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L 교수법에 기반 한 대학 창업교육 학습 사례 연구

        김연정(Yeon-Jeong Kim)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창업교육에서의 문제중심교육(PBL)의 교수법 과정을 연구 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양한 학문에서 적용된 문제중심, 학생주도의 PBL 수업을 창업 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창업교육의 PBL 수업 특성 및 절차를 제시하고 창업 교과와 비 창업교과의 PBL 수업평가지표에 대한 교육 대상 학생들의 주관적 인지도를 비교분석하여 창업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창업교육은 창의적 사고의 개발, 신사업 아이디어의 개발과 사업계획의 타당성 검증에 초점이 주어지므로, 창업교육은 창의중심과 자지주도형 학습에 매우 잘 부합된 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BL 기반의 창업교육과 PBL 기반의 다른 교과목간의 6 가지 PBL 평가요소의 차이 경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6가지 PBL 평가 영역은 PBL 기반 수업 분위기의 조성, 문제의 제시, 자기주도적 자율학습, 지식습득, 창의적 문제해 결과 정리 및 평가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들 6가지 PBL 평가 영역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창업교육은 나머지 다른 PBL 교과목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제시하였다. 특히 자기주도형 학습 평가 영역에서는 가장 많은 점수의 차이로 높은 점수를 제시한 반면, 문제의 이해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에서는 다른 4가지 평가 요소에 비해 그 차이가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PBL 수업에 있어서 교수들은 현실적인 문제를 제시해야 하고 확실 성이 부족한 문제를 감소시켜야 함을 제시하며, 학생들 역시 PBL 수업의 경험과 창의적 사고 과정에 대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Problem-based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in engineering, medical and various educa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developing new business idea and checking validity of business plan, so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ll fitted to focused on creative centered and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e PBL operation examp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lass and students’s subjective recognition of PBL teaching methods during 2 year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ga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BL course and the other PBL courses based on 6 PBL estimation components. PBL estimation component composed of understanding PBL class contents, understanding of problem, self-directed learning, knowledge acquisi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skill up and team estimation. The comparative estimation valu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mong 6 PBL education component indicated higher than the other PBL class. Especially, self-directed learning component is highest value. Meanwhile, understanding of problem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re relative low level than 4 components. These result indicated Professors make an effort to propose the realistic and comprehensive problem and reduce their PBL problems had lack of authenticity and students reinforce PBL experience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 KCI등재

        동시대 미술교육에 반영된 ‘문화’와 ‘교육과정’ 담론 고찰

        강주희,이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3

        Contemporary Art Education has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various debates, inquiries, and research by researchers trying to keep up with current trends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are also reflected in Art Education, and different researchers’ opinions that highlight various issues and the scope and breadth of the discussion are expanded in this article. This literature review describes the perspectives of Art educators who have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and in – depth studies regarding changes in current art education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his review’s intention is not to introduce the accomplishments of major researchers in art education, therefore it is not a selection based on scholarly reputation and recognition. Rather it is an outline concerning the issues that have been emphasized in Art Education based on theses and research by major scholars. Looking at the trends and arguments of researchers regarding culture and curriculum in art educ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major issues in Art Education in the past, and present along with roadmaps for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and inquiry into such areas as visual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 discussions of multiculturalism for social reconstruction, and methodology us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work is based upon an examination of individual scholarly studies that tried to reflect visual culture and multiculturalism actively in the curriculum, and describes discourse on an integrated curriculum, practical curriculum, and qualitative curriculum in order to reflect culture. 미술교육은 시대의 흐름과 발맞추려는 연구자들의 다양한 논쟁, 탐구, 연구의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다. 미술교육 학자들의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쟁점들이 부각되었고, 그 논의의 범위와 폭이 확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의 변화를 위해, 두드러진 논의와 심도 깊은 연구를 한 미술교육학자들의 시각을 개별적이며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 학자들의 논문과 연구를 기반으로 미술교육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해온 이슈들을 개괄하고자 한다. 이는 미술교육의 주요 연구가의 업적을 소개하기 위함이 아니기에, 학자들의 명성과 인지도에 따라 선택하여 소개하기보다 동시대 미술교육의 주요 관심사와 연구 주제들을 개괄하여 미술교육학의 주요 논의를 되짚어보고자 함이다. 미술교육 연구자들의 연구의 흐름과 주장을 살펴보는 것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미술교육의 주요 이슈들을 한눈에 개괄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화’의 담론을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려고 시도한 학자들의 개별적 연구를 통해, 시각문화의 쟁점, 시각문화 교육과정 탐구, 다문화 교육과정, 사회재건을 위한다문화논의, 다문화교육의 방법론 등을 탐구했다. 또한 문화를 반영한 연결과 관계의 교육과정을위한 시도로서 통합 교육과정, 실천적 교육과정, 질적 교육과정에 대한 담론을 기술했다.

      • KCI등재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유 - 현황과 과제 -

        이제환,Lee, Jae-Who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1

        이 연구는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용자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토착적 시각에서 진단하면서 우리 도서관 환경에 적합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도입부에서는 도서관서비스로서 이용자교육이 갖는 의미를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면서 우리 도서관계의 용어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어, 우리 도서관계에서 시행하고 있는 이용자교육을 미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과 비교하면서 그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는데, 특히, 양국의 도서관계가 이용자교육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반과 실무 기술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으며, 현재의 문헌정보 교육시스템이 그러한 능력을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이용자교육을 우리 도서관계의 주요 서비스로 건강하게 정착시키려면 우리 도서관 현장과 문헌정보 강단이 어떠한 전략과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and to seek some feasible solutions to establish user education as a library service. To the end, the main focus of discussion is on identifying both current situation and special features in user education of Korean libraries, as compared to those of the U.S. libraries. Also followed is a comparative discussion on the formal education systems to educate instruction librarians and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to train instruction librarians between Korea and the U.S. The final suggestion is given regarding the obligations that Korean LIS scholars, professional library associations, and individual librarians should fulfill to establish user education as a healthy library service,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library situations.

      • KCI등재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 제안

        강성종 ( Seong Jong Gang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인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보편성을 준용하여 연관ㆍ조정ㆍ지원하고 있는 현실에서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이원화 개발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세계 선진 주요국의 국가 교육과정 동행,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변천사, 특수교육 기조로써 통합교육의 실태,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고찰 등을 통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同行)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론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으로서의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 동행을 위한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제안을 하였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 자체를 동행하자고 주장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동행을 주장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동행을 위한 행정 조직의 동행을 주장한다. 넷째, 교원 양성제도의 동행을 주장한다. 이러한 제안은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을 위한 출발점이며 발전과정과 결과를 함께 공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what changes special schools have undergone, what the n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looks like at a time when it that is being proposed as a new alternative, and what are the main issues in the on 2009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figure out explore the possibility of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that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get closer to and general schools. This study presents suggests the following four ideas as conclusions. First, th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need to espouse the universalities of the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curriculum. Second, an on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respond to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of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universalities of general schools and the specializations of special schools. Third, unitary training systems need had better to be in placed for both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Fourth, from the moment of revising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be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will allowing special education experts to immediately participate in the at process of the revision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This which will lead the a way in bringing for the two systems coming closer. These suggestions are a starting point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system’s integration and achieving the desired goal of sharing the fruit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a desired goal.

      • KCI등재

        긍정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

        추병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4

        Positive education refers to an educational attempt to optimally apply the principles of positive psychology to the context of the school community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flourishing. In this paper, I focused on uncovering the success factors of positive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practice cases at Geelong Grammar School and St. Peters College in Australia. Positive education at Geelong Grammar School and St. Peters College took a whole-school approach, an approach focused on students as a whole person, an approach focused on the positives and strengths rather than problems or weaknesses, a universal approach targeting all students, an integrated approach involving parents and communities, and a forward-looking approach aimed at prevention. Success factors in the two schools can be summarized into comprehensive research and sincere preparation, overall school-wide approach, internal training to ensure sustainable practice, measuring well-being, and utilizing evidence-based programs. These must be an important point for us to keep in mind when we want to try to improve students’ well-being in the future. 긍정교육은 학생의 플로리싱 증진을 위해 긍정심리학의 원리를 학교 공동체의 맥락에 최적으로 적용하려는 교육적 시도를 의미한다. 긍정교육은 긍정심리학이 학교 공동체 안에 어떻게 총체적ㆍ효율적으로 용해되어 학업 기능 향상과 플로리싱 증진이라는 학교교육의 기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 논문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롱그래머 스쿨과 세인트 피터스 칼리지의 긍정교육 실천 사례를 통해 긍정교육의 성공 요인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지롱 그래머 스쿨과 세인트 피터스 칼리지의 긍정교육은 전체 학교 접근법, 전인(whole-person)으로서의 학생에 초점을 맞춘 접근법, 문제점이나 약점보다는 긍정적인 것과 강점에 초점을 맞춘 접근법,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접근법, 학부모와 지역사회를 포함한 통합적 접근법, 예방을 목표로 하는 전향적 접근법을 특징으로 한다. 두 학교의 성공 요인은 포괄적인 연구와 성실한 준비, 전체 학교 접근법,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내부 훈련, 웰빙을 측정하기, 증거 기반 프로그램 활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가 도덕교육을 통해 학생의 웰빙을 증진하려는 시도를 할 때 반드시 유념해야 할 중요한 사항임에 틀림없다.

      • KCI등재

        자녀교육과 구속적 가족의 삶

        이경숙,김종혁,손종현,윤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가족들이 자녀교육으로 인해 얼마나 구속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어떻게 서로를 희생자로 인식하면서 구속적 관계를 공고화 하는지 규명하려는 것이다. 가족관계의 구속성을 심리적인 측면에서, 경제 및 공간적 측면에서, 그리고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 수성구 중산층 이상 학부모 20명을 주요 면담대상자로, 비수성구 학부모들을 참조대상으로 가족 삶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면담대상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학부모들은 자녀교육을 가족 삶의 제1 가치로 삼으면서 사회적으로는 학벌사회의 전사로, 가족내부에서는 자녀교육을 위한 희생자로서 두 얼굴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경제적으로는 사교육비가 부담스러워도 얼마든지 다 해 준다는 사고와 행위를 보여주고, 공간적으로는 자녀교육을 위해서는 거주지역과 국경마저 초월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경제적으로도, 공간적으로도, 가족은 자녀교육과 더 나은 학벌이라는 가치에 종속되어 결코 더 넓은 사회적 행위를 기획하거나 실행하지 않았다. 셋째, 가족 전체의 일상생활은 사교육 전략에 따라 조정되며, 학부모로서 일상은 자녀공부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 농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박경란(Park Kyung-R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일본 농학교 교육과정 변천 과정을 고찰하여 한국 청각장애교육의 세 가지 주요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과제에 대해 일본 농교육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의 중증ㆍ중복화와 통합교육 및 인공와우시술 확대에 따른 과제로, 일본은 농학교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농학교가 농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학교의 청각장애학생들을 지원하는 ‘지역 특수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농학교가 농교육 전문기관으로서 그 정체성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지역 청각장애교육 지원센터’로서 농학교가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둘째, 청각장애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 수행능력에 대한 과제로, 일본에서는 농학생들의 학력저하 문제를 ‘언어지도 방법’ 개선과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농학교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 양성과정의 조정 또는 양성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개편이 요구된다. 셋째, 언어적 특수성에 따른 농교육 재구성에 대한 과제로, 일본은 교육과정에서 수화를 농학생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정하고, 청각장애교육에 관한 주요 보고서에서 자연수화를 농학교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강조한다. 이러한 견해는 ‘장애인 당사자’를 존중하는 교육 실천으로, 향후 농교육이 ‘농학(Deaf Studies)’의 관점에서 재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ree main issues of education for the deaf in Korea by reviewing the courses of study(?習指導要領) of schools for the deaf in Japan. In Japan, the courses of study of schools for the deaf are based on the courses of study of regular schools. Looking at the process of change in courses of study, initially the courses of study of schools for the deaf concentrated on oral education, based on lip reading and speech training. From 1957, however, language education changed toward speech therapy through auditory utilization. However, doubts emerged about outcomes of the oral-only approach. Therefore, the partial use of sign language was encouraged in the 5th amendment(1989).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of deaf students became a problem. As a result, curriculums for the lower grades were continuously used by deaf schools. The term ‘caring?training(養護?訓練)’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stablished in the 3rd course of study(1970), and this term was subsequently changed to ‘independent living(自立生活)’ by the 6th revision. In the 4th revision, total instructional hours were reduced and ‘composure(ゆとり) and faithfulness(充?)’ were emphasized. Furthermore, the discretionary time of schools was used to encourage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in deaf schools. The instructional hours for main subjects were reduced substantially by the introduction of a five-day-week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learning hours(?合的な?習時間)’ in the 6th revision(1999). Because of reduced instructional hours for the main subjects, a drop in achievement levels became a problem. The recent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2009) emphasizes adhering to basics and obtaining a ‘solid educational background(確?な?力)’.

      • KCI등재

        강원도 원주지역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임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4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differences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effects of multi-cultural learning experience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ognition on multi- cultural educatio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83 middle school students, 249 high school students and 221 university students. For analyzing,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open mind’ and ‘respect for rights’ of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t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learning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coorelationship between them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 were correlation among subcategories of multi-cultural attitude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ub-categ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such as ‘recognition of ne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tion on ob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and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Forth, there were not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recogni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m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 were correlation among sub-categories of the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급진적인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로 인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다문화적 태도와 다문화교육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적 태도 관련 12문항과 다문화교육인식 관련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중에서 중학생 183명, 고등학생 249명, 그리고 대학생 221명, 전체 653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3의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다문화교육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영역 중, ‘열린 자세’와 ‘관계존중’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순서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다문화적 태도에 한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대학생에게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하위영역 중,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인식’,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의 목표 인식’, ‘다문화의 이해’, ‘세계화 인식’ 등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교육이 중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에는 일부분만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다문화교육이 대학생의 다문화교육인식에는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이선경,김남수,주형선,곽영순,박윤경,박형빈,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3

        차기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강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 교육과정에서 그 현황을 일차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내용 및 반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여, 차기 국가교육과정에 환경교육 내용의 포함, 정량적, 정성적 개선 및 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교육은 지속가능성을 포함하거나 지향하는 광의의 환경교육 또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전제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대만, 호주, 핀란드 등 외국의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국내 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내용 분석 관련 연구와 OECD Learning Framework(OECD, 2018), Sustainability Framework of Australia(DEWHA, 2010), Environmental Literacy Framework by NAAEE(Hollweg et al., 2011) 등과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환경과 교육과정 등의 교육에서의 프레임워크를 탐색하여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에는 환경지식, 환경가치·태도, 환경역량, 환경실천과 참여의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범주는 서로 분리되어 고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환경실천과 참여를 강조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환경교육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형태의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추후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방식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강순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4 국제이해교육연구 Vol.9 No.2

        글로벌시민교육은 평화?인권교육, 다문화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국제 이해교육과 그 지향점을 공유한다는 가정위에, 본 연구는 국제연대와 사회 정의에 기초한 보편적인 시민성교육의 관점에서 국민교육을 재해석하면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당면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국제이해는 국제협 력, 평화와 본질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개인의 인권 및 기본적 자 유에 대한 존중과 국가 간의 선린우호의 원칙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에 국 제이해교육은 상호의존성이 심화된 오늘날 국제사회가 합의한 세계인권선언 의 기준에 맞추어 세계시민적 책무와 권리를 균형 있게 갖춰주는 비판적 글 로벌시민교육이라 할 수 있다. 글로벌 시민성이란 제국주의 또는 신자유주 의적 패권주의에 대항하여 평화, 인권, 정의 및 문화적 다양성 등을 구현하 려는 사회윤리적인 시민정신으로 영토적 국민국가의 국경을 넘어 범지구적 공공성을 인식하는 중층적, 혼종적 시민정신을 일컫는다. 본고에서 제안한 옥스팜Oxfam의 글로벌시민교육 모형을 유네스코의 21세기 학습모형과 융 합하여 구성한 포용적 글로벌시민교육 모형은 학교교육에서뿐 아니라 성인 의 평생학습 그리고 교사교육에서도 유익한 교육과정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글로벌시민교육이 직면한 어려움을 타개하고 교육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글로벌화가 초래한 위험증후인 글로벌 불평 등의 심화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시각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