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관객의 눈물을 유도하는 영화의 편집양식

        김종국(Kim Jong-gu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눈물은 영화 흥행의 필수 요소이다. 한국영화의 요건으로 액션, 웃음, 사랑 등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지만, 언제부턴가 눈물이 영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눈물 없인 흥행도 없다는 공식이 일반화된 양상이다. 한국영화는 눈물을 유인하고, 눈물은 한국의 사회적 맥락에서 비롯된다. 한국영화의 특정 장르에 한정되던 눈물이 다양한 장르에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영화의 다양한 형식과 내용 가운데 관객의 눈물을 유인하는 감정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영화편집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화편집은 눈물을 유도하면서 관객의 감정과 커뮤니케이션한다. 또한 눈물의 감정커뮤니케이션은 당대의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떤 의미를 발생시킨다. 이 연구는 감정커뮤니케이션의 강력한 수단으로 눈물을 유발하는 편집의 양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덧붙여 눈물의 사회적 맥락을 조망한다. Tears are an essential element of filmic devices. Even though actions including comedies and melos were indispensable to Korean films, tear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It is generalized for formula that there is no box office hit without tears. Tears affecting audiences are continuing to be repeated throughout different genres, but before its were confined within a particular genre. Film editing is used to be actively adopted as a device of emotion communication inducing audience’s tears. It is inducing their tear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Meanwhile, tears as emotion communication raise the meaning, interacting with contemporary social contex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ses stylistic characteristics which film editing induces tears as a potent means of emotion communication and multi-layeredly examines social contexts of tears.

      • KCI등재

        인공눈물의 주성분 차이가 소프트렌즈 착용자의 눈물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신혜민,박미정,김소라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ce in main components of artificial tears on the tear film stability of soft contact lenses wearers. Methods: Ninety-four eyes, age groups between twenties and thirties, with no ophthalmic disease or surgical histor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ar volumes, those with normal and dry eyes were asked to wear soft contact lenses made of either etafilcon A or etafilcon A with PVP for 6 hours. After instilling artificial tears containing either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CMC) or polysorbate 80(PS80), the stability of tear film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non-invasive breakup time(NIBUT) and blinking rate. Results: When wearing etafilcon A lenses in normal eyes, the increment of NIBUT with artificial tears containing CMC was greater than that of those containing PS80, both in the cases of immediately after the instillation, and 5 minutes after instillation. On the other hand, the NIBUT increase in dry eyes with etafilcon A lenses with CMC was greater than with PS80, but NIBUT increase, both with CMC and with PS80, was the same after 5 minutues. When wearing etafilcon A with PVP lenses, the NIBUT increase with artificial tears in normal eyes was not correspondingly different with the main component of artificial tears. For dry ey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NIBUT was found in the case of CMC than in PS80, immediately after instillation with artificial tears. However, artificial tears containing PS80 showed the continuation in NIBUT increase after 5 minutes of instill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worn lenses, blinking rates in normal eyes after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tended to decrease after 2 minutes in the case of CMC, and in the case of PS80, their blinking rates tended to be slightly increased after instillation. On the other hand, the blinking rates of dry eyes returned to the level at pre-instillation after 2 minutes of instillation both in the cases of using CMC and PS80 instillation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wearers’ NIBUT and blinking rate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when wearing etafilcon A lens, which is due to the wearers’ tear volume and the inclusion of wetting agent when wearing etafilcon A len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consideration of wearers’ tear volume and composition of artificial tears would be helpful to reduce discomfort due to tear film instability, especially for the case of using artificial tears with soft contact lenses. 목적: 소프트렌즈 착용 시 사용하는 인공눈물의 주성분 차이가 착용자의 눈물막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과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20~30대의 94안을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나누고 etafilcon A 재질 및 PVP가 포함된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렌즈를 각각 6시간동안 착용시켰다.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CMC) 및 polysorbate 80(PS80)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인공눈물을 각각 점안한 후눈물막파괴시간과 순목횟수를 측정하여 눈물막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정상안이 etafilcon A 재질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인공눈물 사용에 따른 NIBUT의 증가는 점안 직후와 5분 후 모두 PS80보다 CMC의 사용 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성안이 etafilcon A 재질의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에는 점안 직후에는 NIBUT 증가가 PS80보다 CMC 사용 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5분 후에는 같게 나타났다. PVP가 포함된 etafilcon A 재질의 렌즈 착용 시 인공눈물 점안에 따른 정상안의 NIBUT 증가는 인공눈물의 주성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건성안의 경우는인공눈물의 점안 직후 PS80보다 CMC 사용 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NIBUT를 보였으나, 5분 후에는 PS80 사용 시 NIBUT 증가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눈물 점안 후 정상안의 순목횟수는 착용렌즈에 관계없이CMC의 경우는 2분 이후에는 점안 전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S80의 경우는 점안 전보다 약간 많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건성안의 순목횟수는 착용렌즈에 관계없이 CMC와 PS80의 점안 시 모두 2분 이후에는 점안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습윤제 포함 여부와 착용자의 눈물량에 따라 인공눈물 점안이 착용자의 NIBUT와 순목횟수에 다르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소프트렌즈 착용 시 인공눈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구성성분과 피검자의 눈물량을 충분히 고려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눈물막안정성 저하로 인한 불편감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착용초기 눈물막안정성에 인공눈물 성분 조성이 미치는 영향

        김소라,임정아,정지혜,변현영,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3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artificial tears with different ingredients on tear film stability and subjective symptoms of dry eyes in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t lenses wear was investigated. Methods: The three kinds of artificial tears and saline solution were respectively applied onto 50 dry eyes which wore soft contact lenses made of etafilcon A. Then, 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NIBUT) was measured at every five minutes for 30 minutes right after the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and the changes in blink rate and subjective symptoms were estimated after 30 minutes from the instillations. Results: All three kinds of artificial tears increased NIBUT larger than saline. The effect of increasing NIBUT immediately after the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was the largest when the artificial tear containing viscosity enhancer was used. The duration time of the effect was the longest when the artificial tear having both surfactant and viscosity enhancer was applied. The blink rat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hen both artificial tears and saline solution were instilled. Subject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instillation of both artificial tears and saline solution and dryness, irritation, tiredness, stiffness, dazzling were improved by the use of most solutions. However, the subjective symptoms were rebounded to the level before the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after 30 minute-instillation. Conclusions: It was revealed that both artificial tears and saline solution could improve the subjective symptoms of dry eye in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 lenses however, the effect of these solutions on the tear film st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ponents.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er selection of artificial tears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dry eye symptoms at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t lenses wear in dry eye. 목적: 성분 조성이 다른 인공눈물들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착용 초기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50안의 건성안에 성분 조성이 다른 3종의 인공눈물 용액 및 식염수를 각각 점안하고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NIBUT)를 인공눈물 점안한 직후부터 30분까지 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점안 30분후의 순목 횟수 및 자각증상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3종의인공눈물 모두 식염수보다 NIBUT를 더 크게 증가시켰다. 인공눈물 점안 직후의 NIBUT 증가 효과는 점성조절제가포함된 인공눈물에서 가장 컸으며, 효과지속 시간은 계면활성제와 점성조절제가 모두 포함된 인공눈물이 가장 길었다. 순목 횟수는 인공눈물 용액과 식염수 점안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자각적 증상은 인공눈물 및식염수 점안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대부분의 용액에 의해 건조감, 이물감, 피곤감, 뻑뻑함, 눈시림 증상의 향상이 나타났다. 점안 30분 후에는 인공눈물 점안전의 자각증상과 유사한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결론: 건성안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초기 자각 증상은 인공눈물과 식염수 모두 완화시켜주지만 눈물막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는 함유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콘택트렌즈 착용 건성안의 착용 초기안구건조증 개선을 위해서는 적절한 인공눈물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눈물소관 열상의 최소 봉합 눈물소관 복원술

        이중원,,김광수,김광현,강정훈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2

        눈물소관 열상의 복원에 있어서 최소 봉합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눈물소관 열상은 응급실 진료 중 흔히 볼 수 있는 수술적 요법이 필요한 외상성 질환으로 눈물소관 열상에 있어서 눈물소관 상피의 직접적인 미세 봉합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수술 방법이다. 그러나, 많은 수의 미세 봉합은 미세 조직의 손상을 야기하며, 술기 자체도 많은 숙련이 필요하며 시간도 많이 걸린다. 저자들은 지난 5년간 본원을 방문한 눈물소관 열상안에 대해 기존의 방법 대신 8-0 Vicryl로 시행한 최소 봉합 눈물소관 복원술 및 양눈물소관 실리콘관(bicanalicular silicone stent)삽입술로 눈물소관 주위 조직의 봉합을 시행해 왔다. 환자의 연령은 2-76세(평균 38.1세)이었고 30대 연령층이 가장 많았다(7명, 33.3%). 21예 모두 수상 후 24시간 이내에 최소 봉합 눈물소관 복원술 및 양눈물소관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 받았으며 눈물소관의 개방성을 유지하면서 유루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 술 후 약 3개월 후에 관을 제거하였다. 4-12개월(평균 7.2개월)의 경과관찰에서 20안(95.2%)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눈물소관 식염수 세척 검사 상 잘 통과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누공 형성 1예가 있었으나 관의 탈출, 창상감염, 누점확장 및 눈물소관 협착 등은 없었다. 최소 봉합 눈물소관 복원술 및 양눈물소관 실리콘관 삽입술은 기존의 수술법과 비슷한 성공률을 나타내고 특이한 합병증이 없어 우수한 수술법임을 알 수 있었다. We aim to examine the results of minimum suture on the restoration of canalicular laceration. Canalicular laceration is a traumatic disease which is often seen during practice in the emergency room and requires surgical treatment. Direct microsurgical reanastomosis of the canalicular epithelium for canalicular laceration is the existing surgical method commonly known. However, a large number of micro—sutures causes damage to minute tissues, and much education and time are needed to skilfully practice the treatment. We have operated suture of tissues around canalicular laceration by enforcing bicanalicular silicone stent insertion and minimum horizontal mattress suture with 8—0 Vicryl on cases of canalicular laceration instead of the existing method for the past 5 years.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2 to 76 years (average age was 38.1 years), mostly in their 30’s (7 patients. 33.3%). 21 cases received minimal stitch canalicular repair and bicanalicular silicone stent insertion within 24 hours after trauma. The silicone stent was removed 3 months after operation if the patient does not complain about epiphroa while keeping the canalicular open. 20 cases (95.2%) showed improvements during 4—12 months (7.2 months in average) of examination. They all passed the lacrimal syringing test. As for complications after operation, fistula ex. 1 was discovered, but there was not any prolapse of stent, infection, expansion of lacrimal punctum. or canalicular stricture.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is method since its success ratio was quite satisfying.

      • KCI등재

        정대세의 눈물 읽기: 블로그(Blog)를 통해 본 그 의미 해석

        박보현,한승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5 No.3

        This research defines how the South Korea society interprets the tears of Jung, Dae-Se, the representative soccer player of North Korea, before the game with Brazil and the clash between those interpretations. Also, it is trying to understand the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evidence of the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s od the tears of Jung, Dae-Se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The first was the tears of a Jainich. He lived a weary life without being part of South Korea, North Korea, or even the country he was born and grown, Japan. Second, it was the tears for his nation. This symbolizes the tragedy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made him to live as a Jainich. Third, it is the tears for the uncomfortable ideology. It is an expression from Jung, Dae-Se about his awkwardness towards the identity of North Korea. Lastly, there are some criticisms towards the perspective of viewing his tears politically. The diference between these intnerpretations depends on whether to view Jung, Dae-Se's identity as a form of patriotism or nationalism. Moreover, there is no consistency among the interpretations of the tears of Jung, Dae-Se. 본 연구는 2010년 남아공월드컵에서 북한대표로 출전한 정대세 선수가 브라질과의 경기직전 흘린 눈물의 의미를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해석의 지평들은 어떻게 충돌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Daum) 검색을 통해 블로그 1,200개에 올라온 정대세의 눈물과 관련된 글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블로그에 나타난 정대세의 눈물은 네 가지 범주로 해석되고 있었다. 첫 번째, 자이니치의 눈물이다. 이는 남한도, 북한도, 그렇다고 그가 태어나고 자라난 일본에도 적을 둘 수 없었던 자이니치(在日)의 고달픈 삶과 일본 사회 속 차별과 배제를 대변한다는 해석이다. 이 범주에 속한 블로거들은 자이니치 정체성을 갖고 있는 정대세가 북한 대표팀을 선택한 것을 재일 조선학교를 졸업한 그의 교육배경에서 찾고 있었는데, 그들에게 재일 조선학교는 자이니치의 민족 정체성을 재생산하는 기관으로 수용되고 있었다. 두 번째, 민족의 눈물이다. 이는 자이니치로 살아가게 만든 제국주의 식민지배와 남북 분단의 비극을 상징하는 한민족의 눈물로서 자이니치 디아스포라의 슬픔을 대변한다. 이들이 정대세의 눈물을 통해 읽어낸 민족은 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혈통에 기반 한 개념이다. 이들은 정대세의 눈물을 통해 한민족의 공동체성을 회복하기를 기원하고 있었다. 세 번째, 불편한 이데올로기의 눈물이다. 이는 정대세의 눈물이 북한정체성을 대변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정대세가 재일 조선학교를 다니면서 이념화 교육을 받았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그의 눈물에 감격하고 감동하는 한국 내 정서에 대해 비판한다. 네 번째, 순수한 감격의 눈물이다. 이들에게 정대세의 눈물은 월드컵에 참여한 감격에서 비롯된 것이며 축구선수로서 오랜 꿈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흘러나온 감격의 눈물일 뿐이다. 이는 정대세의 눈물을 스포츠의 영역 밖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을 경계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정대세의 정체성을 민족주의로 보느냐 아니면 국가주의로 보느냐에 따라 그 경계를 달리하고 있다.

      • KCI등재

        TV 드라마 <눈물의 여왕>(2024)에 나타난 정동적 눈물과 멜로드라마의 가능성

        NI SEN 한국극예술학회 2024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2

        2010년대 이후 한국 멜로드라마는 과잉적 감정 표출에서 벗어나,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포스트-눈물’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2024년 tvN에서 방영된 <눈물의 여왕>은 다시금 ‘눈물’의 호소력과 감화력을 환기시키며, 이질적이고 낯선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본 연구는 <눈물의 여왕>에서 나타난 ‘정동적 눈물’의 양상과 발생 메커니즘, 드라마적 어법을 통한 재현 방식, 그리고 시청자와의 정동적 관계를 검토한다. <눈물의 여왕>에서 해인의 눈물은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 극 중 인물들 간의 관계와 정동적 변화를 심도 있게 그려낸다. 해인은 다양한 삶의 위기 속에서 정동을 경험하며, 이러한 정동은 눈물을 통해 표상된다. 해인의 눈물은 신체적 변용과 중요한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동의 경향성을 나타내며, 애인과 가족 간의 ‘상호 돌봄’과 사랑의 ‘우연적 발견’ 등의 장치를 통해 정동적 연대를 형성한다. <눈물의 여왕>은 인물의 대사, 시각적 이미지의 배열, 배경음악 등을 통해 정동적 눈물을 재현하며, 그 자체로 윤리적이고 미적인 가치를 지닌다. 해인의 츤데레적인 언어행위, ‘지각/정동-영상’을 통한 신체적 반응의 가시화, O.S.T.를 통한 눈물의 자술과 내레이션 등의 기법은 정동적 눈물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작품의 감정적 실천은 시청자들을 정동의 장으로 끌어들여, 한국 멜로드라마에서 ‘눈물’의 미학과 가능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Since the 2010s, Korean melodramas have shifted away from excessive emotional displays, entering a ‘post-tears’ era that captivates viewers without overwhelming emotion. However, the 2024 tvN drama “Queen of Tears” revisits the appeal and impact of tears, establishing itself as a distinctive and unique work. This study examines the manifestations and mechanisms of ‘affective tears’ in “Queen of Tears”, the modes of representation through dramatic language, and the affective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In “Queen of Tears”, the tears of the character Hae-in go beyond simple emotional expression, deeply portraying the relationships and affective changes among the characters. Hae-in experiences various life crises, and these affects are represented through tears. Hae-in’s tears signify affective tendencies through physical transformations and interactions with significant others, forming affective solidarity through mechanisms like mutual care and serendipitous discovery. “Queen of Tears” employs character dialogue, visual imagery, and background music to represent affective tears, imbuing the work with ethical and aesthetic value. Techniques such as Hae-in’s tsundere-like speech acts, the visualization of physical responses through ‘perception/affect-images’, and the self-narration of tears through the OST effectively express affective tears. The emotional practices of the work draw viewers into an affective realm, shedding new light on the aesthetics and potential of ‘tears’ in Korean melodramas.

      • KCI등재

        각막 형상이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에 미치는 영향

        장예진,강현구,김수강,박상일 한국안광학회 2022 한국안광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neal shape on the tear film break-up time and location using corneal topography and NIBUT test. Methods: In fifty-four eyes without ocular disease, the corneal shape was classified into the round and bow tie types, and the initial tear film break-up time and location were measured. The tear film break-up time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radius of curvature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and the shape of the cornea was confirme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weakest meridian and the tear film break-up location was compared. Result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 was less than 0.05 mm, the initial tear film break-up time was 1.92 seconds shorter, and the tear film break-up location was near the center of the average 2.24 mm.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entral cornea,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ear film break-up site, and the cornea shape did not affect the tear film break-up time and location. The tear film break-up loc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weakest meridian of the cornea by 44.4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r film break-up location in the horizontal meridian was 55.56%.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central and peripheral cornea had an effect on the tear film break-up time and location. Additionally, the tear film break-up location was found to be in the direction of the weakest meridia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목적: 본 연구는 각막의 형상과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 시간(NIBUT, Non-invasive tear break up time) 검사를 통 하여 각막 형상이 최초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고보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20대 남 녀의 54안을 대상으로 각막지형도 검사기를 이용하여 각막형상을 원형(원, 타원)과 나비형(대칭, 비대칭)으로 분류 하였고 최초 눈물막 파괴 시간과 파괴 위치를 측정하였다. 중심부와 주변부 각막곡률반경 차이와 각막형상에 따른 최초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약주경선의 방향과 눈물막 파괴 위치의 상관관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중심부와 주변부 곡률반경의 차이가 0.05 mm 미만일 때 최초 눈물막 파괴 시간은 1.92초 짧았고, 눈물막 파괴 위치는 평균 2.24 mm 중심부에 가까운 곳에서 깨졌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부 각막곡률반경의 가파른 정도에 따른 눈물막 파괴 위치와 시간의 차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고, 눈 물막이 깨지는 지점의 각막의 만곡도가 눈물막이 깨지는 시간과 깨지는 위치로 비교했을 때 또한,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각막형상이 원형인 경우와 나비형인 경우의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와의 유의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눈물막 파괴 위치는 각막의 약주경선과 44.44% 깨지는 위치가 일치하였고 수평경선에서의 눈물막 파괴 위치가 55.56%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중심부와 주변부 각막곡률반경의 차이는 눈물막 파괴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막의 형태와 중심부 만곡도는 눈물막 파괴 시간과 위치와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눈물막 파괴 위치는 약주경선과 수평방향에서 더 많이 깨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건성안과 비건성안에 인공눈물과 습윤액 점안시시간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예린,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knowledge regarding the proper use of eye drops such as artificial tears and conditioning solution. In addition, study explored the short term effect of eye drops over time on tear film stability. Methods: Firstly, online survey was created to ask experience of eye drop use and knowledge regarding proper use. Secondly 2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 into dry eye group and normal eye group based on OSDI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urvey score (10 for dry eye group, 10 for normal eye group). 3 eye drops (artificial tears (AT), conditioning solution (CS) and saline solution (SS)) were applied to each participants. Tear film stability factors such as TMH and Non-invasive TBUT were measured at baseline, 1 min, 3 min and 5 min after instillation. Results: All 127 response of online survey collected, 66.7% (n=82) of respondents not sure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artificial tears and conditioning solution. 68.1% (n=47) of contact lens wearers have used artificial tears while wearing CL. Regarding the effect of eye drops over time on TM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 of eye drop (Baseline<1 min and 3 min, p<0.050).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5 min after(p=0.720) for TBUT measure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ypes of eye drop (SS<AT, CS p<0.050) and over time (baseline, 5 min after <1 min after p<0.050)Conclusion: As public awareness regarding proper use of eye drops, it is very important to deliver proper instruction to the public. Effect to TMH with eye drops may not last more than 5 min, so temporary improvement. For TBUT, effect of AT on TBUT was greater at 1 min than other eye drops for dry eye group. Instillation of saline solution may worse the tear film stability, in particular TBUT. 목적: 본 연구는 인공눈물과 습윤액에 대한 일반인의 올바른 사용법 인지 여부의 파악하고, 인공눈물 및 습윤액 사용 시 시간 경과에 따라 눈물막 안정성(눈물띠 높이와 눈물막 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첫 번째 실험은 온라인 설문조사로 안구점안액의 사용법에 대한 인지를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20명의 피실험자를 모집하여, OSDI 점수를 기준으로 건성안과 비건성안 그룹으로 나누고(건성안 그룹 10명, 비건성안 그룹 10명), 참가자에게 3개의 점안액(인공눈물(AT), 습윤액(CS), 식염수(SS)를 점안하도록 하였다. 점안 후 1분, 3분, 5분 단위로 눈물막 높이(TMH)와 눈물막 파괴 시간(TBUT)을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127명의 온라인 설문 응답자 중 66.6%(N=82)가 인공눈물과 습윤액의 차이에 대해서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 중 68.1%(N=47)는 렌즈 착용 중 인공눈물을 점안한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다. 점안 시 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띠 높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Baseline<1 min and 3 min, p<0.050). 하지만 점안전과 5분경과시의 눈물띠의 차이는 없었다(p=0.720). 눈물막 파괴시간은 점안액 종류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S<AT, CS p<0.050) 시 간경과에 따른 유의적 차이도 있었다(baseline, 5 min after < 1 min after, p<0.050). 결론: 많은 사람들이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였으며, 올바른 사용법의 전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눈물띠 높이는 점안액에 따른 변화는 5분 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일시적인 증상완화만을 의미할 수 있다. 눈물막 파괴시간은 인공눈물을 점안 시 1분경과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식염수 점안 시 눈물막이 가장 불안정하게 되었으며, 특히나 눈물막 파괴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 KCI등재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분포 비교

        김지혜,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tear volume and distribution by corneal eccentricity when fitted with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Methods: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in best alignment on a total of 77 subjects (136 ey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ithout any ocular disease or ocular surgery experience. The tear volume was analyzed b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ear stained with fluorescein in the center of RGP lens as well as at the mid-peripheral and peripheral areas, and the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s was analyzed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Results: Tear distributio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al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l eccentricities of e < 0.38 and 0.68 ≤ e, indicating the relatively even tear distribution compared with other corneal eccentricity. In the case of aspherical RGP lenses, the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areas was smaller than spherical RGP lens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 according to RGP lens design was observed in the corneal eccentricity of 0.48 < e < 0.68. In other words, more even tear distribution was shown when a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 with eccentricity of 0.48 ≤ e < 0.68 and 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 with eccentricity 0.68 ≤ e. Furthermore, tear volume in the mid-peripheral area increased with higher corneal eccentrici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RGP lens design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is necessary since tear volume and distribution by the regions of spherical and aspherical lenses are affected by corneal eccentricity.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20~30대 77명(136안)을 대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다. 피팅된 RGP렌즈의 중심부, 중간주변부 및 주변부의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량을 분석하였고 이심률별로 눈물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e < 0.38 범위와0.68 ≤ e 범위는 중심부부터 주변부까지의 눈물분포량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어 다른 이심률 각막보다 상대적으로고른 눈물분포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는 구면 렌즈에 비해 중심부와 주변부의 눈물분포량 차이가 적었으며, 이심률 범위 0.48 < e < 0.68 각막에서는 두 렌즈 디자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눈물분포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심률 범위 0.48 ≤ e < 0.68 범위의 각막은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0.68 ≤ e 범위에서는 구면 RGP렌즈 피팅 시 더 고른 분포를 보였다. 또한 이심률이 증가할수록 중간주변부 눈물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부분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는 각막 이심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각막 이심률에 따른 적절한 RGP렌즈 디자인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박세당 詩에 나타난 '눈물'의 의미

        최유미(Choi You mi)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69 No.-

        西溪 朴世堂(1629~1703)은 17 · 18세기의 사상가 · 정치가이면서 문학가이다. 이 시기의 조선사회는 양란의 영향으로 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 사상적으로도 동요되고 있었다. 그런 속에서 박세당은 부모형제와 두 아내, 두 아들을 잃는 참담한 경험을 하였고, 8년여의 관직생활에서 신념과 현실의 괴리로 괴로워했다. 그리고 冬至使 書狀官으로 燕行에 참여하여 명 · 청의 교체를 피부로 느꼈으며, 귀국한 다음해에는 모든 것을 등지고 석천동에 들어가 삼십여 년 동안 농경과 저술활동을 하며 보냈다. 개인적 사정은 물론 국내적 · 국제적 여건이 평온하지 못했던 박세당의 삶은 그의 시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는데, 특히 '눈물'이 많이 발견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계의 시에서 '눈물'이 등장하는 작품은 556제 중에서 90여 편 있다. 사용된 시어도 淚 · 涕 · 泣 · 血 · 潸 · 啼 · 嗚 · 嗷 · 哭 · 慟 등으로 다양하다. 작품 속에서 '눈물'들은 개인적 정서뿐만 아니라 교유했던 인물들과의 추억, 시국에 대한 근심 등을 담아서 함께 흐르고 있다. 이러한 눈물 흘리기는 결국 세계에 대한 자아(화자이자 작자인 박세당)의 대응방식으로, 박세당의 의지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박세당의 시 작품에서 '눈물'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으로 '눈물'이 나타나는 양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눈물은 외부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나오기도 하지만 감정이 격해진 상태에서도 분비된다. 본고에서 주목한 눈물은 외부의 자극에 의한 생리적 눈물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감정이 격해져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눈물이다. 박지원에 의하면, 울음은 인간이 느끼는 모든 감정인 七情에 의해서 분출된다. 즉 喜, 怒, 哀, 樂, 愛, 惡, 欲이 모두 눈물을 일으키는 감정요소인 것이다. 서계 박세당은 그의 시에서 무려 114회 이상의 눈물을 흘리며 七情을 충실히 담아내고 있다. 그의 시에 나타난 눈물들을 살펴보면, 시간이나 공간의 분리에서 야기된 슬픔을 노래한 시가 압도적으로 많다. 다음으로 주변인들의 고통 뒤에 숨겨진 부당한 현실에 대한 분노와 미움의 시, 조화로운 세계를 꿈꾸는 욕망의 시가 있으며 기쁨과 즐거움이 녹아들어 있는 시는 2편에 불과하다. 이렇듯 복잡다양한 감정들이 작품 속에서 눈물로 흘러내리는데, 이것은 서계의 체험이 혹독했던 것도 그 이유가 될 수 있지만, 시로써 道를 실현하려는 대신 꾸밈없는 情을 표현하고자 한 그의 작시 의도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기쁨과 즐거움의 눈물보다 슬픔, 분노, 미움, 욕망의 눈물이 많은 것은 서계가 현실세계를 조화롭지 못한 것으로 인식함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서계의 '눈물'은 사무친 감정의 체증을 해소하여 정화할 수 있게 하고, 울분에 차 있던 그를 가만히 있게 하며, 무갈등의 일상을 지향하는 의미를 지닌다. 좋은 사람들과 시간적 · 공간적 거리를 두지 않고 살 수 있는 곳, 정당한 요구가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곳, 그리고 자신과 세계가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는 곳에 대한 바람이 서계의 눈물에 녹아서 함께 흐른 것이다. 이렇듯 서계의 시는 눈물을 흘림으로써 외부로부터 받은 상처를 치유하며 서계가 오롯이 그로 살아갈 수 있게 해주었을 것이다. Seo-Gye Park Se-dang (1629~1703) is a thinker, politician and literary man of 17~18 centruy. Joseon society of the period had been shaken in terms of politically, economically, socially, as well as ideolog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two wars. In such a circumstance, Park Se-Dang had terrible experiences losing parents and brothers, two wives and two sons and had suffered from the gap between belief and reality during 8 years of the government office life. He felt the transition of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rough the skin while participating in Yeon-Haeng(燕行) as a Dong-Ji-Sa Seo-Jang-Gwan(冬至使 書狀官) and since next year of returning, he had lived apart from the world and entered to Seok-Chun-Dong and spent his time in farming and writing for 30 years. While Park Se-dang's life where personal circumstance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were never calm is directly projected in his poetry, the fact that especially 'tears' is found a lot seems to be related to this. In Seo-Gye's poetry, there are many more 90 pieces where 'tear's appeared among 556 works. Poetic words used are various such as Lu(淚) · Che(涕) · Eub(泣) · Hyeol(血) · San(潸) · Je(啼) · O(嗚) · O(嗷) · Gog(哭) · Tong(慟), etc. 'Tears' in the works flows together containing not only personal emotions but also memories of the people associated, the anxiet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etc. While shedding tears is ultimately the way of responding from self (Park Se-dang who is a speaker and also author) toward the world, it seems it has been derived from the will of Park Se-dang. Therefore, this paper was trying to find what the 'tears' means in Park Se-dang's poetry. The pattern in which 'tears' appears was investigated together as the process of tracking the meaning. While tears can come out by a variety of external stimuli, it also can be secreted even in the state when the emotion runs high. The tears noted in this paper is the tears flowing down naturally by the high emotion inside of human, not the physiological tears by external stimuli. According to Park Ji-won, crying is ejected by seven feelings(七情) that are all emotions that human can feel. So, all of Hui(喜), No(怒), Ae(哀), Lag(樂), Ae(愛), O(惡) and Yog(欲) are emotional factors causing tears. Se-Gye Park Se-dang is fully putting out seven feelings(七情) while shedding tears as many as more than 114 times in his poems. When looking at the tears appeared in his poetry, the poetry singing sadness resulting from the separation of time or space is overwhelmingly a lot. Then, there is the poem of the anger and hatred for the unjust reality hidden behind the suffering of people around and the poem of desire dreaming of a harmonious world but there are only 2 poems where the joy and pleasure are blended. While a variety of complex emotions are flowing as tears in the works, a harsh experience of Seo-Gye could be a reason of it, but his versification intention which tried to express unaffected Jeong(情) instead of realizing Do(道) with the poetry seems to have significant effects. Also, the reason that the tears of sadness, anger, hatred and desire were seen more than the tears of joy and pleasure seems to be coming from Seo-Gye's recognition of the world as not harmonized. Such tears of Seo-Gye has a meaning that allows relieving the congestion of the feelings deep inside, cleaning up it, having him still and directing the daily life with no conflict. The desire about where he can live with good people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where the fair demands are accepted reasonably and where he can live in harmony with the world is melted in Seo-Gye's tears and flows together. As such, it's believed that the poetry of Seo-Gye would heal the wounds received from the external by shedding tears and allow Seo-Gye to live his life on his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