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소진 문학의 기원과 분단문학의 문화사적 전환

        임유경 ( Lim Y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의 목적은 김소진 문학의 중요한 토대가 된 자전적 경험의 의미와 작가가 가졌던 글쓰기의 욕망을 탐문함으로써 그의 작품들이 자기 소설의 기원을 탐색하는 수행적 글쓰기이자 분단문학의 전환을 보여주는 한 징후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은 김소진의 소설과 산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가가 아버지를 매개로 자신의 문학적 기원을 형성해나가던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개인사적 맥락에서 소설 창작행위가 가졌던 의미를 살펴보는 한편, ‘분단문학’이라는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김소진의 작품이 갖는 위상과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김소진의 작품들은 그가 당시 작가로서 대면하고 있던 창작상의 고민과 이를 둘러싸고 있던 문제적 상황들을 보여주는 알레고리로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간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던 김소진의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990년대에 창작활동을 시작한 김소진은 ‘자전적 경험’(자전적 소설)과 ‘현장 취재’(취재형 소설)에 기반을 둔 작품들을 창작하며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해나간 바 있다. 이때 두 경향은 작가의 특정한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에 착목하여 김소진의 작품을 분석하는 일은 ‘기자’이면서 소설가가 되고자 했고, ‘소설가’로서 기자의 소임에 대해 생각했던 작가 김소진이 어떠한 문학적 지향에 기반을 두고 글쓰기를 지속해나갔는지를 규명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나아가 이는 김소진의 소설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분단문학의 계보 안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김소진의 출현이 문화사적 전환의 한 징후로서 독해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the creative methodology of realism, which have become the important foundation of Kim So-jin’s literature, to demonstrate that his works can be re-read as meta-fic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Kim So-jin’s novels and prose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literary origin through his father,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novel writing in his pers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ortance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s works need to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shows the problems he faced as a novelist and various related situations. This attemp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Kim So-jin’s works, which were treated individually in different contexts. In other words, Kim So-jin, who started his career in the 1990s, has formed his own unique literary world by creating works based o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utobiographical fiction) and field work (journalistic fiction). In this manner, the two different trend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at they had a common reflection of the author’s literary interests. Analyzing Kim So-jin’s work on this basis will be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literary orientation of Kim So-jin as a journalist who wanted to become a novelist and also a novelist who thought about journalist’s rol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is attempt illuminates the literary meaning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division literatu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Kim So-jin’s appearance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transi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90s.

      • KCI등재

        김소진 엽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최재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김소진(1963-1997)은 1991년 29세의 나이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쥐잡기」로 등단하여 6년 동안 작품을 발표한 후, 소설가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가던 시기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다. 김소진은 전업작가로서 생전에 엽편소설을 많이 썼다. 그에게 있어 엽편소설을 쓴다는 것은 단지 일회적으로 쉽게 읽고 잊혀지는 소설 창작을 넘어서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밑그림으로서의 구상이면서, 촌철살인 같은 느낌을 담은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창작한다는 의미가 함께 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쓴 엽편소설의 장르를 확장해 인물을 추가하고 사건을 재구하여, 주제를 강화하거나 새롭게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창작 방법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확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가가 애착을 가지고 선택한 엽편소설의 제재나 소재들을 버리지 않고 문학적 완결성이 높은 작품으로 재구해 나갔다는 것은 김소진의 독특한 소설 창작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작가는 사소한 이야기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엽편소설의 경구나 교훈, 아이러니나 풍자, 해학을 넘어서는 어떤 웅숭깊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엽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와 단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 1」의 비교, 엽편소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와 미완의 유고 소설 「내 마음의 세렌게티」를 비교하여 그가 엽편소설을 단편소설로 재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단편소설 속에 대조적인 등장인물을 창조하여 인물들 사이의 갈등을 조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세태를 반영하고 쓴 웃음 속에 현실을 잊게 하는 엽편소설의 평면적 주제가 단편소설에서는 인간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존재인지, 인간의 다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심화된다. 엽편소설과 제재는 동일하나 밀도 있는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구성, 새로운 사건의 발생과 위기를 예상하게 하는 긴장과 암시 등이 확장된 소설 형식 속에 나타난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가 치열한 경쟁의 세계를 희화적으로 그리며, 유머러스한 결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웃음을 통해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게 한다면, 「내 마음의 세렌게티」의 주제는 보다 심도 있게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주 인물인 최기석의 유서를 통해 보여주는‘나는 똥이다’는 글은 김소진 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똥’에 대한 작가의식, 작가의 소설 쓰기의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은 엽편소설에 사용된 인물, 배경, 소재와 제재 등을 단편소설 혹은 중․ 장편 소설에 사용하면서 자신이 의도한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키는 소설 창작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change and the spread in the sense of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address are 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 extens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to a short story. It is also examined how significant this kind of writing method means to Kim, So-Jin’s literature. Kim So-Jin shows his writing method by enlarging his Yuppyun-Sosul; he adds more characters and reconstruct the incidents of the story to strengthen the theme or to develop a new storyline. He became a prolific writer of Yuppyun-Sosul due to economic reasons. Nevertheless, for him, Yuppyun-Sosul meant more than a mere short-short story. It was a completion of a creation, as well as a firm footing for further creations. Kim, So-Jin’s writing method is very unique in a way that he does not forsake the topics and materials of his Yuppyun-Sosul, where he could not expand the topics nor could develop the story due to page restriction, and uses those materials to reconstruct a more highly-integrated literature. In other words, he strives to bring the story to life by caring about every single thing and to create something deep that is far beyond Yuppyun-Sosul’s message, irony, satire, and humor. Hence, looking at the new story creat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is to discover a clue of the author’s innermost method of creation. Comparing Kim, So-Jin’s Yuppyun-Sosul 「The man on the roof」 and the short story 「The man on the roof 1」, Yuppyun-Sosul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and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Serengeti in my heart」, it is analyzed that Kim So-Jin creates contrasting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to build the conflicts. By doing so, he thoroughly presents his ideas. The banal themes of Yuppyun-Sosul (reflections and satires of the social conditions) no longer exist in his short stories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 topics of Kim, So-Jin’s short stories are from his Yuppyun-Sosul, short stories contain more organized storyline and character compositions, along with tension and foreshadowing of outbreak and crisis of incidents. For instance,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burlesquely expresses the world of fierce competition and humorously conclude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leave the optimistic feeling. Compared to that, 「Serengeti in my heart」 embodies the author’s intended purpose more profoundly. Above all things, it is very important how Kim So-Jin reveals the meaning of writing as an author by showing the will of the main character, Choi, Kee- Suk.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Kim So-Jin uses unique techniques or formats to capture a slice of life in her Yuppyun-Sosul, and reuses the topics and materials in his short stories to intensify and enlarge the themes and lessons that he wants to expres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김소진 엽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최재선 ( Jae S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김소진(1963-1997)은 1991년 29세의 나이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쥐잡기」로 등단하여 6년 동안 작품을 발표한 후, 소설가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가던 시기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다. 김소진은 전업작가로서 생전에 엽편소설을 많이 썼다. 그에게 있어 엽편소설을 쓴다는 것은 단지 일회적으로 쉽게 읽고 잊혀지는 소설 창작을 넘어서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밑그림으로서의 구상이면서, 촌철살인 같은 느낌을 담은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창작한다는 의미가 함께 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쓴 엽편소설의 장르를 확장해 인물을 추가하고 사건을 재구하여, 주제를 강화하거나 새롭게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창작 방법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확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가가 애착을 가지고 선택한 엽편소설의 제재나 소재들을 버리지 않고 문학적 완결성이 높은 작품으로 재구해 나갔다는 것은 김소진의 독특한 소설 창작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작가는 사소한 이야기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엽편소설의 경구나 교훈, 아이러니나 풍자, 해학을 넘어서는 어떤 웅숭깊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엽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와 단편소설 「지붕위의 남자 1」의 비교, 엽편소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와 미완의 유고 소설 「내 마음의 세렌게티」를 비교하여 그가 엽편소설을 단편소설로 재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단편소설 속에 대조적인 등장인 물을 창조하여 인물들 사이의 갈등을 조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세태를 반영하고 쓴웃음 속에 현실을 잊게 하는 엽편소설의 평면적 주제가 단편소설에서는 인간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존재인지, 인간의 다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심화된다. 엽편소설과 제재는 동일하나 밀도 있는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구성, 새로운 사건의 발생과 위기를 예상하게 하는 긴장과 암시 등이 확장된 소설 형식 속에 나타난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가 치열한 경쟁의 세계를 희화적으로 그리며, 유머러스한 결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웃음을 통해 상황을 낙관 적으로 보게 한다면, 「내 마음의 세렌게티」의 주제는 보다 심도 있게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주 인물인 최기석의 유서를 통해 보여주는‘나는 똥이다’는 글은 김소진 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똥’에 대한 작가의식, 작가의 소설 쓰기의 의 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은 엽편소설에 사용된 인물, 배경, 소재와 제재 등을 단편소설 혹은 중ㆍ장편 소설에 사용하면서 자신이 의도한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키는 소설 창작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change and the spread in the sense of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address are 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 extens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to a short story. It is also examined how significant this kind of writing method means to Kim, So-Jin’s literature. Kim So-Jin shows his writing method by enlarging his Yuppyun-Sosul; he adds more characters and reconstruct the incidents of the story to strengthen the theme or to develop a new storyline. He became a prolific writer of Yuppyun-Sosul due to economic reasons. Nevertheless, for him, Yuppyun-Sosul meant more than a mere short-short story. It was a completion of a creation, as well as a firm footing for further creations. Kim, So-Jin`s writing method is very unique in a way that he does not forsake the topics and materials of his Yuppyun-Sosul, where he could not expand the topics nor could develop the story due to page restriction, and uses those materials to reconstruct a more highly-integrated literature. In other words, he strives to bring the story to life by caring about every single thing and to create something deep that is far beyond Yuppyun-Sosul’s message, irony, satire, and humor. Hence, looking at the new story creat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is to discover a clue of the author’s innermost method of creation. Comparing Kim, So-Jin`s Yuppyun-Sosul 「The man on the roof」 and the short story 「The man on the roof 1」, Yuppyun-Sosul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and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Serengeti in my heart」, it is analyzed that Kim So-Jin creates contrasting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to build the conflicts. By doing so, he thoroughly presents his ideas. The banal themes of Yuppyun-Sosul (reflections and satires of the social conditions) no longer exist in his short stories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 topics of Kim, So-Jin`s short stories are from his Yuppyun-Sosul, short stories contain more organized storyline and character compositions, along with tension and foreshadowing of outbreak and crisis of incidents. For instance,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burlesquely expresses the world of fierce competition and humorously conclude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leave the optimistic feeling. Compared to that, 「Serengeti in my heart」 embodies the author`s intended purpose more profoundly. Above all things, it is very important how Kim So-Jin reveals the meaning of writing as an author by showing the will of the main character, Choi, Kee- Suk.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Kim So-Jin uses unique techniques or formats to capture a slice of life in her Yuppyun-Sosul, and reuses the topics and materials in his short stories to intensify and enlarge the themes and lessons that he wants to expres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韓國史思想)(文學) : 김소진 엽편소설 연구

        최재선 ( Jae S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이 글에서는 김소진 사후에 출간된 짧은 소설집 『달팽이 사랑』에 실린 34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의 주제와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짧은 소설은 소설 분류 방식에 따라 ‘엽편소설’이란 명칭으로 정의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김소진이 창작한 엽편소설의 특징은 유머와 위트, 아이러니와 극적 반전을 사용하여, 삶을 긍정하고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하며, 냉혹하고 부조리한 현실과 인정세태를 비판한다. 또한 우화적 구성과 긍정적 결말 구조를 사용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와 덕목을 교훈하고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소설 속 인물들이 사랑을 회복하고 세상과 화해하게 한다. 김소진은 엽편소설을 통해 아무도 시선을 주지 않는 평범한 삶 속에 담긴 이야기나 사소한 갈등, 작은 담론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다. 엽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면 작은 모티프에 그쳤을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관심과 의식을 통해 선명하게 부각되고 작가 특유의 유머와 긍정적 시선을 통해 생동감 있게 살아난다. 결국 다양한 인간 군상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그의 엽편소설을 재미있고 감동있는 서사물로 만드는 원천이 된다. 김소진은 소설 플롯 구성이 자유롭고 간결하며 압축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엽편소설의 특징에 맞게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설적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김소진이 엽편소설을 통해 보여준 작가의식과 소설 주제를 형상화하는 방식은 김소진 문학의 일반적 특징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의 문학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엽편소설 전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theses,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m in the collection of short-short stories, Love of Snail, which was consisted of 34 Short-short stories of Kim, So-Jin, who died of cancer in 1997. I categorized short-short stories a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according by the type of story, and summarized the concept and features. Especially I classified Kim, So-Jin`s Short-short stories as four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mes and novel technic which give concrete shape to themes. Firstly, he usually described the agonies and sufferings of ordinary lives of common people, middle and low class in our society with the novel technic of humors and wits. He didn`t lose the positive attitude of lives even though the life was very hard and painful for the present. Secondly, his short-short stories were perfect pictures of our private and social life. He recognized the life conditions of human beings as vulgar reality. So he used irony and dramatic reversal in his short-short stories to describe the absurd and illogical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Thirdly, Kim, So-Jin used beast fables to give persons wisdom and moral lessons in his Short-short stories. This novel technic was very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describe various situations of human beings in the limited space and to give a strong impact by dint of the dialogues and actions of beast to sneer at the stupidity of man. Fourthly, in general, he wrote his novels with positive mind. Though the reality of human beings was very severe and harsh,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solved various problems with the empathetic understandings each other. So they recovered love and reconciled with world which gave them conflict. Kim, So-Jin used such novel technic of short-short stories effectively to express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to describe themes of novels. As these characteristics of novel technic in his short-short stories are related to those of his full-length novel and short sto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all his short-short stories for more deep understand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 KCI등재

        상처받은 애착과 적대의 이동 : 김소진을 중심으로

        이소영 ( Lee So-y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5 No.-

        이 글은 국가보안법이 분단문학에서 좌익2세 작가들이 아버지를 형상화하는 수준을 결정짓는 기율로서 기능해왔다는 전제 하에 87년 체제의 성립과 국가보안법의 개정이 문학(화)장에 야기한 파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는 분단문학에서 아버지와 아들 중심의 관계가 더 이상 의미있는 소재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소진이 「쥐잡기」를 통해 분단문학의 계보를 이어나갔다는 점에 주목하게끔 한다. 김소진에 이르러 분단문학은 비로소 ‘아버지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이 아니라 끊임없이 아버지를 재현하는 아들, 즉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김소진이 86세대라는 사실은 그의 문학이 수행했던 기억/문학의 정치성이 정체성 정치와 연동되어 있음을 짐작하게끔 한다. 87년 체제를 단순히 경제적 · 법률적 · 이데올로기적 · 공식적 제도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 비공식적 · 사적인 제도, 관계, 정체성, 의미 관계 일체를 포함하는 시스템(system)으로 간주할 때, 87년 체제의 한 요소이자 분단문학의 기율인 국가보안법이 86세대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특정한 기억/문학의 정치성을 발휘했던 양상은 그 자체로 87년 체제의 단면을 보여주는 역동적인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드라마는 ‘정동(affect)’의 차원에서 제대로 포착 가능하다. 김소진 소설에서 ‘나’는 주로 상처받은 운동권으로 그려지는데, 그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라는 ‘적대(antagonism)’의 상실을 아버지에 대한 애착으로 보상받고자 한다. 그러나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아버지를 부정했던 상처를 환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처받은 애착(wounded attachment)’은 그 대상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아버지의 누구도 탓할 수 없는 ‘원한(ressentiment)’과 구별된다. ‘나’는 아버지의 원한에 의해 구조화된 정체성 정치의 무력함과 거리를 두고자 하지만, 종종 아버지에게 감정 이입하면서 아버지처럼 나보다 연약한 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가해자가 되어버린다. 한편, 아버지는 동시에 법의 영역에서 초연한 존재로 그려지는데, 이는 더 이상 ‘적’이 아닌 아버지가 다시 분단문학의 서사에 기입되기 위해서 취해야 했던 전략을 드러낸다. 그것은 바로 문학적인 것에 대한 단념이었다. 결국 김소진의 상처받은 애착은 적대의 자리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그의 소설에서 정작 적대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것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이다. 이는 김소진의 의도와 무관하게 1990년대 문학(화)장에서 적대의 대상이 이동하고 있던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김소진의 텍스트는, 적대의 위치에 머무르고 싶었으나 이미 대결자로 편입된 아버지와 대결자가 되고 싶었으나 여전히 적대로서 여겨졌던 여성의 섹슈얼리티 사이의 쟁투를 축약해서 보여주는 장소이다. 사라진 적대에 대한 상처받은 애착이 적대와 경합의 엇갈린 공존을 만들어낸 것이다. This treatise attempts to examine the ripples crea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1987 and the revision of the Nation Security Act and their impact on the literature landscape, on the premise that the Nation Security Act has functioned as the order that determines the degree in which second generation left-wing writers embody their fathers in division literature. This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even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was no longer a meaningful topic in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 persisted with the genealogy of division literature through his “Catch a Rat.” It is with Kim So-jin’s arrival that divisional literature ultimately turns into the question of “who I am” as the son that continuously reproduces the father, not the question of “who the father is.” That being noted, the fact that Kim So-jin is a member of the 86 generation allows us to conjecture that the politics of memory and literature having been performed by his literary landscape is indeed linked to identity politics. When the system in 1987 is deemed to be the system encompassing the entirety of sociocultural, informal, and private institutions, relationships, identity, and semantic relationships, not merely an economic, legal, ideological, or formal institution; it is then that the aspect of the Nation Security Act―the constituent of the system in 1987 and the discipline of divisional literature―, which demonstrated the politics of specific memories and literature while being closely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the 86 generation, is rendered a dynamic drama showcasing a cross section of the system. Furthermore, the drama can be properly captured from the dimension of “affect.” In Kim So-jin’s novel, the protagonist “I” is mainly portrayed as a wounded activist, and he seeks to be compensated for the loss of “antagonism,” a socialist ideology, with his attachment to his father. However, his attachment would evoke the wounds that denied his father. His “wounded attachment,” being specifically directed toward his targets, is to be distinguished from “ressentiment” of his father who could not blame anyone. The protagonist “I” intends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powerlessness of identity politics structured by his father’s resentment, but he would often find himself sympathizing with his father to become the same perpetrator who wounds the weak. On another note, the father is simultaneously portrayed as an unprecedented being in the realm of law, and this is to reveal his strategy that he, who is no longer deemed an “enemy,” had to take in order to be re-written in the narrative of divisional literature―his renunciation of the literature. Ultimately, Kim So-jin’s wounded attachment is towards the position of antagonism. Interestingly, however, what is indeed portrayed as the object of antagonism in Kim So-jin’s novel is women’s sexuality, perhaps indicating the object of antagonism in the literary landscape in the 1990s trending toward elsewhere, regardless of his intention. Therefore, Kim So-jin’s text summarizes to illustrate the struggle between the father who had been incorporated as a confronter even while not seeking to give up the position of antagonism, and the sexuality of a woman who sought to become a confronter but still was regarded as antagonism. The wounded attachment to antagonism in absence engendered the mixed coexistence of antagonism and agonistic.

      • KCI등재

        김소진 엽편소설 연구

        최재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In this theses,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m in the collection of short-short stories, Love of Snail, which was consisted of 34 Short-short stories of Kim, So-Jin, who died of cancer in 1997. I categorized short-short stories a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according by the type of story, and summarized the concept and features. Especially I classified Kim, So-Jin’s Short-short stories as four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mes and novel technic which give concrete shape to themes. Firstly, he usually described the agonies and sufferings of ordinary lives of common people, middle and low class in our society with the novel technic of humors and wits. He didn’t lose the positive attitude of lives even though the life was very hard and painful for the present. Secondly, his short-short stories were perfect pictures of our private and social life. He recognized the life conditions of human beings as vulgar reality. So he used irony and dramatic reversal in his short-short stories to describe the absurd and illogical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Thirdly, Kim, So-Jin used beast fables to give persons wisdom and moral lessons in his Short-short stories. This novel technic was very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describe various situations of human beings in the limited space and to give a strong impact by dint of the dialogues and actions of beast to sneer at the stupidity of man. Fourthly, in general, he wrote his novels with positive mind. Though the reality of human beings was very severe and harsh,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solved various problems with the empathetic understandings each other. So they recovered love and reconciled with world which gave them conflict. Kim, So-Jin used such novel technic of short-short stories effectively to express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to describe themes of novels. As these characteristics of novel technic in his short-short stories are related to those of his full-length novel and short sto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all his short-short stories for more deep understand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이 글에서는 김소진 사후에 출간된 짧은 소설집 『달팽이 사랑』에 실린 34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의 주제와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짧은 소설은 소설 분류 방식에 따라 ‘엽편소설’이란 명칭으로 정의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김소진이 창작한 엽편소설의 특징은 유머와 위트, 아이러니와 극적 반전을 사용하여, 삶을 긍정하고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하며, 냉혹하고 부조리한 현실과 인정세태를 비판한다. 또한 우화적 구성과 긍정적 결말 구조를 사용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와 덕목을 교훈하고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소설 속 인물들이 사랑을 회복하고 세상과 화해하게 한다. 김소진은 엽편소설을 통해 아무도 시선을 주지 않는 평범한 삶 속에 담긴 이야기나 사소한 갈등, 작은 담론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다. 엽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면 작은 모티프에 그쳤을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관심과 의식을 통해 선명하게 부각되고 작가 특유의 유머와 긍정적 시선을 통해 생동감 있게 살아난다. 결국 다양한 인간 군상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그의 엽편소설을 재미있고 감동있는 서사물로 만드는 원천이 된다. 김소진은 소설 플롯 구성이 자유롭고 간결하며 압축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엽편소설의 특징에 맞게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설적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김소진이 엽편소설을 통해 보여준 작가의식과 소설 주제를 형상화하는 방식은 김소진 문학의 일반적 특징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의 문학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엽편소설 전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소설적 기법, 장치, 인물의 심리를 중심으로

        표란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Kim So Jin is considered as a very excellent author who writes about a critical mind of the society. He promotes his literary works above the boiling point. Of his works, 「Cheo Yong Dan Jang」 is distinguished by novelistic features. This study develops discussions about 「Cheo Yong Dan Jang」 by Kim So Jin that focus on novelistic techniques, devices and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In the novelistic techniques, this study looks into a mastery of his words, which is high evaluated. His novels have sens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s. Especially in the 「Cheo Yong Dan Jang」, Kim So Jin shows outstanding choices of literature words. The unacquainted words refresh us but they are friendly and affectionate. Their meaning seems uncertain but natural in whole contexts. Therefore the meanings of words are approached by not aspects of recognition but definition. He doesn't say acquainted words but makes very unique and friendly expressions. In novelistic devices, this study focuses on frame structures, dreamlike moods and parodies which made Kim So Jin's literary value advanced. He uses these three devices to show readers effective theme. In the psychology of characters,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s' personalities appeared in the 「Cheo Yong Dan Jang」. The main characters are Seo Yong Tae, Kweon Hee Jo and La Yun Mi and they make this novel colorful with other minor characters. The main characters are typed as stereoscopic ones. Their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re very obvious and closed. Three characters: Seo Yong Tae, Kweon Hee Jo and La Yun Mi are at the same line with Cheo Yong, the King Heon Kang, Kyo Sun ten thousands ago. These typical characteristics reveal relationships and personalities of some people in present time. The persons in the novel aren't limited on it and are regarded the same ones as someone outside in the novel. As the same time, the main characters in 「Cheo Yong Dan Jang」 have relationships inside or outside in frames and have something to do with other real persons who surround this novel. In other words, to the ultimate, they are connected with problems which the current intellectuals have. 「Cheo Yong Dan Jang」 by Kim So Jin shows what a real nirvana is in this time when everyone ignore denials and he encourage us to advance on it. All those things are significant for everyone who wants to be real intellectuals. 김소진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소설로 꾸미는데 탁월했던 작가로 평가 받아왔다. 대부분 작품들의 문학성을 비등점 위로 끌어올렸다. 「처용단장」은 그의 작품 중에서도 소설적 특징이 돋보인다. 본 연구는 김소진의 「처용단장」을 소설적 기법과 장치 그리고 인물의 심리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소설적 기법에서는 김소진이 우수한 평가를 받는 이유 중 하나인 언어구사력을 살펴보았다. 그의 소설은 감수성이 예민하고 묘사가 섬세함이 특징이다. 특히 「처용단장」은 단어의 선택이 탁월하다. 생소함이 참신한 느낌을 주지만 정겹고 친근하다. 의미 하나하나가 불확실해 보여도 문맥적으로 술술 넘어가게 만든다. 즉, 단어의 의미를 인식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이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익숙한 언어로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독특하면서도 정겨운 표현들을 구사하고 있다. 소설적 장치에서는 「처용단장」의 문학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장치들인 액자식 구성, 몽환적 분위기, 패러디기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이 세 가지 장치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인물의 심리에서는 「처용단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심리를 살펴보았다. 서영태, 권희조, 라윤미 이 세 인물로 집약되는 중심인물과 몇몇의 주변인물로 작품의 색깔을 다채롭게 꾸민다. 중심인물은 모두 입체적인 인물로 성격화 되었으며, 이들의 인과관계는 매우 분명하고 밀접하다. 서영태, 권희조, 라윤미 세 중심인물은 천 년 전의 처용, 헌강왕, 교선과 동일한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전형화 된 성격은 현실의 어떤 인물들의 관계와 성격을 고발하는 것이다. 소설 속의 인물은 소설 속에서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소설 밖의 어떤 인물과 동일시된다. 마찬가지로 「처용단장」의 주인공들은 액자 안팎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며, 이 소설을 둘러싼 현실의 어떤 계층 인물들과도 관련을 맺는다. 다시 말하면 궁극적으로 현실의 지식인들에 관련된 문제로 이어 진다. 김소진의 「처용단장」은 해탈이란 말로 모든 부정이 외면되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 진정한 해탈이란 무엇이며, 그 진정한 해탈을 향해 나아가기를 독려 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은 이 땅의 살아 있는 지식인이 되기를 바라는 모든 이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큼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김소진 소설 「자전거 도둑」의 아이러니 교육방안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권시연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8 No.-

        이 논문은 김소진의 소설 「자전거 도둑」을 대상으로 아이러니가 나타나 는 양상을 분석하고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아이러니 교육 단원 제재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김소진의 소설 「자전거 도둑」 속 아이러니를 살펴본 후,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아이러니 교육 단원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자전거 도둑」의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표면에서 드러나는 축자적 의미와 다른 의미를 그 안에 품고 있는 언어적 아이러니, 상반된 두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적 아이러니, 서사적 장치와 어우러져 형세의 반전을 수반하는 구조적 아이러니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이 제재를 활용한 아이러니 교육방안을 구상해 봄으로써 현행 아이러니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아이러니가 현대소설에서 중요한 수사기법임을 고려할 때 현대소설을 교육 제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현행 중학교 아이러니 교육의 문제점을 살피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김소진의 「자전거 도둑」을 대상으로 아이러니의 구현 양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후 교육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for educational application of irony as teaching unit materials by analyzing patterns of irony in the novel Bicycle Thief by So-Jin Kim.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ironies in the novel and searched for ways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can help tackle certain problems found in teaching unit materials in junior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irony teaching. The novel features a linguistic irony (where words deliver meaning different from their literal meaning), a situational irony (both ironical situations appear together), and a structural irony (a twist from a descriptive setting).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tackle the current issues involving teaching irony by applying those three ironies. Given that irony is an important rhetoric, it is certainly worth exploring ways to introduce modern novels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eaching irony. This study makes a considerable contribution in that it offers educational application based on a detailed analysis of irony patterns in Bicycle Thief by So-Jin Kim.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귀환, 현대소설의 가족 로맨스- 김원일과 김소진의 소설을 중심으로

        김한식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2 No.-

        Family is enlarged self and reduced society to son. In that sense, family novels are social novels, novels that deal with individual growth. The father tells the child the way to go, but it is not as positive but as negative. The person who breaks a harmonious family whose family is generally oriented is also mainly a father. In that sense, the Father is a being that must be absent or denied. First, the absent father makes the young son premature and easily compromises the deceased world. On the other hand, a father who deserves to be denied appears to be helpful to the family, because it is incompetent or ridiculous. As important as the absence of the father in relation to the birth of the novel, it was a denial of the existing father. It is because the destiny of the modern novel character was to overcome the incompetent and ruthless father and to find a new father. It is tied to an existing father while aiming for a new father, which creates tensions between individuals and reality and enables a complex perception of society. In this article, Kim Won-il's novel and Kim Sojin's novel. 아들에게 가족은 확대된 자아이며 축소된 사회이다. 그런 의미에서 가족소설은 개인의 성장을 다룬 소설이면서 사회소설이다. 아버지는 아이에게 가야 할 길을 알려주기는 하지만 그것은 긍정으로서가 아니라 부정으로서이다. 가족이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화목한 가정을 깨는 인물 역시 주로 아버지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버지는 부재하거나 부정되어야 할 존재이기도 하다. 우선 부재하는 아버지는 어린 아들을 조숙하게 만들어주고 속된 세상에 쉽게 타협하도록 만들어준다. 이에 반해 부정되어야 마땅한 아버지는 무능하거나 비루해서 차라리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인다. 소설의 탄생과 관련하여 부재하는 아버지만큼 중요한 것은 존재하는 아버지에 대한 부정이었다. 무능하고 비루한 아버지를 극복하고 새로운 아버지를 찾고자 하는 것이 현대소설 주인공의 운명이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아버지를 지향하면서도 존재하는 아버지에게 묶여 있는 상태, 그것이 개인과 현실의 긴장을 만들어내고 사회에 대한 복잡한 인식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글에서는 김원일의 소설과 김소진의 소설을 통해 가족소설과 시대의 문제를 다룬다. 부재하는 아버지든 부정되는 아버지든 그것은 단지 아버지의 개인적인 일탈을 넘어서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한다. 가족을 가난으로 이끈 ‘남로당’ 아버지나, 등록금으로 술을 먹은 비루한 아버지 모두 그가 살아온 시대의 이력을 몸 안에 각인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어떤 의미로든 아들에게 이른 성장을 강요했다는 점에서도 두 아버지의 역할은 비슷하다. 그러나 김원일과 김소진의 소설은 결국 화해로 결말을 맺는다. 김원일 소설에서 부재하는 아버지는 삼류 공산주의자에서 현실을 고민하는 지식인 사회주의자가 된다. 김소진 소설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어리석은 아버지는 시대의 파도에 치인 평범하고 인정 많은 아버지가 된다. 이처럼 우리 소설에서 가족 로맨스는 아버지를 부정하고 극복하는 데서 시작하지만 결국 아버지를 어떻게 이해하게 되는가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 KCI등재

        단절론적 세계의 복원과 선험적 논리학

        김민수(Kim, Minsu)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이 글은 소설가 김소진의 문학세계를 조망하여 1960년대 이후의 원체험을 가진 지식인이 1990년대에 이르러 나타난 현대성과 그 징후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문학세계가 지닌 의미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쓰여졌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소설이 원체험을 바탕으로 “삶의 총체적 서사”를 그려나가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그의 작품을 원체험의 세계, 현실세계, 가능세계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가 ‘밥풀때기’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려고 했던 것은 사회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그들을 역사의 일부로 해석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김소진은 지식인의 입장이면서도 원체험을 통해 그들을 닮아가는 과정에서 경계인에 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거대담론의 시대가 지났음을 확인한 그가 현실 세계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은 ‘살아간다’는 명제의 중요성을 인식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체험과 현실세계를 성공적으로 접합시켜 의미화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pands the mean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by examining this world and how intellectuals with original experiences since the 1960s responded to modernity and signs that appeared in the 1990s. Kim So-jin’s novels were based on the original experiences and are thought to draw “the total narrative of life.” We investigated his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following types: the world of original experience, the real world, and the possible world. Kim Sojin intended to emphasize “the rice grains” in society because he wanted to interpret them as a part of history, as people who still remain on the periphery of society. Kim So‐jin recognized that, because he was also an intellectual, he partly resembled them through his original experiences. Furthermore, he confirmed that the age of the grand discourse was over, and he showed his adaptation to the real world in hi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oposition of “living.”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he reached the signification by successfully connecting original experiences with the real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