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길 찾기 능력에 따른 도보 내비게이션의 환경요소에 대한 연구

        한아름(Han, Ahreum),손홍배(Son, Hongbae),연명흠(Yeoun, Myeongheum)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2

        도시공간의 대형화와 복잡화에 따라 길을 찾는 행위는 사전지식이 있는 경우 간단한 일이지만 아무런 정보가 없는 경우 매우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 도시공간의 다양한 랜드마크와 이정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공간에 익숙해지기 까지 길을 헤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보 내비게이션에 있어 필요한 지도의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문헌 조사를 통해 사람들의 길 찾기 능력에 따른 길 찾는 방법과 도시를 이루고 있는 환경요소를 파악하였다. 길 찾기 능력은 두 가지로 구분 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실제 도로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1차 조사와 길 찾기 능력에 따라 환경요소를 어떻게 제공할지 제안하기 위한 2차 조사를 진행하였다. 2번의 조사 결과 길 찾기 능력에 상관없이 방향회전에 대한 정보는 공통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길 찾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방향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건축적 이질화 요소를 포함한 건물 또는 높이가 높은 건물 중심으로 제공, 길 찾기 능력이 뛰어나지 못한 경우 교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점을 중심으로 제공해줘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길 찾기 능력에 따라 도시공간 및 환경 요소가 다르게 제공 된다면 사람들은 길 찾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As urban space become more complicate and being larg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ight way to one’s destination. Although there exists various landmarks and milestones, most people feel difficulty in being familiar with urban space.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inclinations of wayfinding ability. We took second research to suggest proper information depending on one’s wayfind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mmonly needed to provide information of rotating direction, regardless of wayfinding ability. In case a person who has good wayfinding ability, we should provide information focused on perceivable direction architecture difference components. Another case a person who dose not have good wayfinding ability, we have to provide information focused on landmarks those are located on the edge of the building. Also we expect that it will be more efficient if those components would be provided accordingly as one’s way-finding ability.

      • 모바일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도보 이용 시 이용자의 길 찾기 정보추구 행위에 관한 연구

        권현정(Hyeonjeong Gwon),이지연(Jiyeo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지도 애플리케이션 (이하 지도 앱)은 도보로 새로운 장소의 길을 찾아갈 때 큰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도보 상황에서 모바일 지도 앱을 활용하는 행태와 길 찾기 과업에서 참고한 정보 요소를 분석하여 지도 앱이 길 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였다. 지도 앱이 제공해야 할 정보요소로는 ‘1 층에 있는 상점 이름 정보’, ‘여러 갈래의 길이 있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 및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정보’, ‘골목길 정보’가 있었다. 지도 앱이 정보의 시각적인 표현 부분에서 신경 써야 할 점은 ‘역 출구나 버스 정류장 등의 랜드마크적인 요소’, ‘횡단보도나 육교의 색깔’. ‘인도와 차도의 구분’, ‘지하철 역 내 진입정보’ 등이 있었다. 또한 지도 앱이 직관적인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적지를 향한 방향성 정보’, ‘지도 화면의 회전 가능 정보’, ‘큰 길 우선 안내에 관한 정보’를 명확하게 명시해야 한다.

      • KCI등재

        CPTED를 위한 Way Finding 디자인 융복합 연구

        정유석(Jung, Yu Seok),김형준(Kim, Hyoung J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2012년 서울시에서 대표적으로 마포구 염리동 소금길 마을에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을 시행한 후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CPTED를 도입한 안전 주택단지 및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 중심으로 범죄발생 당시 즉각적인 도움을 주어 문제 상황에 해결법을 제시할 수 있는 정책은 아직까지 미흡하다. 신변을 보호받기 위해선 문제 장소에서 벗어나는 게 중요한데 안전한 장소로 가는 웨이파인딩(Way Finding)을 그 해결책으로 삼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대부분 익숙하고 잘 알고 있는 길을 정하여 그 길만 주로 다니려고 한다. 일상적인 활동양상 속에서는 매일 웨이파인딩의 문제점에 직면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죄학 학자 Lawrence Cohen과 Marcus Felson가 말한 일상활동이론(Routine Activity Theory)에서처럼 일상적 활동속에서 갑작스레 범죄의 위험성을 느끼고 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안전 영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의 인지능력은 급격히 감소하고 이 때 웨이파인딩의 문제점은 극대화된다. 지금까지 CPTED는 범죄의 실행 중이거나 실행의 우려가 있는 경우, 즉 범죄의 고의를 가지게 된 자의 범행의지를 꺾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범행의지를 불러일으키지 않게 하는 물리적 환경조건 조성에만 국한하지 않고 범행의지가 생겨난 이후 범죄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부분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범죄예방에 디자인적 요소의 융복합을 위해 범죄행위에 대한 회피방안으로써 웨이파인딩 디자인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현재 국내 CPTED 현황을 통해 범죄예방 웨이파인딩 디자인의 미흡함으로 인한 그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현 CPTED만으로는 범죄를 예방하기 어려우며, 예비 범죄피해자를 위해 현재의 위치파악, 안전지역으로 방향성 제시, 시인성 확보를 중점으로 범죄예방 웨이파인딩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After carrying out the pilot project of crime prevention design at Sogeumgil village, Yeomridong, Mapogu, Seoul in 2012, national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safe housing complex and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dopting CPTED.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for strategy of escaping criminal crisis to support victims promptly at the time of crime. In order to be guarded safety, it is important to escape the spot of crime, and we are making of the way finding to the safe place as a solution. People tend to go to and from mainly in the accustomed and well-known ways in everyday life. Within daily activity, it can hardly face the problem of way finding. On the contrary, just like the Routine Activity Theory of Lawrence Cohen and Marcus Felson, criminologist, when one feels the dangerous crime suddenly in routine activity, moves to the safe place or requests help, the human cognitive ability declines and the problem of way finding is maximized at that time. In case of committing crime or possibility of it, however, the CPTED has a limitation to prevent crime will of criminal.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ake physical condition not committing criminal will, but to have no more victims after criminal will. The research refers to the way finding for the convergence of crime prevention and design as shunning method against criminal act. The research also deduces its necessity because the way finding design is insufficient in present domestic CPTED condit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way finding design for the crime prevention that focuses on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for victim, directing to safe zone, and securing high visibility because the current CPTED has difficulty to the prevent crime.

      • 윤대녕 소설의 공간과 토포필리아(Topophilia)

        정현숙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5 강원문화연구 Vol.24 No.-

        윤대녕 소설에서 내면성 추구는 장소 즉 공간과 긴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윤대녕 소설은 돈황, 신촌, 광화문, 강릉, 속초, 동해, 울진 왕피천, 양양 남대천 등 구체적인 공간을 사실적으로 서술하는데, 이 물리적인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등장인물의 자의식으로 치환되는 심리적인 공간이다. 윤대녕 소설은 ‘지금, 여기’가 아니라, 저쪽 세계를 향해 끊임없이 이동하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그의 소설에서 주인공들은 걷거나 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구체적인 외적 세계를 지각하는데, 구체적인 공간과 공간 이동은 등장인물의 내적 세계와 직결되어 있다. 또한 윤내녕 소설은 자기 내면을 향한 영혼의 여정을 담아낸다. 내적 여정은 여자와의 사랑을 통해 또는 자기의 길을 찾음으로써 자기 구원에 이르는 관정을 서술한다. 그런데 그의 소설에서 여자와의 사랑은 소통 부재와 존재론적인 고독을 심화시키고, 길 찾기도 자의식의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다. 윤대녕 소설은 존재의 시원과 생명의 근원으로 향하는 본질적인 내면성 추구가 ‘동해’와 강원도 영동지역이라는 특정한 공간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삼척의 기곡천, 양야의 남대천, 동해는 존재의 시원에 대한 근원적인 부재의식인 동시에 생명의 본향을 향한 회유의 공간이며, 자기 존재의 심연을 확인하는 공간이다. ‘동해’‘강릉’‘속초’는 생명의 근원, 자기 존재의 본향으로 향하는 실존적인 공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pecific characteristic notion of space in Yoon Dae-Nyung's novels. Yoon Dae-Nyung is a unique writer who searches for the nature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through the notion of space and time. In his novel, a specific space reflects characters inner thoughts. For example, in 「Piano and Lily's dessert'」, the main character sought for his identity through a journey in Dong hwang dessert and in other novels, the characters sought for the meaning of one's existence through either wondering from place to place to place in Seoul or leaving the city. He present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a specific space and migration and characters inner world in his novels. He explores a soul and the root of life through the journey round, the dessert and the sea, leaving and coming. Also, Youngdong, the region of Kang-Won province such as Sokcho, Yangyang, Kangryung, Donghae, and Samchuk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cited locations. These places are to present to the source of one's life and existence. Namely, Youngdong holds an important meaning as Topophilia in his novels.

      • KCI등재

        윤동주 시의 공간과 시의식 연구

        김소정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egorize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o examine world perceptions and poetic consciousness projected within them. The perceptions of people occur from detailed experiences of subjects and they believe that the emotions and memories of subjects projected onto particular spaces are connected with a poetic consciousness regarding one’s self and the world. Space is always directed towards people and detailed analyses of people are valuable in that they reveal human imagination and awareness systems that exist within. Spaces that are cut off in the poetry of Yun Dong-ju are described as spaces that are cut off from the outside, in which no one but the narrator appears. In spaces such as “a well”, “a mirror”, and “a room”, only the narrator exists and others cannot be seen. In cut-off spaces where everything is blocked off, the subject establishes the narrator who is left alone, displaying shyness and a sense of alienation. However, instead of stopping there, a thorough process of self-reflection is experienced and this leads to mental maturity. Unlike universal emotions, open spaces such as “streets”, “hills”, and “stations” do not signify freedom but induce a form of tragic awareness and a drifting consciousness of the world.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life of the poet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acts as a reason for why the subject wanders, unable to stay in one place. Of spaces sele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there are spaces in which conflicting forms of poetic consciousness are expressed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to reveal the confused univers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public spaces and private spaces become mixed and desperate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towards ideal worlds regarding identical spaces merge, revealing a double consciousness. However, by passing through negative and desperate universal consciousness and revealing orientations towards spaces of reconciliation and a hopeful world, the strong will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a new world” can be verified. 이 논문의 목적은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을 유형화하고 그 속에 투영된 시인의 세계인식과 시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간의 인식은 대상에 대한 구체적 경험에서 발생하며 특정 공간에 투사된 주체의 정서와 기억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시인의 의식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공간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있고 공간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상상력과 의식체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윤동주 시에서 단절된 공간은 화자 이외에는 아무도 등장하지 않는, 외부 세계와 차단된 공간으로 묘사된다. “우물”과 “거울”, “방” 등의 공간에는 화자만이 존재할 뿐 타자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사방이 막힌 단절된 공간에서 주체는 홀로 된 화자를 설정하여 부끄러움과 소외의식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철저한 자기 성찰의 과정을 거쳐 정신적 성숙과 삶에의 의지를 다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보편적 정서와 달리 “거리”, “언덕”, “정거장” 등 개방된 공간들은 자유로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과 표류의식을 유발하고 있다. 그것은 시인의 삶과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주체로 하여금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윤동주 시에 선택된 공간 중에는 상황에 따라 상반된 시의식이 표출되어 주체의 혼란한 세계인식을 보여주는 공간들이 있다.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혼용되기도 하고 동일한 공간에 대해 절망적 인식과 이상세계로의 지향이 어우러져 이중적 의식이 드러난다. 그러나 부정적이고 절망적인 세계인식을 거쳐 화해로운 공간과 희망적 세계에 대한 지향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길”을 모색해 보려는 주체의 강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한 공공건물 내부 길 찾기 용이성 연구 - 중국 내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

        장윤호,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Sinc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profoundly impacted the domains of spatial digitization and spatial cognition.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public buildings and libraries, wher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in emergency evacuations play a critical role. Although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the world, their evacuation structures'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reflected, leading to fire safety issu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of Chi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lens of Space Syntax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yfinding behavior. Moreover, by comparing libraries from different construction period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patial functionality and wayfinding convenience of public libraries over time. (Method)The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relevant variables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ior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standards of first-class libraries in China, Dongguan Library in Guangdong Province, Jinling Library, Nanjing Library, Dongtai Library, and Shanghai Libra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 data obtained through DepthMapX and VGA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vealing the impact of spatial structure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on wayfinding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Results)The elements of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as ease-of-wayfinding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paces. Analysis of cases over time showed that public libraries built after 2010, compared to those built before 2010,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This suggests easier wayfinding and enhanced spatial understanding.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ildren's areas, disabled loan rooms, and comprehensive service desks on the ground floor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However, spaces with relatively fixed functions like public e-reading rooms, study areas, book and magazine lending zones, and offic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se aspect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spatial digitization by capturing th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spaces and providing quantitative public space data for design methods influenced by data technology. Additionally, to enhance wayfinding convenience in public library spaces, it aims to identify core elements applicable as design factors in public libraries and proposes guidelines for wayfinding convenience. This meaningful attempt is hop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data-driven design support in public building wayfinding convenience. (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빅 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정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공간 데이터화와 공간 인식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공공건물, 공공도서관에서는 비상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대피에 관한 공간의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에는 세계 최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하지만 대피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소방안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길 찾기 행동 이론에 기반 한 중국 공공 도서관의 공간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시기에 따른 비교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과 길 찾기의 용이성에 대한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공공 도서관에 대한 중국1급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광둥성(廣東省), 장쑤성(江蘇省), 상하이시(上海市) 세 지역의 동관(東莞)도서관, 금릉(金陵)도서관, 난징(南京)도서관, 동대(東台)도서관 및 상하이(上海)도서관동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간 구문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DepthMapX와 VGA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 대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길 찾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라는 길 찾기 용이성의 요소는 공공 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순서로 사례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지어진 공공도서관의 경우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도서관에 비해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길 찾기가 더욱 용이해진 것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인 어린이, 장애인용 대출실, 종합 서비스 데스크가 위치한 1층 공간은 구조의 명료도와 시각적 접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공공 전자 열람실, 자습실, 도서, 잡지 대여구역 및 업무 사무실 등 상대적으로 고정된 기능을 가진 공간은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간 데이터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 공간의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정량화된 공공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또한, 공공도서관 공간에서 길 찾기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공공도서관 설계 요소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여 길 찾기 용이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는 향후 데이터화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건물의 길 찾기 용이성 설계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증강 현실 기반 길 찾기 서비스 개발 연구

        고혜연(Hye Yeon Ko),서희원(Heewon Seo),신유민(Yumin Shin),유일선(Ilsun Rhiu)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스마트폰이 보급되며 일상에서 새로운 장소를 찾아가는 과정이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길 찾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전하고, 사용자들의 니즈를 기반으로 개선이 거듭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데 문제가 있으며, 이를 보다 직관적으로 표출하여 사용경험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길 찾기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총 61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10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총 10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행동 패턴 매핑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길 찾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3 가지 사용자 페르소나를 도출하였으며, 고객여정지도를 통해 개선된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 및 사용자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용자 요구사항들을 바탕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수행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3 가지 중점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길 찾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개선된 서비스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여 추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이 성인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정성욱(Sung-Wook Jung),김흥열(Heung-Yeol Kim),김택훈(Tack-H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 진단을 받은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에 서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을 일주일에 3회씩 2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동작수행 능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와 기능적 독립 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도를 사용하여 길 찾기 훈련에 참여한 대상자에게서 인지요소의 하위 영역 중 시지각 영역과 공간지각 영역의 공간관계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또한, 일상생활동작의 하위 영역 중 이동하기 영역의 걷기/의자차타기 항목, 사회적인지 영역의 문제해결능력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증진에 있어서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in rehabilit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stroke. For the seven patients diagnosed with hemiplegia from a stroke, we executed the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in the hospital, three times a week for two weeks.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were used to measure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or the visual perception area and the spatial relations of the spatial perception area of LOTCA,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p<.05). For the walk/wheelchair of locomotion area and the problem solving of the social cognition area of FI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way-finding exercise for patients with a stroke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 KCI등재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김수현 ( Su Hyun Kim ),이숙향 ( Suk Hyang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지역사회 내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의 시간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능력이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를 제공하면 지적장애 학생의 지하철 이용과 관련된 길 찾기 능력 및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이용하여 예비관찰, 사전교육,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지하철을 이용한 길 찾기 능력 및 도착 시간 예측하기 능력을 습득, 유지, 일반화 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 해결 전략교수 적용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한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integrated into communities. Mobility and time managing abiliti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ir own daily life in community. However it`s difficult for them to find their way in suppor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public transport system and to estimate arrival time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collecting and using relevant inform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oblem solving strategies with using a smart phone has help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d their ways to reach destination by subway and estimate arrival tim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pplied for this study with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ree parts: observation of performance, outdoor and indoor training. In terms of performance, the students conducted assignments according to the task analyzing steps. When students made the wrong response in a certain step, the observations stopped and outdoor training was applied in order for them to experience all task analyzing steps until the end. Indoor training was next and conducted by using video materials. The training areas where students need for school/recreation activities and family/friends relationships were decided by interviews with them, their peers and family members. Within these areas, they were asked to find the ways at one random sampling point to another point by the subways and to predict the arrival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a smart phone was effective to promote mobility and time-manag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estigate if the eff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ized in different cities, generalization was tested in Busan. Maintenance of the effects was also checked two and four weeks later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vided to apply problem solving strategies with a use of smart phon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help them enjoy their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daily life including various situations at home, school, work and post-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어디에 표지판을 세울 것인가? 길 안내 과제를 통한 개인의 공간인식 및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

        이종원(Jongwon Lee),함경림(KyungRim Harm),윤새라(Saera Yoon),백영선(Youngsun Baek)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1

        이 연구의 목적은‘길 안내’와 같은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공간적 문제해결 전략 및 개인차를 밝히는 것이다. 방문객의 길 안내를 위해 학생들이 캠퍼스에 세운 간이 표지판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표지판의 위치로 급격한 방향 전환이 필요한 갈림길이나 길 안내의 출발, 도착지점을 선호하였으며, 경로를 선정할 때 효율성, 환경적 특성, 방문객의 심미적 만족감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방문객의 예상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간이 표지판을 세운 반면, 몇몇 학생들은 복수의 경로를 설정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한편, 동일한 과제를 실내에서 수행하게 했을 때, 실내에서 수행된 과제의 표지판들이 실외의 경우보다 균등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path selection strateg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 navigation task. Two experiments were presented that studied human route plann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processes involved. For the outdoor task,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select a route based on the instruction, i.e. to find the best route from the campus main gate to the Education Building for conference visitors by locating eight signposts. Results indicate (1) that locations of signposts were selected preferably at decision points where the traveler needs to make a choice and starting/ending points of the navigation task and (2) a variety of route planning strategies considering efficiency goal (e.g., the shortest pa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g., fewest turns), and aesthetic purpose (e.g., most scenic) were used. It is notable that some participants took into account more than one path by locating one or two signposts on an alternative route while others preferred a linear route connecting signposts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destination.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the sa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ame task inside the classroom to investigate changes in strategies between two tasks. Participants often tend to place signposts at more regular intervals for the indoor navigation task than the same task conducted out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