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재적 학습 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양미경(Yang, Mik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내재적 학습 동기에 대한 선행 연구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적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선행연구의 주요 동향을 요약하면, 첫째, 학습 동기의 유형 및 특성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 동기의 유형이 세분화되어 제시되었고, 일차원적 양극 분류를 넘어선 이차원적 네 가지 유형의 분류가 제안되었으며, 학습 동기가 안정적인 특성인지 혹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불안정한 특성인지 등에 대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둘째, 외적 보상이 내재적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내재적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다는 입장과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간의 방대한 선행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작 내재적 학습 동기의 본질적 특성과 의의가 충분히, 그리고 정당한 방식으로 규명되어 왔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그 주된 원인이 그간의 연구가 주로 학교 상황을 전제로 함으로써 학습을 수동적이고 억압적인 특성으로 간주했다는 점에 있음을 지적하고, ‘학교’의 맥락이 아닌 ‘교육’의 맥락으로 시각을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내재적 학습 동기는 ‘학습 대상의 내재 가치’에서 비롯되는 동기와 ‘학습 그 자체의 내재 가치’에서 비롯되는 동기로 대별될 수 있으며, 양자가 차별적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집단적 실험상황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방법론 위주의 연구가 지닌 한계에 주목하고, 사례연구를 통한 심층적, 맥락적 연구가 요청됨을 제안하였다. In spite of its prevalence and importanc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has been underestimated and misconceptualized. This study critiques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studi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the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reviewed around two general issues: 1)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otivation, 2)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The controversies on intrinsic-extrinsic dichotomy vs. continuum, bi-polarity vs. quadri-polarity, and trait vs. nontrait conceptualization are discussed. And the controversial issue that extrinsic rewards can undermin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examined. In spite of the vast number of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there seems no significant progress. This critical review reveal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have failed to find an endogenou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and they have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paradigm of positivism.. The main problems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most precedent studies learning process is portrayed as something imposed upon the learner, learners are considered receptive, and objective criteria are applied in evaluating learners' achievement. Such theories have no way to deal with an intrinsic tendency to learn, and thus they have located the reasons for learning in such things as rewards or social controls. In conventional studies the notion of education is identical with that of schooling, and the value of education is reduced into that of learning content. However the nature of schooling is definitely different with that of education which is an ongoing lifelong interactive practice. The value of learning content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as a means to provide the substance to realize the educational interest and enthusiasm, thus the value of learning itself should be discriminated with the value of learning content. Finally, the deficiency of explanatory power and inconsistencies in research results indicate the ineffectiveness of the positivistic paradigm. Several areas of research on intrinsic motivation worthy of investigation and solvable through a nonpositivistic approach can be identified.

      • KCI등재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의 종단매개효과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중학교 1학년 학생(4차)부터, 중2(5차, 2015년), 중3(6차, 2016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측정된 4,7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변인들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학습전략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와 학습전략이 매개하는 경로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전략, 자기효능감 초기값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조절동기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학업성취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변화율(정적 영향)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업성취 초기값의 관계,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학습전략 초기값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초기값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초기값, 변화율과 학습전략의 변화율의 관계에서 내재적조절동기 변화율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관계 궤적을 밝힘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ing GELS(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4, 5,374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iency, intrinsic modulator, learning strategy and potential growth analysis for academic achievement, all variable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over tim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path model of self-efficiency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with intrinsic regulator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efficacy staticall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internal motivation gave a negative effect. The most important that affecte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 was the rate of change in self-efficiency which had a positive effect.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initial value of self-efficacy, the rate of change of self-effic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ing strategy was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teaching methods by brightening the trajectory of self-efficiency,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음악학습에 있어서의 동기의 중요성과 관련요소에 대한 이해

        정진원 ( Jin Won Ch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음악학습, 특히 연주기량을 연마하기 위한 학습은 상당 기간의 교육과 연습이 필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음악학습을 지속하여 목적한바 연주기량을 얻기 까지는 학습동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의 발견들을 중심으로 음악학습의 지속과 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그 유형과 성격에 따라서 분석 하였다. 음악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들은 음악과 음악 경험에 대한 내재적 동기뿐 아니라. 부모, 교사, 동료와 같은 외재적 동기들 그리고 음악과 음악활동에 부여하는 학습자의 가치평가 및 학습자로서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 학습과정에서의 목적 지향적 태도 등 다양한 동기들이 관여한다. 학습의 발전단계와 연령에 따른 동기 요소 및 그 특성의 이해는 의미 있는 음악교육에서 필수적인 요인이다. Identifying oneself as a musician requires a commitment to music which in turn demands that engagement with music is enjoyable and active. Family, in the first instance, and later teachers, are key in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musical activities are enjoyable and set at the appropriate level to be both challenging and successful. Positive feedback i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particularly early one`s failure occurs it should be attributed to specific circumstances rather than to lack of ability. As students progress, their intrinsic motivation will be enhanced if they have control over the repertoire that they learn and the musical group. Where activities have social dimension motivation is likely to be further enhanced. While it might be tempting to offer external rewards for practicing or other musical activities, in the long therm if motivation is not generated from within the individual, the activities are unlikely to be sustained.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학습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부여의 직무몰입과 업무성과에 대한 영향관계 연구

        김정식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에서 강조하는 조직내 무형자원의 중요성과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시 하고 있는 내재적 동기부여의 필요성의 관점에서, 조직내 구성원들의 학습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부 여가 직무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 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서 수집된 335명의 데이터를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부여는 직무몰입에 대해서 유의한 영 향관계가 있었으며, 순차적으로 직무몰입은 업무성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었다. 학습지향성 은 업무성과에 대해서 직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직무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었다. 한편, 내재적 동기부여는 업무성과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모두 직무몰 입에 대해서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서 역할을 하지만, 업무성과에 대해서는 학습지향성만이 유의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직무몰입이 학습지향성이 업무성과로 연계되는데 있어서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혀냈다. In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resources within an organization emphasized by the resource-based theory and the necessity of intrinsic motivation suggested by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on job involvement and task performance.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and a research hypothesi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data of 335 peopl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study, and th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involvement, and sequentially job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ask performance. Learning orientation not only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task performance, but also indirectl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job involvement as a mediat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ask performanc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both learning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ct as important antecedent factors for job involvem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only learning orientation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for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ob involvement i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linking learning orientation to task performance.

      • KCI등재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중학새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신태섭(Tae Seob Shin),박용한(Yong Han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0년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경험, 지각된 교사지원, 내재적 학습동기, 학업성취 간의 모든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며, 학생의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후 이것이 다시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동학습경험은 내재적 동기를 직접 매개함으로써 학업서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협동학습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약하지만 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햇는 학생들의 교사를 지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학생들의 내재적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how its effects were mediated by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the KDEI "Analysis i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Middle Schools" 2010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perceived teacher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achievement was negative while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positiv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support and students1 intrinsic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we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내재적 읽기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국어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

        문병상(文炳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중학생들의 내재적 읽기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국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중학생들의 내재적 읽기동기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이 국어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IS)의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생들의 읽기동기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어 학업 성취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내재적 읽기동기의 초기값은 자기조절학습전략 초기값과 국어 학업성취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내재적 읽기동기의 변화율은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내재적 읽기동기 변화율이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에 미치는 효과가 내재적 읽기동기 초기값이 자기조절학습전략 초기값에 미치는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초기값은 국어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전략 변화율은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내재적 읽기동기 초기값이 자기조절학습전략 초기값을 매개로 국어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korean academic achievement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1(2005)-T3(2007)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ere increased during the three year period, but, korean academic achievement was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same period. Second, the effect of intrinsic reading motivation"s initial status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initial status, and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initial statu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e effect of intrinsic reading motivation"s growth rate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growth rat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initial status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initial statu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growth rate status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growth rat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intrinsic reading motivation"s initial status o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initial status vi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s initial statu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 KCI등재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혜경,정은경 한국코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6 No.2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학습자중심교수, 내·외재적 조절동기 및 학습전략의 종단적 구조관계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외재적 조절동기가 학습전략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LS: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4차∼6차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변화에 따른 학습자중심교수, 내재적 조절동기, 학습전략의 모든 변인은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외재적 조절동기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잠재성장분석결과, 중학생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전략은 점차 높아지지만, 이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은 시간에 따른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셋째, 다변량잠재분석결과, 학습전략 초기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초기값이고,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 외재적 조절동기 초기값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전략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이었으며, 학습자중심교수 초기값과 함께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학습자중심교수에서 학습전략에 이르는 경로에서 내재적 조절동기 변화율과 초기값이 가장 강력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학습자중심교수와 내․외재적 동기의 차별적 영향을 확인하여 학습자중심교수의 실천적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arner-centered teaching,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affect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s middle school students grow. In 2014,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third years, 4,710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insic motiv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t was found that learning strategies gradually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but other variables then showed a decreasing trend over tim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learning strategy was the initial valu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rate in learning strategies was the change rate in intrinsic motivation. Fourth, the inherent dynamic change rate and the initial value on the path from learner-centered teaching to a learning strategy were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mediating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o enhanc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사우디아라비아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정연희(Jung, Y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국내의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들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A대학 사우디 학습자 27명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의 양상을 조사한 결과 부과된 조절, 외적 조절, 통합된 조절, 확인된 조절, 내적 조절, 무동기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 중에서도 자기 결정성이 낮은 외적 조절과 부과된 조절 유형의 평균이 다른 동기 유형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우디 학습자들이 내재적 동기보다는 외재적 동기에 의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결정성이 높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 사우디 학습자들과 같이 대부분 대학 입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 학습자들과 비교해 볼 때, 중국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외재적 동기 유형 중에서도 자기 결정성이 높은 통합된 조절과 확인된 조절 유형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 사우디 학습자들의 자기결정성 증진의 필요성을 반증하고 있다. 외적 조절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학습자들이 모두 사우디 정부 장학금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난 부과된 조절은 아랍문화권에서 체면과 명예를 중요시하는 문화적 배경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부과된 조절이 사우디 학습자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이들의 한국어 학습이 심리적으로 이중성을 가지고 있어서, 확인/통합된 조절과 내적 조절로 전환 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따라서 사우디 학생들의 교수-학습에 이 부과된 조절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이들의 한국어 학습이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부과된 조절 유형의 특성에 주목하여 아랍문화권에 나타난 특성인 체면을 중시하고 집단의 명예를 중요시하는 문화적 배경을 수업 현장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Saudi Arabian students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The study conducted surveys on 27 Saudi Arabian students at a Korean language center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heir motivation. 97 Chinese students as a control group also responded to the same survey.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23 and some meaningful results are derived;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prevail for Saudi Arabian students, which means thei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learning is not strong. Second, the scholarship can affect to their high external regulation figure and highest level of introjected regulation seems to be associated with Arabic culture values ones face and family’s honor. Third,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having the same object of Korean language study-matriculation as Saudi Arabian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Saudi Arabian students have lower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s that they need to notice an introjected regulation to promote Saudi Arabian students’ self-determinational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목표 지원이 내재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심화영 ( Hwa Yong Shim ),송해덕 ( Hae Deok S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촉진시키는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이 학업성취도와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이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35명)과 통제집단(35명)에 참가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과제메시지와 학습자 중심의 과제선택권이 제공되었고, 통제집단은 이러한 전략이 제공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지향적인 목표를 증진시키기 위한 동기전략들이 제공된 집단의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학업성취도 및 내재적 동기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지원전략의 제공이 학업성취도와 내재적 동기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렇지만 학습지향적인 목표와 학업성취도간,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viding goal-oriented contex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Both students who received the goal-oriented context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goal-oriented context participated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study Powerpoint. The goal-oriented context was created by incorporating two contextual factors (task instruction messages, distribution of authority) to increase a learn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Task instruction messag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task challenge and were presented both before and after of the each learning unit. Distribution of authority were possible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learning topics and learning paths in the study material.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goal-oriented context group ear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achievement t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es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mplies that stimulating learning goal orientation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Results also showed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Future studies should find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upporting goal orientation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cle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