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 수업 활용 방안 연구

        최정순 ( Choe-jeong 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의 한 방편으로서 교육방법론적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한국어과 전공생들은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과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교육과정 특성상 3, 4학년이 되면 내용학 교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중국 한국어과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한 본 연구는 내용학 교과목을 한국어 교육으로 포괄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한국어학 전공생들이 한국 관련 전문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동시에 한국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언어 교수 방법론 중 하나인 ‘내용 중심 수업(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내용 중심 수업의 개념과 주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정한 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그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학습을 도모하는 내용 중심 수업 방식은 내용과 언어의 통합 정도에 따라 크게 네 가지 모형으로 분류된다. 몰입 수업 모형, 내용 보호 수업 모형,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 주제 중심 수업 모형이 그것인데, 3장에서는 이들 모형 각각의 특징과 중국의 한국어과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수업을 중국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년별, 교과목별로 모색하였다. 1, 2학년 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고, 3, 4학년 때는 내용학 수업 시간에 내용 보호 수업 모형과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학 교과목 중 한국 관련 전반적인 배경 지식을 쌓는 과목에는 내용 보호 수업 모형을,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보다 전문적 지식을 가르치는 과목에는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내용 중심 수업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 한국어학과의 내용학 교과목에 초점을 맞추고, 내용 중심 수업이라는 언어 교육의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regarding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curricular improvem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in China.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cannot but have limited time and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learn Korean in China and are required to take the subjects of contents when they are juniors and seniors, as needed by the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indicate the need to include the subjects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which is a type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ith more chances to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 as well as to be exposed to Korean. To do thi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major principles of CBI. The method of CBI to help learn a target language while giving instruction based on a specific subject or topic can largely be presented in four models: Immersion Model, Sheltered Instruction Model, Adjunct Model, and Theme-Based Model. Chapter 3 tried to find out how to apply CBI to the curriculum for each year and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nd the situation of the department in China.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Theme-Based Model during Korean class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and Adjunct Models during contents classes for juniors and seniors. Of the subjects of contents,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for the subjects to accumulat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Adjunct Model for the subjects to get expertise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lthough this study failed to present a specific way of implementing CBI,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subjects of cont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which had not been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that the approach was made to the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CBI.

      • KCI등재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유학생 교양교육 연구

        심지영(Jiyoung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내용중심 언어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유학생 교양수업의 전체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 공유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모색된 것이다. 방법 유학생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 그리고 내용중심 언어교육의 필요성 확인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이어서 서울 소재 4년제 A대학에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병존모델을 적용하여 ‘한국현대사의 이해’ 과목을 운영한 사례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학생 교육에 유효한 수업구성과 스캐폴딩 방식을 추출하였다. 결과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유학생 교양수업 모델을 마련하였다. 특히 그 중 병존수업 방식이 초기 단계 유학생들을 위한 대안적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관련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유학생 대상의 교양교육은 내용교육과 함께 한국어 능력과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병존수업 방식은 본격적인 전공 수업에 진입하기 전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 방식으로 적합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whole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ntent- based language instruc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furthermore, to present and sh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rough actual cases. This was sought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Method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Subsequentl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 of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which has been appling the adjunct model for years, and based on this, we extracted the effective class composition and scaffoldings for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Resul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a foreign student liberal arts class model that applied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step by step.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rough related cases that the adjunct model can be an alternative class form for early-stage international students. Conclusions Libe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ies and complete their studies along with content education.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model that applies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djunct model is suitable as a customized teaching method for international students before entering a full-fledged major class.

      • KCI등재

        CBI 병존 언어 교수 모형에 기반한 한국 문화 수업 설계: 한국어 단기 몰입 과정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소영,민유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 학습을 목표로 하는 한국어 단기 몰입 과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CBI(Content-Based Instruction, 내용 중심 교수법)를 기반으로 한 문화 수업 설계 방안과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문화 학습의 목표, 문화 수업 모형, CBI의 특징과 이론적 근거 및 관련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Grabe&Stroller(1997)의 내용 중심 수업을 위한 커리큘럼 지침(6T)의 절차를 따르고 위탁 교육 기관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를 통해 중심 주제를 선정하였다. 결과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CBI의 병존 언어 교수 모형을 기반으로 한 최종 수업 모형을 도출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수업 설계를 위해서 ITB 모형을 적용하고 전략을 제시하였다. Into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스키마 형성을 지원하는 어휘 퀴즈 및 도입활동을 설계하였고 Through 단계는 두 단계로 나누어 언어 교수자에 의한 읽기, 듣기 활동과 내용 교수자에 의한 특강으로 구성하였다. Beyond 단계에서는 특강과 관련 있는 체험 활동과 학습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언어 수업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한국의 식문화와 식탁의 변화’를 주제로 한 수업 예시 자료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문화 수업이 단편적인 지식 전달이나 체험에서 끝나지 않고 문화의 3P 모형에서 제시된 ‘관점, 산물, 실행’을 유기적인 구조에서 교수할 수 있도록 문화 수업 설계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내용 교수자와 언어 교수자의 긴밀한협력을 기반으로 수업 활동 및 자료를 구성하고 진행함에 따라 내용의 전문성과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 향상이 동시에 고려되며,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학습자들이 배운 것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문화 수업 설계와 차별화된다.

      • KCI등재

        한 초등교사가 실천한 경제수업 사례연구 : 합리적 선택을 중심으로

        송하인(Song, Ha In),최고은(Choi, Go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사회과 경제수업을 구성하면서 가지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가는지에 대한 미시적 탐구이다. 이를 위해 한 교사가 경제수업을 구성한 과정을 자기 회상자료로 만들고 수업을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가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교과서 내용배열의 모호성, 경제교육이 빠진 활동 중심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부재였다. 교과서의 내용배열이 애매할 경우 수업을 구성하는 교사는 어떻게 내용을 재구성해야 할지,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혼란을 느끼게 된다. 둘째, 활동의 본질적 의미를 깨닫지 못하고 단순히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활동 중심수업을 전개할 경우 경제교육이 빠진 경제수업이 진행된다. 셋째, 학교 내에서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구축되지 않으면 수업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대한 어떠한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한 교사가 가지는 어려움을 통해 초등학교 경제수업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로 경제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설계하는 연구자들이 초등학교 경제수업에 관한 내용을 조직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icroscopic exploration of how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organizing economic classes of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a teacher organizing economic classes were made as self-recall data and we examined the process until the classes were practic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biggest difficulties for the participants in the economic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were the ambiguity of the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the activity based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and abse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n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is ambiguous, teachers who organize classes were confused about how to reorganize contents and what kind of method to use. Second, if teachers conduct activity based classes merely to attract student s interest without reali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activities, economic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Third, wh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can help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s not organized within the school, the teacher cannot receive any help on the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lasses. This study suggested a few conditions for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o be properly conducted through the difficulties of a teacher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an not only help teachers in field who conduct economic classes, but also help researchers who design curriculum and textbook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econom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초등 내용 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 비교: 메타분석

        이지숙,김정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ynthesiz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content-language integrate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in EFL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meta-analysi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research and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otal 41 academic journal papers and degree thesis were retrieved and analyzed in the research synthesis. The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was used for the meta-analysi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eduction of the effect size ba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ent driven vs. language-driven) and dependent variables (cognitive vs. affective) along with the analysis based on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he grade-level and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of content-language integrated teaching is in the range of the median effect size, and so are all the other variables such as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Second, with regards to moderator variables, the case of language-driven integration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level. For the case of content-driven integ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ade-level and experimental period. The effectiveness of content-driven integration not only increased with the grade-level but also showed striking effectiveness in immersion groups compared to other three groups with different degree of the limited frequency and period. 본 연구는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를 다룬 연구물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왔던 영어통합교육의 효과를 종합하여 들여다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초등통합영어교육을 주제로 삼아 연구된 연구물들을 모두 수집하여, 이 중 연구의 적격성 기준에 맞는 41편의 학술지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후,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효과크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인(내용중심통합, 언어중심통합), 종속변인(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조절변인(학년, 처치시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육 전체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보이고 있었으며,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도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독립변인인 언어중심통합과 내용중심통합 모두 중간 정도의 크기의 효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절변인인 학년 및 처치시간에 따른 언어중심통합, 내용중심통합의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언어중심의 경우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처치시간의 경우 처치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효과의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중심 통합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효과의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처치시간의 경우 immersion 집단이 다른 세 집단(15차시 이하, 16~31차시, 31차시 이상) 보다 그 효과크기가 눈에 띄게 크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유의한 것으로 미루어 내용중심교수의 특성상 그 효과의 크기가 크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장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했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 보호 학습 사례 연구

        이수정 민족어문학회 2019 어문논집 Vol.- No.87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 중심 수업의 한 유형인 내용 보호 학습의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자들의 경험 진술을 통해 효과적인 내용 중심 수업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 보호 학습 후 내용 이해도 확인을 위해 학습자들의 강의 요약문을 살펴보았는데 미숙한 요약의 양상으로 ‘과소 요약’이 많이 나타났으며 ‘재기술’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입력된 내용을 개별적으로는 받아들이나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어 학습자들의 자유로운 수업 경험을 듣기 위해 표적집단면접법(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의 어려움이 배경 지식과 언어 지식의 부족, 듣기 전략의 부재에서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의적 차원에서는 불안과 자신감 저하 등을 겪기는 하나 전문적인 지식을 한국어로 듣는다는 것에 대한 동기 부여는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효율적인 내용 보호 학습이 진행되기 위해서 본 연구는 ‘1-2-1’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하나의 내용 강의를 듣기 위해서는 앞뒤에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수업 전후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비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수업 전 수행 내용으로는 배경 지식의 활성화와 어휘 활성화를, 후 단계의 수행 내용으로는 요약하기 등 내용 정리를 통한 내면화를 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case of ‘Sheltered Courses’, a type of content-based class targe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of Academic Purposes, and to find an effective content-based class through experiences of the learners. First, the summary of the learners was analyzed to check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after sheltered courses. In the form of immature summary, there were many ‘under summaries’ that list all the details without condensing the contents. The ‘re-description’ rarely appeared. Then, FGI was conducted to listen to learners’ free class experi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y of sheltered courses comes from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language knowledge, and lack of listening strategies. Despite the high level of anxiety and low self-confidence, the motivation for sheltered courses was stro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more effective content based class for them, this study proposed the ‘1-2-1’ method. This is a ratio that indicates that a content based class requires sufficient ‘before and after courses’. It includes internalization through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such as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as pre-class contents, and summarizing as post-class content.

      • KCI우수등재

        딥러닝 알고리듬을 활용한 고해상도 물리검층 자료의 생성 연구

        박가영,민배현,권서윤,김민,지민수,이수진,최수인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5

        This study proposed a deep-learning-based approach that generates synthetic high-resolution log data from original-resolution log data for accurate reservoir characterization, where the resolution of the synthetic data is comparable to that of core data.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as tested with application to the Volve oil field in Norway using three deep-learning algorithms (i.e., deep neural network,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long short-term memory). These deep-learning algorithms were employed to generate high-resolution sonic log data from other log-type data. The overall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was acceptable. In particular, the long short-term memory algorithm yields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greater than 0.9 when the high-to-original-resolution ratios are two, five, and ten.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to derive logging-based reservoir parameters with a resolution that is comparable to that of core-based reservoir parameter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영어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적절성을 중심으로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정규과목으로서의 영어교과가 제 7차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초등 영어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더욱 초점을 맞추면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며, 활동중심, 과업중심의 영어교육, 창의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으로 방향을 맞추게 되었다. 이 같은 방향에 따라 제 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수준별 학습(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의사소통기능, 언어기능, 문화 영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 체계를 담고 있다. 내용 체계에서는 언어기능이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으로 구체화되었고, 의사소통기능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언어 재료를 통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와 가치관 등을 포함한 소재, 음운 변화, 어휘, 단일문장의 길이 등에 관한 사항이 진술되어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내용 체계를 근거로 교과서가 제작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들의 지역적인 특수성,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학습자나 교사들의 요구들이 잘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 적용시 제반 문제점은 없었는지 검토하는 일이 필요한 시기다. 이는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이 잘 반영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도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영어과 전반에 걸쳐 면밀한 분석을 하고자 하는데, 그 영역은 크게, 교육과정의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이며, 교재 분석과 더불어 제7차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견해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교육현장의 현실과 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trospectively and to cast a forward look at the possi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s to what to teach, how to teach, and how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To attain the goals of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via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 they have used at least one year. 150 teachers and 667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clos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open questionnaires are classifi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for each field are as follows: (1) content area ① The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needs to be balanced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objectives. ② Number of words exposed to students needs to be better grade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master new words appeared in each lesson. ③ Cultural tips provided in teacher\ s guide ne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esson material for a given class hour. ④ Achievement standards need to be reduced in its number of items and its abstract statement. Instead, they need to be more detailed so that they are observably adequate. (2) method area ① Lessons should be introduced with motivational elements relevant to the lesson objective. ② Role play types need to be expanded in its variety so that they can provide opportunity for meaningful communicative practices. ③ Groupings need to be diversified to cope with each lesson objective. ④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in separate kit instead of being attached to the textbook which make the materials one time use only. (3) Assessment area ① Assessment guidelines need to be presented with examples and evaluation criteria. ② Performative evaluation was encouraged to assess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but most teachers felt that it\ s difficult to apply the performative evaluation for large classes.

      • KCI등재

        대학 전공 강의에서의 보호된 내용 수업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연구

        강민석(MinSuk K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In the current context of a rapid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ithin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regarding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applied in major course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102 international students who took major courses with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ternational students expressed considerable confidence in major courses with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perceiving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the Korean language used by the instructors. Additionally, their preference for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and their desire for future enrollment were both high, indicating an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Based on the opinions collected, this study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sheltered content instruction, including faculty retraining.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보호된 내용 수업(sheltered content instruction)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전공 교육의 방법으로서 보호된 내용 수업이 갖는 적절성을 확인하고 향후 전공 교육과정의 개발 및 개편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보호된 내용 수업이 적용된 전공 강의를 수강한 외국인 유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보호된 내용수업 수강에 상당한 자신감을 나타냈으며, 학생들 스스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교수자 언어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보호된 내용 수업에 대한 선호도와 향후 수강 희망 또한 높게 나타나, 보호된 내용 수업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된 의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 재교육등 보호된 내용 수업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실과를 통합한 초등 영어 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성 분석

        송현민,김정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4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우수 수업으로 선정되어 교육포털사이트에 업로드되어 있는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고, COLT 2부와 TALOS 저추론 분석법을 사용하여 실과와 통합된 초등 영어 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성과 수업의 특징을 파악한 연구이다. 대구교육포털사이트에 우수 수업 동영상으로 업로드되어 있는 수업 동영상을 COLT(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와 TALOS(Target Language Observation Scheme)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단순 양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교사의 발언이 학생의 발언보다 많이 나왔지만, 그 내용이 문법이나 언어 형식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 Flea Market에서 물건을 사고팔 때 대화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질문이나 발화였다. 실제 학생들은 Flea Market에서 영어로 짧은 단어 이상 문장이나 담화 수준으로 발언을 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예상불가 발화와 이전의 발화를 확장하는 식으로 발화를 지속해 나갔다는 점에서 이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 수업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실과의 Flea Market이라는 활동성이 강한 활동을 영어 수업에 도입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많은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수업 계획에서부터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에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게 고안한다면 얼마든지 의사소통적인 수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