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의소설(演義小說) <김영철전>(金英哲傳)의 창작 방법 -조원경본을 중심으로 본-

        김수영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2

        The Kimyoungcheoljeon, owned by Jo Won-gyeong, refers to a text transcribed by a person named Park Jeung-dae around 1762, and is the closest to Kimyoungcheolyousa, among the relatively long texts of Kimyoungcheoljeon. In this paper,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is examined, revealing that two creative methods were mainly used. The first is the foreground of history using historical facts. The second is the augmentation by fictional creation. Using these two methods,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was able to express all the twists and turns in the life of Kim Young-cheol based on facts, while adding fiction in a touching way. In summarizing the two creative methods of Kimyoungcheoljeon, owned by Jo Won-gyeong, it can be said that the ‘Yeon-ui(演義)'s Principle’, the traditional East Asian writing method, was mainly us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latively long Kimyoungcheoljeon, represented by the text owned by Jo Won-gyeong, was renamed as ‘Yeon-eui novel Kimyoungcheoljeon’,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Jeongye(傳係) novel Kimyoungcheoljeon’ written by Hong Se-tae. 조원경본 <김영철전>(金英哲傳)은 1762년 무렵에 박증대(朴增大)라는 인물이 필사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현전하는 긴 편폭의 <김영철전> 이본들 가운데 ‘김영철 서사’의 효시인 <김영철유사>(金英哲遺事)에 가장 근접해 있다. 본고에서는 조원경본을 중심으로 <김영철전>의 창작 방법을 원리적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첫째는 사실(史實)을 활용한 역사의 전경화(前景化)이다. 둘째는 허구(虛構) 창조에 의한 부연(敷衍)이다. 이 두 가지 창작 방법을 통해, 조원경본은 김영철이라는 실존 인물의 파란만장한 삶을 사실에 기초하되 허구를 보태어 감동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으며, 김영철의 삶을 매개로 17세기 동아시아 역사의 주요 사건들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조원경본의 창작 방법 두 가지를 종합해 보면, 동아시아의 전통적 글쓰기 방법인 ‘연의적(演義的) 원리(原理)’를 주요하게 활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홍세태본으로 대표되는 ‘전계소설(傳係小說) <김영철전>’과 구별하여, 조원경본 등 보다 긴 편폭의 <김영철전>을 ‘연의소설(演義小說) <김영철전>’으로 새로 명명하였다.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과 다문화 양상 비교

        김용기(Yong Ki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2

        이 글은 <최척전>과 <김영철전>에 나타난 전란 체험을 살펴보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둔다. 이어서 동시대 전란을 다룬 두 작품에서 동아시아 3국이 겪는 다문화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먼저 <최척전>에서는 주인공들의 전란 체험이 문학적 환상성과 적절하게 교구(交構)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란 체험이 문학적 환상성과 결합됨으로 인해 전란의 참상은 일시적으로만 나타난다. 그 외의 인물 서사는 초현실적 환상성과 결합되어서 전란의 아픔 이후에 겪는 가족 간의 재회와 아픔의 치유에 무게감이 놓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김영철전>에서는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결말 부분까지 김영철과 같은 민중들이 겪는 전란의 참상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여기에는 그 어떤 초현실성의 개입이 없이, 매우 사실적으로 당대 사회를 그려내고 있다. 다문화적 성격에 있어서도 두 작품은 차이를 보인다. <최척전>의 경우에는 조선인, 후금으로 귀화한 조선인, 명나라 장수 여유문, 명나라 상인 주우, 왜병 돈우, 조선인 포로 옥영, 명나라 사람으로서 조선인과 결혼한 홍도, 명나라 탈영병 진위경 등은 서로 적대적이지 않다. 이들은 국적도 다르고 살아온 문화도 다르지만, 모두가 하나같이 생존네트워크를 형성한 다문화양상을 보인다. 이에 비해 <김영철전>에서는 이러한 생존네트워크에 의한 다문화적 결합정도는 매우 미약하다. <김영철전> 속 인물들은 서로의 목적을 위해 잠시 서로를 받아들이고 이용할 뿐이다. 그 목적성이 다하면 이들은 과감하게 서로를 버린다. 특히 주인공 김영철에게 있어서 후금의 처자식과 명나라 등주 처자식은 끝까지 이방인으로 존재할 뿐이다. 그는 오로지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김영철전>에 나타난 다문화는 국적과 문화의 이질성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김영철전>에는 <최척전>과 같은 공존의 다문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war experience in 〈Choichuk-Jeon〉 and 〈Kimyoungchul-Jeon〉. Also, the multiple culture feature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was examined through two works including the contemporary war. First, the hero’s war experience connects to the literary fantasy in 〈Choichuk-Jeon〉. The horrors of war appear temporarily because the war experience combined to literary fantasy. Other character narration connects with supernatural fantasy that family’s reunion after suffering war and the cure of it were highlighted. In comparison, the horror of war that people like Kim-youngchul suffered was portrayed realistically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to the end of it in 〈Kimyoungchul-Jeon〉. the horrors of war were described without the surreality’s inter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of multiple cultural feature between two works. Characters don’t have antagonistic relations in 〈Choichuk-Jeon〉: the Joseon people, the Houjin people from Joseon, Yeoyumun from Ming, the merchant Ju from Ming, the prisoner Okyoung from Joseon, Hongdo from Ming who married a Joseon people, the runaway soldier Jinwikyoung from Ming are not hostile. They have different nationality and different culture but they have the same multiple cultural feature for the survival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multiple cultural union for the survival network is very weak in 〈Kimyoungchul-Jeon〉. Characters accept each other for purpose and use their relations. They break the relations when the purpose of union disappears. The hero, Kimyoungchul considers his wife and children from Houjin and Ming as strangers to the end. He only wishes he could go back to his hometown. In this reason, the multiple culture has strong difference between nationality and culture. 〈Kimyoungchul-Jeon〉 does not have the coexistence of multiple culture like 〈ChoiChuk-Jeon〉.

      • KCI등재

        洪世泰 〈金英哲傳〉에 나타난 세 가지 暴力과 문학사적 의미

        김용기(Kim, Yong-ki)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6 No.-

        이 글은 홍세태의 〈김영철전〉을 대상으로, 17세기 동아시아 전란이 조선, 명, 청 삼국의 백성들에 끼친 폭력성과 문학사적 의미를 드러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폭력성과 문학사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는 중원 강대국(명·후금)이 조선에 가한 군사적 폭력이다. 특징적인 것은 명나라가 조선에 가한 군사적, 정치적 폭력성은 미약하게 처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비해 조선이 청나라의 군사적 폭력성 때문에 받는 피해는 개인으로부터 관리, 조정에 이르기까지 직접적이고도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작가와 당시의 인식이 숭명배청 의식에 입각해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보았다. 두 번째는 조선 조정이 백성들에게 가한 정치적 폭력이다. 이는 주인공 김영철이 국가에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보상은커녕 반복적으로 물질적,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김영철이 큰 공을 세웠음에도 80세가 되어 죽어서야 군역에서 면제되는 것은 그 정칙적 폭력의 극한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전쟁의 피해자인 김영철이, 삼국의 처자에 가한 정신적 폭력성이다. 이는 김영철이 여진의 아내와 두 아들, 그리고 명나라 등주 아내와 두 아들에 대한 정신적 폭력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선 아내와 네 명의 자식들에게 가한 정신적 폭력성도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입체적으로 드러난 정신적 폭력성은, 전란이 국가나 특정 개인의 물질적, 육체적 훼손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해지는 정신적 폭력의 아픔을 강조한 것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김영철전〉의 이러한 폭력성은 개인사에 걸쳐서 다양한 중세 디아스포라의 양산과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는 문제작이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런점에서 〈김영철전〉은 〈최척전〉과 함께 전란으로 야기된 민중들의 현실적 삶의 문제와 아픔을 잘 그려낸 수작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violence of the East Asian war in the 17<SUP>th</SUP> century affected the people of the Joseon, Ming, and Qing dynasties, and how this violence was interpreted in historical literature. Specifically, Kimyoungchul-Jeon, written by Hong Setae is a work of particula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the time. The researcher will discuss three types of violence and their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The first discussion is about the military violence that the powerful nations Ming and Hugeum committed on Joseon. The military and political violence that Ming committed towards Joseon was handled in a distinctively weak manner. In contrast, the damage caused by Qing violence manifested directly and concretely among the common peopl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royal court. This wa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both the writer’s and common people’s thinking of the time was grounded in a particular saying: “Worship Ming and Exclude Qing.” The second discussion is about the military violence that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committed on the common people. The hero of Hong’s book, Kimyoungchul, didn’t receive a reward for his efforts, and repeatedly suffered from material, psychological, and mental damage, all in spite of his contribution to the country. He was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when he was eighty years old, even though he made a contribution. This is a commentary on the extremity of the political violence. The third discussion is about the victims of the war, and Kimyoungchul’s mental violence towards his wives and children, who were from three different countries (two sons from Yeojin, a wife and four sons from Joseon, and a wife and two sons from Ming. It is revealed indirectly that he offered to permit his wife and four sons from Joseon to commit these acts of mental violence instead. This offering emphasizes the results of the pain caused by war, both materially and physically, as well as the lasting but invisible mental violence. Lastly, the violence in Kimyoungchul-Jeon elevates the conflict between these diasporic communities above personal histories. For this reason, Kimyoungchul-Jeon, along with Choichuk-Jeon can be considered the two works that truly dealt with the reality of pain caused by war on a personal level.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보상과 리더십의 관점에서 본 <김영철전>

        권혁래 ( Heok Rae Kw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17세기 역사소설 <김영철전>을 주 텍스트로 하여 명-청 간 전쟁에 휘말린 한 개인의 인생과 정부의 리더십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김영철전>은 주인공 김영철이 1618년 부모와 이별한 후 심하전투에 출전, 전쟁포로가 되어 갖은 고생을 하다가 고국의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귀향한 이야기, 그리고 그 귀향으로 인하여 김영철과 이국땅의 처자들이 서로 평생 한스러워하던 이야기, 김영철이 종군(從軍)으로 인하여 평생 고통스러워하던 이야기를 그린 역사소설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김영철의 가족사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7세기 동아시아의 역사 현장 및 정치적 현실의 단면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조선 정부는 심하전투 때 군사를 모으면서 징집자들에게 군역 면제를 비롯한 삼통(三通)을 약속하였지만, <김영철전>의 주인공 김영철은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고, 일생 동안 군역의 수고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조선정부는 심하전투 때 결사항전하다가 전사한 김응하 장군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충렬록>에 이름을 올려 영웅화하여 숭명반청 이데올로기를 선양하였다. 하지만 전공자(戰功者), 전상자(戰傷者), 전사자(戰死者), 포로(捕虜)된 자들에 대해서 어떠한 보상도 하지 못했고, 그러한 돈이나 정책도 준비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소설 속의 청 태종 홍타이지(皇太極)는 위기에 처한 김영철을 천하를 얻을 징조라며, 영철이 전에 지은 과오를 용서하고, 비단과 말 두 마리라는 큰 상을 내렸다. 역사적으로 청 정부는 포로들을 팔기군으로 편입하고, 항장들을 비롯하여 이민족 출신자들을 우대하여 건국에 큰 공을 세우게 했고, 그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였다. 청정부는 이러한 정책과 보상의 리더십을 통해 천하를 통일하였고, 조선정부는 파병 군인에 대한 보상을 하지 못함으로써 국정의 토대를 잃었다. 1만여 군인들이 목숨을 잃거나 귀환하지 못함으로써 조선의 국 력은 크게 손상되었고, 1만여 가정에서는 생계를 잇고 가문 이을 남자를 잃었다. <김영철전>은 전시의 상황에서 무능한 국가와 천하를 통일할 국가의 리더십이 어떠한 것인가를 대비적으로 보여준다. 필자는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위정자들이 공허한 이데올로기에 빠지지 않고 국제정세를 잘 살펴 국가의 실리를 챙겨야 함과, 개인의 삶을 보호하고 공적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Writer, by making 17c historical novel Kim Young Chul-joen the main text, considered one person’s life who was involved in Ming-Qing war and the government leadership problem in this paper. Kim Youngchul-jeon is a historical novel that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separated with family, participated in Simha Battle, suffered from being war prisoner and returned to the country, followed the army again and get suffered. Through this work, we can meet historical event and aspect of real politics of 17c East Asia that provide a period background of Kim Youngchul family history. Recruiting the army for Simha Battle, Chosun government promised the exemption of military service and people of lower class. However,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didn’t receive any rewards, and couldn’t get out of laborious tasks for the lifetime. Chosun government enhanced the ideology that revere Ming and against Qing by registering General Kim Eungha who died in Simha Battle on Chungryeol-rok promptly and heroizing him. However, the government couldn’t give any reward to people who honored, wounded, died, and prisoned during the war and couldn’t prepare any money or law neither. In contrast, emperor of Qing, Hong Taiji in the novel forgave Youngchul’s mistake in the past and gave a silk and two horses. Historically, Qing government admitted war prisoners to Eight Banners(八旗軍), deserved foreign people well including surrendered generals, made them give a big contributions, and gave proper rewards. Qing government unified the China with these laws and leadership of rewards, however, Chosun government lost the foundation of government affair by not giving a reward to dispatching soldiers. About ten thousand soldiers died or couldn’t return to Chosun, Chosun national power critically damaged and those families lost men who inherit the family. Kim Youngchul-jeon shows incapable nation in the war and what is the leadership of nation who unify the world. Writer brought up the need to take a benefit of the nation, with politicians do not fall in empty ideology and look closely a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lives and give proper reward about accomplishment.

      • KCI등재

        <김영철전>에 나타난 김영철의 내적 갈등과 귀환의 아이러니

        서인석 ( Seo In-se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김영철전>은 그 동안 포로라는 신분에 주목해왔으나 본고에서는 이 작품의 서사적 핵심이 주인공의 포로 과정이나 포로 생활의 어려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귀환 의지와 귀환 과정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아 귀환 서사로 보고자 하였다. 그에게는 일반적인 포로 서사의 경우와는 달리 주체적인 선택의 길이 열려 있었고 실제로 그는 고뇌에 찬 선택을 해서 귀환을 했다. 아울러 그의 귀환 서사는 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속에서 김영철의 내면적 고뇌와 결단을 통과해온 것이었다. 귀환 서사의 주인공 김영철 개인의 내면은 단순한 회토 의식이나 영웅적 귀환 의지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갈등의 연속이었다. 김영철은 단순히 수난을 당하되 회토 의식으로 무장한 결연한 인물에서 벗어난다. 또한 현지의 삶에 만족하여 귀환 의지가 거의 없었던 것도 아니다. 그의 귀환 의지는 현지에 정착하고 싶은 욕망과 부모가 있는 고향으로의 회귀를 위해 탈출하고 싶은 욕망 사이에서 계속 흔들렸다. 그리하여 일관성 있는 결의에 찬 인간상이 아닌 상황에 맞추어 거짓말도 하고 고민하고 갈등하는 인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소설본, 특히 국문본에서 두드러진다고 보는데, 그의 귀환 서사가 혼자만의 결연한 의지로 일관되어 있는 홍세태본에서 그는 고립되었고 가족은 별 영향을 못 미치는 배경으로만 제시된 감이 있다. 반면 소설본, 특히 국문본은 갈등하고 고뇌하는 인물, 거짓말도 하고 감상적이기도 한 인물을 보여주면서 그를 가족이라는 관계 속에서 움직이는 인물로 만들어 가족 관계, 특히 부부 관계가 상대적으로 강조되었던 것이다. Popular interpretations of Kim Young Chul Jeon(金英哲傳) focus on how the protagonist is taken prisoner and on the hardships of being captive. However, I believe that the essence of this narrative lies on the protagonist’s will to return home and on the events he experiences by attempting to do so. Therefore, in this paper, I treat Kim Young Chul Jeon as a homecoming narrative; Unlike in most prisoner narratives, the protagonist in this story is provided with an autonomous choice and decides to return home only after deeply pondering over his options. Additionally, Young Chul’s motivations as the protagonist of a homecoming narrative are shaped by a series of internal conflict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a simple manifestation of nostalgia or by a heroic will to return home. Young Chul breaks the mold of a stereotypical character determined to go back to his birthplace no matter what challenges he must face. On the other hand, the protagonist is also not so content with his new life that he would not consider escaping. The central pillar of his will to return home is continuously shaken between an inclination to settle where he is taken captive and a desire to return to the land of his parents. Young Chul is therefore depicted as a round character who agonizes over his choices and who sometimes even tells lies, rather than a flat one filled with consistent resolution. The above features of Young Chul Kim are most evidently depicted in the Korean novel. In Hong Se Tae(洪世泰)’s version, the protagonist is isolated and his family is presented only as a background that does not influence the narrative. The novel version, especially the Korean edition, on the other hand, puts relatively more emphasis on family connections, particularly the conjugal relation, by portraying Young Chul as a complex character whose incentives are driven by his ties to his family.

      • KCI등재

        조원경본 「김영철전(金英哲傳)」의 로컬리티 : 박재연본과의 비교로 본

        김수영 ( Kim Soo-y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6 No.-

        조원경본은 1762년 무렵에 필사된 「김영철전(金英哲傳)」의 한문본 이본이다. 조원경본은 긴 편폭의 연의소설 계열 현전 이본 중 ‘김영철 서사’의 효시인 김응원(金應元)의 「김영철유사(金英哲遺事)」에 시간적으로 가장 가깝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선본(先本)에 해당되는 조원경본의 로컬리티를 후대의 다른 한문본 이본인 박재연본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했다. 조원경본과 박재연본은 모두 연의소설 계열의 이본으로서 서사의 경개가 대체로 유사하다. 이에 평안도 지역의 특수성과 그 하위주체의 비판적 문제제기가 공통적으로 보인다. 그렇기는 하지만 조원경본의 로컬리티가 박재연본보다 한층 더 뚜렷하고 예리하다. 첫째, 조원경본은 17세기 평안도 하층민 김영철이 겪은 고통이 국가의 공적 체제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일관되게 비판적으로 말하고 있다. 이와 달리 후대의 박재연본은 김영철이 겪은 고통이 유림이라는 한 위정자의 사적 원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일부분을 개작해 놓았다. 둘째, 조원경본의 끝부분에는 하위주체로서 각성한 김영철 자신이 한양의 조정을 향해 스스로 목소리를 내어 자신의 고통을 말하고, 공적을 인정받게 해달라고 호소한 사건이 명확히 서술되어 있다. 이와 달리 박재연본은 이 부분이 다소 모호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처럼 박재연본에 비해 조원경본에 로컬리티가 현저하게 보이는 것은, 「김영철유사」에 담긴 로컬리티와 관련된 문제의식이 크게 퇴색되지 않은 채 조원경본으로 전승된 결과로 추정된다. Jowongyeongbon(Kimyoungcheoljeon owned by Jo Won-gyeong) is the text of the classical Chinese version of Kimyoungcheoljeon, which was copied around 1762. A relatively long version of the scripts that exist today, Jowongyeongbon is the closest in time to Kimyoungcheolyusa, the origin of Kim Young-cheol’s narrative. In this paper, the locality of Jowongyeong_ bon, which was written in this early period, was exa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other later classical Chinese version of Parkjaeyeonbon (Kimyoungcheoljeon owned by Park Jae-yeon). Both Jowongyeongbon and Parkjaeyeonbon are scripts of the Yeon-eui(演義) novel series, and the narratives in these two works are generally similar. The local specificity of Pyeongando and the critical problem raised by its subaltern have much in common. However, the locality of Jowongyeongbon is more distinct and sharper than that of Parkjaeyeonbon. The reason behind this difference is that Jowongyeongbon was passed without much fading of the awareness of the locality contained in Kim Eung-won’s Kimyoungcheolyusa.

      • KCI등재

        두 번의 전란과 두 가지 歸鄕의 서사

        정환국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3 No.-

        이 글은 17세기 두 번의 동아시아 전란을 통과하며 겪은 민인들의 삶을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통해서 재조명한 것이다. 종래 이 두 작품을 동아시아 전란과 관련하여 주로 가족 이산과 체험을 개별적으로 밝히거나 함께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두 작품을 ‘귀향의 서사’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주인공의 귀환 과정과 그 현실성 및 낭만성을, 즉 같으면서도 다른 점을 밝혀 결과적으로 가혹한 민인들의 삶이 전란 속에서 여하히 굴절되었는가를 따져 보았다. 우선 「최척전」은 완벽하게 복원된 가족을 통해 역으로 이런 현실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환기시켜 준다. 이에 반해 「김영철전」은 불가항력적인 고난을 뚫고 귀환한 김영철을 통해서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게 한다. 따라서 환상적으로 믿고자 하는 현실을 그려내거나(「최척전」), 현실로 믿어야 하나 받아들일 수 없어 환상으로 밖에 치부할 수 없는(「김영철전」) 사례라 하겠다. 즉 이들 주인공들에게 과부하가 걸린 전란 체험은 억지이거나(「최척전」), 너무 가혹한(「김영철전」)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붕괴된 세계에서 개인과 가족은 오롯이 그들 자체로 당해내야만 했던 현실을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러나 같은 목표를 가지고 구현한 셈이다. 전란으로 인한 거대한 폭력 앞에 개인과 가족은 얼마나 초라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비록 귀환이라는 희망고문을 상정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지 되묻고 있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Choi Cheok Jeon」 and 「Kim Yeong-cheol Jeon」 in order to review the life of the people who had to go through 17th Century’s East Asian Wars. In relation to the Wars, these two pieces were discussed together or individually to determine family separations and war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pieces’ returning-home narrative which helps to determine what the main characters had gone through on the way back home and how romantic and realistic those are in order to finally examine the harshness people had gone through because of the war. 「Choi Cheok Jeon」 shows a perfectly restored family which derives the thought that this fantasy could not happen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on of Kim Yeong-cheol who had been through so much hardship in 「Kim Yeong-cheol Jeon」 makes it difficult to accept the harsh reality. The first one sketched a romantic scene which people would want to believe that it is real while the second shows a case where the reality sketched is so harsh that people would want to take it as a fake story. The pieces show the reality that individuals and families had to face in a collapsed world. Both of them reached the same objective by using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They both were devoted to show how people stand so helpless against massive violence caused by war and they are questioning how difficult it is to reach the goal of ‘returning home’ which could only be a vain hope.

      • KCI우수등재

        <김영철전(金英哲傳)>의 형상화 방식과 그 작가의식

        양승민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8

        KimYoungChulJeon(金英哲傳) is a novel written in Chinese language cre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novel has been known to be a work of Hong Se-Tae because it is found in『Yuhajib(柳下集)』of Hong Se-Tae(洪世泰: 1653~1725). However, another version of the original series that predates the one collected in『Yuhajib』was discovered. Such reveals the fact that KimYoungChulJeon gathered in『Yuhajib』is not the work of Hong Se-Tae but an abridged version of an preceded unidentified work. This thesis explores the literary qualities on this original series of KimYoungChulJeon. KimYoungChulJeon portrays the tragedy of the war that took place in 17th Century in East Asia. The hero, Kim Young-Chul, a commoner of Chosun(朝鮮), participates as a member of the Chosun-Myung(朝明) allied troop in the war against Chung(淸), a Chinese dynasty, and becomes a hostage of Chungs military. Though he manages living in China for 12 years as a hostage with two wives and four children, he escapes to Chosun leaving his family there. Later on in Chosun he remarries with children but many times again he is called on to the ongoing war against China. Even after the war is over, he still strives to survive in poverty with all the taxes he needs to pay up. In his late years, he is demeaned to lead a roving life, grieving for the wives and children he left in China, until he faces his death. Putting it in a simpler term, KimYoungChulJeon is a novel that depicts a commoners and his familys tragic life stories. But the novel, transcending an individuals unique life, embodies the general joys and sorrows of the populace of the time that encountered the East Asian war. It is a masterpiece of Chinese-language Korean novels that portrays the tragedy of the war in an immense scale. In addition, it stands on top of the realist novels in terms that it comprehensively represents the adverse situations that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were faced. Furthermore, through the novel, the author intended to fiercely criticize the reality of Chosun that brought such a tragedy at the time. The novel mercilessly tells that the hero Kim Young-Chul escaped to his country at the risk of his life only to be faced with the land of despair where he had to struggle with severe taxes and the continuing conscription to the war.

      • KCI등재

        문학 : <김영철전>의 등주 시절 스토리텔링

        권혁래 ( Hyeo Krae Kwon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김영철전>은 17세기 명나라 요녕성을 배경으로, 심하전투의 전쟁포로 출신 김영철(1599-1684)의 일생을 그린, 김응원 원작 소설이다. <김영철전>의 작가 김응원은 1625년부터 1631년까지 7년 간에 걸친 ‘건주 탈출 - 등주 정착 - 등주 탈출’의 긴 공간과 시간을 소략하게 묘사하였다. 작가는 작중 주인공 영철의 인생사를 바탕으로 영철의 등주 정착과 탈출 과정을 서술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시 사행록을 바탕으로 영철의 건주 탈출과 등주 정착 및 탈출을 구상하고 서술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필자는 이 논문에서 작품에 표현된 1625년부터 1631년까지의 ‘김영철의 건주 탈출, 등주에서의 결혼과 정착, 사행선을 통한 탈출 과정’을 좀 더 구체화하고 서사의 개연성을 부여해 스토리텔링함으로써 등주 서사를 좀 더 풍부하게 형상화하였다. 스토리텔링의 핵심은 공간과 시간, 서사의 관계를 긴밀하게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주 및 영원성, 등주 등 주요 공간 및 수천 리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구체화하고 시각적 표현을 강화하였다. 필자는 김영철의 노정과 등주에서의 생활, 탈출과정을 구체적으로 논함으로써 작품의 개연성을 평가하고, 작가의 상상력에서 빈약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하였다. 또한 노정을 재구하여 지도와 사진으로 시각화하였으며, 공간과 시간의 흐름이 어떻게 서사와 맞아떨어지는지 분석하였다.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점은 등주 서사의 한계다. 하지만 현실세계와 개연성에 바탕하여 작품을 기획하고 설계한 작가의 상상력은 교묘하다. 무엇보다 1630년의 정두원의 사행에 맞춰 영철의 등주 탈출을 설정한것은 절묘했다. On a background of Liaoning Province(遼寧省) , Ming, 1619, Kim Youngchul Jeon is a novel writing about Kim Youngchul``s life who was from war prisoner of Simha Battle. Writer gave more shape to ``Kim Youngchul``s Jianzhou(建州) escape, marrying and settlement in Dengzhou(登州), escaping course through ambassador, which was expressed in the work and did storytelling through lending probability to story.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simply described the long time and space, escaping Jianzhou-settlement in Dengzhou-escaping Dengzhou. He might narrated Youngchul``s settlement and escaping course of Dengzhou based on the real life history of main character Youngchul. Writer evaluated the probability of the work and supplied weak part in his imagination through discussing Kim Youngchul``s journey course, life in Dengzhou, and escaping course specifically. Analyzing the journey course, he visualized the course to maps and photos and analyzed how the flow of time and space matches the event. Through these, he did storytelling the way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designed and wrote the novel. Writer found out the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is special with his imagination to designing and setting the work based on the real fact. Above all, it was great to set Youngchul``s Dengzhou escape with Jung Dowyun``s ambassador. However, there is a limit of Dengzhou narration with shortage in details. So storytelling through improving details and visual materials, writer embodied the time Kim Youngchul settled in Dengzhou more richly.

      • KCI등재

        조선후기 전란 제재 소설에 그려진 북부지방의 표상

        권혁래 ( Kwon Hyeok-rae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2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전란을 제재로 한 조선후기 소설 <임진록>, <임경업전>, <박씨전>, <김영철전>, <신미록>에 그려진 한반도 북부지방의 주요 장소를 파악하고, 장소의 경관과 인물의 활동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표상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위 작품들에서는 평양, 의주, 황주, 정주성, 영유현, 자모산성 등이 주요 장소로 부각되었다. 인물들의 이동경로에서는 의주대로로 불리는 ‘한양-개성-평양-의주’ 구간 거점 도시들의 이름과 경관이 반복적으로 노출되었다. 필자는 소설 작품에 그려진 주요 장소와 인물의 이동경로를 다섯 장의 문학지도에 표현하였다. 개별 작품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의 초기 전투를 제재로 한 <임진록> 앞부분에는 무기력하게 후퇴를 거듭하는 선조의 어가 행렬과, 유성룡과 무신들이 함경·평안도의 지역민들을 모아 왜군에게 반격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주요 장소로는 ‘선조의 피난 노정’과 함께 벽제, 송도, 금천, 황주, 평양, 박천, 선천, 의주에 이르는 군사적 거점 도시들의 경관이 비중 있게 그려졌으며, 평양성 전투의 승리와 함께 ‘평양성’이 주요 장소로 부각되었다. 연관 장소로는 한양, 안주, 순안, 금강산 유점사, 회령, 함흥, 황해도 동선령, 중국의 봉황성 등이 그려졌다. 임란 초기의 절대적 약세를 이기고 왜적을 패퇴시킨 무신과 지역민, 의병, 승병의 활약을 통하여 북부지방은 ‘국가수호 최후의 보루’로 표상화되었다. 둘째, 후금 및 청나라와의 전쟁을 주요 제재로 한 <김영철전>, <임경업전>, <박씨전>, <최척전>에서 북부지방은 평양과 의주가 주요 장소로 부각되며, 영유현, 창성, 석다산, 자모산성, 안주, 삭주 등의 지명이 등장하였다. <임경업전>에서 의주는 ‘호국의 도시’로 표상화되고, 임진강, 청석령, 동선령, 황주, 평양에 이르는 길과 명승지들은 볼모로 끌려가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눈을 통해 처연한 경관으로 묘사되었다. <김영철전>의 영유현과 자모산성은 ‘적막하고 고단한 삶의 터전’으로, <최척전>의 삭주와 <박씨전>의 평양은 ‘학정과 수탈의 도시’로 표상화되었다. 셋째, <신미록>에는 정주성 전투 장면을 중심으로 모반하는 서북인, 이에 맞서는 순무중군 및 의주 의병장이 표상화되었다. 주요 장소는 정주성이고, 홍경래 군이 휩쓸고 지나간 지역으로 가산, 곽산, 태천, 철산, 선천, 용천, 함종 등이 그려졌다. 작가는 홍경래군의 불칙함과 저돌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정주를 비롯한 서북 지역을 ‘반역의 성읍’으로, 김견신, 허항과 같은 의병장들의 발언과 활약을 부각시킴으로써 의주를 다시 한 번 ‘호국의 도시’로 표상화하였다. <임진록>에서 ‘국가수호 최후의 보루’로 표상화되었던 관서 지방이 1861년 <신미록>에서 ‘반역의 성읍’으로 변모되었다는 것은 문학지리학적 면에서 의미심장한 발견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spect of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region drawn in the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mjin rok, Lim Kyung-eop jeon, Pak-ssi jeon, Kim Young-chul jeon, Sinmi rok. The places drawn in the Kyeongpan-bon of Imjin rok, are Pyongyang, Anju, Sun-an, Mt. Kumgang, Hoiryeong, and Hamheung. The writer portrayed the region as a “longevity of loyalty”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northern area people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Lim Kyung-eop jeon, Pak-ssi jeon, Kim Young-chul jeon, the hard-line view of north Korean region people who were invaded by Qing military forces was drawn. The main places were Pyongyang city, Euju city, Yeong-yu city, Jamosanseong hill fort. In Sinmi rok, scenes of Jeongju castle’s battle, rebellion of people in the north, and soldiers of Euju city were drawn. The main place of Sinmi rok is Jeongju castle, and related places are Kwaksan city, Taecheon city, Cheolsan city etc. The writer of Shinmi rok shaped this area as a “rebellious area”. As a whole, the major places on the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re Pyeongyang city, Euju city, Hwangju city, Jeongju city, Yeong-yu city etc. 'Euju-daero(Euju Big Road) repeatedly appeared in variou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