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교육부문 공적개발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 원조를 중심으로

        신윤지,엄영호,정헌주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지난 수십여 년 간 공적개발원조에서 중요한 화두는 교육을 통한 발전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보편적 초등교육의 실현은 매우 중요한 의제였다. 하지만, 최근 고등교육부문에 대한 원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즉, 수원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취학율의 단순 증가 등 보편적 초등교육의 양적 달성보다는 양질의 교사 양성 및 제도 구축, 장학감사시스템 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부문의 발전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높은 고등교육 수준은 수원국 내부에서의 혁신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고등교육에 대한 원조는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원조정책과 원조패턴이 유사한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를 살펴본다.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양질의 교육, 특히 고등교육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는 점뿐만 아니라, 양국 모두 교육부문 원조에서 고등교육부문 원조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구체적 특성-원조의 지역적 배분 등-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공여국의 특성과 수원국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원조정책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교육부문 원조정책의 현황과 특성에 대한 연구

        박건우,엄영호,김성훈,정헌주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4 국가정책연구 Vol.28 No.3

        교육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고, 다양한 기회들을 가능케 하고, 이들의 자유 실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사회·경제발전 및 인간발전의 중심에 위치한다. 한국의 교육원조는 중등교육 이상 부문에 대한 원조 비중이 초등교육부문에 대한 원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보편적 초등교육 실현이라는 국제개발협력의 핵심목표를 달성하기에 미비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한국 교육원조의 특성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규범적으로 접근하였거나 실증적으로 접근한 경우에는 공여국 중심의 집합적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수원국의 특성, 즉 수원국의 문해률, 초등학교 취학률, 양성평등 수준 및 소득수준 등과 한국 교육원조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교육원조는 문자해독율과 초등학교 취학률이 낮은 수원국에 대해서는 수원국의 필요에 따라 배분되었지만, 다른 변수들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결과를 보였다. 한국 교육원조의 질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구속성 원조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점과 상당수의 원조가 프로젝트형 원조라는 점에서 교육원조의 질적 향상이 수반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한국의 교육원조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은 향후 한국의 교육원조정책의 수립과 원조효과성 증진을 위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천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교육부문 공적개발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 원조를 중심으로

        신윤지 ( Yoonji Shin ),엄영호 ( Young Ho Eom ),정헌주 ( Heon Joo Ju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1

        지난 수십여 년 간 공적개발원조에서 중요한 화두는 교육을 통한 발전이었으며, 최근 고등교육부문에 대한 원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원조정책과 원조패턴이 유사한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를 살펴본다. 양국 모두 교육부문에 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는 점뿐만 아니라, 교육부문 원조에서 고등교육부문 원조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고등교육부문 원조의 구체적 특성―원조의 지역적 배분 등―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원국 필요와 공여국 이익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수원국의 중등교육 취학률, 민주주의 정도, 그리고 지식경제관련 무역규모가 고등교육원조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ODA에 대한 후속 연구 및 정책결정을 위한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Education and its effects on development having been a major topic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id to higher education is emphasized in more recent year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aid to higher education,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research on its determinants.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affects donors` decision to provide aid to higher education in recipient countries by comparing South Korea and Japan that are taken as having similar aid policies and patterns. Both countries achieve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with investment in education and provide more aid to higher education than aid to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Despite these similarities, they differ in terms of key characteristics of their aid allocation to higher education. When recipient needs variables and donor interest variables are considered, this paper finds that secondary school enrollment rate, level of democracy, and ICT-related trade volum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hare of aid to higher education in total aid to a given recipient country.

      • KCI등재

        OECD 원조효과성 논의와 한국 교육ODA의 과제

        정봉근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1

        Recently, regard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ECD has been emphasizing ownership, alignment between donors and partners, harmonization among donors, results, and mutual accountability. This study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ECD's aid effectiveness principles and compares them with Korea's ODA ideas and practices, which are characterized as small scale, self-centered, and seeking its own comparative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interests. Particularly, Korea's educational ODA puts more emphasis on disseminating its own unique and successful educational development experiences in relation to economic growth than on the international ODA agendas such as Millenium Development Goals, Education for All, and humanitarian aid in education. In this respect, Korea's education ODA needs to reflect more of the OECD standards and rules of Aid Effectiveness, while searching for a unique, so-called "Korean Model of Educational ODA." Any success in achieving these two goals w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ODA for developing countries. 최근 OECD는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해 수원국 주인의식, 공여국과 수원국간의 협력, 공동책임, 성과지향 등 원칙과 실천지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개발공동체의 원조효과성 제고 논의가 대두한 이론적 배경을 개관하고, OECD의 원조효과성 5대 원칙을 설명한 후, 우리나라 대외원조의 특징인 영세성, 국제동향과의 괴리, 비교우위추구, 경제실익위주 등과 대비하여 '한국형' 원조모델의 자기중심주의적 문제를 교육개발원조 영역에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교육개발원조는 한국교육 개발경험 전수와 경제발전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국제교육개발공동체의 현안인 새천년개발목표, 기초교육, 인도주의, 양성평등 등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상황이다. 국제개발공동체와의 협력과 우리나라 교육개발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OECD의 원칙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냉전시기 미국의 교육원조전략의 변화와 한국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

        김우영 한국교육사학회 2022 한국교육사학 Vol.44 No.4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방송이 미국의 냉전시기 교육원조전략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은 1960년 케네디 행정부의 등장과 함께, 기존 교육원조사업을 좀 더 조직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국제개발처를 설립해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교육원조사업을 관리하게 했다. 미국의 교육원조 대상국 중 하나였던 한국 역시 미국의 이러한 교육원조사업의 변화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이 연구는 미국의 국제개발처 관련 아카이브 자료와 한국 국가기록원과 국회도서관, 교육개발원 자료실 등에 소장된 자료를 분석하여 진행되었다. 한국의 교육방송은 1972년 한국교육개발원의 설립과 함께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송출하는, 독립된 교육방송국 설립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 한국 초중등 학교의 취학률, 그리고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정권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 미 국제개발처와 한국 문교부 사이의 기존 계획은 변경되었고, 1981년 독립 교육방송국이 아닌, KBS-3 채널의 형태로 시작되었다. KBS-3 채널은 이원화된 구조를 갖고 있었는데, 프로그램 제작을 교육개발원이 맡고, 프로그램 송출을 KBS가 담당하는 형태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미국 USAID의 전략을 일정 부분 받아들이면서, 최대한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고자 했다. 한국은 초중등교육이 양적으로는 이미 상당히 확산된 상황에서, 기존 엘살바도르나 미국령 사모아에서 교육방송을 학교교육의 양적 확대의 수단으로 이용한 것과는 달리, 학교교육 뿐만 아니라 기타 유아 및 성인교육에도 많은 초점을 두었다. 한국은 교육방송의 주 목적을 단순히 학교교육의 비용효율성 증대라는 미국의 교육원조전략의 목적에 가두지 않고 좀 더 넓게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교육방송의 역사는 한국이 어떻게 미국의 교육원조전략에 대응하고 그것을 기존의 나름의 배경 속에서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교육에 미친 외국 교육원조의 영향: 충남대-GTZ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박환보(Hwanbo Park)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4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한국 교육 형성에 있어 외국의 교육원조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70-80년대 외국의 교육원조 사업 중 한 사례인 충남대학교-GTZ 협력 사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독일 교육원조가 한국의 공업계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충남대 측의 사업책임자가 소장하고 있던 사업 관련 자료를 비롯해서, 사업에 참여한 독일인 전문가와 한국인 교수가 작성한 논문, 당시의 신문기사, 정부 공문서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남대-독일 GTZ 프로젝트는 기자재와 장비 활용이라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공업계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개선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사업 기간 중에 강조되었던 연구와 실험실습도 예산지원이 있었던 사업 기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진행되었고, 현장실습이나 연구과제 수행과 같은 독일식 교육과정이 수용되지 않았다. 이는 1950-60년대에 비해 1970-80년대는 어느 정도 제도교육의 기반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외국 교육원조의 영향력도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foreign educational aid in shaping Korean education after liber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one of the foreign educational aid projects in the 1970s and 1980s,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GTZ cooperation project, this study analyzes how German educational aid specifically changed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in the engineering industry in Korea. To do so, we analyzed project-related materials in the possession of the project director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s well as papers written by German experts and Korean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newspaper articles from the time, and government docu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German GTZ project did not have much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for engineering faculty training other than the technical aspects of utilizing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Research and laboratory training, which were emphasized during the project, were also limited to the period of the project, and German-style curricula such as field trips and research projects were not adopted.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foreign educational aid was limited in the 1970s and 1980s compared to the 1950s and 1960s, a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as already in place to some extent.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황규홍,이병준,이유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3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제적 위상제고와 경제개발의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에서의 OD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문화예술을 통한 국제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ODA는 주로 단발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면서 장기적인 전략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ODA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분야 ODA와 문화분야 ODA에서의 현황과 쟁점들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 ODA의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현황이나 쟁점들을 다루고 있는 기존의 연구들과 관련 기관들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분야와 문화분야 ODA의 경우 직업교육 위주, 프로젝트식 단기 운영, 자국 문화의 일방적 홍보라는 내용적 문제와 함께 추진체계의 미흡, 국가정책변화에 따른 일관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참고로 문화예술교육 ODA가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려면 기능위주의 예술교육이 아닌, 창조적 역량 개발과 시민성 함양 그리고 창조도시, 학습도시 조성 전략과의 연계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예술강사 파견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의 결합과 현지국가별 문화와 사회에 대한 토대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So far South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ODA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ulture in order to share the know-how of the improv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xp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ulture and ar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has been start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owever through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has been proceeding mainly in a one-off projects the problem is represented that long-term strategy is not enough. It Is a time to be considered in the direction of thi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ODA.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in the field of education ODA and culture ODA we intend discuss about the propulsiv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articles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related organizations that are deal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issue of education and cultural fields of ODA. As the results we found some problems that short-term operation as project-type, one-sided public promotions of our country's culture, shortage of consistent i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ODA. There is a necessary that cooperation with the construction strategy of creative city making and learning city making rather than the artistic education of the function oriented to mak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DA to a sustainable project. And it is needed to complete the problems of the art lecturer dispatch system and combination of experts of various region. And there is necessary to basic research for another country's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한국-미얀마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ODA) 지원방안연구

        임부영 ( Lim Boo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미얀마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방안과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최근 2015년 UN은 국제사회의 개발 협력의 목표인 지속가능개발목표를 발표했다. 지속가능개발목표는 국제의제에서 처음으로 유아교육을 포함시켜서 모든 영유아들에게 양질의 양육과 교육의 혜택이 보장되도록 각 국가와 개발도상국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개발원조위원회(DAC)에 소속되어 적극적으로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교육지원에 있어서 아직 유아교육을 포함한 기초 교육 분야의 지원보다, 컴퓨터교육과 직업교육 부분에 편중되어 있고, 방법도 해외봉사단원을 파견하는 식의 양국가간의 교류 차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은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미얀마에도 2011년도부터 한국국제협력 해외봉사단원 파견을 통해 유아들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며, 미술이나 음악과 같은 부분적인 교육내용을 나누는 지원이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요구를 반영하여 앞으로 한국-미얀마의 유아교육 협력을 구체적이고 전략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른 나라의 국제유아교육개발 협력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미얀마의 유아교육실태에 맞는 지속가능한 유아교육개발 연구 자료로 의미가 있다. Nowadays, Global issue is to assist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effective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or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Specially Early Childhood is very crucial periods for human development and capacity building. In 2015, UN declared “Sustainable Developmental Goals” and presented the goal4 for equal ch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or all which we should pursue in ODA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a ODA Strategy(Programme)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ountry of Myanmar. For that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quest for the needs and situ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yanmar. This study methods is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through interviewing with related experts. In January 2014, ECCD legislation was passed in Myanmar and subsequently a Multi-Sectorial ECCD Policy was developed. This was a collaborative effort involv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SW), as well as other ministries and NGOs. In ECCD Policies, they set up 10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for Myanmar young children. A strategy of OD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dapted UN’s SDGs and Multi-Sectorial ECCD Policy of Myanmar. For ensuring 0-8 years children’s healthcare and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he most urgent need is to provide capacity-building support for ECCD teachers : Kindergartn and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as well as training for educator for teachers. OD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Myanmar will provide positive impact for Myanmar’s children, family and communities, furthermore, it will be benefits of Korean government, universities, various NGOs and companies to assist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sustainable way.

      • 한국정부의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성과와 발전전략

        정기연 APEC국제교육협력원 2009 국제교육협력연구지 Vol.2 No.2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불과 40여 년 전 최빈국이었던 국가가 경이적인 경제성장과 발전을 통해 성공을 이루어 낸 모범사례로 공인되고 있고, 경제규모 확대와더불어 최근 부상하고 있는 공여국(Emerging donor)으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새 정부 출범이후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교육서비스 산업의 일자리 창출과 민간 경쟁력 활용을 통한 교육수출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적개발원조를통한 해외진출확대를 위한 창구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사업 추진현황을 해외 양자및 다자간 공적개발원조사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동 분야의 해외진출 발전전략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우리 교육정보화 강점분야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연계방안및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도미니카공화국, 라오스, 스리랑카,몽골 등 6개국에 대해 한국정부가 실시한 교육정보화 분야 공적개발원조성 사업에대한 평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원조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사업추진에 필수적인 사업계획 단계(Predesign)에서부터 충분한 검토와 분석, 이에 따른 사업절차의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정보화관련 정책 인프라, 법제 정비 등 시스템 구축 분야에 관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지원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원국의 현재 기술수준과 미래 전망을 고려한 물자 및 기자재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정보화 지원 사업에 대한 표준화된 지원 모델(Standard model)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체계적인 사후관리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업수행 형태의 과학화가 필요하다.무엇보다 교육정보화 분야에서 한국형 개발협력 모델은 국제 원조 규범을 존중하면서 선진국들의 전통 원조 방식과는 차별성을 지니는 비교우위 분야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Korea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international society only 40 years ago. But now Korea is recognized as a model country which has accomplished many successful things through a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also acknowledged as a recently appearing Emerging Donor from its economic expansion. In addition, since the new government, creating jobs in the educational service industry and education and training export through private competitiveness have been required an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is being regarded as a means or alternative of expansion to oversea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overseas expans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in Korea with overseas bilateral and multilater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education informatization. From the above, overall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review and analysi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ject process are needed from the Pre-design, which is necessary for the project in order to maximize the assistance effect. Second, change of the Paradigm in assistance projects is needed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system, such as education informatization related policy infrastructure and legal system. Third, assistance on supplies and equipment is needed, considered from the present technology level and future prospects of beneficiary countries. Fourth, Standard model is needed for the assistance project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Fifth, systematized follow up management system is needed. Sixth, project performance must be technologized.

      • KCI등재

        라오스를 위한 적정 디자인교육 ODA 분야에 관한 연구

        김은숙(Kim, Eunsook)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2

        연구배경 : 라오스의 산업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1950~1970년대 사이에 위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라오스의 산업은 농업, 가내수공업, 경공업, 조립산업 단계에 있다. 또한 교육을 통한 인적자원재발 수준은 성인을 기준으로 초기상태의 직업훈련과 대학교육 단계에 있다. 최근 들어 라오스에서는 IT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열악한 교육 환경과 조건으로 인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ODA 차원에서 라오스의 경제 및 산업발전을 위해 교육 분야에 대한 원조를 지원하고 있으나 제공하는 교육원조의 분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의 독특한 디자인발전 경험과 노하우는 라오스의 경제 및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오스를 위한 우리나라의 디자인교육 분야에 대한 원조는 거의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라오스에 효율적으로 디자인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의 특수한 현황도 종합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번 연구의 주요 목적은 라오스의 경제 ·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적정 디자인교육 ODA 분야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라오스의 자원현황, 산업현황, 수출현황, 주력 경제 및 교육정책 현황, 디자인 및 디자인산업현황, 디자인교육 현황 등 6개 분야에 대한 복합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6개 분야에 걸친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라오스의 경제발전을 위해 필요한 적정 디자인교육 원조 분야를 도출하였다. 결론 : 라오스의 개황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라오스에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적정 디자인교육 분야는 산업공예디자인, 제품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 Industry of Laos is situated between 1950~1970 based on South Korea. Currently, industry of Laos is on the steps of agriculture, cottage industry, light industry, and the industrial assembly. In addition, the level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are in the early stages of the vocational training and college status based on adults. Recently, the demand of designs in Laos based on the IT technology is increasing gradually. But the reality don’t meet expectations due to poor learn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South Korea has supported aid to the education sector for the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Laos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level. However, the provided assistance for the field of education has a restrictive limitation. Unique design development experience and know-how of South Korea can contribute to the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Laos. Nevertheless, assistance in design education sector by South Korea for Laos is a state that is not nearly active. In addition, the reality is that the survey about the special status of the state to provide effective design education in Laos has not been made comprehensive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appropriate design education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ields to contribute to the Laos economy and industry. Methods : The research conducts in six fields; status of resources, industries, exports, main economic and education policies, design and desig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in Laos for the study. Result : As a result, the appropriate design education fields for ODA was derived comprehensively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aos by a comprehensive survey across six categories. Conclusion : By the results of researching about compositive situation of Laos, the most important and appropriate design education fields needed in the Laos are in the order of industry craft design, product design, and fashion/textil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