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정현주(Hyun Joo Chung),윤지연(Ji Yeon Yun),이홍수(Hong Soo Lee),이상화(Sang Hwa Lee),심경원(Gyung Won Sh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해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정신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우울증의 올바른 이해와 적절한 치료 및 사회적 중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7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11개 종합병원 가정의학과 또는 재활의학과 노인병 클리닉에 내원한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302명을 대상으로 기 완성된 한국형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노인우울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중 분석이 가능하고 심한 인지기능의 장애가 없는 203명의 환자들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여러 변수들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1986년 Sheikh와 Yesavage가 개발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증이 있는 군과 우울증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chi-square 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각각의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 8.1/PC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203명중 우울증이 있는 노인은 120(59.1%)명으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고 이변량 분석상 우울증의 관련요인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영양 상태가 불량한 경우,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질병수가 3개 이상인 경우,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를 보인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는 경우였다. 다변량 분석 상 우울증의 관련요인으로 연령이 낮을 수록(p=0.001).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p=0.001),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경우(p=0.004)이었다. 결론 :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으로 연령, 사별유무, 사회적 지지도 등이 유의하였으나 연구의 제한점으로 인해 본 결과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Background : Elderly psychiatric problems, especially depression, are more prevalent nowadays because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We investigated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in order to under stand the disease more properly because it is essential for proper medical management and social interventions. Methods : 302 geriatric patients aging 60 or more who visited family medicine clinics, rehabilitation clinics and geriatrics clinics of 11 general hospitals nationwide from July to October, 1999 were enrolled. We used Korea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Tool to assess variables related to geriatric depression. Among them 203 patients who meet the analyzable data criteria and who had cognitive availability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patients were labeled into depression and non-depression groups according to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SGDS; by Sheikh and Yesavage, 1986) score. We compared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between two groups. For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s by SAS 8.1/PC were used. Results : 120 patients (59.1 %) of total 203 patients were labeled depression. According to bi-variate analysis.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were lower education level. widowed state, low social support, low physical activity. poor nutritional status, poor self-related health, suffering three or more diseases, low ADLs score and cognitive impairment.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younger age(p=0.001), widowed state (p=0.001) and low social support (p=0.00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 We concluded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were age. widowed state, and social support.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of other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 KCI등재

        노인 우울증에서 치료적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

        정현숙,임현우,조선진 한국노년학연구회 2013 한국 노년학연구 Vol.22 No.-

        우울증은 노년기에 가장 흔한 정신적 문제 중 하나이다. 노 인 우울증은 젊은 시절과 달리 신체질환이나 인지기능의 감소를 동 반하며, 치매로 오인 받기도 하며, 또 정신과 질환에 대한 편견이나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진단 및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한 실정이다. 또 노인 우울증은 자살과 더 밀접한 연관을 보이는데, 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해서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 료를 제공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노인 우울증은 간단한 선 별검사로 발견되지만, 선별검사 이후 효과적인 치료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이에 선별검사로 발견된 노인 우울증 환자가 효과적인 치료 를 받도록 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들이 시도되어 왔다. 그 중 사례 관리 중재가 포함된 협력의료 프로그램 실시는 증상의 호전 및 순 응도가 상승하는 등 치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효과 는 미국 등 서구 사회뿐만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 국가, 그리고 최 근 국내 연구에서도 보고되었다. 이러한 중재프로그램이 확대 보급 된다면 고령 사회의 문제 중 하나인 노인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관 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울증의 매개효과 -

        순덕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was started to analyzes the impact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examined how customized care services affe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on 1,750 elderly people who were service users at institutions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in seoul province. The data of 1,740 people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lif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life educat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Depress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roviding more life education services rather than directly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reduc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provide the most basic welfare services to solve food, clothing, and shel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re hour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ird, the type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in various ways.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programs to expand life education service hours and prevent or reduce depression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우울증,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파악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우울증과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성 및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 1,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완료한 1,740명의 자료를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하위요인 중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교육이 우울증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우울증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 신체건강교육과 정신건강교육의 생활교육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이기보다는 생활교육서비스를 많이 제공하면 우울증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복지서비스를 충실히 제공해야 한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용시간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통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생활교육서비스 시간을 확대하고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미숙 한국보건사회학회 201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bidity of chronic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and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of chronic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secondary analysis was done for 2,955 stratified probability sample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urban area using data of the 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orea Labor Institut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bout 70 percent of the subject elderly had at least one chronic dis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d trouble in daily activities and also about 43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risk-group of depressive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needs to be reconsidered even with their longer life expectancies. Given the strongest effect of chronic disease on the elderly's depressive symptoms, health care system integrat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was especially emphasized for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functions of social networks on the risk effects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ve symptoms were examined. The results supported the main effect hypothesis for the family network, especially having spouse and the satisfaction with children showed suppressing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social network, informal gathering and voluntary activities were found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chronic disease on elderly's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dical intervention integra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was suggested for the elderly with dysfunctions because of their chronic disease, while social intervention to promote social networks of elderly population using social education and welfare program was suggested for the elderly who are healthy or having disease but no problem in daily activities. 급속히 진행되는 인구고령화를 고려할 때 노인의 삶의 질과 국민건강의 차원에서 노인의 신체질환과 정신건강에 대한 전국 규모의 조사 및 규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도시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주요 만성질환의 유병 및 우울증세의 실태를 파악하고,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인구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개입 및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자료로서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 제1차 기본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층화확률표집에 의한 만 65세 이상 도시거주 노인 2,95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조사대상 노인의 약 70%에 해당하는 다수의 노인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만성질환 유병상태이며, 그 중 과반수가 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막대한 국민의료비 수요가 예측되는 한편,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 상태에 있어서도 대상 노인의 약 43%가 우울증 척도(CES-D)에 의해 위험집단인 것으로 나타나, 신체적 질병 뿐 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대해서도 국가적 관심이 요구되었다. 특히 노인의 우울증세에 미치는 관련 요인의 효과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에서 만성질환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요인인 것으로 규명됨으로써,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과 정신건강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의료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만성질환이 우울증세에 미치는 위험효과에 대한 사회관계망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관계는 만성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그 자체로 노인의 우울증세를 감소시키는 주효과가 있었으며, 사회단체활동 중에는 친목모임과 자원봉사활동이 만성질환으로 인한 우울증세를 완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일상생활이 불편한 정도의 만성질환 유병 노인은 신체질환과 우울증세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의료적 개입을 중심으로, 건강한 노인이나 일상생활에 불편이 없는 정도의 환자 노인에 대해서는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는 사회교육과 복지제도 활성화 등 사회적 개입이 유효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인구의 결혼관계와 우울증세

        이미숙(Mee Sook Lee)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우울증을 사회적 위험요인으로 간주하고, 노인의 결혼지위와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결혼관계가 우울증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결혼자원론, 결혼불화설 및 사회적 지원론에 기초하여 결혼지위 및 결혼만족도가 우울증세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가 노인의 건강문제와 성별에 의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 제2차 기본조사? 중 65세 이상 노인 4,040명에 대한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노인 다섯 명 중 한 명이 위험수준 이상의 우울 증세를 보임으로써 노인우울증 유병률 증가와 국민의료비 재정 압박이 예측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비혼에 비해 우울증세가 낮았으며, 결혼의 혜택이 남성 노인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혼인상태가 건강문제로 인한 우울증세를 완충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여성 노인의 경우 혼인상태가 건강문제로 인한 우울증세를 가중하는 구조였다. 넷째, 결혼만족도는 그 자체로 남녀 노인 모두에게 우울 증세를 억제하는 요인일 뿐 만 아니라, 건강문제로 인한 우울증세를 완충하며 그 정도가 여성노인에게서 더욱 뚜렷하였다. 다섯째, 동일한 결혼지위에서도 결혼만족도에 따라 우울증세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결혼관계의 구조와 질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개입 및 제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satisfaction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elderly popul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marital resource, marital discord and social support. Data of 4,040 subjects aged 65+ from the 200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analyzed and major findings were the followings: 1) One out of five elders showed depressive symptoms over the risk level with implications of increasing morbidity of elderly depression and the national medical demand. 2) Overall, elders with spouse showed low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an those without spouse, then the risk of non-married status was higher for men than women elderly. 3)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taking into account the strains of health problems. For elderly women, married status was found to intensify the depressive symptoms caused by health problems rather than buffering them.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issues of gender role socialization. 4)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lderly?s depressive symptoms and it buffered the effects of health problems on the depressive symptoms as well. This buffering effect was stronger for elderly women than men. 5) Varianc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married elders according to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problem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model integrating both structure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From these analysis results, strategies of social interven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of elderly population were suggested with the emphasis on the elderly risk group without spouse and the marital adjustment program for elders with spouse.

      • KCI등재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의 우울증상

        한준수(Jun-su Han),이현수(Hyeon-Soo Lee),이성근(Seong-Keun Lee),정인과(In-Kwa Jung)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7 노인정신의학 Vol.1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신체질환이 있는 65세이상의 노인환자에서 신체질환에 의한 신체적 기능 장애의 심각도가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50명의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중에서 MMSEK상에서 19점이하인 12명을 제외한 138명에게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건강특성 변인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를 평가한 후 우울검사들(MADRS, KGDS, GDS)을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65명의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중에서 MMSE-K상에서 19점이하인 4명을 제외한 61명에게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건강특성변인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를 평가한 후 DSM-Ⅳ 진단기준에 의거한 임상진단과 KGDS를 실시하였다. 결 과: 대상군에서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KGDS, GDS, MADRS에서 각각 50.0%, 36.2%, 35.5%였다.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가 심각한 집단은 상대적으로 장애가 적은 집단에 비하여 KGDS, GDS, MADRS에서 유의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심각도는 모든 우울검사들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검사들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들에서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의 정도가 모든 우울검사들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이었다. 추가로 시행된 연구에서 대상군의 19.7%가 주요우울장애, 18%가 기분부전장애를 나타냈으며, 주요우울장애와 기분부전장애로 진단된 환자군이 우울장애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FDRPT와 KGDS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신체질환을 가진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의 빈도는 일반적인 노년기의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의 빈도보다 높았으며, 신체질환에 의한 기능장애가 우울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체질환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상을 감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부가적으로, KGDS는 다른 우울검사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며, 우울증상 및 우울장애에 대한 높은 진단변별력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졌다. 그러므로 KGDS가 신체질환을 가지는 노인환자에서 우울증의 선별검사용으로 유용한 검사방법이라는 것과 미래에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s of the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old) with physical illness. Method:Complete medical and psychiatric evaluations were achieved on 138 patients, except the 12 patients, who were severely cognitively impaired (MMSE-K score;below 19), of the 150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old) with physical illness. Sociodemographic data and health characteristic data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th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evaluated. Depression scales (KGDS, GDS, MADRS) on 138 elderly patients were executed. In addition, based on the 61 patients of the 65 elderly patients (above 65 years old) with physical illness, except 4 patients who were severely cognitively impaired (MMSE-K score; below 19), sociodemographic data and health characteristic data were collected. The clinical diagnosis by DSM-IV diagnostic criteria and KGDS on 61 elderly patients were performed, and their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evaluated. Results:The frequency of depressive symptoms showed 50.0%, 36.2%, and 35.5%, respectively in KGDS, GDS, and MADRS. The patients with severe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compared with those with mild functional disability-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depression scales (KGDS, GDS, MADRS).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scales was highly positiv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was the strongest contributor to the depression scales. In the additional study, 19.7% of patients were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18% of them as dysthym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 dysthymic disorder) group-compared with nondepressive disorder group-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FDRPT and KGDS. Conclusion:The frequency of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 in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was higher, compared with those in general elderly people. Functional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illness most highly influenced on depressive symptoms. Thus, it is important to discriminate whether the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have depressive symptoms or not. In addition, we assumed that KGDS was not only highly correlated with other depression scales (GDS, MADRS), but also had the high diagnostic power of dis-crimination for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disorder. This study suggested that KGDS was available in screen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physical illness. It wa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the availability of KGDS in the future.

      •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증·무력감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김연옥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9 No.1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는 치매노인의 장애 영역 중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지기능의 쇠퇴는 언어와 시공간능력의 결손으로 이어져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인지기능 저하는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등 직접적인 삶에 영향을 끼치며, 노인들의 정서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커다란 결손을 초래하게 되고 신체적·심리적으로 건강과 전반적인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는 인간관계의 상실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가치상실을 초래하여 무력감에 빠지게 되고, 또한 노인의 우울은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달리 기억력을 동반한 인지기능의 장애로 심각한 치매와 연관된다. 또한 치매노인의 발생으로 인해 가족들은 일상적 균형상태가 깨어지고 정서적 혼란상태가 지속되어지다. 이러한 치매노인의 수발문제는 가족 갈등 위기까지 초래하여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노인의 우울증과 무력감을 동반한 치매는 현대사회에 들어서 수명의 연장과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고령화 시대의 사회적 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어 대체치료의 접근성과 교육적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치매노인에게 성취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활동참여를 유도하여 자신감을 증대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여 생의 마지막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기능저하 증상 완화를 위한 대체치료 방법 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치매노인을 위한 치료 중재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로 인한 우울증과 무력감을 동반한 치매예방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참여노인으로 하여금 인지기능 손상을 줄여주고 심리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 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관련성

        이혁주,이정석,김태,윤인영,Lee, Hyuk Joo,Lee, Jung Suk,Kim, Tae,Yoon, In-Young 대한수면의학회 2014 수면·정신생리 Vol.21 No.1

        목 적: 노인성 우울증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동반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장애가 인지기능 저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치매 등의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수면 및 기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282명의 65세 이상 노인으로 하였다.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 노인성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평가하였으며 GDS 점수에 따라 10점 미만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10점 이상 17점 미만을 경도 우울증군, 17점 이상을 중증도 우울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1회의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객관적인 수면지표를 얻었고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를 평가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CERAD-K 신경심리검사를 통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 성별, 내과적 질환 여부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연한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도 우울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15). 수면다원검사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통하여 얻어진 수면지표들 중 REM수면시간, 무호흡-저호흡 지수, 산소 탈포화 지수, PSQI 점수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든 p<0.05).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에서는 단어목록재인검사, 스트룹 색깔 및 단어검사, 벤톤 시각 기억 검사-A, 길 만들기 검사-B에서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든 p<0.05). 우울증군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무호흡증을 제외한 수면장애는 인지기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령화에 따른 수면장애 및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령, 교육 수준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장애의 높은 유병률과 잠재적으로 인지기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를 통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Objectives: Depressio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impairment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elderly.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have been found to show both poor cognitive performances and sleep disturbanc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elderly depression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decline in late-life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282 elderly people who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in a sleep laboratory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developed by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was appli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with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Results: The control group ($GDS{\leq}9$) when compared with mild ($10{\leq}GDS{\leq}16$) and severe ($17{\leq}GDS$) depression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i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TMT-B),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part A (BVRT-A), and Stroop color and word test (SCWT)(all tests p<0.05). The PSQI score, REM sleep duration, apnea-hypopnea index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hree groups (all indices, p<0.05).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age and GDS score were predictive for both TMT-B time (adjusted $R^2$=35.6%, p<0.001) and BVRT-A score (adjusted $R^2$=28.3%, p<0.001). SCWT score was predicted by educational level, age, apnea-hypopnea index (AHI) and GDS score (adjusted $R^2$=20.6%, p<0.001). Poor sleep quality and sleep structure alterations observed in depress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eterioration. Conclusion: Olde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showed mild sleep alterations and poor cognitive performances. However,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except sleep apnea) and cognitive difficulties in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It is possible that the impact of sleep disruptions on cognitive abilities was hindered by the confounding effect of age, educ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이현주(Lee, Hyun-Joo),강상경(Kahng, Sang-Kyoung),이준영(Lee, Jun-Young)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는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 뿐 아니라 근접요인으로써 건강행태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다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 도시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96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노인우울증 진단에는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의 절단점 10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우울증의 유병율(SGDS≥10)은 22.2%(남성 18.4%, 여성 23.3%)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노인우울증에 대한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동거가족 수가 적을수록, 의료보호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을 지속하고 있을수록, 신체활동이 불충분할수록 노인우울증의 유병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사회경제적 차이를 고려하여 노인우울증 개입을 위한 표적집단을 정해야 하고 더불어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행태 특히 흡연이나 운동에 대한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개입이 필요하다.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s socioeconomic and health-behavioral risk fa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diagnosis. Sample consists of 964 elders aged 65 and over, living in an urban community. Using the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study subjects were screened for geriatric depression to those who presented 10 points and over in SGDS. Descriptive statistics shows that about 22.2% elders are estimated to suffer from geriatric depression. Predi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diagnosis were examin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elders who live with family, who have medical insurance, who have higher education, who don't smoke, and who do more physical activities we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geriatric de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oeconomic position such as health insurance,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physical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geriatric depression,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on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may be effective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노인에서 골절에 대한 우울증의 영향: 후향적 코호트 연구

        이유미,김미영,윤종률,조정진,주영수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3

        Background: Fractures should be actively prevented in the elderly because recovery from the damage of fractures is slow and fractures can cause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in the elderl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depression is related to falls or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isk of fracture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tatus among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cohort data to examine 96,188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who were examined in 2007 and 2008.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racture incidenc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healthy controls, and the hazard ratio was calcula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correc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Kaplan-Meier method predicted the risk of fracture in two group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Results: In the depressed group, 23.2% (441 of 1,904) of the patients had a fracture during the 5-year follow-up period;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only 17.5% (16,470 of 94,284) had a fracture (P<0.001). In addition,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adjusted variables showed that the risk of fracture in the depressed group was 1.34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risk of fracture in women was 1.71 times higher than that in men, and the risk of fracture increased with age. Conclusion: The risk of fracture in the elderly who were depress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elderly who were not depressed. 연구배경: 노인들은 골절 손상으로부터 회복이 더뎌 신체적, 심리적 고통이 크므로 골절은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우울증과 낙상 또는 우울증과 골밀도의 관계에 대한연구들은 있었으나 우울증과 골절 위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골절 환자에서 우울증이 잘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그 반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 우울증여부에 따른 골절 발생의 위험도를 알아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2007년과 2008년에 각각 건강검진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들 중96,188명을 분석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징 및 골절 발생 차이를 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을보정한 Cox 비례 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위험비를 구하였다. 그리고카플란-마이어 방법으로 관찰 기관에 따른 두 군의 골절 위험을 예측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우울증이 있는 군에서 5년간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23.2%(1,904명 중 441명)에서 골절이 발생하였으며, 대조군은 17.5% (94,284명 중 16,470명)에서 골절이 발생하여, 우울증군에서 골절이 발생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또한 변수들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 우울증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1.34배 골절 발생 위험률이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여성에서는 남성보다 골절 위험률이 1.71배 높았고 연령이 많을수록 골절 위험률이 증가하였다. 결론: 우울증이 있는 노인에서 골절 발생 위험이 우울증이 없는 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