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철학과 교육> ; 철학교육에 대한 제도적 접근

        이재권 ( Jae Kwon R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철학교육과 관련된 문제는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 가지는 철학교육의 내용과 관련된 내부적인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중고교의 교육과정 · 수능 시험 · 대학의 교양과정 · 국가의 학문정책 등 제도적 차원의 외부적인 문제이다. 지금까지 철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논의 자체로 끝나고 제도상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세월이 지나갈수록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철학교육과 관련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철학계가 어떤 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와 같은 고등학교의 체제를 변화시켜야 한다. 오로지 대입만을 목표로 하는 지금의 체제를 장래의 직업과 관련시켜 고교의 체제를 다양화하고 그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 체제도 바꾸어야 한다. 현재는 탐구영역 사회교과군에 속해있는 역사와 도덕의 소속을 바꾸어 인문학 교과영역을 신설하여 그 속에 문학교과 · 한국어교과 · 역사교과 · 철학교과군을 배치하고, 철학교과군에는 철학 · 윤리 · 논리학 등의 교과목을 배속시켜야 한다. 초중 고교의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식교과 위주의 현행 교육과정을 체험활 동과 탐구활동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변화시켜야 하고, 그 속에서 철학의 역할이 자연스럽게 부각될 것이다. 그리고 초중고교에서 철학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벙대학에 철학교육과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만한 요소이다. 또한 철학척 내용이 많이 포함된 국어과와 사회과의 교사 양성 과정에 철학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철학계가 노력해야 할 일 중의 하나이다. 철학을 포함한 인문학은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없다. 한국에서는 더욱 그렇다. 우리는 그 원인을 신자유주의라는 세계적 조류, 한국 정부의 인문학 정책 부재와 같은 외부적 요인과 세상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문학자와 철학자 자신들의 내부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을 믿는 천박한 자본주의와 실용주의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정부는 당장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에 재정 (연구비)를 집중 투입 하고 있다. 또한 교수들에게 논문 쓰기 경쟁을 시켜 긴 호흡이 필요한 인문학자들이 차분하게 공부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인문학이 시들해진 이유 중의 하나는 좁은 전공주의 탓이 크다. 전문가를 자처하는 현대의 인문학자들은 대중들에게 외면 당하고 있다. 인문학이 부활하기 위해서는 전공의 벽을 허물고 포괄적인 학문을 해야 한다. 그 방안의 하나로 논자는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을 합쳐 지역학 중심의 대학으로 재편할 것을 제안한다. 대학의 철학이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의 취업이 잘 돼야 한다, 그래서 순수 철학 뿐만 아니라 응용철학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철학과 졸업생들이 문화 영역과 각 종 저널의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도록 기성세대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철학의 대중화 작업과 그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리고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외국의 철학사조를 수입하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대중의 철학화, 현실의 철학화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지금 한국의 철학계는 철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내용적인 차원의 노력도 해야 하지만, 제도개선을 포함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도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위한 국제교육협력의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Holistic Systemic Change Model을 중심으로

        민병엽,김병근 APEC국제교육협력원 2012 국제교육협력연구지 Vol.5 No.2

        지식기반의 사회에서 ICT를 활용한 교육 체제의 변화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요청이 늘어남에 따라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의 필요성이 날로 대두되고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연구로써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통한 교육체제의 변화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한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Model의 개념화를 위한 방향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체제적 변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육정보화를 통한 개발도상국의교육 체제의 변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국제교육협력에서의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Holistic EducationalSystemic Change Model의 개념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분석 결과 관련 연구물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육체제의 변화는 사회 패러다임의 전환에 기인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을 통한 교육 체제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국제교육협력에서의 교육정보화에 관한 사업을 위해서는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과 리더십, 그리고 전략뿐만 아니라 교육정보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인적자원의 개발 및 훈련등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해야만 한다.이를 토대로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념화를 위해 필요한방향과 원리가 도출되었다. In knowledge based society, needs for educational systemic change that is based on informatization are increased by developing countries for its development. So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model that can describe and prescribe infromatization for the educational systemic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iscussion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 for informat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firstly examined published articles related to systemic educational change model in education. Especially, we examined Reigeluth and Banathy's arguments. And we found factors that should be concerned with informat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analyzing related documents. After that, we found direction for conceptualizing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 over two wor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isting articles of systemic change model reviewed that design of educational systemic change should be needed by change of paradigm.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 could describe and prescribe direction and principle of being transformed educational system by changing paradigm of society. So, it is necessary to designing and performing Educational Systemic Change that we should consider systemic approaches. And in another analysis, many project for informatization in developing county were not concerned about macro level lik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ditions, and had lacks of leadership for supporting informatization, infrastructure, and way for decision-making so these are make hard to achieve the goals. Based on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make principles for conceptualizing Holistic Systemic Educational Change Model and applicable model for informatization in developing country. In conclusion, the principles of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 in informatiz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re below. First is to develop gradually community for making common vision, using phases. The community is comprised of academics, businesses and government. Second is to approach with holistic view for learning experiences and know-how. Third is to develop core human resource for leading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through building community. Moreover it is important to develop human resource that is to teach experience and attitude about why they use informatization. And last is to progres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iffusion of innovation with using ICT.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 · 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이성흠,이광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적 활용에 요구되는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영역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환경은 시공간을 초월한 가상공간에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돕는 열린 교육체제, 창의력, 통찰력, 협동력 등의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목표, 교사중심의 지식교육에서 학습자중심의 문제중심 교수학습방법, ICT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학습결과를 포함한 문제해결 과정도 포함하는 평가제도, 책무성을 수반하는 자율적 행정을 강조하는 교육체제로의 전환 등의 영역에서 많은 변화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영역은 (1) 컴퓨터와 인터넷의 기초, (2) 수업심리학과 교수설계, (3)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매체의 제작과 활용, (4) ICT의 교과목에 통합적 활용과 관련되는 이론, (5) 디지털 가상공동체와 가상(원격)교육, (6) 이(異)문화 이해 및 정보윤리 등이다.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은 사회환경 변화와 함께 교육체제의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지식기반 디지털 정보사회에서 ICT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이 교육체제의 변화와 효과적인 교육목표 달성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체제의 변화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

        이성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본 논문은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정보화 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교육은 변화를 지향하는 과정으로,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의 수월성 제고와 교수·학습과정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교육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수·학습의 질(質)과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기초한 학습체제 구축과 다양한 교수·학습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개혁이 분절적이 아닌 교육개혁에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망라된 총체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그리고 매체가 교과과정(curriculum)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변화가 교사·학생 중심의 안으로부터의 개혁이 이루어 질 때,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개혁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개혁이 학교현장에서 교사·학생의 역할 변화를 통한 관계 재정립과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협동학습 과정으로 실현될 때, 교육공학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첨단 멀티미디어의 통합적 사용과 교수·학습과정 사이의 상승작용(synergism)을 통한 교육개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formation society, multimedia applicat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 reform with technology. Education is changing,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 is undergoing widespread reform in many school systems worldwide. Three agendas of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the literature have focused on: (a) a push for restructuring schools; (b) a constructivist and cognitive/information processing view of learning and the effect of that view on teaching; and (c) a movement toward well-integrated uses of technologies in the school curriculum. Education systems are moving toward mor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ere learner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side as well as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to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reform, the three agendas must form a synergistic relationship. The synergism between technology utilization, restructuring,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ill take place when school reform occurs in the areas of teacher/student work space, teacher/student rol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in the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 KCI등재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모색 -교육대학의 변화와 발전을 중심으로-

        허숙 ( Sook Hur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현재 여러 가지 방향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교육대학의 변화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면서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그 특징과 이점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교육대학의 발전적 변화 방향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연구이다. 현재 교육대학은 학령아동의 감소로 인한 초등교원 수요의 감소,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경쟁률 상승으로 인한 목적대학으로서의 의미 축소, 정부의 국립대학 구조조정 압력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대내외적으로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대학이 발전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한 방안을 일곱 가지로 제시하고, 그 각각의 방안이 갖는 장점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느 한 가지 방안이 모든 교육대학에 똑같이 적용될 수는 적용될 수는 없다는 점과 각각의 교육대학의 현재의 상황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구성원들의 충분한 논의와 공감대 형성을 거쳐 변화와 발전 방향의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정부도 교육대학에 대한 교원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일률적인 강요보다는 유능한 초등교원의 양성이라는 원칙에 따라 교육대학별로 자율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re are te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NUEs) in Korea now. The NUEs have had a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ince the inception of university system in 1962. Recently the NUEs have som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ncrease of competition in teacher recruitment, and government policy for restructuring national university system. The NUEs are asked to change their role and system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environment. With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possibilitie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NUEs, this study examined seven possible ways of structural change of NUEs, and discussed strong point and weak point of each proposal. Each NUE has its own tradition and different local situation. Therefore NUEs can not be forced to adopt any one way of change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radition and local situation, each NUE has to decide its own future for university development. In this process, it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f NUEs to have more discussions and dialogues and to make consensus for better teacher education for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중학교 사회과 경제교육 내용의 변천

        마웨이화,이윤호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economic education content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time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present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country’s national development ideology due to regime change. The analysis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education in China’s middle school curriculum. Firstly, the curriculum actively reflects relevant content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period and development ideology of China. Secondly, labor education has always been given great importance. Thirdly, the history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economic education. China's curriculum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Korea’s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nomics.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etween China, a socialist country, and Korea, a capitalist country, are reflected in their middle school economic education. 이 글은 개혁개방 이후 현재까지 중국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국가발전이념의 변화와 연계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의 경제교육 내용 요소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서 중국 중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경제교육 관련한 세 가지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각 발전 시기와 발전 이념에 발맞추어 교육과정에 관련 내용이 적극 반영되고 있다. 둘째, 노동 교육이 시종일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셋째, 인류의 경제 발전사를 경제교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취급해왔다. 중국의 교육과정은 경제학 원론 체계를 따르고 있는 한국의 중등학교 경제교육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주의국가인 중국과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의 정치경제 체제의 차이가 경제교육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 KCI등재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적 과제와 대학 운영에 관한 연구

        최손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The condi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are also changing as society changes. In particular, the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heralds a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raw up educational issues that aris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pose the university's efforts to resolve them. For example, the challenges of change include expanding the scope of admission resources, providing substantial education, producing competent talen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bases for implementing educational task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paradigm for all members to have a solid education, starting with opening university doors to adult learners. In addition, efforts to change need to be mad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ategories and facto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power of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oundations for implementing them. 사회의 변화에 따라 대학교육의 여건 또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학령기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교육적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변화에 따른 과제는 크게 입학자원의 범위 확장, 내실 있는 교육의 제공, 역량 갖춘 인재의 배출, 그리고 교육적 과제 이행을 위한 행·재정적 기반 등이 있다. 이에 근거하여 성인학습자들에게 대학문호를 개방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구성원 모두가 내실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이행하기 위한 행·재정적 기반과 관련하여 대학의 교육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범주와 요인을 고려하면서 변화의 노력을 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립대학회계재정법 제정에 따른 국립대학의 재정 변화와 회계운영의 쟁점과 개선 논의

        반상진(Ban Sang-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국립대학 재정구조와 현황을 분석하였고, 국립대학회계재정법 제정 배경과 과정 에서 나타난 맥락적 쟁점과 법률 내용이 안고 있는 내용적 쟁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 로 국립대학 회계 개선을 위한 대안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난 2000년 이후 국립대학 예산 증가분(178.9%)은 GDP 증가분(233.8%), 정부예산 증가분(343.6%), 교육부예산 증가분(267.2%), 고등교육예산 증가분(372.8%)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그 결과 대학회 계가 도입된 2015년 이후에는 국․공립대학생 1인당 교육비는 12,548천원으로서 사립대학생 1인당 교육비 13,539천원에 비해 크게 격차가 발생되었다. 둘째, 교육부는 국립대학회계재정 법 제정의 이유를 기성회비 소송건과 국립대학 재정운영의 효율성과 책무성 제고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대법원의 기성회비 징수 적법 판결로 인해 법 제정의 필요성과 법적 실효 성간의 간극이 발생되었고, 수업료에 기성회비를 통합하였지만 학생 및 학부모 부담의 최소 화 원칙을 충족하기 어려우며, 법률상 국가 지원의 책무성 한계, 재정위원회 기능과 구성의 문제, 시행령의 영향력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셋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기 서는 국립대학 재정지원 확대를 위한 강제조항 명문화, 재정위원회의 권한 강화, 국립대학의 발전에 대한 총장의 의무 명료화, 국립대 등록금의 실질적인 인하 유도 방안, 대학재원의 안 정적 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 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립대학회계재정법 제정은 반값등록금 문제로 인해 국립대학 기성회비 문제로 촉발되었지만, 국립대학 회계체제 가 대학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장치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획기적인 투자 확대를 위한 법적 장치와 교육계와 국립대학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법률 개정이 동시에 모색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inancing structure and its’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to analyze issues of ‘National University Financial Accounting Law’ emerged in enacting process, the context and contend of legal perspectives, and to suggest alternative proposals to improve it.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rease 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budget has little increased, compared with it of GDP, Government budget, MOE budget, and higher education budget since 2000. 2) National University Financial Accounting Law don’t contribute to reduce the level of tui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to enforce the fiscal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to provide the financial support for national universities, and to work the function of Financial Committee properly. This study suggested that 1) The government endowment should be supported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a lump sum regardless of its’ purpose. 2) The function of Financial Committee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uld be enforced to run the administ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democratically, autonomously, transparently. 3) The law should be enforced to secure a stable funding for higher eduction. At the same time, Higher Education Finance Grant Law should be enacted to secure a stable funding for higher education.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concerning the accounting system and financial policy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학습조직이론에 기초한 미래교육체제의 성찰과 과제

        김희규(Kim, Hee-Ky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학습조직이론에 대한 기본 발상은 평생 동안 학습해야 한다는 철학적 의미를 조직의 대상으로 구체화한 전략이다. 더구나 지식정보화 사회에 학교교육의 기본 철학 및 방법론에 일대 변혁을 가하는 교육 개혁안이 학습조직이 추구하는 아이디어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교육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성찰해 보고, 미래교육체제의 대안으로 불리는 학습조직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학습조직을 구성하는 요소를 규범적 접근에 의해 비전 공유, 문화, 구조, 리더십 등 네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여 미래교육체제의 변화의 과제를 탐색하였다. 미래학교교육에서는 구성원과 비전을 공유하고, 유연한 조직 구조를 통해 지속적인 학습문화를 형성하고, 나아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이 강조되어 진다.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future schoo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organization by an alternative plan of existing paradigm to the school settings. For 21st century, school organizations need to acquire new information, process it, make it a new knowledge creatively, shared it with all faculty within the school, further to apply it to their real job settings promptly. Accordingly learning organization is a system that creates new values, which is focused on changes. also it is holds a learning models in common in every dimension. The individual enterprise try to cope with a change in economic circumstance, but public organization does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varying scholars'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s of the four core factors to build the learning organization: shared vision, culture, structure, leadership. The findings noted that the initial object of change in education is not students, the classroom, or the system; it is the attitudes and conceptions of educators themselves. this remind that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things; it is a people situation. Not just administrator, parents, community but also the groups of people that most influence on learning in school- the educators and learners. As tasks of future schoo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the followings. There is a need for closer cooperation among various fields in society, trust and cooperation among school and educational key players, developing better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새로운 대북지원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북한 고급인력에 대한 시장경제 교육을 중심으로

        허준영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行政論叢 Vol.50 No.4

        This study explores western market-oriented economics education for high-class North Korean human resources and attempts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cerning a new direc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future reunif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system transformation, the role of high class human resources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gh-class North Korean human resources as well as market-oriented economics education for them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paper then examines the various types of market-oriented economics education in general and institutions such as Rajin Business Institute and Pyongyang Business School in detail as remarkable ca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market-oriented economics education for high-class North Korean human resources has been made substantial and stable for more than 15 years. Moreover, despite the concer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a poor education environment, the acceptance of market-oriented economics education seems to be very high among high-class North Korean human resourc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background of mutual cooperation and its lessons for South Korea regarding assistance to North Korea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북지원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북한 고급인력에 대한 서구 국가들의 시장경제 교육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남한정부에 주는 시사점을 찾으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시장경제교육이 궁극적으로 파생시킬 체제전환과 체제전환과정에서 고급인력의 역할, 북한 고급인력의 특성과 시장경제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보고, 서구의 북한 고급인력에 대한 시장경제 교육사례를 나진기업학교와 평양비즈니스스쿨 등의 기관설립 유형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연구 결과, 북한 고급인력을 대상으로 한 시장경제교육은 이미 15년 이상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꾸준히 추진되고 있으며,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효과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북한 고급인력의 교육에 대한 수용성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장경제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상호협력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과 그것이 남한 정부의 대북지원 전략에 주는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