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내용 강화를 적용한 사례연구

        정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연장을 통해 교육실습 내용의 강화를 3년에 걸쳐 적용한 사례연구로, 교육실습 기간 연장에 따른 참여자의 요구와 기대, 교육실습 기간과 내용 강화에 대한 교육실습생의 경험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서, 설문지와 면담, 저널쓰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요구와 기대 중 실습생들은 프로그램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임용고사의 자연스러운 준비와 동시에 실제 현장에 도움이 되는 경험과 안내의 역할을; 실습학교는 실습학교 간 차별성 및 연계성과 실습단계마다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 점차 심화된 프로그램 운영을; 교육청은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어 예비교사도 현장의 실정을 미리 경험하고 실습학교 지도교사의 전문성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대학은 학교현장을 경험함으로써 이론과 실제 간의 접목을 기대하고 교직은 계속 노력하고 협력하는 영역임을 인식하기를 기대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은 확대된 실습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수업과 학생관리 부분을 계속 고민하였다. 교육실습 기간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 교원양성기관의 철학,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 교육실습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

        손혜진(Son, Hyejin),최연주(Choi, Yeonju),이인수(Lee, Insu)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실습제도가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에서 그 효과성과 교직 적응에의 도움 정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특히 중등교육실습의 경우, 사범대학과 실습학교 간의 대화와 협력이 결여된 채 교육실습의 질이 단위학교의 실습지도 교사에 의해 상당 부분 결정되고, 대학은 교육실습 운영에 참여하지 못하는 ‘방임형 교육실습’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 그 개선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육실습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외(2004)가 제안한 다차원적 정책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제도의 문제점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규범적 차원에서는 현행 교육실습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실습 환경에 따라 예비교사의 역량강화 결과는 차이를 보였다는 점,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절대적으로 체감하는 실습기간의 양이 적기도 하고,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상대적인 실습기간도 짧다는 점,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에 관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기술적 차원에서는 문제들을 개선할 공식적 창구가 없다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차원별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규범적 차원은 교육실습제도의 목적에 대해 예비교사의 교직에 대한 적성 확인 및 교직 역량 증진이라는 본래의 가치가 잘 실현되고 있는 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 시간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제도 관련 구성원들(교육부, 시도교육청, 현직교사, 예비교사 등) 간 공통의 책무성 강화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실습제도에 대한 긍정적 요소뿐만 아니라, 부정적 요소 제거에도 집중하여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공식적인 창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criticism that the current Teaching Practicum is staying in the disposable teaching practice although it is relatively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and level of help in adapting to teaching positions among teacher training curricula.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proposed by Cooper et al (2004) and considering the preceding studies on education practice conducted so far, the government wanted to analyze, diagnose, and present effective measures for problems in the current education practice system from various aspects. Looking a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ent Teaching Practicum derived from this study, it proposed the need to re-examine the role of influential people and institutions of the original value of checking the aptitude of prospective teachers for teaching positions and enhancing teaching skills at a normative level. On the structural level, i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time spent on training practice. On a constructive level, it proposed strengthening common responsibilities among the relevant members of the Teaching Practicum (such as the education ministr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cumbent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Finally, at the technical level, it was proposed that a formal window should be opened to reflect the field voice, focusing not only on the positive factors for the Teaching Practicum but also on the elimination of the negative factors.

      •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육실습의 개선 방안 탐구

        최현주(Choi, Hyeon Ju),박일수(Park, Il Soo),설양환(Sol, Yang-Hwa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지도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교육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 1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및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의미 있는 진술을 바탕으로 4개의 대범주, 21개의 소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대범주는 ‘실습 현황’에 대한 인식, ‘실습지도’에 대한 인식, ‘실습 내용’에 대한 인식, ‘실습 모형’에 대한 인식이었다. 분석 결과, 실습 현황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실습 지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인식하는 이중적인 상황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실습 내용에 대해서는 ‘중요한 것’과 ‘필요한 것’이라는 긍정적인 인식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육실습 모형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인식과 ‘필요하지 않다’는 두 가지 상반된 인식 경향을 보였으나, 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많이 제기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자들은 실습지도 교사들의 실습지도 과정에서 겪는 어렵고 힘들고, 부담스러우며 업무가 가중되는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해소하고, 다양한 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실습 체제의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실습 지도교사들이 제기한 교육실습 로드맵으로서의 기본적이면서도 활용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는 일은 현직 교사들의 실제적인 교육실습지도를 돕고 그 질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습 지도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and to find its implications. To this end, researchers us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methods fo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practicum.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rge categories and 21 small categories based on meaningful statements. The four major categories were awareness of the current codition of practicum, awareness of the actual practicum guidence, awareness of the content of the practicum,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model. The analysis found that while awareness of the current codition of practicum was generally negative, there were dual situations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recognized simultaneously for the awareness of the actual practicum guidence. In addition, positive perceptions of ‘important’ and ‘necessary’ were derived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practicum. There were also two conflicting awareness about the model of teaching practicum: ‘necessary’ and ‘unnecessary’; however, more opinions were raised that it w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teaching practicum models teachers recognize as necessary based on their experience are “simple models”, “universal models”, “standard models”, “orkbook models”, “flexible models”, “student life maps” and “qualitative assessment models.” From these analys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y needed an teaching practicum model that could address the difficult, hard, burdensome, and aggravated elements of the field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chool sites.

      • KCI등재

        교육실습 맥락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탐구 저널쓰기 경험의 의미 탐색

        김은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2

        This study seek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 the context of their teaching practice. 3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4-week teaching practice and submitted one journal per week. The four different reflective inquiry journals they submitted were public moral inquiry, multi-perspective inquiry, deliberative inquiry, and critical inquiry journal. While writing their journals, students reflected on their ongoing teaching practice. Once the students had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e, they wrote an autobiographical inquiry journal. The data sources used for this analysis were the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depth interviews of both large group and focus group, and feedback emai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journal writing introduc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by vent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direct and solve the problems. Second, the journal writing lea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s of the teaching practice by judge themselves, recognized limit of technical methods, their application of appropriate theories Third, writing the reflective inquire journals allowed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identity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educational valu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hei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s. Furthermore, it reminds them to maintain a critical reflection regarding their views on modern educational hypotheses, curriculum, the image of child, and the role of teacher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cess at macro level. Based on this study regarding practical meaning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 suggest the use of reflective inquiry writing as acomponent of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teaching practice, online interchangeability considering efficiency, and feedbacks for having emotional solidarity.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실습 맥락에서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중 30명의 예비유아교사들로서 교육실습이 있는 학기의 수업에서 4주의 실습 중 공적 도덕적, 다원적, 신중한, 비판적 탐구저널쓰기를 주 1회 4차례, 실습 후 자서전 저널쓰기 1차례를 진행하였다. 실습 중 저널은 매주 이메일로 제출하고, 개인별 2차례 피드백 하였으며, 실습 후, 공유 및 저널쓰기, 3차례 학급별 집단면담, 3차례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정서 분출, 소통하고 관계 맺기, 방향을 잡고 문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실습을 안내하였다. 둘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예비교사로 하여금 교사로서 자신 평가, 기술적 방식의 한계 알기, 이론의 의미를 깨달아 적용하는 기회로써 실습의 중요성을 알게 하였다. 셋째,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를 통한 실습은 교육에 대한 가치, 교수접근, 교실문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개인적실천적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 되었다, 나아가, 현재의 교육적 가정, 교육과정, 유아 이미지, 교사 역할, 그 외 유아교육 전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불러오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양성 대학의 교사교육과 교육실습을 위한 프락시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중등 교육실습 운영 분석;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 학생의 활동체제와 모순을 중심으로

        김판규,이영주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3

        Teaching practicum is so important that it is called “the flower of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in training teachers. However, the current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has not been sufficiently meaningful in terms of opera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value. This research, therefore, aims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exposing the percep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among practicum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education office, and pre-teachers in colleges all related. Two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practicum in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education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desirable structure and the actual implement of teaching practicum, and the solutions for overcoming those contradic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each subject in relation to teaching practicum, this research focused on interviewing school instructors, professors and officials in colleges, education office supervisors and researchers, and education college students to collect data and applied Engeström’s theory of third-generation cultural histor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med the activity systems of each subject for the teaching practicum, and revealed the comm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adictions within and among each subject, including the tertiary and quaternary contradictions for some of them. The requirements of each subject toward others were aggregat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학생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두 가지 연구문제는 첫째,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학생의 교육실습 활동체제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 극복 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 사범대학생을 집중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Engeström의 제3세대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학생의 활동체제를 구성하였으며, 종합적인 교육실습 활동체제와 비교하여 공통 1차, 2차 모순 및 각 주체별로 가지는 모순점들을 드러냈다.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은 공통적으로 ‘알아서 하세요.’식의 방임적 태도와 허울뿐인 협력 관계를 지니는 공통 1차 모순을 갖고 있었다. 연이어 교육실습과 관련한 규칙은 불명확했고, 분업은 비정상적으로 실시되어 2차 모순을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활동체제와 구별되는 특징으로 실습지도학교에서는 ‘천차만별의 지도’, 사범대에서는 ‘교육실습 방임’, 행정기관에서는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등의 3차, 4차 모순점들을 갖고 있었다. 각 주체별로 서로에게 가지는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모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ㆍ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

        기준성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교육실습에서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과방법에 관한 수강생의 인식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에 관한 인식은 크게 실습 영역에 관한 인식과 실습 내용에 관한 인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은 실습 대상, 실습 시간, 실습 유형, 실습방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분석한 과정과 논의한 내용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영역으로 기능 영역과지식 영역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내용으로 기능 영역에서는 말하기, 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대상으로 중급 학습자와 초급 학습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시간으로 1회당 약 20 분과 약 30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유형으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의 수업’과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강의 실습’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방법으로 각 1회 이상의 오프라인-온라인 혼합 실습과 2회 이상의 오프라인 실습이 가장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is study reveals learners’ perception on contents and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n line with Korean practicum. Perception on content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analyzed in two dimensions-perception on practicum domain and perception on practicum contents. And perception on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scrutinized in four dimensions-practicum subject, practicum time, practicum type, and practicum method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the function domain and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domains. Secon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speaking in the function domain and grammar in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contents. Thir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learners in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subjects. For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bout 20 minutes per session and 30 minutes per session are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practicum times. Fif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 mock class for Korean learners’ and ‘teaching practi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types. La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more than one time of on- and off-line combined practicum and more than two times of off-line practicum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methods.

      • KCI등재

        교사의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실습불안

        조상일(Cho Sang Il),박유미(Park Yu-Mi),최인숙(Choi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교육실습 전후에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실습불안의 변화와 교사의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실습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171명, 실습 지도교사145명이며, 교육실습 전후에 예비유아교사의 교육관, 실습불안 관련 도구를 사용하여 각각의 차이를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실습 후에 실습지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실습불안의 관계를 SPSS 18.0 상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육실습 전후에 교육관과 실습불안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은 교직에 관한 인식, 전문적 자질, 개인적 자질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와 예비유아교사의 실습불안은 실습불안의 전영역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atisfactions about the guidance of student teaching and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view and anxiety of teaching process. The participants of were 154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and 135 teachers in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d applications of a practice teaching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view and anxiety of teaching process. Second, it showed that the staged application of teacher’s satisfaction about the guidance of student teaching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view and anxiety of teaching process. Concretely i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and cogni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professionality, and individual quality.

      •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옥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현장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27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32개 교육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요구되는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32개의 교육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실습생의 역할 및 태도,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하루일과 운영의 실제, 교육계획안 작성법, 유아-교사의 올바른 상호작용, 부모와의 관계 맺기 및 상담,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 사전유치원 현장 관찰하기의 9개 교육내용이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교육내용을 명료화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승현,한대동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실습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실시하고 실습 계획서 및 교생 실습록 등 관련 문서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원 자료에서의 의미 있는 진술을 바탕으로 4개의 범주, 11개의 주제묶음, 18개의 주제들로 분석할 수 있었다. 실습 지도경험의 각 범주는 ‘교육실습협력학교 근무’, ‘교사 전문성의 발휘’, ‘실습지도의 성취감’, ‘고민과 한계’ 이었다. 주제묶음(cluster)으로는 가산점의 획득, 새로운 경험, 수업 잘하기, 학급경영 잘하기, 교생 가르치기, 교생 평가하기, 자기성장의 계기, 실습지도의 보람, 수업과 학급경영에 대한 고민, 실습지도 능력에 대한 고민, 실습지도 방법에 대한 고민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습 지도의 경험은 실습 지도교사의 교사 전문성 인식과 성장에 의미 있는 변화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습 지도에 대한 교사 개인의 경험을 넘어 교사성장과 교육실습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cooperating teacher’s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actice program.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was conducted, and related documentation such as teaching practice plans and textbook, teaching practice journa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aningful content from in-depth interviews, analysis was conducted in 4 categories, 11 clusters and 18 themes. The four categories were‘working in an education practice cooperative school’,‘teacher’s professionalism’,‘achievement in teaching practice instruction’, ‘concerns and limitations’. Clusters include, obtaining extra points, new experience, how to conduct a good class, how to manage a class, teaching student teachers, assessing student teachers,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the joy of practice instruction, concerns on lessons and classroom management, concerns on practice instruction ability, concerns on practice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found out that teaching practice instruction experience brings about meaningful change and effect to cooperating teachers regarding teacher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development.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can move beyon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cooperating teachers, and find implications for teacher development and the teaching practice system.

      • KCI등재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실습전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엄미리(Eom, Mi Ri),엄준용(Uhm,Joon Y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실습 전·후 인식변화를 통해 교육실습 실태와 예비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해 봄으로써 교육실습의 체계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고,교육실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서울,경기,강원지역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후 2차례에 걸쳐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교육실습 관련 4개 영역(교육실습제도의 운영 측면,교육실습 목적과 준비도 측면, 교직 및 교육실습 교육과정의 유용성 측면,교육실습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측면)의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 변화를 측정하고 실제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별로 빈도분석과 t-test, x²검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① 교육실습제도의 운영의 측면에서 교육실습기간의 연장과 교육실습 배당학점의 증가를,② 교육실습의 목적과 준비도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운영에 있어 대학과 실습학교간 긴밀한 연계와 효과적인 협업을,③ 교직 및 교육실습교육과정의 유용성 측면에서 이론교육못지않게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skill)에 대한 교육 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구들을 바탕으로 볼 때,현재의 교육실습프로그램은 많은 개선요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학에서의 이론교육과 현장에서의 실습교육이 보다 긴밀하게 연계되고,현재보다는 좀 더 체계적인 교육실습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and furthermore, investigate into their needs, which aims to ensure and stimulate systematic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This study has four issues of research: (1)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system, (2)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of goal and readi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system, (3)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usefulness of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practicum, (4)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aspect to improvements or needs for improvement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atic operation and stimulation of teaching practicum. To determine the aforesaid, the conclusion was drawn by conducting the survey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based on Questionna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