記」「朝鮮傳」「漢書」「朝鮮傳」「漢書」「地理志」,「魏略」,「後漢書」「東夷努」,「晉書」「東夷傳」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지 못했고, 해당 사료들은 비교·검토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諸問題를 보완하는 것을 장차의 과제로 삼겠다.

      • KCI등재

        동이문화의 재인식과 민족 정체성 문제 − 한국사상의 연원 복원을 꿈꾸며 −

        김성기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100 No.-

        Based on the academic recognition that re-recognition of Dongyi 東夷 culture is very important, this paper suggests some key perspectives of re-recognition of Dongyi 東夷 culture. First of all, the meaning of the civilized history of Dongyi 東夷 civilization will be examined. Next, this paper will attempt to broaden the spatial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ontinents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also try to expand the scope of time for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Through the above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Dongyi's 東夷 contribution to the issue of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was very important. The Dongyi 東夷 groups and the culture they created were not only in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ancient East Asia thought, but also they were the main actors in the construction of civilizations in East Asia. Besides, it is believed that closer and wider research of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origins of the Korean 韓民族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 Korean 韓民族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is culture as the main role. In other words, a new paradigm on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will have to be formed. 본 논문에서는 동이문화의 재인식이 매우 긴요하다는 학문적 인식을 바탕으로, 동이문화의 재인식을 위한 몇 가지 핵심적 관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런 논의의 주요한 목적은 동이문화의 재인식이 한민족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규명하고자 매우 긴요하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동이문명의 문명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과 관련하여 동아시아 대륙 등에 걸친 공간적 이해의 폭을 넓혀보고자 한다. 아울러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있어서 시간상의 이해에 관한 폭을 넓혀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 문제에 있어서 東夷人의 공헌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동이집단과 그들이 창조해낸 문화는 동아시아 상고사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위에 있었으며, 동아시아 문명의 건설의 주역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민족의 주체가 바로 이 문화의 건설에 주역으로 참여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해 한민족의 사상적 문화적 연원과는 더욱 긴밀하고 폭넓은 사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동이문화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더욱 강조되어서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이지악(東夷之樂)"지모무(持矛舞)"에 대한 고찰

        이종숙 ( Jong Soo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이(東夷)``의 춤으로 알려진 ``지모무``에 대하여 고찰하는것이다. 과연 ``지모무``가 고조선에서 실제로 추어졌던 춤 종목인지, 이 춤은 중국에서 왜 추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사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1974년에 초판 된 성경린의 『한국의 무용』이라는 교재 이후, 한국무용사학계에서는 ``지모무``라는 용어를 고조선에서 추어졌던 춤의 명칭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한민족(韓民族)의 상고시대 춤 종목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심지어고조선에서 중국에 전달한 춤이라는 자민족 중심의 우월적 가치를 부여하기도한다. 본 연구 결과 "東夷之樂, 持矛舞, 助時生也."라는 서술적 문장 속에서 ``지모무``는 춤의 명칭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지모무``의 공식 명칭은 <매(?, 昧)>이다. 중국 고문헌에 기술된 ``동이지악(東夷之樂)`` <매(?, 昧)>는 ??예기(禮記)?? ?명당위(明堂位)?를 근거로 주공(周公)을 제사지낼 때 <대하(大夏)>와 <대무(大武)>,남만지악(南蠻之樂)인 <임(任)>까지 네 가지를 함께 공연하던 종목이었다. 주공의 봉지(封地)인 노국(魯國)이 중국 땅 동쪽 산동성(山東省)에 위치하고, 중국 주(周)나라의 힘이 중앙으로부터 사방으로까지 널리 미침을 나타내려는 상징적 춤이었다. 그러므로 중국 고문헌에서 볼 수 있는 ``지모무``는 중국 고대의 중화(中華) 사상을 표현하는 춤의 양식(樣式)일 뿐 고조선과는 무관한 춤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중국 상고시대 관련 문헌에서 ``사이(四夷)``는 본래 중국 왕성(王城)을 둘러싼경기(京畿)로부터 1500리∼2000리에 위치한 지역과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을 지칭하였고, 동이(東夷)는 네 방위(方位) 중 동쪽 일대를 뜻하는 통념적 용어이다. 그래서 고대의 중국인들은 ``이(夷)``는 인(仁)이며, 인(人)이고, 또한 ``사람다운 사람``, ``군자(君子)`` 내지는 ``군자국(君子國)``을 나타내는 의미로도 사용해 왔을 것이다. 한국 고대사회에 대한 문헌자료가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전거를 해석하고 수용하며 정립하는 일은 연구 방법에서 지양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imomoo`` known as a dance of ``Dongyi (東夷)``. We compared historical data to understand in detail, whether the ``Jimomoo`` is actually a dance that was danced in the Gochosun, and why this dance was performed in China. In Korean Dance History, since the first edition of Dance in Korea written by Sung, Kyeongrin and published in 1974, the term, ``Jimomoo`` has been used as a dance that was danced in Gochosun and until now it has been introduced as a dance of Korean people (韓民族) in ancient times. Some scholars even add value of superiority by insisting that the dance was delivered to China by Gochosu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Jimomoo`` is not the name of the dance in this descriptive sentence, "東夷之樂, 持矛舞, 助時生 也." The official name of ``Jimomoo`` is <Mea (?, 昧)>. Mea, the ``Dongijiak (東夷之樂)`` described in Chinese old documents was one of the four dances performed when offering the sacrifice to the Zhou Gong (周公), based on Ming Tang wei (明堂位) of Liji (禮記: The book of rites). It was danced together with the other three dances <Da Xia (大夏)>, <Da Wu (大 武)>, and <Ren (任)> of Nammanjiyak (南蠻之樂). It was a symbolic dance to show that the power of Zhou (周) reaches widely in all directions. Therefore, the ``Jimomu`` described in old Chinese documents is just a dance form to express the idea of ancient China (中華) and it has nothing to do with Gochosun.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Chinese ancient times, ``Sayi (四夷)`` meant the region 40-50 miles in four directions form the King`s castle (王城) and the people who live there. Dongyi (東夷) is a common term meaning eastern area among the four. Therefore, the ancient Chinese people would have used ``Yi (夷)`` same as ``perfect virtue (仁)``, ``person(人)``, ``person worthy of the name``, ``a perfect men (君子)`` and as the meaning of ``country of perfect men (君子.)``. Indiscrete interpretation of the written materials on ancient Korea and establishing theories on it should be avoided.

      • KCI등재

        동양철학 : 유교경전의 동이 인식에 관한 연구 -13경 및 그 주석서를 중심으로-

        함현찬 ( Hyun Chan Ha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본 연구는 한국사상의 원류를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夷 또는 동이(東夷) 관련 유교경전 자료를 정리·분석 및 주해하는 한편, 동이 관련 유교경전 자료에 대한 대중적 접근성이 용이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동이``는 동아시아의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상과 문화의 원형을 탐구하는 데서도 필요한 핵심적 키워드이다. 또한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는 시간적으로 선진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의 역사 전반에 걸쳐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중국, 한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아직까지 夷 또는 東夷와 관련된 자료가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 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자료의 번역과 주석 또한 이루어지지 않아서 연구자들이 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유교경전 관련 주석서에서 시대별로 이 혹은 동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夷 내지는 東夷에 대한 인식과 그 정체성을 규명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夷 또는 東夷라고 하면 ``동쪽 오랑캐`` 또는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멸시하여 일컫던 말``, ``四夷의 하나. 동쪽 오랑캐. 中國이 동쪽 나라의 異民族을 蔑視하여 일컫던 말``, "자세히는 황하의 중간쯤으로부터 하류 동쪽의 이민족, 곧 한국·만주·일본 등을 가리킴" 등으로 알려져 있고, 또 "중국 역사에서 동쪽에 사는 오랑캐(이민족)를 일컬어 부르는 말이다. ``四夷``와 같이 夷는 오랑캐 전체를 일컫는 대명사로도 사용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동서남북의 각 방위에 따라 오랑캐를 구분하여 동이·서융(西戎)·남만(南蠻)·북적(北狄)으로 불렀다" 라는 식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유교경전에 언급된 夷 개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이 오랑캐 라기 보다는 오히려 君子 재지는 君子國을 의미하는 뜻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의 동이관련 유교경전 자료를 분석해 볼 때 과거 “``동쪽 오랭캐`` 또는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멸시하여 일컫던 말” 이라는 식의 인식은 매우 잘못되고 왜곡되어진 인식임이 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夷는 仁이며, 人이고, 또한 君子이다. 따라서 夷라는 단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바로 ``사람다운 사람``·``군자``, 내지는 ``君子國``을 나타내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는 단어라는 것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 민족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려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와 역사 그리고 정신 혹은 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변하기 쉽고 또 지키기 어려운 것이 정신일 것이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고 다른 것과 구별하거나 정의하기 어려운 특성 때문이다. 정신 혹은 사상은 변하는 것이고 변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그렇듯 변하지 않는 것, 변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변해서는 안 되는 그 부분이 바로 정체성의 뼈대에 해당한다. 따라서 동이와 관련된 유교경전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이러한 뼈대를 구축하는 초석이며, 무엇보다 시급한 역사적 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한 한국의 정체성 확립은 정치·사회적 측면에서도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우리 국가와 문화 및 사회 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Dongyi (Chinese: 東夷; pinyin: Dongyi; Wade-Giles: Tung-yi; literally "eastern ``barbarians"``) was a collective term for people in eastern China and in the east of China. People referred to as Dongyi vary across the ages. The early Dongyi culture was one of earliest neolithic cultures in China. According to the earliest Chinese record, Zuo Zhuan, the Shang Dynasty was attacked by King Wu of Zhou, while attacking Dongyi, and collapsed afterwards. Dongyi culture was one of the oldest neolithic cultures in China. Some Chinese scholars extend the historical use of Dongyi to prehistoric times, according to this belief, the neolithic culture correlates to Houli culture, Beixin culture, Dawenkou culture, Longshan culture and Yueshi culture, five evolutionary phases. Deliang He, thinks that Dongyi culture used to be one of the leading cultures in neolithic China. The writing system of Dongyi was one of the oldest writing systems in neolithic China. There are opinions thar the 20 pictogram characters discovered in a Dongyi tomb (山東거縣大汶口墓葬) in Shangdong indictates some of the characters found, like "旦、越、斤、皇、封、酒、拍、측", are still used in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Dongyi people were the inventor of arrows. Some classic Chinese history records like Zuo Zhuan, Shuowen Jiezi, Classic of Rites, all have some similar records about this. [3] [4] The legendary god of archery in Chinese mythology, Houyi, could also be a Dongyi leader. Based on archeology findings, Dongyi people`s ancestral worship totem is bird-shaped. In the meantime, The fundamental thing that Koreans should do is co find out Korean identy. Koreans cannot achieve their goals unless they enforce politics economics, educations, etc. in harmony with their own identity. However, some people say that Koreans do not have any dentity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no Korean traditional thought. This view is, however, absolutely absurd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a nation co exist for oner five thousand years without having it`s own native characteristics. The most essential thought in Korean identity is Confucius` In(仁). In is originated from Yi(夷) or Yi-jok(夷族)`s heart. On this account, Confucius` In can be a precious thought co Korean people who have been suffering from many problem caused by the absence of Korean identity. If Korean could understand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if Korean couldrealize that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are Confucius` In, then our culture and identity recovery of though may maximize efficiency of country and society development.

      • KCI등재

        西周時代의 東夷

        김정열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2

        先秦시대의 東夷는 대체로 현재의 山東 일원에 거주한 비중원계 문화 전통의 소유자 혹은 그들로 구성된 집단을 뜻한다. 지금까지 선진시대 ‘東夷’ 명칭의 의미, 기원과 분포지역, 문화적 계보와 특징, 그리고 ‘동이’ 개념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주요한 관심사는 東夷 자체보다 중원 지역 왕조 국가의 동방 정복 혹은 그들의 동이에 대한 인식 등의 문제에 집중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동이는 중원의 주변부에 위치한 낙후한 異文化集團이며 결국은 중국적 문화 전통으로 수렴될 존재로 간주되고, 따라서 東夷의 존재 양태나 그들의 정치적, 사회적 발전에 대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큰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이 글은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는 대상은 선진시대의 동이, 그 가운데서도 특히 중원에 서주 왕조가 존속하던 시기(기원전 1046~기원전 771)의 東夷이다. 이 글 에서는 청동예기 명문과 고고학적 자료를 활용하여, 西周 왕조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관찰되는 東 夷의 존재 양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 시대의 동이 사회가 발전하여 간 맥락을 살펴보았다. 사 용되는 문자 자료(특히 청동예기 명문) 대부분이 周 왕조의 입장에서 서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고고학적 발굴 조사는 동이 관련 청동예기 명문의 내용을 구체적 이며 상대적인 바탕 위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동이에 관련된 청동예기 명문은 대부분 서주 왕조 성립 초기에 일어난 반란 및 그에 대한 토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반란에 동이가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서주 왕조의 동이 토벌 은 成王을 지나 康王 재위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토벌에는 周公 일가는 물론 태공 일가와 伯懋父를 비롯한 서주 왕조 내의 유력 세력이 다수 참여하였다. 서주 중기가 시작되는 穆 王 경이 되면 동이에 관한 기록은 청동예기의 명문에서 급격히 사라진다. 이것은 서주 중기에 들 어 동이에 대한 서주 왕조의 지배가 안정된 것과 관련이 있다. 동이는 서주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시점이 되면 청동예기 명문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한다. 이때의 동이는 복수의 ‘邦’을 형성하고 회이와 연합하여 서주 왕조에 대한 적대적인 행위를 일삼는 주인공으로 묘사된다. 이것은 서주 왕조가 중기 이후, 동이 지역에서 통치 기반을 확보한 데 대한 동이의 반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원 지역에서 침투한 거대한 외래세력에 대응하여 토착세력 또한 체제를 정비해 나가기 시작했 다. 그 결과 동이 지역에서 형성된 복수의 ‘방’은 성곽으로 방어되는 취락을 중심으로 일정한 영역 에 걸쳐 물적 네트워크에 바탕을 둔 지배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서주 후기가 되 면 동이 가운데 복수의 정치체가 형성되고 이들의 힘이 외래세력에 조직적으로 대항할 만큼 성장 할 수 있게 되었다. 서주 왕조의 몰락과 春秋 列國의 성립은 이런 배경에서 시작되었다. Dongyi (東夷) in Pre-Qin refers to people who lived in today’s Shandong area and possessed non-Zhongyuan (the Central Plain) cultural tradition, or a group of those people. Scholars have conducted studies on the meaning of Dongyi, its origin and regional distribution, cultural line and features, and changes of ‘Dongyi’ concept so far. However because the previous scholarship focused on rather Zhongyuan dynasties’ conquest the East and their perception on Dongyi than Dongyi itself, Dongyi was considered to be undeveloped subcult who finally should be subjected to the Han Chinese tradition. Thus there has not been progress in studies on how Dongyi existed and on its development political and social. This paper recognizes that situation mentioned above and deals with Dongyi in Pre-Qin period in particular in the period when Western Zhou existed in the Central Plain (1046-771 B.C.E). The paper examines forms of Dongyi existence in intercultural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Zhou and thereby context in which Dongyi in the period developed using Bronze Ritual Vessel Inscription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Even though the greater part of the written materials in particular Bronze Ritual Vessel Inscriptions was stated from side of the Zhou Dynasty, rece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have provided with a clue with which we can concretely understand the inscriptions on Bronze Ritual Vessels related to Dongyi. The inscriptions on Bronze Ritual Vessels related to Dongyi mostly state revolt, which took placed in early period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the suppression of the uprising. This was because Dongyi was actively involved in it. The subjugation of the Dongyi rebellion continued from King Cheng (成王) through King Kang (康王) and influential families such as Zhou-gong, Tai-gong and Bomaofu families within the Western Zhou Dynasty were involved in the suppression. When reign of King Mu (穆王) began, which the middle Western Zhou started, statements on Dongyi rapidly from the inscriptions on Bronze Ritual Vessels disappeared rapidly. This should be because the Western Zhou’s rule on Dongyi was stable in that period. The inscriptions on Bronze Ritual Vessels, however, stated on Dongyi again in between the middle and late of the Dynasty. Dongyi in the period was described as an object that formed multiple political organizations called Bang (邦) and that took place activities against the Dynasty, allying with Huaiyi. This is related to the Dongyi’s reaction caused by the fact that the Dynasty acquired basis of rule in Dongyi area. Thus Dongyi started to organized its political system in response to the massive alien power. As a result, the Bangs in Dongyi area exercised controlling on the basis of networking material resources over the fortified settlements. By doing it in the late Wetern Zhou period multiple political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in Dongyi area and their strength grew as much as it was systematically against the alien power. Fall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establishment of various stat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ere started with the historical context mentioned above.

      • KCI등재

        초(楚)문화의 동이(東夷)문화 특성과 한(韓)민족과의 관계

        선정규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9 中國學論叢 Vol.26 No.-

        本論文通過祖先神的派系、神格的特征和兩民族共同擁有的包括巫俗等各種風俗的共性對楚文化的東夷文化的關系進行了考察。병且通過硏究我們韓民族和楚民族的文化淵源關系的幾種意見, 從而也對兩個民族的文化親緣性進行了分析。具體證明如下。首先關於楚民族的東夷族起原, 第一, 楚民族的祖先祝融已作爲東夷族的神被封爲高辛, 帝곡, 帝堯, 帝舜等在神話派系中屬同一派系, 或屬於同一神的時代相互轉化爲其타的神格。第二, 祝融的的神格和東夷族的祖先太皓的的神格是互相一致的。第三, 楚人和東夷族的圖騰都是鳳凰。第四, 楚人和東夷族人都是崇尙占蔔和巫俗的民族。其次, ≪楚辭≫中關於東夷文化的要素。第一, 作爲楚文化的精華的屈原≪楚辭≫中登場的絶大多數神話人物和神話素材皆屬於東夷系列。 第二, 以≪離騷≫爲代表的≪楚辭≫的全篇之中皆體現了屈原對於東夷舜的愛護興順從意識。 第三, 無論是≪離騷≫還是≪九歌≫, 都可以從中發見相當多的從東夷文化流傳而來的民俗和風俗痕跡。≪離騷≫中提到的궤敷任(展開衣角궤坐的樣子, 就是起源於祭祀東夷民族神靈時궤坐的風俗。第四, 11篇≪九歌≫中, 至少有≪東皇太一≫, ≪東君≫, ≪山鬼≫, ≪國상≫, ≪禮魂≫等5篇詩篇是以東夷文化爲基礎而創造的。第五, ≪天問≫174節中關於殷王朝興衰的內容最多。關於楚文化的韓民族文化的關系, 以傅斯年≪夷夏東西說≫, 陳夢家的殷商的朝鮮起源說, 尹乃鉉的東夷說等一些中韓學者的觀點看, 韓民族是東夷民族的一支。還有韓民族開國始祖神, 如新羅的赫居世和高句麗的朱蒙, 都同東夷族和楚民族的始祖神, 具有太陽神的神格。而且楚韓兩民族文化共同具有巫俗、鳳凰圖藤、遷葬以及以歌舞爲主的喪禮風俗等等的東夷文化特性。但這不意味著一些中國學者所提出的觀點一樣, 韓民族文化是從根本上起源於楚文化。因爲還沒有조到楚文化直接影響韓民族文化的證據。所以只能說楚韓兩民族都是東夷族的不同的一支, 因而保留共通的文化特性。

      • KCI등재

        商과 東夷-공존과 갈등-

        배진영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37

        The amicable relationship comparably maintained between Shang and Dongyi in peace changed gradually into conflict and struggle relationship from the conquest of Nanyi(藍夷). The period of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the amicable relationship includes the Pre-Shang(先商) culture Era and the Early Shang Era. The long exchange between Shang and Dongyi culturally formed the bilaterally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politically established the Yi-Shang(夷商) alliance. The conflict and struggle started from the Meddle Shang Era.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ause of the conflict and struggle was due to the results of the East Conquest to occupy the resources in the East.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g and Dongyi was due to the political growth of Shang as a leading nation of the Center Field(中原). In general, the growth as the leading nation is accompanied by plundering of the resource in the neighboring nations or countries. The status of Shang as the leading nation m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domin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Ritual Bronzes. In addition, domination of salt,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s, may have been one of the main objectives for the status.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this paper assumed that the decline of both the Yuanqu-Shangcheng(垣曲商城), supervising copper ore and manufacturing bronze wares, and the Dongxiaping(東下憑) Site, relating with the salt, from the Erligang(二里崗) Upper Period, may not be unrelated with the Shang’s Conquest of the East. There existed the conflict relationship with the East since the Middle Shang Era, howeve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Shang’s amicable relationship with a number of the East nations or countries was continuously maintained, too. 본고는 중원의 중심국가 商에 東夷요소가 강렬하게 등장하는 원인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고는 상문화에 내재하는 동이문화적 요소를 통해 그 관계를 밝히고 또한 상과 동이와의 정치적 관계와 그 변화를 통해 동이와 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우호적으로 공존하던 상과 동이의 관계는 藍夷의 정벌을 시작으로 점차 갈등과 투쟁의 관계로 변화되었다. 상호 평화로운 공존을 이루던 시간은 先商시기와 상 초기까지였다. 이러한 상호 공존이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상과 동이 간의 오랜 교류와 문화적 연원 관계로 인한 것이었고, 이에 정치적 동맹인 夷商연맹을 형성하여 동이가 상 건국에 참여할 정도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갈등과 투쟁은 상 중기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상과 동이 관계의 변화는 中原의 중심국가로의 상의 정치적 성장에 따른 것이다. 중원의 중심국가로의 성장에는 주변 국가로부터의 자원 약탈을 동반한다. 중심국가로의 상은 청동예기의 장악과 분배 및 필수품인 소금을 장악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였다. 본고는 특히 상 중기부터 상의 기존의 소금 자원과 관련된 東下憑 유적지와 동광자원을 관리하고 청동기를 제작하는 垣曲商城의 쇠락이 동방을 향한 상의 정벌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였다.즉 갈등과 투쟁 관계로의 변화는 상의 자원 확보 과정에서 나온 동방 정벌의 결과로 보았다. 다만 중기 이후 상과 동이가 갈등관계를 보이지만, 東夷의 여러 국가와 우호적 관계도 지속되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있어서 東夷文化의 지위

        김성기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paper explores new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developed by archaeological achievements, especially focusing on changing perspectives on Dongyi 東夷 and their culture. From a traditional sinocentric perspective (huayiguan, 華夷觀) shown in written sources, Donyi culture had been recognized as backward one compared to Central Plain (zhongyuan, 中原)’s. From the historical paradigm of the Great Unity (dayitong, 大一統) shown in the Sima Qian 司馬遷’s Shiji 史記, Dongyi culture reflected in myth and legend had been included in the Central Plain culture under the unitary pedigree of five emperors (wudi, 五帝). However, recently, with works of archaeological studies such as Fu Sinian 傅斯年’s and Xu Xusheng 徐旭生’s, Huaxia 華夏–centered thought regarding the origin of East Asian civilizations has been re-examined and status of Dongyi groups and culture in ancient East Asia history has been reassessed. Moreov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nyi culture, starting from Houli 后李 culture and developing to Beixin 北辛, Dawenkou 大汶口, Longshan 龍山, and Yueshi 岳石 culture, has proved that Dongyi culture had advanced with high levels of culture acumen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entral Plain culture. For example, Dongyi culture had advanced ceramic skills, bronze-making skills, and weaving skills and these had influenced on ancient culture and history. Not only that, pictorial characters of Donyi cultur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oracle bone script.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and contribution of Donyi culture by analyz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consistent developmental process of it in boundaries, succession relationships, and customs. 본 논문에서는 고고학의 발전에 따른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에 관한 재인식에 주목하고, 특히 이에 따른 東夷민족과 동이문화에 관한 인식과 지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문헌자료에서의 전통적 華夷觀에서는 동이문화를 중원문화에 비해 낙후된 문화로 인식했다. 사마천의 『史記』를 중심으로 한 大一統史觀에서는 신화·전설상의 동이문화를 의도적·역사적으로 일원화된 五帝 계보 하에서 중원문화의 계통 안으로 편입시켰다.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한 傅斯年, 徐旭生 등의 연구 성과를 통해 동아시아문명의 기원에 관한 이전의 華夏族 중심의 사고가 재검토되었고, 다원론적 시각에서 동이집단과 동이문화가 상고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에 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최근 중국 각지에서 발굴된 고고학의 발견에 따라, 동이문화가 后李文化, 北辛文化, 大汶口文化, 龍山文化, 岳石文化로 이어지는 동이문화의 일련의 발전 과정이 밝혀졌고, 동이문화의 수준이 상당히 선진적이었으며, 중화문화의 형성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는 점 또한 조명을 받았다. 동이문화의 유산과 역사적 공헌으로는 수준 높은 도기제조업, 銅器제조업, 방직업 등의 역사·문화적 공헌을 들 수 있으며, 문자학 방면에서도 동이문화가 갑골문의 형성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이러한 고고학 자료 분석을 통한 동이문화의 지위와 공헌을 살펴봄과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동이문화가 활동영역, 계승관계, 문화와 풍속 등의 측면에서 정합적인 맥락 하에서 발전해 왔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通典』에 기재된 ‘東夷之地’ 의미 분석

        송영대(Song, Young Da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8 No.2

        『통전(通典)』의 동이 관련 기록 중에서는 ‘동이지지(東夷之地)’라는 표현들이 일부 확인된다. 이들은 본문이 아닌 협주에 적혀 있기 때문에 두우의 인식이 반영된 문장에 해당한다. ‘동이지지’는 모두 ‘금(今)’이라고 하여 두우가 『통전』을 편찬하던 시점의 기록에서만 확인된다. 이 기록은 단순히 동이의 땅이라고 밝힌 게 아닌 모종의 목적성이 있는 기록들이며, 왜 굳이 구체적인 국명을 표기하지 않았는가란 의문이 제기된다. ‘동이지지’ 기록 중 하나는 당대(唐代) 천보연간(天寶年間)을 기준으로 당(唐)의 영토와 관련된 부분에서 확인된다. 『구당서(舊唐書)』에서도 유사한 기록이 확인되는데, 여기에서는 ‘동이지지’ 대신 ‘고려(高麗) ․ 발해(渤海)’로 기술되었다. 즉 『통전』에서는 의도적으로 고구려나 발해의 땅이라 밝히지 않고 동이의 땅이라고 한 것이다. ‘동이지지’ 관련 기록은 모두 한사군(漢四郡)과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의 영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이곳은 당이 고구려를 멸망시키면서 확보한 지역이지만, 8세기 중반 이후로는 더 이상 당의 소유가 아니었다. ‘동이지지’ 중에서 요동지역은 당과 대립하였던 발해가 차지하였다. 당은 ‘동이지지’를 일종의 미수복지(未收復地)로 여겼으며, 이를 언젠가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동이지지’라 기재하게 되었다. 아울러 발해는 『구당서』 ․ 『신당서(新唐書)』에서는 북적(北狄)으로 분류되었으나, 『통전』을 계승한 서적들에서는 동이(東夷)로 분류되었다. 이 또한 ‘동이지지’를 ‘고려 ․ 발해’로 보는 인식을 받아들인 결과물에 해당한다. While examining records on Dong-yi(東夷) in 《Tongdian(通典)》, one often finds the phrase “land of Dong-yi(東夷之地).” This term reflects Duyou(杜佑)’s understanding, since it is found not in the main subject but in the annotation. The recorded time of the land of Dong-yi is all “present(今),” which means that it is found only at the time of Doyou’s compilation. These records are not intended to be just the land of Dong-yi but have certain purposes. In this respect, a question can be raised on why the specific name of a country is not presented in these records. One of the records of the land of Dong-yi is found in the part related to the territory of Tang(唐) during the Tianbao(天寶) period. Further, a similar record is indicated in 《JiuTangshu(舊唐書)》. However, it is described as “Goryeo and Balhae(高麗 ․ 渤海)”. In other words, 《Tongdian》 intentionally mentions the land of Dong-yi instead of the land of Goryeo and Balhae. All the records mentioning the land of Dong-yi indicate the region belonging to the Four Commanderies of Han(漢四郡) and Protectorate General to Pacify the East(安東都護府). The territory was occupied by Tang following the fall of Goguryeo(高句麗); however, this was not true after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Specifically, the Liaodong(遼東) area was taken by the Balhae kingdom, which conflicted with the interests of the Tang dynasty at the time. The Tang considered the land of Dong-yi an unrecovered land. In this sense, they used the term with a strong willingness of recovery. In addition, although Balhae was classified as Bukjeok(北狄) in 《JiuTangshu》 and 《XinTangshu(新唐書)》, it was considered a part of Dong-yi in the records that succeeded in 《Tongdian》. These imply a common understanding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land of Dong-yi is Goryeo and Balh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