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이 내포하는 세 가지 교육영역의 특징과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최근에 등장한 뇌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기존의 뇌와 교육을 연계하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흐름과 관련시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뇌교육이 새로운 교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뇌지식교육``, ``뇌체험교육`` 그리고 ``뇌기반교육``으로 명명한 기존의 세 가지 교육영역이 "뇌의 운영"을 목표로 하는 뇌교육 안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각 교육영역의 장단점과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뇌교육은 뇌 자체를 학습소재로 삼아 지식과 체험을 향상하고 이를 위해 뇌의 학습적 속성과 기제에 적합한 방식으로 교수-학습을 실시하는 새로운 교과로서 성립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앞으로 뇌교육은 교육의 주체이자 목적인 인간의 이해와 관련하여 모든 교과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brai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xisting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and lastly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brain education as a new academic subject. To do this, I organized the existing brain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into three fields ``brain-knowledge education,`` ``brain-experience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The goal of brain education is a "brain operating system" that presupposes all three fields.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brain education, I exam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field, and also the interrelationship of these three fiel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brain education can be a new educational subject that aims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e brain itself. It also make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compatible to human brain`s natural way of learning. As the goal, and indeed the core, of all educational practices is a deeper understanding of humanity, brain education has the potential to become the basis of all educational subjects in the very near future because it deepens our knowledge of how the brain is the essential agent in all learning.

      •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적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뇌과학적인 이해 즉, 청소년기의 뇌 특징, 뇌 구조 및 기능 차원, 신경전달물질 차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고,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적용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학교현장에 확산시키고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두뇌 발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두뇌 구조 및 기능의 문제, 신경전달물질의 과다 및 부족 등 근본 원인을 모색하여 그에 적절한 처방이나 인성교육 방안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정서·인지·신체 등 통합적인 관점에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습관 형성 및 내면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자기주도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올바른 습관 및 가치관 형성, 자기주도적인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 자아정체성 정립 및 도덕성 발달 등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외 많은 교육현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어 인성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뇌교육적 관점의 인성교육은 학습자들의 삶 속에서 근본적인 의식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몸과 마음, 정신이 일치된 인격 형성을 추구함으로써 전인(全人)교육을 실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personal education through brain science, focusing on features of adolescent brai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and dimensions of neurotransmitt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generalize and spread personal education by observing the cases adopt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personality education considering the traits of development stage of adolescent brains. Second, it is necessary to offer appropriate treatment or measures for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zing fundamental causes of the problems in excess or scarcity of neurotransmitter,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brain. Third, schools can conduct self-initiated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contribute to students` making good habits and their internalizing them, by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which as sumes integrative view of emotion, cognition and the body.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 new alternative as it has born fruit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field regarding humanistic education such as self-initiated emotion control, self-esteem, improving abili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ing identity, and moral development. This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not only brings about fundamental consciousness change in students` lives but also contribute to conducting whole-rounded education by pursuing character building for well rounded people.

      • KCI등재

        뇌 과학과 교육학 분야 간 융합연구를 통한 예비교사교육의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 개발

        양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future knowledge-based society. For developing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was conducted. It has been mentioned as the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for brain-based education. Accordingly, a total of six experts who three in each part were select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nducted delphi method and focus group interview three times for each method. And two external auditors who a professor in each part were selected and the validity of the final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as verified. The results suggested the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motivating strategy in the introduction step, cognitive strategy and experience strategy in the development step, and compensation strategy in the consolidation step that could be applied in every week of almost subjects.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and method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following studies of brain-based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was presented. And the comm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could be applied almost subj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presented. So it was expected that brai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of utility great value for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래 지식기반 사회에 대비한 효과적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고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뇌 과학 연구 결과에 기초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뇌 기반 교육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어 온 것을 극복하고자, 그 해결방안으로 언급되어왔던 뇌 과학 분야와 교육학 분야 간의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융합연구를 위해 뇌 과학 전문가 3인, 예비교사 교육 관련 교육학 전문가 3인을 선정하고, 델파이 조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또한 이후 융합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최종 검증 받고자 뇌 과학 분야 교수 1인, 교육학 분야 교수 1인에게 외부 감사를 받아 최종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매 차시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단계별 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는데, 도입단계에서의 동기화전략, 전개단계에서의 인지전략과 경험전략, 마무리단계에서의 보상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뇌 기반 교육 연구들이 고려해야 할 융합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또한 교사양성과정의 대부분 교과목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공통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클 것이라고 기대된다.

      • 뇌교육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 Kim So-young ),오미경 ( Oh Mi-kyo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6 뇌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에 소재한 H초등학교 6학년 78명이었다.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1회 40분간 10회 적용한 실험집단(26명:남13, 여13), 짝 뇌체조를 실시한 비교집단 (26명:남13,여13),아무런 처지도 하지 않은 통제집단(26명:남13, 여13)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사회적 관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태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하위요인(태도, 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러한 결과로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관심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관심의 향상을 위해서는 뇌체조 이외의 실천중심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들(가치관,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명상, 호흡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를 강조하는 사회적 관심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ss the limits of the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to devise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a developmental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ubjects were 78 students, the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to conduct this study. Firstly, an experimental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was applied to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utilizing Brain Education performed 10 times for 40minutes at a time. Secondly, a comparative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Pair Gymnastics was done. Thirdly, a controlled group(26 participant; M13/F13) that was handled anything. This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after conducting surveys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for the data analyses. As a result, all the act & attitude and social concer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 All Social Interest & Subfactor(attitude, a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as meaningfu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Brain Education had an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f a Social Concern. The experiment of only Pair Brain Gymnastics among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s gave the study some effect and the average improved, but there was fallen behind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lements(values, emotional regulation, an essential confidence, meditation, respiration) i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expected to advance in the Social Interest stressing ``the society along with others.

      • 뇌교육 학습방법의 도덕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김봉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우리나라에서 뇌와 교육을 연계한 연구는 2000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의료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뇌를 연구하기 진행했고, 결국 뇌과학의 전성시대가 되었다. 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한 뇌관련 주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교과교육학에서는 뇌와 연계한 구체적인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도덕교육과 관련해서는 `도덕적 뇌(the moral brain)`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처럼 뇌와 도덕성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뇌교육 학습방법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덕교육의 주요 내용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와 그 활용에 대한 기대를 탐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뇌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가치와 관련이 있으며, 뇌교육의 학습방법은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도덕적 정서 능력(도덕적 민감성 갖기, 공감 능력 기르기), 도덕적 판단 능력(도덕적 가치·덕목 이해하기, 올바른 의사결정하기, 행위 결과 도덕적으로 상상하기), 윤리적 성찰능력(심미적 감수성 기르기, 자연과 유대감 갖기, 반성과 마음 다스리기)` 등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뇌관련 관심 주제 및 뇌지식에 대한 인식

        박수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1

        최근 세계적으로 뇌기반 교육의 적용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학교현장을 변화시킬 만큼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뇌기반 교육의 적용을 위해서는 교육자들이 뇌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전제 하에 예비교사가 뇌지식 중 어떠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지를 살펴보고 뇌지식의 중요성 및 뇌지식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21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인지과정과 관련된 주제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뇌지식을 이해하는 것이 교육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습문제를 진단하고 대책을 마련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 뇌와 관련된 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 교실상황에의 적절성이 뇌지식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기반 교육의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가진다. 예비교사들이 뇌지식을 함양하는 것이 교육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교원양성과정에서 뇌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뇌기반 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에게 인지과정 및 학습과 관련된 뇌지식을 제공하고, 실제 교실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Even though there has been consistent emphasis on the issues of applying knowledge of the brain in education, not much change has been made in practical educational fields. Based on the premise that understanding brain knowledg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eachers to apply brain-based education 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interests in brain knowledge,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of brain-literacy and the 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521 pre-service teachers (269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252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process was the most interesting idea among pre-service teachers. Also, they responded that understanding the brain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ducational fields, especially in the diagnosis of problems in learning and arrangi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 relevance of brain-based education to actual class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applic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basis for the effective brain knowledge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efficacy of brain-based education, the knowledge of cognitive process including learning and memory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 system.

      • 뇌과학 교육을 위한 뇌교육 계발에 관한 소고 : OECD-CERI의 뇌과학 포럼과 뇌과학 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수(Kim Hyun-soo),조윤상(Cho Yoon-sang) 韓國精神科學學會 2011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4 No.-

        본 연구는 뇌과학과 교육문제를 다루었으며, 뇌과학 연구에서 교육정책과 그 실행에 대한 암시와 뇌 메커니즘과 유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청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노년기학습 등을 고수준포럼으로 제시한 New York · Granada · Tokyo 등에서의 OECD-CERI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구성내용은 뇌과학 연구프로젝트, 뇌과학 연구 상의 교육현장 연구과제, 뇌과학과 교육의 국제교육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지력의 육성과 다중지능, 뇌과학, 뇌발달과 학습력, 피문학 등을 밝혔다 The central theme of the study focus o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Brain mechanism and learning method in childhood, young age, adolescence and old age that were researched in Brain Science Forum in OECD-CERI in New York, Granada and Tokyo are proposed in this study. Contents: Brain Science Study Project, Usage practically Brain Science in Educational Site, Worldwide Conference of Brain Science, Mental Capacity Advancement, Brain Sci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Science connected with Dermatoglyphic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박수원,조은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social perceptions about the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By scraping through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big data about both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were collated,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requencies, similarities, centralities and topic modeling were applied to the data thereafter.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centrality, and 'effect', 'popularity', and 'story' revealed the highest centralities in brain education data. For the brain-based education data, 'learning', 'research', 'science', and 'progra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paradigm' and 'learning science'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to brain-based educatio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topics of brain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program of brain education', 'organization of brain education', and 'effects of brain education', whereas the topics of brain-based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research foundation of brain-based education', 'application targets of brain-based education', and 'goals of brain-based education'.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social perceptions between 'brain education' and 'brain-based education'. Discussions took place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을 사회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에 인터넷 상의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고, 검색된 단어들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유사도 분석, 중심성 분석,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뇌교육과 관련된 검색 자료에서는 ‘아이’가가장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 ‘인기’, ‘스토리’와 같은 단어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확인되었다. 뇌기반교육은 ‘학습’, ‘연구’, ‘과학’, ‘프로그램’과 같은 단어들이 높은 빈도를 보였고, ‘패러다임’, ‘학습과학’ 과 같은 단어들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뇌교육은 ‘뇌교육 프로그램’, ‘뇌교육 기관’, ‘뇌교육의 효과’가 인터넷 상의 자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주제들로 구분되었으며, 뇌기반교육은 ‘뇌기반교육의 연구기반’, ‘뇌기반교육의 적용 대상’, ‘뇌기반교육의 목표’로 주제를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에대한 사회의 인식이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교육과 뇌기반교육의 방향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른 낙관성 및 자기효능감 특성 연구

        김진이,윤선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뇌교육 수련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교육 수련 기간이 1년 이상인 대학생 33명을 실험집단으로, 뇌교육 수련 기간이 14주인 대학생 42명을 비교집단으로, 뇌교육 수련을 받지 않은 대학생 5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14주 동안 뇌교육 수련을 받은 비교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세 집단 간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1년 이상 뇌교육 수련을 받는 것은 대학생들의 취업으로 인한 심리적 부적응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희망을 나타내는 낙관성을 높여줌으로서 추후 낙관성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고, 대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hirty-three college students who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for more than one year at training center in 20 cities in South Korea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ty-two college students received Brain Education training two hours every week for 14 weeks at a college in Cheonan served as the comparative group. Fifty-five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Brain Education training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in Daejeo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Optimism was measured using a redesigned version of Scheier, Carver & Bridge`s LOT-R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self-efficacy test developed by Young-Min Lee, Ralf Schwarzer & Mattisa Jerusalem. PASW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ver. 18.0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Brain Education trai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mism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Brain Education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Brain Education training can contribute to optimism in college students. This optimism may help college students cope with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job stress and have a positive expect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관련성 고찰

        김연봉 ( Yeon Bong Kim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8 No.-

        본 논문의 목적은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탐색해보고, 이를 접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원리와 교육방법을 고찰하여 두 접근 방식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이론은 뇌의 기능과 작용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이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교육적 효과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궁극적인 교육 목표에서는 동일하였다. 그러나 뇌 기반 교육은 신경과학의 연구결과를 교육에 접목하려는 노력으로서 주로 뇌에 맞는 교육환경과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는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뇌교육은 뇌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접적인 요인이나 활동을 연구한다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뇌 기반 교육과 뇌교육의 학제 간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방법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e of brain-based education which tries to connect research results of neuroscience and learning and Brain Education which examines the primary factors or activities influencing on brain utilization and brain development. Also, this article tries to combine these two approaches to devise new method for educational field. For this purpose, principles, educational methods and research trends of brain-based education and Brain Education were reviewed. And in the aspect of interaction of cognition and behavior, emotion and learning, and emotion and behavior, we analyz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of principles and methods of those two approaches. In conclusion, if new theoretical base combining brain-based education and Brain Education be devised, it can be useful in educational field for students to promote whole personality and quality of life through integrate the cognition, emotion and body and soul harmoni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