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공간형용사의 대조 방법론적 연구 - ‘깊다 · 얕다/深 · 淺’을 중심으로 -

        주송희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본고는 한·중 공간형용사 대조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의미론적 측면의 대조에만 머물 러 있는 점에 비추어 공간형용사와 같은 고빈도 다의어 대조 연구에서는 어휘 형식에 대한 대조가 어휘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깊이 할 수 있고 어휘의 정확한 사용에 일조할 수 있음을 ‘깊다·얕다/深·淺’를 실례로 논의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공간형용사의 의미에만 초 점을 맞추어 그 쓰임을 대조하였다면 본고는 공간형용사 ‘깊다·얕다’와 ‘深·淺’의 복합형용사, 문법적 제약, 공기 제약 등에 대한 대조를 통하여 ‘깊다·얕다’와 ‘深·淺’의 차이를 밝히려고 하 였다. 분석 결과 ‘깊다·얕다’의 복합형용사는 사용빈도가 낮고 ‘깊다·얕다’의 의미 및 그 쓰임 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深·淺’의 복합형용사는 사용빈도가 높고 ‘深·淺’의 의미 및 그 쓰임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깊다·얕다’는 그 의미가 내적으로 확장되고 포괄적 인 표현으로 이어지고 있었고 ‘深·淺’는 내적으로 의미가 축소되는 대신 외적으로 정밀하고 구체적인 표현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본고는 기존의 어휘의 의미론적 측면에서의 대조에서 연 구의 시각을 넓혀 어휘 형식에 대한 대조도 함께 진행함으로써 어휘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보다 심도 깊게 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paper finds that the existing research in the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spatial adjectives focused on the semantic contrast, but the contrast of lexical form helps mor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vocabularies and use them more correctly in the contrastive study on polysemous word frequently used like spatial adjectives which is showed in the example ‘deep·shallow’. The existing study contrasts the use of vocabularies focusing on the meaning of spatial adjectives, while this paper analyses the differences between ‘deep·shallow’ and ‘深·淺’ through the contrast of complex adjectives of spatial adjectives ‘deep/深’ and ‘shallow/淺’, grammatical restriction, co-occurrence restrictions and so on. The analysis shows that frequency of use of spatial adjectives ‘deep·shallow’’ is low and the meanings seem to expand internally while frequency of use of spatial adjectives ‘深·淺’, whose functions of meaning reduce, is higher than ‘deep·shallow’ and the meanings seem to expand externally. ‘deep·shallow’ has less grammatical and co-occurrence restrictions and comprehensive expressions but ‘深·淺’ has more grammatical and co-occurrence restrictions and detailed and accurate expressions. Based on the existing semantic contrast study of vocabularies, this paper broadens the sight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ies through the contrast of vocabulary forms.

      • KCI등재

        论汉韩感官形容词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石坚,(Shi, Jian),,松涛,(Han, Songta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여러 감각기관 중에서 시각 감각기관은 사람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시각 감각기관을 통해 색채, 명암, 사물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과 체적 등의 내용들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인지한 내용들은 감각형용사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공간에 대한 인지는 인간의 기본적인지 중 하나이다. 인간은 공간을 1차원, 2차원 그리고 3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감각형용사를 통해 다른 공간 차원의 특징을 표현한다.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는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깊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 표현이다. 두 어휘의 의미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어휘는 각각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해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된다. 이는 여러 가지 확장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어휘는 의미 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시간, 감정 등과 같이 서로 같은 목표 영역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인지영역 투사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겠다 Human Beings have so many senses,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enses among them is visual sense through which we can distinguish different colours, feel light and shade, and perceive the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of an object. We can use sensory adjectives to describe our feelings and perception. The spatial percep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erceptions of human beings. The spatial dimension is divided into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Human beings use different sensory adjectives to demonstrate the features of different dimensions. “深” in Chinese and “깊다” in Korean are linguistic performance in two languages to the perception of depth in one dimension. However, we find that in the meaning construction, “深” and “깊다” project from the respective source domain of depth to other target domains. Through cognitive approach of metaphor, the two words generate many extended meanings and construct their polysemy structures respectively. Though distinctive features as shown in the respective cross-domain cognitions, many same target domains appear, such as time, emotion and etc.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domain projection.

      • KCI등재

        韓國思想(한국사상)(文學(문학)) : 한,중 지향성 은유 표현 연구 - "낮다, 깊다, 질다, 막히다"를 중심으로 -

        서진숙 ( Jinsuk Seo ),주려빈 ( Libin Zh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인간의 사고와 행동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인지언어학의 연구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환경 등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과 사고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은유 표현을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해 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좋은 것은 위, 나쁜 것은 아래]와 같은 지향성 은유가 다른 위치와 관련해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와 ‘아래’의 지향성 은유의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지만 ‘위, 아래’를 제외한 다른 위치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낮은 곳, 깊은 곳, 진 곳, 막힌 곳’의 지향성 은유를 살펴보고자 먼저 ‘낮다, 깊다, 질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표현이 실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한국과 중국의 신문 기사의 예문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경우 ‘낮은 곳’은 바닥과 관련되어 표현되는 반면 중국어는 ‘低谷’으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깊은 곳’의 경우 한국어는 ‘심연, 함정, 구렁텅이, 터널’ 등 다양한 어휘가 쓰였지만, 중국어는 ‘深淵, 陷穽’ 등이 주로쓰임을 알 수 있었다. ‘진 곳’의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늪, 수렁, 진창, 泥潭, 泥뇨, 泥坑, 泥沼등 유의어가 활발하게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막힌 곳’의 경우 ‘곤(困)’과 ‘궁(窮)’을 기반으로 한 한자어 은유 표현은 한국과 중국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중국어에는 ‘處境, 絶境, 田地’과 같이 한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어휘가 활발히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낮다, 깊다, 질다, 막히다’와 관련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다양한 사례를 포괄하지는 못하였지만,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양국의 언어문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Cognitive Linguistics, which confirms that human``s thinking and behavior are closely related, proves also that abstract concepts and thinking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concrete things in the environment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study analyses how to express the metaphors of orientation/direction such as [GOOD IS UP, BAD IS DOWN] with some other locations except ``up`` and ``down``. Metaphorical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UP`` and ``DOWN`` seem to be analysed sufficiently, but there is still plenty of research to be done to explore these expressions with other locations. In this study we decided to focus on metaphors related to ``low locations``, ``deep locations``, ``watery locations`` and ``enclosed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At first, we analysed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low``, ``deep``, ``watery`` and ``enclosed`` in both languages, and then we compared them with the context they are used in sentences collected from newspaper articles. Our goal was to observe how these locations are actually used to express metaphorical meaning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first, ``Low Locations`` in Korean is often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바닥``, while in Chinese to ``低谷``, second, ‘Deep Locations’ in Korean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many words like ``심연, 함정, 구렁텅이, 터널``, while in Chinese to ``深淵, 陷穽``, and third, ``Watery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늪, 수렁, 진창/泥潭, 泥뇨, 泥坑, 泥沼``. In addition, ``Enclosed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困`` or ``窮`` and besides, It is proved that words like ``處境, 絶 境, 田地`` are sufficiently used as metaphorical expressions only in Chinese. We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to understand better language culture of Korean and Chinese. We analysed only some examples of ``LOW``, ``DEEP``, ``WATERY`` and ``ENCLOSED`` locations, but we believe t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 have already found out may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study of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oth languages.

      • KCI등재

        한⋅중 지향성 은유 표현 연구 - ‘낮다, 깊다, 질다, 막히다’를 중심으로 -

        서진숙,주려빈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This study analyses Cognitive Linguistics, which confirms that human's thinking and behavior are closely related, proves also that abstract concepts and thinking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concrete things in the environment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This study analyses how to express the metaphors of orientation/direction such as [GOOD IS UP, BAD IS DOWN] with some other locations except 'up' and 'down'. Metaphorical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UP' and 'DOWN' seem to be analysed sufficiently, but there is still plenty of research to be done to explore these expressions with other locations. In this study we decided to focus on metaphors related to 'low locations', 'deep locations', 'watery locations' and 'enclosed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At first, we analysed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low', 'deep', 'watery' and 'enclosed' in both languages, and then we compared them with the context they are used in sentences collected from newspaper articles. Our goal was to observe how these locations are actually used to express metaphorical meaning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first, 'Low Locations' in Korean is often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바닥', while in Chinese to '低谷', second, ‘Deep Locations’ in Korean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many words like '심연, 함정, 구렁텅이, 터널', while in Chinese to '深淵, 陷穽', and third, 'Watery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늪, 수렁, 진창/泥潭, 泥淖, 泥坑, 泥沼'. In addition, 'Enclosed Locations' both in Korean and Chinese is used with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困' or '窮' and besides, It is proved that words like '處境, 絶境, 田地' are sufficiently used as metaphorical expressions only in Chinese. We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to understand better language culture of Korean and Chinese. We analysed only some examples of 'LOW', 'DEEP', 'WATERY' and 'ENCLOSED' locations, but we believe t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 have already found out may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study of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oth languages. 인간의 사고와 행동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인지언어학의 연구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환경 등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과 사고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은유 표현을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해 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좋은 것은 위, 나쁜 것은 아래]와 같은 지향성 은유가 다른 위치와 관련해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와 ‘아래’의 지향성 은유의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지만 ‘위, 아래’를 제외한 다른 위치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낮은 곳, 깊은 곳, 진 곳, 막힌 곳’의 지향성 은유를 살펴보고자 먼저 ‘낮다, 깊다, 질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표현이 실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한국과 중국의 신문 기사의 예문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경우 ‘낮은 곳’은 바닥과 관련되어 표현되는 반면 중국어는 ‘低谷’으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깊은 곳’의 경우 한국어는 ‘심연, 함정, 구렁텅이, 터널’ 등 다양한 어휘가 쓰였지만, 중국어는 ‘深淵, 陷穽’ 등이 주로 쓰임을 알 수 있었다. ‘진 곳’의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늪, 수렁, 진창, 泥潭, 泥淖, 泥坑, 泥沼 등 유의어가 활발하게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막힌 곳’의 경우 ‘곤(困)’과 ‘궁(窮)’을 기반으로 한 한자어 은유 표현은 한국과 중국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중국어에는 ‘處境, 絶境, 田地’과 같이 한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어휘가 활발히 쓰임을 알 수 있었다. ‘낮다, 깊다, 질다, 막히다’와 관련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다양한 사례를 포괄하지는 못하였지만,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양국의 언어문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공간형용사 “깊다”의 의미정보연구

        주송희(Ju Songhee)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1 중국조선어문 Vol.173 No.-

        공간형용사중 “깊다”에 대해 한국어어휘교육의 관점에서 실제자료에 기반하여 상관의미정보를 구축하였다.

      • KCI등재

        한 · 중 공간형용사 의미 대조 연구 : {깊다/深}를 중심으로

        주송희(Ju,Song-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8

        This paper discusse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ontrastive study on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spatial adjectives focused on the meanings starting from the importance of spatial adjectives. Based on this, vocabulary ‘deep’ is selected to be done the concrete contrastive study. This paper shows that the information of meanings of dictionaries is insufficient through the analysis of dictionaries, which the existing study is mostl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dictionaries and only gives the simple contrast whether the vocabulary has the meaning or not. And also it points out that based on the materials of language, the meaning system of vocabulary should be grasped and the contrast should be provided if the contrastive study is done in depth. This paper also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trast of meaning system and the frame of meaning contrast from the broader point of view. It also discusses that the frame of meaning contrast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attributes of spatial adjectives and the appearance of meaning extension which is based on the direction of meaning extension of general vocabular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16058 examples of ‘deep’ and 53497 examples of {深} among 60 million eojeol of modern primitive corpus from 21st Century Sejong Project which i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and 700 million eojeol from Modern Chinese CCL Corpus (online version) which is established by Center for Chinese Linguistic PKU are chosen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is, the meaning system of {deep/深} is grasped and the frame of meaning contrast is established. This paper tries to clarify general commonnes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of {deep/深} by contrasting the meaning.

      • KCI등재

        论汉韩感官形容词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石堅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여러 감각기관 중에서 시각 감각기관은 사람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시각 감각기관을 통해 색채, 명암, 사물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과 체적 등의 내용들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인지한 내용들은 감각형용사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공간에 대한 인지는 인간의 기본적 인지 중 하나이다. 인간은 공간을 1차원, 2차원 그리고 3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감각형용사를 통해 다른 공간 차원의 특징을 표현한다.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는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깊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 표현이다. 두 어휘의 의미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어휘는 각각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해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된다. 이는 여러 가지 확장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어휘는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시간, 감정 등과 같이 서로 같은 목표 영역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인지영역 투사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겠다. Human Beings have so many senses,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enses among them is visual sense through which we can distinguish different colours, feel light and shade, and perceive the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of an object. We can use sensory adjectives to describe our feelings and perception. The spatial percep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erceptions of human beings. The spatial dimension is divided into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Human beings use different sensory adjectives to demonstrate the features of different dimensions. “深” in Chinese and “깊다” in Korean are linguistic performance in two languages to the perception of depth in one dimension. However, we find that in the meaning construction, “深” and “깊다” project from the respective source domain of depth to other target domains. Through cognitive approach of metaphor, the two words generate many extended meanings and construct their polysemy structures respectively. Though distinctive features as shown in the respective cross-domain cognitions, many same target domains appear, such as time, emotion and etc.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domain projection.

      • KCI등재

        한・일 척도형용사의 대조 연구 -「많다(多い)」와 「깊다(深い)」를 중심으로-

        유은성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djectives manhta and kiphta and the Japanese adjectives ooi and hukai, both within the cross-language pair and with other synonymous measure adjectives. The Japanese ooi differs from the other adjectives in terms of its qualitative property since it is not usually employed as a degree modifier in combination with gradable nouns, and, even when used jointly with gradable nouns, it largely retains its numerical sense. However, unlike ooi, the Korean manhta is widely used as a degree marker – it can not only denote a numerical sense but also often replaces other measure adjectives such as khuta and nophta. The Japanese collocations noun(postposition)+ooi and ookuno+noun chiefly correspond with the Korean manhta and manhun, respectively. However, the Korean collocations noun (postposition)+manhta and manhun+noun correspond not with the Japanese ooi but with other Japanese measure adjectives such as ookii or takai. The above Korean usages mostly allow the use of the other measure adjectives used as degree markers such as khuta and nophta.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hukai usually translates not as its Korean direct equivalent kiphta, but as manhta. 본고에서는 정도명사와 결합하여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형용사 중, 한국어 「많다」와 「깊다」, 일본어 「多 い」와 「深い」를 중심으로 다른 척도형용사와의 유의 관계 및 한・일 대응 관계를 대조 고찰하였다. 한국어 「많다」 는 일본어 「多い」와 달리, 수량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크다」,「높다」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교체될 수 있는, 정도의크기를 나타내는 의미용법이 활발한 점을 통해 일본어 「많다」와 달리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名詞+多い」,「多くの+名詞」 용례는 대부분 한국어 「명사+많다」,「많은+명사」에 대응되지만, 정도성의 의미가 강한 「명사+많다」,「많은+명사」는 대부분 일본어의 「名詞+多い」, 「多くの +名詞」에 대응되지 않고, 「大きい/大きな」,「高い」등 다른 척도형용사 연어 형식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한국어에서도 「크다」,「높다」 등과 같은 대표적 척도형용사와 교체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한국어 「많다/많은」이 「深い」에 대응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깊다」와 「深い」 용례에 대한 대응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 「많다」는 「크다」「높다」 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같이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