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어학연수생 대상 한국어교재의 진로교육 단원 내용분석과 교수 방안제시

        이충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 연구 주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어학연수생 대상 한국어교재의 진로교육 단원 내용 분석과 진로교육 측면의 교수 목표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중도탈락하는 외국인 재적 학생 중 어학연수생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유학은 진로 측면에서 희망이 없다는 인식이 중도탈락의 결정적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과 함께 교육과정의 각 단계에서 외국인 어학연수생을 위한 적절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학연수생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내용분석을 진로 교육적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하며, 그에 알맞은 진로교육 목표와 진로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에서는 한국어교재 내용분석은 문화교육과 발음 교육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더욱이 진로교육 관점에서 어학연수생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내용분석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교육 측면에서 어학연수생 한국어교재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어교재 안에 진로교육 내용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밝혔으며, 그에 따른 단계별 구체적인 교수 목표 및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방법: 대학기관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서울대 한국어’를 내용분석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어학연수생에게 교육되어야 할 진로교육 내용 초안을 도출한 후, 진로교육 전문가 3인, 한국어 교수자 3인의 검토를 거쳐 분석 확정한 준거에 의거 교육단계별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교육 관점에서 서울대 한국어 Student's Book 내용을 분석한 결과 1급부터 6급까지 전 교과 내용 중에서 진로교육을 포함한 단원이 총 132단원 중 117개 단원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교육 내용으로 분석된 단원의 진로교육 교수 목표 및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한국어 교수자들이 외국인 어학연수생에 대한 진로 인식이 높아지고, 한국어 교육과정 안에 녹아있는 진로교육 내용을 진로교육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에 따라서 외국인 어학연수생의 진로 인식이 고취되며, 어학연수 중에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 생기고, 진로 성공을 꿈꾸며,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어학연수생의 중도탈락 예방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한다. · Research topic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s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anguage trainees and present teaching goals and measure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 Research background: Among foreign students who drop out, language trainees account for nearly half, and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abroad in Korea is hopeless in terms of career path is a decisive cause of dropout. Therefore,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must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anguage students must first be studied from a career education perspective, and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goals and career education plans must be present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mong foreign students who drop out, language trainees account for nearly half, and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abroad in Korea is hopeless in terms of career path is a decisive cause of dropout. Therefore,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must be provided at each stage of the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anguage students must first be studied from a career education perspective, and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goals and career education plans must be presented. · Research metho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language in university institution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A total of 12 volume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Student's Book were collected. After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 draft of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to be taught to language trainees was derived, and then reviewed by three career education experts and thre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was analyzed at each stage based on the criteria determined. ·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Korean Student's Book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educ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units including career education among all subjects from grades 1 to 6 was analyzed as 117 units out of a total of 132 units. The teaching goals and teaching plans for the units analyzed as career education units were present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will help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crease career awareness of foreign language trainees and actively utilize the career education content included in the course at the career education level.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foreign language trainees' career awareness will be enhanced, and during language training, they will have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dream of career success, and have a successful study abroad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ng dropout of language trainees.

      • KCI등재후보

        환경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 국립환경인력개발원 환경교육연수 교재의 교수내용지식(PCK)을 중심으로 -

        조승연,남미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6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6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확인하고자 한다. 교사들이 환경교육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교사 연수를 선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립환경인력개발원에서 진행하는 환경교사 연수의 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했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8개년도 교재를 분석하여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이 교사연수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환경교육 교사연수교재의 내용과 연수교재에 제시된 교수내용지식(PCK)의 경향, 보완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해서 분석했다. 교수내용지식이 포함된 단원을 분석한 결과, 환경교육 교수․학습의 기술과 기능 중심의 교수법에 관한 내용은 많았으나, 학습곤란이나 평가부분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이해, 교사의 역할, 학급의 환경경영 등 수업 자체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내용은 부족한 편이었다. 앞으로의 환경교사 연수에서는 환경 교사가 갖춰야 할 능력에 대해 충분히 고찰하고, 실제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포함하는 교사연수를 구성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전략 :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조대연,김명랑,정은정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propose how to determine learning contents in terms of planning inservice programs and to implement the setting of priorities among the potential learning contents through need analysis. To these end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need analysis process for developing an inservice program based on the IPO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RD process. Next, this study addresses the deficiencies that can result from using only one data gathering method in conducting need analysis. To overcome these deficiencies, archival data, nominal group techniques and surveys need to be comb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earning contents. This study finally determines the learning contents based upon the results of both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rough the process proposed by Cho (2009). The determined learning contents enhance teachers' competency in the area of build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also discusses some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지표별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연수내용 추출과정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연수내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HRD 프로세스 관점에서 프로그램 개발 절차인 IPO 모형을 통해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의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단일 방법으로 진행되는 요구분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존자료 분석, 명목집단기법, 그리고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연수내용 결정을 제안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와 관련된 현존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지표와 관련된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고, 명목집단기법을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잠재적 연수내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잠재적 연수내용에 대한 중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조사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조대연(2009)이 제안한 과정을 통해 연수내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체계적인 요구분석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연수내용 결정을 지원하고,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 사용을 통해 요구분석 방법의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류와 교원의 요구도 분석

        홍후조,민부자,장소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 구안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국 17개 시․도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지는 6,600 여개의 연수 과정 분석을 통해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유형을 4개 대영역, 13개 중영역, 32개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15명의 전문가들로부터 분류의 타당성과 명칭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조정하였다. 이후 32개 소영역에 대해서 직급별(교단교사와 관리자・전문가), 학교급별(유치원, 초중고교, 연수원 등), 경력별(저・중저・중고・고) 연수의 실태(수행도)와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도를 확인하였고, 그 차이를 기초로 Borich 교육요구도를 통해 직급별, 학교급별, 경력별 교육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급‧학교급‧경력별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교원복지, 교권, 장애학생지원, 학습부진학생지원, 진학지도, 직업지도 등의 연수 프로그램이 집중노력 영역으로, 학사관련 연수프로그램은 과잉투자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실제 이루어지는 연수를 대상으로 교원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한 것으로, 현행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향후 바람직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일정한 시사를 주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 for school teachers performing their job roles effectively. First, we classified teacher training program into 4 large classes, 13 middle classes and 32 small classes. Then, we asked the teachers to choose among the 32 small clas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eacher’s welfare, teacher’s authority and rights, support service for disabled students, support servic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received high importance in that order whilst having comparatively low performance status. Those small classes were suggested to be in need of ‘concentrated effort.’ On the other hand, training program for miscellaneous paperwork-related was viewed as an ‘overinvestment’, having low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status. In detail, opinions slightly vary by teacher’s status, career experience and school level.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have a customized plan according to teacher’s status, work experience and school level. And it is necessary for an institutional measure plan to make related persons understand that teacher’s on-the-job training program is a lifelong self-development educ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it.

      • KCI등재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초·중등 교사의 연수 요구 분석

        이성은(Lee, Sungeun),최진영(Choi, Jinyoung),송경오(Song, Kyoung-o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 · 중등 교사들이 자신의 역량수준에 비추어 어떤 연수교육과정을 제공 받길 희망하는지를 연수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이 교직발달단계에 따라 연수에 대한 요구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교사연수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 및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7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대부분의 연수내용 영역에서 자신들이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는데, 특히 ‘다문화교육’과 ‘특수교육’에 대한 역량 부족을 지적하였다. 또한 초 · 중등 교사들은 교직발달단계에 따라서 연수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연수내용별 역량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초등교사의 경우 총 19개 연수내용 중 15개 영역에서, 중등교사의 경우 총 19개 연수내용 중 9개의 영역에서 교직발달단계에 따라 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직발달단계에 따라 연수 요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 운영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need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eachers' needs are examined from three aspects: content,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method.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eachers' needs were different based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tage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755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Nee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guidance and counseling were highest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eachers' competence level related to the content areas were lower. Especially, their competence level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were lowest. Secondly, preferences of lecture and relative evaluation were the lowest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ird, teachers' needs for the cont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인권인식에 영향을 주는 인권교육 연수 변인 분석

        구정화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22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사 대상 인권교육 연수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의 인권인식과 관련이 있는 인권교육 연수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립변인은 교사 대상 인권교육 연수의 세부 사항(연수내용, 연수방법 등)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교사의 인권인식(인권교육 효능감, 학생인권 문서 이해, 학생인권 판단)으로 설정하였다. 인권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전국의 교사 4,300여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한 자료를 회귀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인권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연수내용은 ‘사회적 약자의 인권 이해’와 ‘학생인권 존중 태도와 옹호 실천’이며, 이들 변인은 교사의 인권인식에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인권인식 하위 항목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연수내용의 세부 항목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인권교육 연수 참여를 자발적으로 하는 경우와 개인적으로 인권 공부 경험이 있는 경우 모두가 교사의 인권인식에 대하여 정적인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고려하면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연수의 목적을 고려하여 연수내용을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더불어 인권교육 연수방법에서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서울지역 교사의 통일교육 연수에 관한 인식 연구

        김병연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Since 2018, the organization,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of unification education teacher training have been diversified.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Opinions toward the unification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training. As a result, first, Alth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little training experience, they are most satisfied with training. Second, high school teachers generally underestimated the contents and methods to be emphasized in the training. Third, the secondary geography teacher underestimated the contents and methods to be emphasized in the training.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should be planned and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eacher’s background. Second,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need to emphasize ‘preparatory after unification’ and ‘peaceful coexistence.’ Training methods should strengthen field experien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causes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2018년 이후 통일교육 교사 연수의 운영기관, 연수 내용과 방법 등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교육 교사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학교급 간, 중등 사회과군 교과 간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수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교사는 연수 수강률은 낮지만, 연수 내용과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높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는 연수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과 방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셋째, 중등 지리과 교사는 연수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과 방법에 대해 낮게 평가하였다. 연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는 교사의 배경을 고려하여 연수 대상을 세분하여 기획, 운영해야 한다. 둘째, 연수 내용은 ‘통일 이후 대비 교육’, ‘평화공존의 중요성’ 등을 보다 강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수 방법으로 현장 체험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등 교사의 통일교육 연수 인식의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내용연수 기반의 도로 세부시설물의 노후도 평가

        정연준 ( Jeong¸ Yeon-jun ),김기홍 ( Kim¸ Ki-hong ),권민호 ( Kwon¸ Min-h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1980년대 경제 발전으로 이후 전국적으로 대규모 기반시설물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공용연수가 40년을 넘어서면서 기반시설의 노후화 및 관리부실로 인하여 사회적 비용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반 시설의 유지 관리 및 보수보강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반 시설물에 대한 노후도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반시설물에 대한 노후도 평가에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바로 각 기반 시설물의 내용연수이며 일반적으로 내용연수는 설계연한보다 훨씬 짧게 정의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자산 및 노후도 평가에 사용되는 내용연수는 시설물의 교체 주기 등을 기반한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정의되고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산발적으로 정의되어 사용되고 있는 각 세부시설물에 대한 내용연수 조사 분석하고 정리된 내용연수를 이용하여 기반 시설물 중 도로 시설물에 대한 노후도 평가를 수행하여 적절한 내용연수 설정을 위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체육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 비교분석 -시, 도교육청 수준을 중심으로-

        성기훈 ( Kee Hoon Sung ),이승배 ( Seung Bae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초등체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Bereday의 ‘비교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17개 시ㆍ도교육청 수준에서 운영된 체육과의 연수 현황, 13개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초등학교 체육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기획 및 실무 담당자와의 면담 자료 등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해석-병치- 비교분석 되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ㆍ도교육청은 초등교사의 체육교과 교육에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최소 연 1회 60시간 이상’의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직무연수를 운영ㆍ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체육 직무연수는 시ㆍ도교육청 주도의 형태보다는 교육연수원, 대학, 교과교육연구회와 같은 전문적인 연수 기관 및 단체에 ‘위탁 운영’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은 교과내용학의 운동기능 습득보다는 지도법을 포함한 ‘교과교육학의 실습 및 시연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넷째, 직무연수 프로그램 중 교양 및 행정 관련 내용은 ‘10% 수준에서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교양 강좌는 체육교과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실질적이며 효과적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직무연수의 질 제고 차원에서 ‘직무연수 프로그램 표준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PE) on the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used Bereday`s comparison method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current state of PE teacher`s training programs on the 17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elementary PE on the 13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program planners`` or practical administrators`` interview data etc.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four-stage analysis, that is descriptive, interpretive, juxtaposed, and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operate and reinforce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at least more than 60 hours once a year``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in PE. Second, it`s more effective and reasonable to operate the ``entrusting system`` in special training center, such as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etc. than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rd, it`s necessary for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to be made up more ``practice and demonstration based program on subject matter pedagogy`` than motor skills on content centered education. Fourth, the liberal arts and administration part should minimize ``at the level of 10%``, the content of liberal arts should be composed PE directly related content on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contents practically and effectively, it is required that the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should be standardized.

      • KCI등재

        통합교육 관련 원격 직무연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백지은(Ji-Eun Baek) 대한사고개발학회 2024 사고개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 관련 원격 직무연수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관련 원격 직무연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 인증한 25개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운영되는 29개 통합교육 관련 연수를 추출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 관련 원격 직무연수는 첫째, 대상 측면에서는 전체 교원·전체 학교급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연수 시간 측면에서는 15시간 이하의 연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수 차원에서는 전체 18개의 소주제 중 30% 이상~49% 이하를 다루는 연수가 가장 많았다. 셋째, 주제 차원에서는 통합교육 정의 및 필요성과 행동지도 영역을 다룬 연수가 가장 많았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 및 학교급에 따른 맞춤형 연수, 특정 분야를 깊이 있게 다루는 전문 연수 등 향후 통합교육 관련 원격 직무연수가 목표해야 할 방향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of distanc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such training programs. To this end, 29 training cours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operated by 25 distance education institutes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irst, in terms of the target audience, most training programs were designed for all teachers across all school levels, with the majority of the programs having a duration of 15 hours or less. Second, in terms of training dimensions, most courses covered between 30% and 49% of the 18 subtopics identified. Third, in terms of subject matter, training on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and behavior management were the most comm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uch as developing tailored training for specific target audiences and school levels, as well as offering specialized training that covers specific areas in dep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