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인성, 도덕적 추론 및 내외통제성의 관계

        강윤정,박종희,최지영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6가지의 도덕적 인성 및 도덕적 추론의 차이를 규명하고, 도덕적 인성, 도덕적 추론, 내외통제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의 한 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경영대 학생 220명이다. 이들의 도덕적 인성은 덕목윤리척도(Virtue Ethics Scale; Shanahan & Hyman, 2003), 도덕적 추론은 한국판 도덕 판단력 검사(KDIT; 문용린, 1994), 내외통제성은 통제부위신념검사(박영신, 김의철, 최영표, 1996)를 통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 몇 가지 중요한 점이 나타났다. 첫째, 도덕적 인성수준과 도덕적 추론 수준은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덕적 인성은 1학년부터 3학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4학년에 가서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도덕적 추론능력은 1학년에 비해 2학년 때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인성과 내외통제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도덕적 추론과 내외통제성, 도덕적 인성과 도덕적 추론 간에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헌신성 요인을 제외한 도덕적 인성을 구성하는 5개 요인들이 내적 통제성과 긴밀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직업윤리, 존중, 신뢰, 정직성과 같은 덕목들을 학습하고 내면화한 사람이 자신이 처한 도덕적 상황을 스스로 이해하고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통합

        강인구(In-Gu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역할을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성교육에서 도덕적 판단을 통하여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도덕 심리학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과정과 기능에 대한 논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ohlberg로 대표되는 도덕적 추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성 발달이론으로 이성적 도덕성을 강조하는 Kant의 관점을 바탕으로 도덕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에 최근에 Haidt는 경험론적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제안하면서 도덕 직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도덕적 판단과정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고, 통합적인 관점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인성교육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인성교육에서는 도덕직관에 비해 도덕적 추론을 덜 강조하고 있지만, 최근의 인성교육의 방향이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직관의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moral intuition and moral reasoning in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tresses on education for moral behavior by moral judgment. Recently, there is constant controversy concerning the process and function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intuition in moral psychology research. Kohlbergian (moral reasoning approach) based on philosophically Kant’s rational morality. In contrast,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moral intuition approach) based on empiricism. This study attempts to merge the two lines of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common points between moral reasoning approach and moral intuition approach in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propose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ive education of moral reasoning and moral intuition.

      • KCI등재

        친 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아동의 도덕적 평가와 정서 추론과의 관계

        이재화(Jaehwa Lee),정윤경(Yoonkyung Jeo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6, 7세 아동의 도덕적 평가와 정서 추론을 중심으로 친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이해의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6세, 7세 총 6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거짓말 상황이 포함된 담화를 들려주고, 주인공의 행동을 도덕적으로 평가해보게 하거나 기분을 추론해보도록 한 후, 그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연령과 상관없이 규범 위반적 거짓말 상황에서는 도덕적 평가에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으나 친 사회적 거짓말 상황에서는 주인공이 거짓말을 하였을 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아져 6, 7세 아동 모두 친 사회적 거짓말에 대한 도덕적 평가 능력이 발달적으로 미숙함을 보였다. 또한 친 사회적인 거짓말 상황에서 도덕적 평가보다 정서 추론을 더 잘 한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평가 능력보다 기분을 추론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함을 보여주었다. 한편 정서 추론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아동과 그렇지 않았던 아동들의 도덕적 평가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정서 추론 점수를 얻은 아동이 도덕적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정서 추론과 도덕적 평가 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일관되지 않았던 아동의 친 사회적 거짓말 이해의 발달적 차이를 다시 한 번 검토해보는 동시에, 도덕적인 평가 능력의 발달이 타인의 정서를 추론하는 능력의 발달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prosocial lies focused on moral judgement and emotional understanding among 6 and 7-year-old children. The study was conducted on 65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6 to 7), who attended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articipants were shown an illustrated story having six situations; the preschoolers had to comment on the story. They were asked to make moral judgements and emotional reasoning in antisocial and prosocial situations. The study also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two factors.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hildren could determine the “wrongs” in an antisocial lie situation; however, they also made similar judgement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This demonstrates that aged between 6 to 7 children, are too immature to make moral judgement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Second, six and seven year old children, had a better emotional reasoning than moral evaluation in prosocial lie situations. This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empathetic skills precede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s. Moreover, as children grow, their reasoning ability improves; a case in point would be, a seven-year-old girl who predicted emotions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much better than younger children did. Finally, the children who scored the highest in emotional reasoning also displayed good moral judgement. This implies that as the prediction ability of emotional reaction develops, the child acquires ability to discern right from wrong in a prosocial lie situ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탈 콜버그주의인가?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2

        본 연구는 탈 콜버그주의 논쟁이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간 학문적 연구들에 기반 한 도덕 심리학적 연구 수행과 이에 근거한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8년 Journal of moral education 특집호에 실린 탈 콜버그주의 논문에 대해 튜리엘과 깁스는 문화상대주의를 극복하고 도덕 판단의 규범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도덕의 작용에서 도덕적 추론은 반드시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비판은 도덕적 정체성 이론의 전개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도덕적 정체성이론은 인지발달이론의 도덕적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패러다임으로 탈 콜버그주의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특집호 이후에 블라시는 관습이후 수준의 도덕추론 능력을, 탈 콜버그주의를 주도하던 나바에즈는 직관과 추론의 동등모델에 근거한 도덕 전문가를 성숙한 도덕인의 특징으로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적 추론을 통합한 도덕적 정체성 모델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여 도덕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관계에 대해 후행적으로 상보적일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는 도덕의 작용에 대한 뇌 과학, 생물학, 문화 인류학 등 간 학문적 연구의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도덕 심리학의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덕철학적 분석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도덕의 작용은 합리적 의식적 추론과정은 물론 자동적 무의식적 암묵적 과정에 근거한다. 도덕적 추론만큼이나 직관도 도덕의 작용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간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며 도덕교육의 연구에 학제적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 to explore arguments of post-kohlbergian approach in moral psychology and; (ii) to analyze Blasi`s and Lapsley`s posi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in terms of reflective reasoning and; (ⅲ) to suggest their`s implication concern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theory. Moral identity theory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h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Theorists of moral identity theory commonly criticize Kohlberg`s theory as a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insist the autonomy of moral psychology. However, one can find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is trend, especially concerning he meaning and role of the reflection in moral functioning. Blasi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flective reasoning of moral agent, while Lapsley supports moral automacy contrary to Kohlberg`s phenomenalism. Although Blasi had been negative about building moral psychology based on the moral philosophy, he has articulated the moral identity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free will by Frankfurt. However, recently he criticizes intuitionist theory of Haidit and suggests the notion of the moral agent with the skill of reflective reasoning, or post-conventional thinking in Kohlberg`s terms. Blasi`s perspective of moral identity has two version. The one emphasizes the moral understanding which means strong evaluation, while the other refers to reasoning with weak evaluation. This leads to an inevitable inner contradiction within his theory of moral identity. Lapsley considers moral identity as a heuristic idea and suggests moral chronic as a new model of moral identity. This model i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His social cognitive model of moral personality provides the account for implicit, tacit, and automatic of moral functioning, while reflecting the core of moral identity. Lapsley suggests that moral function involves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cesses. The former occurs in normal situations of life, while the latter in rare and unusual situations. He does not highlight reasoning in moral functioning as Blasi do. In consequence, I will argue the notion of the moral agent with the skill of reflective reasoning, or post conventional thinking in Kohlberg`s terms in the moral functioning like Gibbs and Turiel positions i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s 2008 special issue.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should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 It means we explore not only m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the moral functioning, but also researches based on the moral philosophy.

      • KCI등재

        하곡학파 수양론의 도덕 심리학적 이해 − 도덕적 인지의 실행 문제를 중심으로 −

        김윤경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본 논고는 도덕적 인지의 실행 문제가 현대 도덕 심리학과 하곡학파 수양론의 공통된 문제의식이었다고 보고, 그 이론과 대안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하곡학은 콜버그(Kohlberg)의 도덕 심리학이 신경과학에 힙입은 직관주의의 도전을 받고, 다시 합리주의를 보완하거나 직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가 발생하게 된 몇 가지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먼저 하이트(Haidt)를 중심으로 한 직관주의가 도덕적 추론은 도덕적 행동과 연결되는 힘이 매우 약하며, 도덕적 처리 과정은 직관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도덕적 의사결정 자체에 추론이 개입될 틈이 없다는 문제의식을 들 수 있다. 이는 지행합일(知行合一)명제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그러나 하이트는 직관을 선천적 모듈과 사회적 문화화를 통한 복합체로 이해하고 문화화를 더욱 강조한 반면, 하곡학파는 도덕 주체의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반성적 성찰을 중시했다. 이런 도덕주체의 문제는 블라지(Blasi)의 도덕정체성론과 상통한다. 블라지는 콜버그가 말하는 도덕적 추론이 실행으로 연결되지 않는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행위 주체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겉으로 도덕적으로 보이지만 그 동기는 사익의 추구나 관습적 내면화 요인 등으로 부도덕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하고, 진실성을 지닌 자아와 도덕성을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도덕적 주체, 자아의 문제는 자기 자신의 감찰자로서 양지의 본래적 회복을 중시하는 하곡학의 견해와 유사하다. 또 블라지가 제시한 자기기만의 문제도 하곡학파의 가도의(假道義)론과 상통한다. 블라지의 정체성론을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직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한 도덕 심리학자는 나바에츠(Narvaez)다. 나바에츠는 통합윤리 모형과 도덕적 메타인지를 통해, 도덕적 전문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도덕적 직관과 도덕적 추론을 대등하게 통합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이는 격물궁리(格物窮理) 공부가 치양지(致良知) 공부로 수렴되는 것으로 본 하곡학파의 수양론과 유사하다. 하곡학에서 치양지는 양지의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켜 완전성을 회복하는 것인데, 치양지 과정 중에 구체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지적인 탐구로서 격물궁리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하곡학과 도덕 심리학이 공유하는 도덕의 문제는 시대를 관통하는 인간의 실존적 고민을 보여주며, 전통사상의 현대화 필요성을 일깨워 준다. This paper sees that to implement moral perception was the common issue of the modern moral psychology and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Hagok School, and analyzes and compares thses theories and their alternatives. In the theory of Hagok School exist several critical questions same as the ones which arose as a series of attempts by Kohlberg's moral psychology to make rationalism better or overcome the limits of intuitionism after the moral psychology was challenged by the intuitionism reinforced by neuroscience. The first critical question is that the moral reasoning of Haidt's intuitionism is not strong enough to be connected to moral action, and because in that theory the moral processing is automatic by intuition and thus there is no room for reasoning to work in the moral decision-making. This is clearly observed in the proposition of Jihanghapil. However, whereas Haidt understands intuition as a complex originated from both an innate module and social enculturation and thus emphasizes enculturation aspect more, Hagok School put more stress on active and voluntary and reflective self-examination. Such issue of moral subjec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Blasi's moral identity theory. Blasi saw that in order to solve the synchronizing issue that moral reasoning is not connected to practice in reality, the subject of action must form a moral identity first. In addition, he argued that we must keep in mind that even when someone looks moral, he or she could be immoral due to the tendency of pursuing one's own interest or customarily internalized factor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self of sincerity with morality. The issue of moral subject and self is similar to the view of Hagok School which emphasizes ‘Yangji’s restoration to its original state as a self-inspector. In addition, Blasi’s issue of self-decept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gadoui of Hagok School. It is a moral psychologist Narvaez that developed Blasi’s identity theory and proposed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intuitionism. Narvaez suggested an educational method which can improve moral professional technique through an integrative ethical model and moral meta-cognition. In this process, he devised a method to integrate moral intuition and moral reasoning evenly. This is similar with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Hagok School which saw that studying kyukmulgungri would converge on studying chiyangji. In Hagok School, chijangji means yangji’s recovery of moral sensitivity to restore its integrity, in which process Hagok School saw kyukmulgungri occurring as an intellectual inquiry to understand specific situations and find an alternative. The moral questions shared by Hagok School and the moral psychology show the existential concern of human that penetrates the times and enlighten the needs to modernize traditional ideas.

      • KCI등재

        도덕적 의사결정에서 직관과 추론의 역할

        문경호 ( Moon Kyu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도덕적 판단과 관련하여 인지과학에서 밝혀낸 인간의 대표적 판단 기제는 `직관`과`추론`이다. 첫 번째 유형은 직관적이고 자동적인 사고방식이며, 두 번째 유형은 추론적이고 숙고적인 사고방식이다. 콜버그(L. Kohlberg)는 도덕적 판단과 행동을 이끄는 가장 강력한 힘은 도덕적 추론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하이트(J. Haidt)는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통해 거의 대다수의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직관이 주도적으로 작용하고 추론은 사후 정당화의 역할만을 담당한다고 밝혔다. 그린(J. Greene)은 이중과정 이론을 통해 의무론적 판단은 자동적이고 즉각적인 정서 반응에 의해서 직관적으로 도출되고, 결과론적 판단들은 의식적이고 숙고적인 인지 작용인 추론으로 도출된다고 밝히고 있다. 카너먼(D. Kahneman)은 인간이 태생적으로 불완전한 정보처리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하고 비합리적인 판단을 내린다고 주장한다.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방대한데, 우리는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해야 하므로 이른바 휴리스틱이라는 `판단의 지름길`, 즉 직관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직관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동시에 편향성을 지닌 직관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한다. 반면 기거렌처(G. Gigerenzer)는 직관을 반드시 비합리적 편향의 원천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환경 적응적 도구상자로서 유용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는 최근의 인지과학 및 도덕 심리학에서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직관과 추론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선택 대안의 효율적 생산자로서의 직관의 역할과 선택 대안의 정밀한 검토자로서의 추론의 역할을 심리학에서의 여러 경험 연구들을 토대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도덕적 의사결정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도덕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lation to moral judgment, it is the `reasoning` and `intuition` of human representative decision mechanism in cognitive science. The first type is intuitive and automatical way of thinking, and second is ratiocinative and reflecting one. Kohlberg asserted that the most powerful impetus comes from moral reasoning to lead moral judgment and behavior. Haidt explained that intuition plays an leading role and reasoning charges only role of post-justification, in the almost majority of moral situation, via social intuitionism model. Greene elucidates that deontological judgement is deduced intuitively by emotional response automatic and immediately, and judgment due to result does so by reasoning, conscious and reflecting cognitive reaction, through dual process theory. Kahneman maintains that humans make incomplete and irrational judgment, because they have incomplete abi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inherently. To make good judgment, there are so many data to be processed, and we need to make decisions rapidly. Therefore, we use, so-called `shortcut of judgment` of heuristic, that is, intuition. They acknowledges biased intuition as subject to overcome and upholds the effect of intuition used widely in decision-making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Gigerenzer claims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define intuition as source of irrational bias and needs to think it as useful environmental adaptation tool box. In current moral education, the reasoning education is being utilized as core factor to enhance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intuitionist along with Haidt, it suggests strongly that it is not so useful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based on reasoning in making moral judgment. This might be clearly significant challenge to moral education. It is because that it supports Haidt`s argumen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intuition resulting from emotion in moral decision making by many empirical studies recently. In this study, it argues that it guards against the view of underestimating role of moral reasoning, and reasoning could be utilized significantly in decision-making. Reasoning used in situation requiring more complex deliberation differs from intuition system used in context to make rapid decision more effectively, in its roles.

      •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도덕교육적 고찰

        문경호,추정완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도덕적 의사결정은 도덕적 판단에서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가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실천 대안을 모색 하고 그 중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의식적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판단-선택-행위의 구조에서 판 단과 선택을 아우르는 과정이 의사결정 과정이다. 판단은 평가와 관련된다. 어떠한 대상이나 행위, 현상 등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그 대상, 행위, 현상 등에 대한 평가의 의미가 담겨있다. 그리고 많은 경우 보편적 도덕 원리가 평가에 대한 준거로 작동한다. 반면 선택은 의무로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선택은 상황에 대한 보다 특수 한 고려를 수반한다. 판단과 불일치하는 선택의 경우 판단을 이끈 의무감을 뛰어넘는 여러 요인이 작동할 수 있다. 다양한 요인이 최초의 도덕 판단과 괴리된 선택으로 행위자를 이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서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정서를 살펴보았다. 도 덕적 추론에 의한 정당화 과정은 판단을 선택으로 나아가게 하는 의사결정의 유의미한 심리적 동기 가 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 상황에서 어떠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옳다는 설득력 있는 이유를 발견한다면 의사결정이 한결 쉬워지면서 그러한 결정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된다. 또 한 직관적 판단의 편향을 차단하고 오류를 교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현재의 나의 정서와 선택 이 후 예상되는 미래의 나의 정서 역시 의사결정을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정서적 만족감, 죄 책감 등의 감정은 도덕적 의사결정을 고양시키거나 비도덕적 의사결정을 억제할 수 있다. 도덕적 의사결정과 실천력 함양을 위해 역량 중심과 동기화 중심으로 접근하여 도덕교육적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전자가 개별 행위에 직면한 행위자의 대응에 초점을 둔다면, 후자는 개별 행위 보다 는 행위자의 전체적인 성향이나 성품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공감, 개인적 가치, 성격 특 성에 기반한 역량 강화와 함께 도덕적 정체성을 통한 동기화 문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을 다룬 경험적 연구의 메타분석

        권혜선(Kwon Hye Seon),윤순진(Sun Jin 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현재의 환경문제는 그 발생부터 해결까지 윤리적, 도덕적 가치와 관련된 도덕적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측면에서 환경에 대한 실제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 21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과 도덕적 의 사결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환경윤리와 환경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 연구는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과 경제, 사회적 요소가 포함된 환 경내용을 다루었으며, 도덕적 추론과 판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이 엇비슷한 비중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실제로 환경문제에 대해 도덕적 의사결 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의사결정에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이 함께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도덕발달 측면에서 구체적이고 자기중심적으 로 고려하는 데서 일반적,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발달 경향이 나타났으며, 생태중심적 추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연령이 낮은 연령에 비하여 생태중심적 추론을 더 많이 사용 하는 것은 인지도덕발달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인간중심적 추론에서 생태중심적 추론 으로 통합·변화되는 조짐은 환경윤리의 당위성이 실제 능력으로 존재할 사실적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환경윤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생태중심적 추론능력과 실제 판단 이 더욱 확장될 가능성이 높으며, 효과적인 환경윤리교육을 위해서는 추후 인지·정의의 통합적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환경에 대한 실제 의사결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Contemporary environmental problems are moral issues embedded with moral values from their manifestation to res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 meta analysis targeting 21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explored re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from a moral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the nature of moral decision-making and potential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mpirical studies of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dealt with environmental contents including economic and social factors intended for people in various ages from preschool children to adults by using similar degre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found that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recognized environmental issues from a moral perspective and that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was undertaken by using a combination of cognitive morality and affective morality. Research subjects tended to think more generally and in abstract terms, and have relatively more biocentric reasoning with increasing age. The more extensive use of anthropocentric reasoning in younger people compared to older people can be interpreted as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rality, and signs of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from biocentered reasoning to anthropocentric reasoning are meaningful to the extent that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the relevance) of environmental ethics to exist as a real ability. These findings provide positive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at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expansion of biocentered reasoning ability and real judgment. However, more specific and in-depth studies on re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cognitive and affective morality will b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도덕적 사고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

        김혜숙 ( Hye Soo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교육은 학생들이 좀 더 양질의 삶을 살도록 돕는 행위이다. 양질의 삶을 사는데 있어서 잘 생각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양질의 삶에 관한 한 도덕적인 사고력은 필수적이다. 우리들의 삶의 문제는 대개 규범이나 가치와 관련된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더구나 그 문제들은 복잡하고 다층적이기 때문에 사고력이 더욱 요구된다.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며 합리성을 넘어서는 합당성이 지향되어야 한다.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덕적 사고력 교육은 학교현장에서 좀 더 강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내공이 쌓이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글은 이런 인식에서 출발하여 앞으로 도덕적 사고력 교육을 연구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작업으로서 도덕적 사고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덕적 사고를 체계화하고 구체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도덕적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도덕적 사고의 하위개념과 그에 따른 도덕적 탐구의 유형을 연결하였다. 또한 각각의 탐구유형을 현재 소개된 인지적 영역의 도덕과 수업모형과 연결해 봄으로써 유형별 탐구의 모습을 좀 더 구체화시키면서 동시에 각 도덕과 수업모형의 핵심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각각의 탐구와 모형이 어떤 세부적인 사고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면서 도덕적 사고의 하위단위로서의 사고기술 목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메타인지적 지식이나 경험이 도덕적 사고력 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이것은 실험적 제안이다. The purpose of education helps student make their life better. Making life quality better quiet depends on good thinking. Especially moral thinking is very important to making better life, because the most problem of life includes the aspect of morals and values. Moral problem is so complex and multi-layered that moral thinking for solving problem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areas. It needs practical wisdom and reasonableness beyond rationality. Also, It needs multi-dimensional approach. So we have to strengthen moral thinking education. But it is hard, because the study and practice of moral thinking education are not made sufficiently. This essay starts on this awareness. So it makes a overall view on moral thinking as basic study for the study and practice of moral education in the future. Especially, it focuses on making that systematization and specification. It makes clear the character of moral thinking as reasonableness and multi-dimensional aspect, and makes organize the element of moral thinking and the type of moral inquiry. Also it tries to connect between the type of moral inquiry and teaching-learning model. And it proposes ``thinking skill`` as the unit of moral thinking. Becaus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about moral thinking get lead moral thinking education effectively.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은연아(Eun Yeon-A),서현정(Seo Hyunjung),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이다. 연구는 사전검사,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총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8주 16회 실시한 결과,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추론 모두 실시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점차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며,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ldren s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8 students ages 5 of the H kindergarten in D cit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wee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move on to moral behavior. Seco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can help young children be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ecome creativity-character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