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우등교양교육 프로그램(general education honors program)의 특징과 의의

        김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paper investigate the various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of honors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 Korean universities are facing currently with respect to students’ serious gap in readiness for learning and achievement. Low-achieving students have been traditionally subject to various initiatives, However, the educational needs of high-achieving students have not been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in term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sponsive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proposes the 'Principle of Level Adjustment for Educational Interaction' that the intellectual level of each student should be respected and addressed by offering subtly challenging tasks to students through attentively designed curricula, especially in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principle is expressed in diverse academic settings by distinguishing types of relatively well-known and successful honors programs in U.S. universities. The types of honors general education programs examined in the paper are: the ‘honors college’ type (honors college for general education, honors colleges for the first year education, special general education cluster as one of the honors college curriculum) ‘honors program’ type (freshman honors program, special honors program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general education honors curriculum) and informal type (special exclusive programs for high achieving freshman, best teachers program, honors degree). Each type of honors program pronounces its own and unique educational aims, credit system, curriculum, special courses, and class interactions. Nonetheless, there are common features of excellence which can be discerned across programs: honor program director's autonomy in decision making, university-wide support(scholarship, profess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urse implementation, housing, etc) early initiation to intensive approach to honors general education from freshman; continuous duration of educational impact through undergraduate period; comprehensive organization of the honors curriculum; emphasis on liber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courses-writing and discussion, students’ ability to create knowledge, critical thinking. The very existence of hundreds of honors programs cases should be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Level Adjustment for Educational Interaction for high achieving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which can thus provide examples to Korean universities wishing to pursue this principle. 최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수업 준비도 수준차이가 커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부분 노력은 낮은 성취도와 낮은 준비수준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평균보다 높은 준비도와 성취수준을 보이는 학생들은 대학교육의 과정에서 소외된다. 이러한 문제는 교양교육에서 더 심각하다. 학생들에게 현재 수준에서 보다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단계의 지식을 제시하여 발전하도록 해야하는 ‘교육적 상호작용을 위한 수준조절의 원리’는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교양교육이 어떠한 인식적 실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미국대학 우등프로그램의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등대학’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양교육 중심의 우등대학’, ‘우등대학 내 1학년교육’, ‘우등대학교과목으로 인정하는 특별교양교육과정’으로 우수학생을 위한 교양교육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우등대학 없이 일반우등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는 ‘1학년 우등프로그램’, ‘교과영역별 우등프로그램’, ‘우등교양교과과정’ 유형을 보인다. 앞의 두 경우와 달리 비형식적 유형의 우등교양교육프로그램으로는 ‘선별특화 교양교과과정’, ‘우수강의’, ‘우등졸업’의 방식을 활용한다. 우등교양교육프로그램은 신입생때부터 적용하는 ‘조기성’, 일시적 결과보다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경험을 가지도록 하는 ‘과정성’, 단일 교과목이 아니라 영역이나 수준에 있어서 폭넓은 수월성을 지향하는 ‘통합성’, 글쓰기와 토론, 학문적 지식의 생성능력, 비판적 사유자로의 성장 등을 장려하는 우등강좌의 특성으로서 ‘교양성’ 등의 공통점을 가진다. 우리나라 대학들도 각 대학의 여건과 목적, 학생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전 대학 차원에서 협력하는 우등교육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손승남,김인영,송하석,이재성,최예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nature of core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 hot topic among universities due to the upcoming nationwide evaluation of universities in 2021 calle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Five expert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and conducted a group discussion. The main agendas of the group discussion were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desig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and possibiliti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This study makes clear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inherent in the competency discourse that affect university education. The emphasis on competencies in university education reflects the reality that universities are not free from state and market forces within a neoliberal market economy.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liberal education. Core competen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overall framework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onsist of sub-elements that represent its features. For a successful ado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liberal educa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beral education, mapping of the curriculum and liberal subjects based on basic studies(Grundwissenschaft) are recommendable. There is a need for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connects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 propose that despite how incompatible the concepts of competency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appear to be, the more faithful we are to the spirit of liberal education, which cultivates general competence, the more synergy it will bring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its members. 이 글의 목적은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앞두고 대학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초점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두고 교양교육 전문가 5인의 집단토론과 주제에 대한 분석, 해석, 비판, 종합을시도하였다. 토론의 중심의제로 삼았던 내용은 역량과 핵심역량 개념의 의미, 역량기반 교육의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배경과 맥락,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수용가능성, 대학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 방안 등이었다. 연구결과 우리는 역량담론이 대학교육에 줄 수 있는 한계와 가능성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 강조는 분명 신자유주의적 시장 경제 내에서 대학이 국가와 시장의 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현재의 대학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역량과 교양교육의 올바른 관계 설정을 위해 핵심역량을 교양교육에 한정지을 것이 아니라 대학교육의 전체적 틀과연관지어 설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 때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는 범주별로 제대로 정합성을 갖추어야 한다. 비판적 관점을 넘어 우리는 사안을 실용적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다. 역량기반 교육을 교양교육에수용할 경우에 각 대학은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목표 설정에서부터 기초학문에 근거한 교육과정 매핑과 교양 교과목의 구성, 자유교육의 기반에서 학습성과를 진단하고 환류로 연계하는 체계적인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역량교육과 교양교육이 양립하기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는역설적으로 일반역량을 기르는 교양교육 본연의 정신에 충실할수록 대학과 대학구성원의 역량 함양에도시너지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의 현황 분석- 수도권 대규모 대학 중심으로

        김혜영,이은하,주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liberal arts courses in the major univers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as liberal art in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ill classify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mpare the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basic education. In the sec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proportion of ‘sciences as as liberal art’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liberal art’ will be compared. Recently, the major universities are revising their curriculum to foster creative talent that will lead to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t reorganized ‘Core Courses(중핵교과)’ and ‘Distribution Requirement Courses(배분이수교과)’ area of Kyunghee University, ‘Core Liberal Arts(핵심교양)’ area of Korea University, ‘Worlds of Knowledge(학문의 세계)’ are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Equilibrium Liberal Arts(균형교양)’ area of Sungkyunkwan University, ‘Required Liberal Arts(필수교양)’ of Yonsei University, ‘Creative Integration(창의융복합)‘ area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Core Competency Liberal Arts(핵심역량교양)’ area of Hanyang University. And Based on the expertise of humanities, society, science, art, we are operating a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 However,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s still centered on humanities and basic education such as foreign language or computer and computer basics. From now on, the major universities must develop cultural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discover and introduce many stori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consist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 a curriculum of science as liberal ar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 대규모대학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양교육과 교양교육 내 교양과학교육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도권 대규모대학 중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표준모델인 ‘소양교육’, ‘기초교육’, ‘교양교육’으로 구분하고,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초교육’과 ‘교양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교양교육 영역에서 교양과학 분야와 그 외 교양인문사회 분야의 비중도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최근 주요대학들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교양교육 교과과정 개편 내용을 살펴보면, 경희대학교의 ‘중핵교과’ 와 ‘배분이수교과’, 고려대학교의 ‘핵심교양’, 서울대학교의 ‘학문의 세계’, 성균관대학교의 ‘균형교양’, 연세대학교의 ‘필수교양’, 이화여자대학교의 ‘창의융복합’ 그리고 한양대학교의 ‘핵심역량교양’ 영역을 재편하였고,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전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인문학 중심이거나 외국어나 컴퓨터 등 도구적 기초교육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운영과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양과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의 역사에서 스토리를 발굴하고 소개할 수 있도록 학내에 ‘과학과 기술’ 영역의 교재편찬위원회를 구성해서 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에 맞는 교양과학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여 교양과학의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rough the case of D-college for how to develop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colleges. Since 2014, many colleg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NCS-based curriculum. However, although NCS-based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t also resulted in the weak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ose colleges. Fo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short lectures and a major-oriented education system. At a time when the curriculum of college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one, it is very urgent to chang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at D-college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ut the development process at each stage focused on capacity centers. This article looked at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nalysis-Design -Development’ phase. In the analysis pha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capacity,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while the core competency of the colleges in question was checked. In the design phas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as were set. In the development phas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derived and a curriculum profile was developed. As a result, D-college has been able to derive a variety of competency-based subjects, with several tasks remaining for the education to operate effectively. I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Liberal Arts and math are secured,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D대학의 사례를 통해 하나의모형을 제시하는 글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경우 짧은 수업연한, 전공 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 교양교육의 중요성에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문대학은 지난 2014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왔다. NCS기반 교육은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교양교육을 약화시키는 결과를초래하기도 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금 전문대학 교양교육의변화는 매우 절실하다. D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각 단계에 따른 개발 과정은역량 중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양교육을 둘러싼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와 학생들 대상으로 수요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의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행동지표를 점검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목표 및 교양교육정책을 수립하였다. 교양교육목표는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으며, 교양교육정책은 직업기초능력 및 기초학습능력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또한 교양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을반영한 교양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교과목 도출시 수요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최종 교과목 도출 후 역량 중심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D대학은 교양교육영역별로 다양한 역량기반 교과목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와 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양교육 전담기구와 인력, 교양이수학점 등이 확보된다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강화 재정지원정책의 변화와 개선 방안 연구

        김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inancial aid policy used to strengthe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It also aims to provide improvements to th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in the future. The change process in which the budgets of the CORE(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project and the ACE+(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ject are incorporated into the UIS(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budget after 2019,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budgets, are as follows: First, in 2016 CORE was launched and the achiev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made visible at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humanities education development playing a key part in the budgeting for higher education. Second, from 2016 to 2018 the CORE and ACE+ support periods were not sufficient, nor were the support levels for 2017-2020. Third, as the CORE and ACE+ budge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UIS budget, CORE and ACE+ were not revealed in the UIS indicators. Fourth, the formula financial support method of UIS emphasizes the autonomous enforcement of universities.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practice a UIS with the university's commitment to strengthening liberal arts education. In doing so, we hope to maintain the development of basic education courses,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and humanities-based foundations, all of which have shown positive results in the CORE and ACE+ projects. The sugg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dget fo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xpand the budget for direct support for universities, along with indirect support for researchers and research organization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propose that universities have sufficient budgets to increase liberal arts education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undermine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when budgeting for an expanded UIS. Third, meaningful achievements of the CORE and ACE+ need to spread to pan-universities through the UIS. Fourth, we need to set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s autonomous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UIS budget. Fifth, a stronge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is preferable to a cubicle financial support approach, but only fo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강화 측면에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교양교육 재정지원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이 연구는2016년~2020년 교육부 예산 및 기금운영계획 개요 자료를 토대로 고등교육 예산, 예산편성 방향, 예산편성 주요 내용 및 세부 내용을 분석하였고, 대학 교양교육강화 재정지원사업으로 ACE+사업, CORE사업,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기본계획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이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사업)과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 사업(ACE+사업)의 예산이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도출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인문학 보호육성이 고등교육 예산편성에 주요 내용으로 신설된 결과 CORE사업이 출범하고 정부의실질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면서 대학에서 교양교육강화의 성과가 가시화되었다. 둘째, 대학 교양교육정책의 실효성 측면에서 볼 때, 2016년~2018년 CORE 재정지원사업과 2017년~2020년 ACE+ 재정지원사업의 지원 기간과 지원 수준은 충분성을 갖추지 못했다. 셋째, 2019년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에따라 CORE 재정지원사업 예산과 ACE+ 재정지원사업 예산이 대학혁신지원사업에 통합되었으나CORE 사업과 ACE+ 사업 내용이 대학혁신지원사업 핵심지표에서 드러나지 않고 있다. 넷째, 대학여건을 고려하여 재정을 배분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포뮬러 재정지원방식은 대학의 자율적 집행을강조하는 바, CORE사업과 ACE+사업에서 성과를 보인 기초교양교육과정 개발, 인문 소양 교육, 인문학기반 조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강화에 대한 대학 의 의지를 담아 대학혁신지원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 예산 편성에서 대학 교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을 확대하고, 교양교육 분야만을 지원할 칸막이식 재정지원사업을 마련하며,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에 대학 교양교육강화 예산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ACE+사업, CORE사업에서의 대학 교양교육강화 성과 및 모델 등을유지 및 범 대학으로의 확산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제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이 글은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대학의 역사를 성찰하면서 대학의 존재 이유를 밝히고, 교양교육의 미래를 통찰하면서 대학의 존재 가치를 재확인하려 한다. 대학은 역사의 산물이다. 대학은 스스로를 발명하고 혁신해왔다. 오늘날 대학은 4번째 혁명적 변화의 과정에 있다. 1차 대학혁명은 자유교육을 대학교육으로 제도화하였다. 2차 대학혁명은 ‘교양과 학문의 일치’를 추구했다. 3차 대학혁명은 배분이수모델을 확산 시켰다. 4차 대학혁명은 플랫폼 대학, 융합 대학, 혁신 대학, 기업가 대학으로 전개되고 있다. 4차 대학혁명 시대에 교양교육은 존망의 기로에 접어들었다. 교양교육의 미래를 열어가는 길은 두가지다. 하나는 ‘개량의 길’이고, 다른 하나는 ‘개혁의 길’이다. 개량의 길은 지금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부분적 개선에 주력하는 것이다. 개혁의 길은 교양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새로운 교양교육을 창출하는 것이다. 대학은 교양교육을 직시하면서 성찰과 통찰을 제도화해야 한다. 존재의 변화는 스스로 해야 의미가 있다. 개량의 길을 극복하고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교양교육의 주체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내용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방법적 혁신을 일상화하는 것이다. 대학의 존재 가치는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교양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history of university to clarify the reason of existence of university and penetrates into the future of 1iberal arts education to reaffirm the value of existence of university. University is a production of history. It has been invented and innovated itself. Today, it is right in the process of its fourth revolutionary change. The first university revolution put the liberal education into university system. The second was to long for integration of humanity and learning. The third spread out the distribution requirement model. The fourth is to advance to platform university, convergence university, innovation university and entrepreneur university. In the time of the fourth university revolution, 1iberal arts education is standing on the path of life or death. One is the way of improvement, and the other is the way of reform. It will go to improvement by extinction maintaining its current system with a focus only on partial improvement while it will go to reform by independence restoring its essence with creation of a new 1iberal arts education. Universities should institutionalize reflection and insight while facing liberal arts education. Change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made by its subject. General education should overcome the way for improvement and go for reform. It should redefine its main body, make sure of its identity of contents and routinize its methodical innovation. The existence value of a university is on the existence reason of human. That is, 1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on formation of human.

      • KCI등재

        시대 전환기에 제기하는 국립교양대학

        안현효(Hyeon Hyo Ahn),김영우(Young Woo Kim),전용숙(Yong Sook Jeo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논문은 대학체제 개편 논의의 맥락에서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설립방안을 탐구하여 이 방안이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학사구조의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 경로상 최적의 대안인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학사구조 대안을 실천하는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의 본질을 지키고, 대학이 변화하는 시대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초학문을 키워야 하는데 기초학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과정을 활성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개혁은 학사구조 개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는 한국형 리버럴아 츠칼리지를 요구한다. 셋째,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대학체제 개편을 기반으 로 한 국립교양대학의 설립이 가장 현실적이다. 그런데 국립교양대학 논의가 대학체제 개편의 전제로서 제안되는 경우 대학체제개편을 하지 못하면 실행할 수 없는 안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대학체제 개편 이전에 가능한 국립교양대학의 구체적 설립 모델을 제안하였다. 국립교양대학 설립의 로드맵은 기존 대학체제 내에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단과대학으로 국립교양대학을 신설하여 점진적으로 전국의 교양교육과정을 수렴하게 하는 표준 커리큘럼을 만들고 표준화에 합의하여 장기적으로 전국적 교양교육을 맡는 국립교양대학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설립에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교양교육을 확고하게 자리잡게 할 개혁의 시작이 될 수 있다. This essay investigates how to establish a Korean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which is regarded as the best practical way to solve the problem found in the higher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in Korea. The problem with Korean universities is that basic science becomes weaker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understand that basic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way to solve this issue i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cademic structure to be responsible for general and liberal education, so called “Korean Liberal Arts College”. Among a few versions of the “Korean Liberal Arts College”, the National General (Liberal) Education College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is proposed as a college that will provide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university system. This college will be evol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eneral (lib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강민희,이승우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Since it was selected as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2016 for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hereinafter, initiative for CORE)≫, Daegu Haany University has made every efforts to achieve qualitative・quantitative growth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by introducing <Innovative measure in the education process of basic liberal arts based on humanities> to the operating system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e main issue of which is ‘Triple Cube System’ that is 1) expansion of humanities curriculum centered on literature・history・philosophy 2) Building double DNeA BonD System 3) balanced positioning of the operating system for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issues that university has faced and timely・social environments changing rapidly, with just faithful fulfillment of the plan of the initiative, it is not easy to achieve successful realization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which was initially planned by university as well as the goal of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that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alented creative people equipped with humanities by supporting all the university students to fulfill their role in basic education.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we can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that is it is not until objective and continuous reflection is made on the plan of initiative and the task is drawn accordingly and the alternative is prepared as well as the plan's faithful fulfillment that initiative for CORE is successfully operated and the vision of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in Daegu Haany University is realized. Therefore, while the authors outlined the direction and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t Daegu Haany University, and reflected objectively if the curr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ttained the vision and purpose of <Innovation Plan for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and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re initiative, They searched for a way to ensure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is stable in the university. I hope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t Daegu Haany University objectively and function as a clue preparing the task and the proposal for sustainable growth so that it can help the fulfillment of university's vision and goal of education, “Leading College of Inte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Fostering Healthy Talented People Respecting the Tradition and Lives”. 대구한의대학은 2016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이하,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에 선정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해당 모델의 기본개념을 충실히 따르기 위하여 1) 문(文)・사(史)・철(哲) 중심의 인문교과목 확충, 2) 2-重 DNeA BonD System 구축, 3) 인문교양교육 운영체계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3-重 Cube System’ 마련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을 교양교육 운영체계에 도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인문학이 당면해 온 문제들과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만으로는 “인문학이 대학전체 학생들의 기초교육에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인문소양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에 기여”한다는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목표는 물론, 대학이 당초에 구상한 인문교양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도모하기 어렵다. 이는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과 사업진행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 그리고 문제점의 도출 및 적시의 보완이 이루어질 때야 비로소 CORE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과 대구한의대학 인문교양교육의 비전 실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음을 환기한다. 따라서 논자들은 대구한의대학의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방향과 현황을 개괄하고, 현재의 운영 방향과 내용이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과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비전과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이 대학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논의가 대구한의대학 기초교양 교육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피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와 제안을 마련하는 실마리로 작용해 “전통가치에 기반을 둔 융합교양교육 선도대학”과 “전통과 생명을 존중하는 건강한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의 교양과목 수강 유형 및 영향 요인

        심우정(沈雨貞),백선희(白善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우리나라 4년제 일반대학 3∼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교양과목 수강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9차년도 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고 잠재유형과 학생 개인 및 대학의 환경 변수와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의 교양교육 수강 유형은 세 가지로, 교양과목 수강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과소 교양교육 유형’, 글쓰기, 영어의사소통교육을 기본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체육·예술학 관련 영역 과목 수강이 상대적으로 많은 ‘인문집중 교양교육 유형’, 글쓰기, 영어의사소통 교육에 더하여 수학 및 기초과학, 자연과학 영역의 과목을 상대적으로 많이 수강하는 ‘인문-자연 균형 교양교육 유형’으로 나타났다.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학교의 특성에 따라 교양교육 수강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성별, 전공계열별, 그리고 대학의 소재지, 규모, 설립유형에 따라 교양교육 수강 유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과소 교양교육 유형" 학생은 비수도권 소재, 중소규모, 사립대학에서 수도권 소재, 대규모, 국·공립대학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가용자원 규모가 학생의 교양교육 경험의 양과 질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의 대학 교양교육의 목적, 운영 실태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 개편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odels of general education in Korean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9th year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the models of general education emerged from latent class analysis were compared across individual and college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gender, academic disciplines, institutional type, size, and location. The research found three different models of general education: no or minimum general education,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focused general education, and liberal art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balanced general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odels of gener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genders and academic disciplin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dels of general education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nstitutions with more than 10,000 enrollment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private institutions are less likely to have students with "no or little general educ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general education reform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연구

        변순용,김민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4

        The 21st century clearly is the age of transition from the old to the new history of civilization,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And in the age, general education(or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value that is based in humanities.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se transitions, the major universities in Korea has redefined the phase of general education, improved curriculum, and developed convergence course. University of Education, however, stay put very basic steps for the its correspondence.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hree directions of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while we recognize that it need to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present. First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e executive office for charging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must be installed in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t should be established as principle that humanities should be the core of composition of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rdly, in order to improv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t needs to make an approach to convergence of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In conclusion, with above three directions, we wish to raise the discourse proper for improving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as to propose a scheme of a concrete curriculum. 21세기는 분명 정보통신사회로의 이행이라는 문명사적 전환을 이루고 있는 시대이다. 그리고 이 시대에 대학교육에 중요한 가치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인문학을 토대로 한 교양교육이다.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올바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한민국의 주요 대학들은 교양교육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면서 교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그에 적합한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대학은 아직 그 대응을 위한 기초적인 단계의 걸음마도 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대학 역시 현 시대에 적합한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면서, 본 논고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첫째, 교육대학의 교양과정의 개선을 위해서 교양 교육과정을 전담하는 기구를 교육대학 안에 설치해야 한다.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교육대학 내부에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둘째,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서는 인문학이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중핵이 되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이정표로 세워야 한다. 인간을 인간답게 살아가게 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한다면, 교육대학이 위의 대원칙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셋째,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 융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우리는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이 되고 있는 대학의 의사소통 구조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본다.본 논고에서 우리는 위와 같은 세 가지 방향성과 더불어 그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교육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담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