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분석

        최성보,임지은,주현준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가정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형식적 다문화교육, 외국어 능력, 다문화 관련 미디어,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62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형식적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인식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다문화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외국어 능력은 다문화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다문화 관련 미디어는 다문화 인식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형식적 다문화 교육, 외국어 능력, 자기존중감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인식에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특히 형식적 다문화교육, 외국어 능력, 다문화 관련 미디어가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정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개선을 위해 형식적 다문화교육, 외국어 능력, 다문화 관련 미디어, 자아존중감의 효과적인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eign language ability, multicultural-media, and self-estee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628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 the Daegu metropolitan area.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by the AMOS 5.0 program.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it in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wareness by having a strong effect on self-esteem. Second, foreign language ability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by influencing self-esteem. Third, multicultural media had not only a large effect on multicutural awareness but also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fom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self-esteem. Forth, self-esteem had a large impa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especially since it in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wareness by having effects on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multicultural media. In conclusion,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better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effects from form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eign language ability, multicultural media and self-esteem as well as delibe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 KCI등재

        다문화연구학교에서와 일반학교에서의 초등학생 다문화인식 비교

        김종학,최보영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percep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s and those in general school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multicultural perception by gender within these two groups. For this purpose, 937 students (4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s and 4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eneral schools which have never been designated as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s)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from them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of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in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s were higher, and statistically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such as interest domain, adaptation domain, likability domain and closeness domain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multicultural perception within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s,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average in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and statistically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such as interest domain, adaptation domain, likability domain and closeness dom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multicultural perception within general schools, female students registered higher on average in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and statistically overall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ll of its sub-domains such as interest domain, adaptation domain, likability domain and closeness domain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following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연구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집단별 성별에 따른 다문화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연구학교와 다문화연구학교로 지정이 된 적이 없는 일반학교에서 937명(다문화연구학교 초등학생: 487명, 일반학교 초등학생 450명)을 임의 표집 하여 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연구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은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다문화연구학교 초등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인 관심도 영역, 적응도 영역, 호감도 영역, 친밀도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다문화연구학교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성차에서는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인 관심도 영역, 적응도 영역, 호감도 영역, 친밀도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성차에서도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다문화인식 전체와 하위영역인 관심도 영역, 적응도 영역, 호감도 영역, 친밀도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다문화연구학교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논의하였다.

      • 다문화 역량의 구성 요소 중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에 대한 소고

        박선미(Surunee Park),최정호(Jungho Choi),정이화(Yihwa J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1

        다문화 역량 중 '다문화 인식'은 개념적 정의가 모호하여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기초 연구인 Sue의 다문화 상담역량 모델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ue의 다문화 인식 모형은 지식, 기능, 인식으로 구성된다. Sue 모형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지식과 기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반면, 인식의 의미와 요소는 계속 변화되었다. 둘째 Sue의 모델은 인식과 지식 간 개념적 중복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Sue는 '자기 인식'과 '자기에 대한 지식'을 인식으로, '타자에 대한 인식'과 '타자에 대한 지식'을 지식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러나 지식과 인식은 자아와 타자로 구분되는 범주는 아니다. 셋째, Sue의 모델에서는 태도를 인식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그래서 인식과 태도는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경계가 모호해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조사 연구

        이수정,이철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경기, 인천, 경남 지역의 학교 관리자(교장, 교감, 행정관리자 등)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또,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의 차이,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과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관리자는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성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고, 다문화교육 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개인 변인 중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와 직책에 대해서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교육 인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항목은 직책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개인 변인은 성별, 직책,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교육 인식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vice-schoolmasters,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gido, Incheon, Kyungnam areas, and analyzed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os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school administrators have a open and affirmative understanding overall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school positions in each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school position was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 for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when it comes to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x, school position, and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s. Fourth,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the strong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다문화 여부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전남의 4-6학년 초등학생 341명(다문화: 165명, 일반: 17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흥미는 성별 주효과가 있었는데, 탐구형은 남학생이 높고, 예술형과 사회형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문화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로인식은 다문화와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다문화의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태도 및 진로인식 총점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성별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인식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이 높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을 보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진로인식의 경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직업세계 인식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전 영역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의 상관관계는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보다 뚜렷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이 진로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여부가 직업세계 인식과 진로태도, 진로인식 총점에 대해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진로인식에 영향력 있는 진로흥미는 사회형과 예술형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의 영향이 컸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관련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장온정,한혜림,박정윤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초등학교 교사의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 수용도, 문화적 역량,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의 하위변인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중도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해서는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은 보통수준으로 타문화와 자문화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갈등해결능력에는 부족한 면을 보였다. 이에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었지만 다문화에 대한 전문가로서는 부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변인 중 다문화가정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수용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변인이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 변인들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가족수용도'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that such perceptional factors as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cap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etc could affect children's adaptation to a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y finding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ingle-race and multiple-races, acceptance of diverse families and percep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seem to be the base of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f teachers, whose influence upon children is great, have no prejudice and accept diverse families with equality consciousness, they will provide help to children's development. Since teachers' unprejudiced minds and equality attitudes toward children can maintain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families―children's two major life spaces, it will probabl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s and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vent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oriented educational deviation phenomena,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have unprejudiced perception of all the children. Secondly, there is no such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 teachers in terms of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 Thirdly, among the determinant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the most influential, and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are following in order. Lastly, the most relational and influential determinant are the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 KCI등재

        전북지역 고등학생이 인식한 학교적응과 세계시민의식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임명희(Im, Myoung Hee)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학교적응은 다문화인식에 β=.811, 다문화수용성에 β=.289, 세계시민의식에는 β=.252로 유의미하였다(p<.001). 다문화인식과 세계시민의식은 β=.517(p<.001), 다문화수용성과 세계시민의식은 β=.127( p<.001)로 유의미하였다. 즉 학교적응에 따라 세계시민의식,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은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전북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은 다문화인식을 매개로 하여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은 세계시민의식에 직접효과 .252 (p<.01),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456(p<.001) 그리고 총효과 .708(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전북지역 고등학생이 인식한 학교적응력은 다문화인식뿐만 아니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전북지역 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력과 세계시민의식 제고에 있어서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이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적응력 향상,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은 세계시민의식에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청소년의 다양한 교육경험을 통해 세계시민의식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o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global citizenship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as β=.811 for multicultural awareness, β=.289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β=.252 for global citizenship (p<.001).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lobal citizenship were significant as β=.517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were significant as β=.127 (p<.001). In other words, according to school adaptation, global citizenship,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ffected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affected global citizenship through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lobal citizenship through multicultural receptivity as a medi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pathway, school adap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252 (p<.01),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456 (p<.001), and a total All effects of .708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 was found that the school adaptabil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affects not only multicultural awareness but also multicultural receptivity as a medium to affect global citizenship. This means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re acting as positive mechanisms in improving school adapt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tivitie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re important factors for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make extensive efforts on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with various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adolescence.

      • KCI등재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윤경희,장일식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의 다문화시대에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인식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신임경찰관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임경찰관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다문화 경험과 인식, 다문화 교육의 경험과 인식, 다문화 업무에 대한 관심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전체적인 인식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평균점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신임경찰관은 다문화에 대한 존중성(M=4.10) 요인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다문화 수용성(M=3.70), 다문화 개방성(M=3.50), 기타(M=3.40)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인식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요인별 평균점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신임경찰관들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M=4.10)요인과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M=4.10)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M=3.10점)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업무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관심도는 ‘귀하가 수행하는 직무가 다문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에서는 예가 87.14%(243명)로 아니오 12.9%(36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직무를 하고 싶은 의향이 있습니까?’는 예가 77.1%(215명)로 아니오 22.9%(64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인식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M=4.03)가 남자(M=3.86)보다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05). 다섯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과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해서 살펴보면, 36∼40세(M=3.71)가 다른 연령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p<0.01), 교육정도는 대학원 이상(M=3.66)이 고졸(M=2.91), 대학교 재학(M=3.12), 대학교 중퇴(M=3.05)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신임경찰관들에게 다문화 경험활동에 대한 제반적 기회를 넓혀주고 다각적인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신임경찰관들이 다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신임경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ur society recognizes the police officer's multicultural multicultural era accredited by accrediting the study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police officer's multicultural teaching seeks to present. These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imed at new police officers and 1 June 2015 until July 1 for multicultural awareness survey. Confidence of the police officers as a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awareness, Multicultural Affairs is divided into interest.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multiculturalism ', usually a degree'. When I saw the confidence compared to the number of factors average stars police officers respect for multiculturalism (M = 4.10) the average score of factors most highly, then multiculturalism as a water-soluble (M = 3.70), multicultural openness (M = 3.50), other (M = 3.40) appeared to be the order of the factors.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is the usual degree '. When I saw the confidence compared with average number of stars the factors the officers recognize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 = 4.10) an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s recognized for (M = 4.10) factors most highly recogniz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 = 3.10) is relatively low. Third, the multicultural business interests of police officers ' confidence about your job responsibilities and to carry out, directly or indirectly, do you think relevant? ' The example is 87.14% (243 persons) no higher than 12.9% (36 people), ' multicultural and would like to work? ' The example is 47.9% (215 persons) and no higher than the 22.9% (64 persons) appeared, Fourth, the new officers for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in General if you look at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gender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 other words, women (M = 4.03) men (M = 3.86) multicultural awareness showed higher (p < 0.05). Fif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the percepti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be aware of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 showed that. Looking for age, 36-40 years old (M = 3.71)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other age appeared higher (p < 0.01), graduate education degree or higher (M = 3.66) and aerosol (M = 2.91), University (M = 3.12), dropped out of the University (M = 3.05)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highly appeared (p < 0.01).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confidence of police officers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will be expanding the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the overall confidence for police officers abou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y to the enemy the opportunity to widen the multifaceted curriculum program will be followed. Finally, the newly appointed police officers in this comprehensive view of different cultures in so you can have confidenc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one with the police.

      • KCI등재

        미술과에서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박순덕(Soon Duk Park),김영순(Youngsoon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다문화 미술교육의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초동학교 6학년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1차에서 3차까지 실행하면서 학생 수업 소감문과 인터뷰, 협력교사 3명의 참여관찰, 본 연구자의 수업성찰 일지 동을 통해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현장에서는 처음 시도된 '작품에 대한 토론과 메타 감상 방법'은 학생들의 폭 넓은 사고와 다문화인식을 강화시키기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프로그램 검증을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ㆍ사후 실험 설계로 다문화인식을 측정하였다. 검사결과 다문화인식에 대한 전체적인 평균값이 프로그램 실행 전 49.00에서 실행 후 53.77로 향상되었고, 독립표본 t-test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p-value .007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었다. 그리고 수업실행 후 학생들을 인터뷰한 분석 결과도 개개인의 다양성 수용, 편견과 차별 감소, 타문화 존중 등 전반적인 다문화인식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문화인식향상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으며, 다문화 미술교육 자료가 부족 했던 학교 현장에서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방법의 일반화 자료로 활용되어 바람직한 다문화 미술교육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field applicable to the Art and Multi-Culture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 desirable, Multi-Culture Art educ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31 students in Siheung Elementary school, Gyeonggi-do.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 are as in the following. When executing an Ar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rom the first to third times, we recorded the students' changing process of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by having the class reviewing notes,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ree Assistant teachers, and theresearcher's self-reflection. Findings showed that Ar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do improve students'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During class, students' bias and stereotypes have changed, and their receptive capacity of diverse cultures has empowered based upon cultural relativity. Especially, the method so called 'discuss about an art work and meta appreciation', developed and applied to field at first, was proved that it is a really efficient way to enable students to extend their range of thinking and to improve multi-cultural empowerment.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종식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효능감에 대한 지각의 차이,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교사 223명이었으며,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가정 자녀 지도경험별 및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인식 전체, 개방성, 수용성 및 존중성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효능감 전체, 일반기능, 다문화가정 배려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과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및 다문화가정 배려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is, awareness of multicultures of middle school teachers, differences of their recognitions on efficacy, and impact to multicultural efficacy from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targeted to 223 middle school teachers in GyoungGi area, and conducted a survey on awareness and efficacy of multicultures. Specific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instructional experiences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rough numbers of educations about multicultures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round total of multicultural awareness, openness, acceptance and respectation. For the multicultural efficacy by numbers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round the total multicultural efficacy, general function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ubclassified 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middle school teachers, there were all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s. That is, the area of open, acceptance and respectation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rea of general function, instructional function,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in the analysis of impact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awaren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icacy in general functions, instructional functions,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subclassified in multicultural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