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설명 담화의 구조 분석

        류정선,권순복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structure of explanatory discourse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present basic data for structure-oriented discourse instruction. Methods: The frequency according to type was analyzed by dividing texts into a single structure and a complex structure. Then, the existence of a structural aspect according to the sub-topics was confirmed. Results: First, in the single structural text, collection accounted for 50% and causality 39.3%; comparative comparison and problem solving rarely appeared. Second, the complex structure showed 61% of collection+causality, 23% of causal+comparison/contrast, 9.5% of collection+comparison/contrast, 4.7% of comparison/contrast+problem solving, and the rest did not appear. Thir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by sub-topic was 21.8% in geography, 58.6% in history, and 19.5% in general society. In terms of form diversity, history ha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the forms were not diverse; collection and causal structures were shown mainly. However, the general society showed the most diverse forms despite the frequency being low. Conclusions: Both the frequency and form of explanatory stateme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cond semester. In addition, in both the single structure and the complex structure, the form containing the causal and the collection was the most frequent, while problem-solving was the rarest. The structure that frequently appeared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topic. Therefore, the explanatory discourse guidance reflecting these results may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explanatory discourse. 목적: 초등 3학년 사회 교과서의 설명 담화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구조 중심 담화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담화 유형에 따른 빈도를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하위 주제에 따라 나타나는 구조적 양상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단일 구조 텍스트는 빈도 측면에서 수집 구조가 50%, 인과 구조가 39.3%를 차지하였고, 비교 대조 구조와 문제 해결 구조는 드물게 출현하였다. 둘째, 복합 구조에서는 수집+인과가 합쳐진 구조가 61%, 인과+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23%, 수집+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9.5%, 비교/대조+문제 해결이 합쳐진 구조가 4.7%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는 출현하지 않았다. 셋째, 하위 주제별 설명 담화 출현 빈도는 지리 영역이 21.8%, 역사 영역은 58.6%, 일반 사회 영역은 19.5%로 일정하지 않게 나타났다. 형태의 다양성 측면에서 역사 영역은 설명 담화의 출현 빈도는 높았으나 출현 형태가 다양하지 않고 주로 수집과 인과 구조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사회 영역은 출현 빈도는 낮은 데 반해 형태는 세 하위 영역 중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설명 담화의 빈도와 형태 모두 2학기에 확연히 증가하였다. 또한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 모두에서 인과 구조와 수집 구조가 포함된 형태가 가장 빈번했으며 문제 해결 구조가 가장 드물게 출현하였다. 그리고 하위 주제에 따라 자주 출현하는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 설명 담화 지도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설명 담화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김종현 ( Jong Hyun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 글은 국어과 영역 간에 담화 개념을 통합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논거를 파악하기 위해 담화의 개념적 토대를 논증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개념으로서의 담화와 명칭으로서의 담화가 함께 쓰이다 보니 담화의 작용역이 넓어지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국어과 각 영역에 따라 담화가 뜻하는 바를 분절화 해서 이해해야 하는 부담이 생겨났다. 개념과 명칭, 이 둘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교육과정에서 담화 용어의 쓰임새에 관해 이해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기존에 알려진 담화의 다양한 정의들에 견주어 볼 때, 국어과에서 취하는 담화 용어는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으로 양단된다. 이에 대해 이 글에서 대안적 정의(담화는 언어적 선택에 의한 연결체이다)를 내세웠다. 대안적 정의는 충분하게 제약되어 완결된 정의는 아니다. 그렇지만 이 대안적 정의는 도구적 개념의 효과를 갖는다. 국어과에서 취급하는 담화 개념의 특성과 담화 유형 그리고 교과서 언어의 수준과 범위에 이르기까지 포섭력이 있으며 ``맥락``에 비견할 만큼의 체계 구성을 잠재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의식을 개념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별하게 주목한 키워드는 ``언어적 선택``이다. ``언어적 선택``이라 함은 언어 단위뿐 아니라 언어 행위를 함께 묶어주는 메타 개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언어가 사용되는 구체적 방식을 결정하는 데 있어 행위자는 언어적 선택을 한다. 여기에서 언어적 선택은 자발적으로 또는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두 가지 측면에 걸쳐 행위자의 선택을 통해 담화 행위를 표현하고 이해하며 담화 유형을 사용하는 일이 일어난다. 언어적 선택이 일어나는 언어적 구조체를 형식구조, 의미구조, 순서구조, 상호텍스트 등으로 구분했다. 이것은 교육과정을 상세화하면서 담화 개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토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언어적 맥락,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등과 대응하는 관계에 놓여 있음을 파악했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notion ``discourse`` is available with respect to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mong a variety of definitions of discourse, each definition is relevant in its own right, but none of them is complete for the Curriculum. In confrontation with the concept ecology within the sub-disciplines of the Korean Education, this paper launches an alternative definition(Discourse is a sequence by linguistic selection; which is a sequence connected by linguistic selection) and suggests that the alternative definition is indeed instrumental for keeping up with both micro- and macro- aspects of discourse phenomena.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notion ``discourse`` must be crossed with the context-driven approach of the 2007 Curriculum. In order to refine the connectivity of discourse, a general meta concept has been employed under the rubric of ``linguistic selection.`` The resources which live on linguistic selection have been called upon in terms of four kinds of sequence, i.e. form structure, content structure, sequence organization, and inter-texts. The linguistic selection by discourse participants is to showcas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discourse sequence connectivity. In this regard, discourse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 sequence connected by the patterns of linguistic selectio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

        박수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서사 담화 자료에서 서사 유형에 따라 담화 구조와 조사, 시제의 문법 항목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는 모어 화자처럼담화 유형과 정보 구조, 그리고 화자의 의도에 따라 과거형과 비과거형의 시제와 {가}, {는}의 조사를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기존의 문장 층위의 문법 교육에서 보다 확장된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한국어 학습자 또한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있도록 문법 교육 내용을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와 연관하여 제공해야한다. This study focuses on narrative discourses and discourse gramma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o consider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this study aims to compare native Korean speakers with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courses at two universities 2011-2012 and was analyzed how they construct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based on information structures and apply particles, tenses in personal narratives, personalized narratives and impersonal narratives. First, both groups mostly used foreground information in impersonal narrative and it means that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can be considered universal properties of impersonal narrative genre. But they showed differences in other genres. Second, they mostly used old informations and consequently this means that new informations, which was already mentioned or was inferred, are changed by old informations. Third, this article show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tended to use non-past tenses, ‘eun/neun(은/는)’ particles more frequently than Korean learners and it means that the native Koreans alternate between tenses and particles more often than Korean learners.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s the interlanguage discourse pattern of the Korean learners. In other words, the Korean learners could not change tenses and particles depending on their intentions and narrative types.

      • KCI등재

        日本語依賴談話の結節法

        沖裕子(오키히로코)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본고의 목적은 담화의 기술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본어 의뢰담화의 고찰을 통하여 담화를 구성하는 여러 레벨과 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해당공동체에서의 사회적 관습 형태인〔사태(事態)〕는 발신자(?信者)의 {장면의식(場面意識)}과는 다른 차원으로 존재한다. {장면의식}이라는 것은 발신자인 언어주체의 주관적인 인식 또는 심적 태도 본연의 모습으로써, 자신, 상대, 사용언어, 장면 등을 사회적 역사적으로 정의하는 인식이나 태도의 결정체이기도 하다. {의도(意圖)}는 이러한 장면의식을 구성하는 결정체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도}는 다른 한편으로는 사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결과이기도 하며, 또 다른 면에서는 앞으로 생겨날 담화전체를 정하는 기조계획 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도}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말을 할지 내용에 입각하여 ≪담화구조≫ 를 구축한다. ≪담화구조≫는 의미내용의 하나 하나를 의미적 단위체로 하는 요소의 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의미내용의 결정체인 ≪담화구조≫의 요소에 입각하여 그것을 언어기호로써 실현하는 //담화표현//의 레벨이 있다. 이처럼 〔사태(事態)〕, {장면의식;의도}, ≪담화구조≫, //표현//과 같이 각각 A부터 D까지로 설정한 네 가지의 레벨이 별개이면서 또 시간적으로 동시에 마디 마디가 연결되며 담화가 추진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동시결절(同時結節)모델은 사회언어문화능력 역시 언어사용과 관련이 있다고 한 하임즈의 사회언어학적 기술이 지향하는 방향을 따르면서 동태적(動態的) 언어관에 입각한 새로운 담화이론에 의해 고찰을 추가한 것이다.

      • KCI등재

        비대조 ‘은/는’의 실현 기제와 담화적 기능-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서정숙 ( Seo Jeong-su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정보구조적인 관점의 논의에서 비대조의 ‘은/는’은 선행 명사구가 문내 서술어의 언급 대상으로서 화제임을 표지하며 비대조 '은/는'의 선행 명사구는 대하여성, 한정성, 주어짐성이라는 담화적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정보구조적인 관점의 논의는 선행 명사구가 화제의 속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주격 표지 ‘이/가’나 무조사구로 실현되는 경우, 동일한 발화 구조에서 주격 표지 ‘이/가’와 화제 표지 ‘은/는’이 실현되어 상호 교체가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적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보구조적 관점의 논의가 안고 있는 설명적 한계를 담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비대조 ‘은/는’의 실현 기제와 담화적 기능을 살피고자 하였다. 비대조의 ‘은/는’은 통사 층위가 아닌 담화 층위와 관련을 맺는 문법 형태로 화제의 운용과 관련을 맺는다. 화제는 담화 이면의 추상적인 도식으로서 발화의 결속에 관여하며 비대조 ‘은/는’의 선행 명사구는 담화 화제의 중심축을 이룬다. 비대조 ‘은/는’명사구는 담화 화제의 중심축으로서 전제된 맥락을 필수 조건으로 하며 전제된 맥락에 의해 청자에게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화제로 담화가 시작되거나 담화 전개 과정에서 화제가 전환되어 이전 담화와 경계가 구분될 때 실현된다. 비대조의 ‘은/는’은 담화 표지로서 담화의 경계를 구분 짓고 새로운 담화의 영역이 설정됨을 표지하며 동일한 담화 영역 내에서 발화 간 응집을 이루는 결속 장치로 기능한다.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the Non-Constrast ‘eun/neun’ is regarded to signify that the preceding noun phrase is the subject of reference in the predicate within the sentence and the preceding noun phrase is considered to have attributes of discourse such as aboutness, limitedness, and givenness. However, when the preceding noun phrase has the attribute of topic but is realized as a nominative case marker ‘ei/ga’ or a postposition-free phrase, the discussion of information structure perspective has explanatory limitations in the case when the nominative case marker ‘ei/ga’ and topic marker ‘eun/neun’ are realized in the same speech structure and is not interchangeab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chanism of realization and discourse functions of Non-Contrast ‘eun/neun’ by approaching the explanatory limitations of the discussions o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from a discourse perspective. The Non-Contrast ‘eun/neun’ relates to the operation of topic in the form of grammar which relates to the discourse level, not to the syntactic level.. The topic is involved in the binding of speech as an abstract diagram behind discourses, and the preceding nominative phrase of Non-Contrast ‘eun/neun’ works as the central axis of discourse topic. The noun phrase with Non-Contrast ‘eun/neun’ essentially requires the premised context as the central axis of discourse topic, and this is realized when a discourse begins with a topic activated to the listener by the premised context, or when the topic is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discourse, separating the boundaries from the previous discourse. The Non-Contrast ‘eun/neun’ separates the boundaries of a discourse, marks the establishment of a new discourse area, and also functions as the binding mechanism for cohesion between speeches within the same discourse area.

      • KCI등재

        담화 분석 사례 연구—즉흥적 말하기에 드러난 거시구조 산출을 중심으로—

        서종훈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8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macrostructures that are exhibited during extemporaneous speech according to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of discourse. Macrostructures are major conceptual units that build semantic connections that increase the consistency of discourse. These structures can be visualized as a linear, hierarchical structures. The formation of such macrostructures are an essential factor in the composition of mean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formation of macrostructure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of dis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acrostructures wer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crostructures produced by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language performance in the discourse genre, but learners with a low level of language performance produced different quantities of macrostruc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macrostructur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semantic connections in extemporaneous speaking, also known as oral practice, not in conventional texts or text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the participant sample was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discourse genre was also limited such that it failed to produce differentiated results between participant groups. 본고는 학습자의 언어 수행 수준과 담화 갈래에 따라 즉흥적 말하기에 상정될 수 있는 거시구조의 양상을 논의하였다. 거시구조는 담화의 의미 연결 일관성에 기여하는 주요한 개념 단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담화에서 선형구조와 계층구조로 도식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거시구조의 형성은 화자의 담화 의미 구성과 의사소통 능력에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이런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고는 학습자의 언어 수행 수준과 담화 갈래에 따라서 이러한 거시구조의 형성이 차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언어 수행 수준에 따라서는 거시구조 산출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담화 갈래의 경우는 언어 수행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고, 반면에 언어 수행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는 거시구조 산출의 양적인 측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즉, 본고는 의미 연결의 토대를 형성하는 거시구조의 산출을 종래의 글말이나 글말 수행에서나 아닌 즉흥적 말하기, 이른바 입말 수행에서 다루었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일정 부분 유의미한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조사 대상 학습자가 일부 대학생 학습자들로 국한되었고, 담화 갈래 또한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한 한계를 남겼다.

      • KCI등재

        한국어 담화표지의 정보적 특성 연구

        안예림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DM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DMs are used to express discourse participantsf information structcontext of the discourse. The speaker uses D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discourse interpretation. The informational features of DMs are divided into “topic-related functions” and “focus-related functions.” The concepts of “topic” and “focus” used in the research of DMs are different from the terms used in the research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se terms are used in DM studies in a confusing mann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ormational features of DMs using “referential old/new information” and “relational given/new information.” First, “Issjanha(있잖아)” and “Wae(왜)” have the function of marking a topic, and they represent “referential new” but “relational given” information. The speaker intentionally indicates that the contents that were marked as “topic” using Issjanha(있잖아)” and “Wae(왜)” are already present in the listener’s consciousness. Second, “Kulssey(글쎄)” and “Ije(이제)” have the function of marking focus. They indicate that the contents are “relational new information” that the listener has just acquired the information. They are used in tandem with what the speaker wants to emphasize in the discourse. 이 글은 정보구조적 관점에서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을 분석한 것이다. 담화표지는 담화 내용에 대한 담화 참여자의 인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자는 담화표지를 사용함으로써 정보 해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담화표지의 정보적 성격은 화제 관련기능과 초점 관련 기능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담화표지 연구에서 화제와 초점의 개념은 정보구조 연구와 외연이 달라 개념상 혼란이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담화표지연구에서 사용된 용어를 정보구조적 관점에서 재정의하였다. 먼저 담화 구조를 표현하기위한 담화 화제와 담화 내용의 정보성을 표현하기 위한 문장 화제를 구분하였다. 화제 표지로 사용되는 담화표지 ‘있잖아’와 ‘왜’는 지시적 신정보이면서 관계적 구정보인 화제를나타낸다. 화자는 ‘있잖아’, ‘왜’와 결합하는 내용이 청자의 의식 속에서 이미 활성화된 정보임을 의도적으로 표현한다. 다음으로 초점 표지로 사용된 담화표지가 단순히 강조의 기능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후행 정보가 문장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관계적 신정보임을 표시하기 위한 것임을 분석하였다. 초점 표지로 사용되는 담화표지 ‘글쎄’와 ‘이제’는 담화에서새롭게 나타나는 많은 정보 중에서도 화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료하게 드러내기위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담화 표지에 대한 접근의 현황과 방향성

        이은희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6 No.-

        담화 표지는 담화 연구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한국어 교육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교육 현장에 수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표지가 실현되는 모습을 보면그 개념이 논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됨으로써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담화표지에 대한 일관성 있는 교육적 접근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담화 표지 연구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진 담화 표지 논의의 현황을 기능과 형태라는 두 방향에서 검토해 보았다. 기능 측면에서 보면 담화 표지에 대한 시각은 이를 담화의통일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기제로 보는 것과 담화의 구조를 나타내는 표지로 보는 것으로나뉘며, 이들은 각각 어떤 측면에서 통일성을 보는지 그리고 담화의 계층 구조 중 어디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세분된다. 담화 표지의 형태를 설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쟁점이 있지만, 담화표지의 형태를 보는 방식은 담화 표지의 기능과 관련된 일정한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담화 표지에 대한 접근 방식을 국어 교육의 경우와 비교해서 고찰한후, 교육적 접근 방식이 사회 일반의 인식과 어떤 차이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에서는 담화 표지를 기능상 화용적 통일성 표지로 보면서 음성 언어에서 실현되는 감탄사나 부사를 주요 형태로 보는 데 비해, 국어 교육에서는 이를 담화의 내용 구조 표지로 보면서음성 언어에 한정짓지 않고 구절 표현까지 확대해서 보고 있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담화표지에 대한 접근 방향을 기능과 형태라는 두 측면에서 모색해 보았는데, 담화 표지에 대한일관성 있는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능에 따라 담화 표지를 담화 통일성 표지와담화 구조 표지로 나눈 후 이를 다시 세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담화 표지의 형태는기능과 관련된 경향성을 지니기에 특정한 제약 조건을 가진 일부 형태에 제한하지 않고 넓은범주에서 보되, 기능별로 지니는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Discourse marker, a significant subject in discourse studies, has beenaccepted as an important issu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aspects of discourse markers employ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confused because the concept of discourse marker is understood in variousway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scourse markerstudies carried ou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t the future properdir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consistent educational approach to discoursemarkers. Chapter 2 discusses the existing discourse marker studies in Koreanlanguage education in both ways of function and form. In terms of function,views on discourse marker are divided into two sides: mechanism thatcontributes to form the coherence of discourse and marker that represents thestructure of discourse. Each of these is subdivided according to angles fromwhich coherence is considered and the points which are focused among thehierarchy structure of discourse. In regard to setting the form of discoursemarker,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form has consistent tendency dependingon discourse marker function, despite many debatable issues. Chapter 3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approach and generalsocial awareness, after comparing the approaching methods on the discoursemark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with those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s a mother tongu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foreigners, discourse marker is considered as pragmatic coherence markerconnected with listeners and speakers. On the other hand, discourse markeris regarded as the structure marker of discourse contents in Korean languageeducation as a mother tongue. Moreo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foreigners understands interjections and adverbs used in the spoken languageas the major form of discourse marker, while Korean language educationsuggests that discourse markers are not limited in the spoken language butexpanded to the phrase expressions. In two aspects of function and form, chapter 4 attempts to provide the properapproach to the discourse marker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take. To perform the consistent educational approach to discourse marker, it isnecessary that the discourse markers are divided into discourse coherencemarker and discourse structure marker on the basis of the functions discoursemarker contains. In addition, the forms of discourse marker are viewed in broadcategory free from the specific constraints, because the general forms ofdiscourse marker have function-related tendency, but also cover specific formal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unctions.

      • KCI등재후보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차봉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ed to discuss on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ies regarding their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n the writing of academic purposes in the foreign students is to prepare the communication tool by writing text. Therefore, we emphasized in this article that the knowledge on the text organization as well as the process to learn about the text organization skill should be included in writing courses as the learning practices. Moreover, we added that writing knowledge was not only for contents in the academic purpose text, but also for organization of academic purpose text, hence, writing discourse other than writing paragraph should be a category of education courses including writing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ext organization skills of academic purpose discussed in this article include the meaning as well as logical structure required for the organization of paragraphs other than sentences. Therefore, the process to use discourse marker was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to develop the organizing skill of academic purpose text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text structures provided for discussion were based on explanatory text and logical text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academic purpose text. Since the types of both text structures were shown to be relatively simple and typical, we suggested discourse marker,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types of logical text structure, to find out the text organization knowledge using this as the education method of writing knowledge. By this discourse marker education of text structure, we aimed to show the writing students to prepare the academic purpose text effectively and to perform the writing practices which were appropriate to the type and purpose of the text. 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대학생의 학문 목적 쓰기 텍스트 작성을 위한 교육 방법을 논의함에 중점을 두었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은 문어 텍스트를 통한 소통 도구 작성에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 내용에 텍스트 구조에 대한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며, 교육 활동으로서 텍스트 구성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쓰기 지식은 학문 목적 텍스트에 나타나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며, 쓰기 지식을 교육의 내용으로 포함하여 단락 이상 담화 쓰기가 쓰기 교육의 범주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본고에서 논의하는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은 문장 이상 단락 간 구조 구성에 필요한 의미 구조이자 논리 구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담화 표지 사용 과정이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논의를 위해 제시하는 텍스트 구조는 학문 목적 텍스트의 대표적 유형인 설명 텍스트와 논증 텍스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두 텍스트의 구조 유형이 비교적 단순하고 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텍스트의 논리 구조 유형별로 자주 사용되는 담화 표지를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여 텍스트 구조 구성 지식을 쓰기 지식으로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구조 담화표지 교육을 통해 쓰기 학습자는 결과적으로 학문 목적 텍스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텍스트 유형과 목적에 적합한 쓰기 수행을 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담화분석과 신약성경해석 언어학적

        김두석(Doosu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이 가지는 신약성경 본문 해석의 유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주전 5세기에 인도 언어학자 파니니(Panini)가 언어학의 기초를 놓은 뒤 현대에 이르기까지 언어학적 해석방식은 텍스트의 의미를 고찰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성경해석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성경해석에 비평적 방식이 도입된 이후 여러 방법론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기이한 현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학적 해석방식인 담화분석의 일반적 개념과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을 소개한 후, 로마서 14:1-15:6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해석자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인식에 의한 해석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언어가 표현하는 세계 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데이터와 의미론의 시스템 아래에서 담화를 해석한다. 둘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은 언어의 각 요소가 본문 안에서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적으로 창출하는 의미에 집중한다. 셋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문법의 사용과 기능, 구조와 문맥, 그리고 언어와 상황적 배경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결정한다. 따라서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언어학적 이론과 실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으며, 구조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제공함으로 전체 메시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측면에서 성경본문 해석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discourse analysi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Since the Indian linguist Panini laid the foundation of linguistics in the fifth century BC, linguistic approaches have been deemed a critical way to interpret texts. Regretfully, however, biblical scholar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method. Considering various modern criticisms have been applied in biblical studies, it is an odd phenomenon. This paper, therefore, provides a general definition of discourse analysis a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hen applies to Rom 14:1-15:6 as a test case. Through thi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inimizes the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by readers’ subjective and intuitive understandings but pays attention to the world that the given discourse depicts and provides its meaning based on semantic system and linguistic data. Seco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cerns corporate meaning that each linguistic component of discourse creates integrally with other elements. Thir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uggests meaning through multi-layered relations such as language in use, context, the function of grammar, and context of situation. To conclud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discourse analysis may contribute to the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at it reflects linguistic theory and practices, provides a concrete method for structural analysis, and suggest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through semanti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